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소상공인 성공창업 패키지 교육을 중심으로

        정연주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ntend to analyze effect on a change ment al feature of founder receiv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lled the successful foundation package. In order words, what kind of the mental of founder before Most of start-up business has high probability of failure and most of them started out as very small size, and the entrepreneur would require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capability on business item selection, development of business model, product development, financing, market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others. This study is initiated by the interest in the concept of determinants of education perform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rehend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to the education performance, and to contribute to improve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andafterreceivedentrepreneurshipeducation. The founder of the a ceristics include the location of controls, risk-taking propensity, desire fulfilled, acceptance of am biguity and I will study anew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ros stabs, which explain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t-test, and Amos12.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n impact of pursuit of start-up information had an effect on perception options of the transfer of start-up education. Second, an impact of pursuit of start-up information had not an effect on performance capability of the transfer of start-upeducation. Third, thedegreeofdemand of start-up education had no tan effect on perception options of the transfer of start-up education. Last the degree of demand of start-up education had not had not an effect on performance capability of the transfer of start-up education. This study has some theoretical implication. The use of a developed tool make a possible a comparison with other studies. This study encourages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the new initiation. 창업교육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사회적 기대나 수요에 비해 교육에 대한 공급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창업교육은 시행하는 기관과 교육 프로그램이 급속하게 증가하여 왔는데, 전반적으로 양적인 측면에서는 단기간에 확대 되었으나 질적인 수준과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많이 취약한 상태이다. 이렇듯 창업교육에 대한 사회적 수요의 증가에 반해 적절한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창업 활성화를 통한 경제 사회발전에 대한 기여가 다소 미흡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인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창업교육은 근본적으로 창업을 원하는 예비 창업자, 기존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에 관련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이들의 창업 능력 및 기업가 정신을 고려하여 창업 성공률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행해지고 있는 창업교육은 과거에 비해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아직도 전문 교육인력 부족, 교수방법 및 교재 개발의 부족, 창업 교육 기관들의 전문성 부족 등의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상공인 예비창업자, 업종전환자, 폐업 및 재창업자, 사업성과가 미흡한 소상공인으로 성공창업 패키지 교육과 경영 개선교육을 수료한 교육생을 대상으로 소상공인 창업교육과 관련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소상공인 창업교육의 특성을 고려해 창업교육의 만족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으로 교육특성인 교육강사, 교육내용, 교육운영을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수로 창업교육전이 그리고 종속변수로 창업교육성과로 구분하였다. 소상공인 창업교육과 관련하여 창업교육의 교육성과 요인을 규명하고자 창업교육으로 인한 전이와의 창업교육성과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상공인 진흥원에서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소상공인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성공창업 패키지 교육이나 경영개선 교육 프로그램을 수료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창업교육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을 통해 소상공인 창업교육의 교육성과를 높이고, 소상공인 창업교육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한계를 제공해 준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 구성요소와 창업교육성과간의 직접적인 관계의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창업교육전이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창업교육의 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창업교육의 구성요소와 창업교육성과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요인들을 찾아내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와 교육프로그램의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전이 요인을 바탕으로 경로분석을 통한 가설검증을 통해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상황적인 특성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교육 구성요소와 교육성과간의 관계에 있어 교육전이에 대한 인과관계가 있을 것이라 언급했을 뿐 경험적 데이터에 의한 연구가 부족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에 의한 경험적 결과를 얻었다. 둘째, 소상공인 창업교육에 대한 평가 시 교육을 수료 후 단순히 그 교육에 대한 만족도만으로 교육성과를 평가하는 기존의 성과측정에서 벗어나 교육 수료 후 실제 창업을 한 창업가를 대상으로 창업교육성과를 측정하여 실제 창업교육의 그 성과를 평가함으로서 보다 체계적인 측면에서 교육전이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즉 창업교육에 있어 창업교육성과를 평가하기에 앞서 창업교육을 통한 전이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연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려는 것으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 아동들에 비하여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1-1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하위 요인별(적극적, 사회지지 추구적, 공격적, 소극/회피적 대처행동) 점수에서 실험집단의 아동들이 통제집단 아동들에 비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낼 것이다. 위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울산시 남구 소재 D초등학교 6학년 58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아동 29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실험집단이 아닌 학반 중 동료교사가 희망하는 학반의 아동 29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MBTI 및 MMTIC Workshop 활동과 MMTIC 관련 논문과 기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60~80분 정도 소요하여 총 12회기의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는 민하영․유안진(1998)이 개발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를 박진아(2001)가 수정, 보완한 스트레스 대처행동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대처행동 사전검사 평균의 차이를 t-검증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점수 차이를 t-검증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유의도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분석의 보조자료로 3-11회기의 회기별 설문지와 12회기 때에 작성한 프로그램 선호도 질문지와 소감문을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 1>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스트레스 대처능력 하위영역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 1-1>은 통계적으로 모든 하위 영역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서도 본 연구결과와 같게 나타난다면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활동에 대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MMTIC on stress cop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 and for this, I raised the issues as followings. <Issues> Doe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MMTIC have effect on stress cop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 The hypotheses according to the issue are as following. Hypothesis 1. The test group which experience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MMTIC would significantly more improve the stress cop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receive any other treatment. Hypothesis 1-1. The test group which experience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MMTIC would show more positive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core of sub-factors of stress coping ability like as in the active, social support-pursuing, aggressive,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To verify the above hypothesis, I selected 58 students in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Nam-gu, Ulsan-si and among them, 29 (male 18, female 11), my class members, were arranged to a test group and the other 29 (male 15, female 14), my co-worker's class members, were arranged to a control group. As an instrument, I applied the reorganized MMTIC group counseling program by consulting the group counseling group programs (Nam chunseoun et al.,2005; Kang taeshim et al., 2004), MBTI, MMTIC Workshop, and MMTIC-related theses (Kim jinman, 2005; Kim pangyu, 2003; Mun jiyeong, 2005; Pak gyeongseon, 2003; Lee jiwha, 2000), with assistance of specialists, to the test group with 12 sessions for 60~80 minutes each time and there was not any special treatment for the control group. As an assessment instrumen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a stress coping behavior test which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by Bak jina (2001) from the daily stress coping behavior scale developed by Min hayeong and Yu anjin (1998) for children was used. As the data analysis method, t-test was used. To check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 made a pre-test with t-test so 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average score in stress coping behavior, and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program, I made a post-test so 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score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As the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verification, p<.05 was established. As the aid material of statistical analysis, I used questionnaires for each session of 3-11 and the questionnaire about preferred program and impression paper for the session of 12 and analysed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hypothesis 1, the test group which experience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MMTIC would significantly more improve the stress cop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receive any other treatment, was not supported by showing non significant change in statistic. Second, the hypothesis 1-1, The test group which experience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MMTIC would show more positive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core of sub-factors of stress coping ability, was not supported by showing non significant change in all sub-factors. Therefore, if the post studies are tobe the same in the result, there would need revision and complement for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MMTIC.

      • 골프 참여 형태와 수준에 따른 재미요인 차이분석

        정연주 한국체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골프참여 형태와 수준에 따른 골프 재미요인 차이를 분석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골프에 참여하고, 지속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원시, 용인시, 김해생활체육전공 시, 충청도 진천군, 제주도 중문에 위치한 골프연습장, 스크린골프장, 골프장 이용객중 골프경력이 3개월 이상 되는 경험자 321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이계윤, 최수용(2010)에 개발한 골프 재미요인 질문지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18.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석 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수준과 골프 재미요인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수준과 재미요인(r=.361, p>.05)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나진 않았다. 그러나 골프 재미요인의 하위 요인 중 신체적 건강(r=.-212, p=.039), 스트레스해소(r=.175, p=.022) 그리고 자기계발(r=.232, p=.047)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골프수준은 70대, 80대, 90대, 100대 이상 총 4집단으로 나누어 골프 재미요인의 집단차이분석 결과 골프 재미요인은 집단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진 않았다. 그러나 하위 요인별로 볼 때 신체적 건강요인과 자기계발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신체적 건강요인은 유의확률 .019로 사후 검증한 결과 70대집단과 100대집단에 나타났고, 자기계발요인은 .001로 사후검증한 결과 70대집단과 100대 집단에서 나타났다. 둘째 골프참여 형태에 따른 골프 재미요인 차이분석 결과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건강(F=49.138, p=0.59), 기록향상(F=51.671, p=.76), 스트레스해소(F=49.138, p=.001), 사회적 인정(F=65.062, p=.011), 자기계발(F=63.074, p=.001)요인 중 통계적으로 스트레스해소요인과 자기계발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of purpose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fun factor of golf according to the type and level of golf participa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so that a lot of people participate in playing golf and continue to play golf.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321 experienced persons who had a career of more than three months, out of the users of golf driving ranges, indoor golf simulators and golf courses located in Suwon and Yongin in Gyeonggi-do, Gimhae in Gyeongsangnam-do, Jincheon-gun in Chungcheong-do and Jungmun-dong in Jeju-do, Korea. As a research tool,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about the fun factor of golf developed by Lee, Gye-yun & Choi, Soo-yong (2010), and for data processing,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 18.0 for Window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olf level and the fun factor of golf,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and the fun factor (r=.361, p>.05). However, of the sub-factors of the fun factor of golf, the factors, including physical health (r=.-212, p=.039), stress reduction (r=.175, p=.022) and self-development (r=.232, p=.047)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To examine the golf leve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score ranges of 70s, 80s, 90s and over 100, a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fun factor of golf by each group, th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un factor of golf among the groups. However, by sub-fact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physical health and self-develop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actor of physical health was at the probability of significance .019 in the groups with score ranges of the 70s and over 100 as a result of a post-test, and the factor of self-development was at .001 in the groups with score ranges of the 70s and over 100 as a result of a post-test.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fun factor of golf by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golf, of the sub-factors of the fun factor, it turned o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 of stress reduction and the factor of self-development, of the factors, including physical health (F=49.138, p=0.59), record improvement (F=51.671, p=.76), stress reduction (F=49.138, p=.001), social recognition (F=65.062, p=.011) and self-development (F=63.074, p=.001).

      •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한 음악적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정연주 대구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에서 음악을 배우는 목적은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적 정서를 함양하고, 문화·예술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유지하여 문화적 교양인으로서의 자질과 인성을 갖추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학교에서 배우는 음악과 학생들이 향유하는 음악은 분리되어 왔고, 이러한 분리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교육과정에는 반영되지 못했다. 실제로 학생들은 음악을 가까이 하고, 빈번하게 활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음악들의 대부분은 학교에서 배운 음악과는 동떨어진 것이 사실이다. 또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주 2시간의 음악 수업으로는 기본 활동을 수행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하여 음악적 능력과 창의성의 계발은 등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음악의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고, 학생의 음악적 창의성을 계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제 7차 교육과정은 창의적 재량활동의 설치를 통해 통합적 교육을 제안하고 있어 교과서 중심의 음악 교육 체제를 탈피하여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더욱이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은 종래에 교과 재량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나뉘어져 있던 초등학교 재량활동을 모두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운영하게 함으로써 재량활동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였다. 그러나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는 재량활동 편성·운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침만 제시되어 있을 뿐, 실제의 교육과정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그것은 각 학교에서 자율·재량의 권한을 발휘하여 특색 있고 창의적인 교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량활동의 편성·운영의 자율권에도 불구하고 실제 학교에서는 지도 내용의 선정 및 자료의 제작 등의 준비 소홀로 인해 시간 때우기 식으로 무의미한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의 음악적 창의성을 신장시키고 체험적 학습을 통한 음악의 생활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특색 있는 창의적 재량활동 프로그램과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단순한 지도안 형식에서 벗어나 학생용 워크북을 함께 구안함으로써 일선 학교에서 보다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우선,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분석하여 제시된 목표를 심화·발전시킬 수 있는 학습 목표와 주제, 활동 내용을 선정하고 그에 따라 총 34차시 분량의 17개의 창의적 재량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교육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해 다양한 사진과 참고자료, 악보, 활동 내용을 포함한 학생용 워크북을 함께 제작하였다. 본 재량활동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적절한 프로그램의 부재로 무의미한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던 재량활동 시간을 보다 창의적이고 내실 있게 운영할 수 있다. 둘째, 교과서에서 체험할 수 없는 다양한 악곡의 선정과 흥미로운 활동 구성으로 학생들에게 풍부한 심미적 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범교과적이고 통합적인 음악 체험을 통해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사진, 참고 설명, 악보, 감상 자료를 포함한 워크북은 음악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창의적이고 활동적인 음악활동을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수업활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다섯째. 워크북 활동 과정과 결과물은 음악과 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의미 있는 수행평가를 이룰 수 있게 도와준다. 본 연구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음악적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다양한 음악 관련 재량활동 프로그램이 더욱 다양하게 연구·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n schools is to cultivate musical emotions, enjoy culturally, artistically rich life, and possess cultural men's disposition and nature through various musical activities. However, music learned from school has been separated from music enjoyed by students, and efforts to overcome such a separation have not been reflected in curriculum. In fact, even though students enjoy music and use it frequently, this kind of music is irrelevant to music they learn at school. In addition, since music classes, twice a week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are not enough even for basic activities, musical ability and creativity development are neglected. To solve these actu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reflect changes in music, develop programs to improve students' musical creativity, and apply the programs in activities. Proposing integrated education by establishing creative discretional activitie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ccommodates social demands to break from textbook-based music education and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of diverse education. Furthermore, the curriculu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iscretional activities by letting schools operate creative discretional activities instead of the existing discretional activities which divided them into subject-based activities and creative ones. However, the national curriculum just proposed basic guidance for formation and operation of discretional activities, not an actual curriculum. Such a proposal is to help schools make special and initiative educational activities with their own discretion. Despite the right to form and operate discretional activities, in fact, schools are operating meaningless activities just for killing time because of poor preparation of selecting contents and making material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teaching methods and actual, special initiative discretional programs which can improve students' musical creativity and help students absorb music into their daily life through practical learn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grams easily available to schools by making a workbook for students instead of simple teaching pla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were analyzed. Then, learning objectives, themes, and activities were selected to deepen and develop the presented goals. According to the selection, 17 initiative discretional activity programs including 34 sessions were developed. In addition, to make better use of the programs and to make them more effective in educational fields, a workbook for students including various pictures, references, musical scores, activities was made. It is expect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se discretional activity programs will obtain the following outcomes. First, it will help operate discretional activities, which used to be meaningless because of the absence of proper programs, in more creative and meaningful ways. Second, it will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of experiencing rich aesthetic appreciation since the programs are composed of interesting activities and various musical scores which are not included in textbooks. Third, it will contribute to students' improvement in ability of self-controlled learning and creativity through integrative music regardless of its presence in textbooks. Fourth, the workbook including various pictures, references, scores, materials for appreciation will increase students' interests in music, enable them to participate in creative and active music activities, and help effective operations of music class. Fifth, activities with the workbook and outcomes will help to do meaningful achievement assessmen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music as one of subject matters. It is hoped that these programs will help student improve their music creativity. In addition,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to develop discretional programs related to music more variously by reflecting students' concern and interests.

      • 일산화탄소, 에틸렌, 프로필렌의 삼원 공중합; 팔라듐 촉매에 대한 불균일 첨가제의 효과

        정연주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산화탄소와 올레핀의 공중합을 통해 합성된 폴리케톤은 우수한 물성을 가진다. 특히, 내화학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 자동차 내·외장재와 같은 각종 산업자재로의 응용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공정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대량생산 및 상품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의 교대 공중합을 통해 만들어진 폴리케톤은 Tm 이 높아 가공 시에 상당히 높은 온도가 요구된다. 또한, 팔라듐 촉매와 함께 과량의 불균일 첨가제를 사용하는 기존의 합성법을 통해 얻어진 고분자는 품질이 낮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팔라듐 매의 활성을 유지하면서 폴리케톤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극소량의 불균일 산촉매를 사용하였고, Tm 을 낮추기 위하여 프로필렌을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삼원 공중합을 수행하였다. 이 때 사용된 불균일 산촉매의 크기를 조절하여, 크기에 따라 촉매 활성 및 고분자 특성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연구하였다.

      • 지방자치단체 민간투자사업의 공법적 통제에 대한 연구 : 일본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연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national economy by supplementing limited government financial investment and expanding essential infrastructure. However, in order to utilize private investment for infrastructure,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of fiscal waste that has been raised and to secure the publicity of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projects.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f legal responsibility for the Yongin EverLine Light Rail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project promoted by local governments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resident lawsuit that residents can control the government's financial activities through lawsuits.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task to prepare a preliminary and post public law control plan to prevent the government's fiscal waste and ensure the soundness of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projects.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projects are a system that can supplement the government's finances and increase economic revitalization and social utility by supplying infrastructure with essential public goods through private investment. Unlike the government,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projects are performed by profit-seeking and for-profit companies, so there is an incentive to reduce costs and maximize profits through efficient business operation. Japan is responding to deterioration of facilities by supplying resources for social infrastructure in cooperation wi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rough the Public Finance Initiative(PFI). Under the Act on Promotion of Private Finance Initiative, local PFI projects are carried out by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nd support measures such as a one-stop processing system, administrative property loan, and free use of national and public property are implemented. In order to secure the publicity of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projects of local governments, a feasibility study should be first examined as a preliminary control measure. When evaluating a feasibility study, the unit of the project subject to evaluation is not legally defined, and the feasibility study can be applied as an individual project unit in precedents and practices, but it may be desirable to select a project group in consideration of relevance. In order to improve the capa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nditions for self-analysis by referring to Japan's consultant system, closely identify areas that overlap with existing feasibility studies, and improve legislation. To strengthen the control of local councils, it is necessary to solidify the control authority under the Act On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Infrastructure, and to stipulate the enactment of ordinances of local governments and include matters to be controlled by the council. Matters requiring consent shall be reorganized in detail and detailed information shall be included in the Ordinance. As a follow-up control meas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right to request changes to the agreement disposition stipulated only in the Toll Road Act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project, and not only clarify the criteria for changes to the implementation agreement, but also control the details. Requirements for "normal operation" and "scope that does not hinder free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requirements of the supervision and order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and the disposition of the supervision and order should b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sanctions for violations of the implementation agreement. The detailed criteria for the "need for public interest" should be set for the criteria for public interest disposition, and the reasons why it is difficult to continue the project should be clearly defined for each facility. In addition, when compensating for losses due to public interest dispos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stitutional basis so that the specific scope of compensation for losses can be directly regulated by the Act On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Infrastructure from presenting general standard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resident audit claims, the number of claimants should be improved and specific criteria for "identity" should be prepared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claim is subject to resident litigation. For resident litiga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and activate the criteria for filing claims so that the independent role of resident audit claims can be strengthened, not only as a preliminary step.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criteria for judgment and detailed criteria for resident litigation. In addition, for the procedure and scop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a clear procedure should be legislated to allow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to order compensation for damag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awsuit and file a civil lawsuit if not followed. This study analyzes Korea's current legal system for fiscal legal control related to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and derives legal improvement measures to secure the publicity of Korean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projects through comparative legal analysis with Japanese legal system. Since Japan has already experienced a period of low growth and aging infrastructure, comparisons with Japanese law can be useful in solving various problems in Korea's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projects. 지방자치단체 민간투자사업은 한정된 정부의 재정 투자를 보완하여 필수 사회기반시설을 조기에 확충할 수 있어 국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민간투자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제기되어왔던 과도한 재정 누수 문제를 해결하고 민간투자사업의 공공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대법원이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한 용인경전철 민간투자사업에 대해 주민소송을 통한 법적 책임을 인정한 판례는 주민이 직접 소송을 통해 정부의 재정행위를 통제할 수 있다는 주민소송의 실효성을 보여준 것으로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정부의 재정 낭비를 방지하고 민간투자사업의 건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사전적, 사후적 공법적 통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민간투자사업은 필수 공공재적 성격을 지닌 사회기반시설의 건설과 운영을 민간 투자를 통해 공급하여, 정부의 재정을 보완하고, 민간의 창의와 효율적 수익 창출을 꾀하여 경제 활성화와 사회적 효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제도이다. 민간투자사업 시행자는 정부와 달리 이윤을 추구하는 영리기업인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운영 면에 있어서도 효율적인 사업운영으로 비용을 절감하고 이윤을 극대화하는 유인이 있다. 일본은 PFI(Public Finance Initiative) 방식으로 민관이 협력하여 사회기반시설의 재원을 공급함으로써 공공시설의 정비 등 노후화에 대응하고 있다. 민간 자금 등의 활용에 의한 공공시설 등의 정비 등의 촉진에 관한 법률(PFI법)에 따라 지방 PFI 사업은 지방자치단체의 장 등이 실시주체가 되어 사업을 추진하며 원스톱 창구제도, 행정재산 대부, 국·공유재산 무상사용 등의 지원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민간투자사업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사전적 통제 방안으로 먼저 타당성조사를 들 수 있다. 타당성조사 평가 시에 평가 대상사업의 단위가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판례 및 실무에서 개별 사업 단위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데 조사 대상의 선정은 연관성을 고려하여 사업 집단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역량 향상을 위해 일본의 컨설턴트 제도를 참고하여 자체적 분석 수행 여건을 마련하고, 기존의 타당성 조사와 중복 수행되는 부분을 면밀히 파악하고 이를 입법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지방의회의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민간투자법상에 통제 권한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의 제·개정을 통해 의회의 통제를 받아야 할 사항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동의가 필요한 사항을 상세히 정비하고 세부적인 내용도 조례에 포함하도록 해야 한다. 사후적 통제 방안으로는 실시협약 변경 요구권, 감독명령, 공익처분, 주민감사청구, 주민소송을 검토할 수 있다. 유료도로법에서만 규정된 실시협약 변경 요구권을 민간투자법에서 직접 규율하여 민간투자사업 전반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 대상 범위를 확대하고, 실시협약의 변경이 가능한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할 뿐 아니라 세부적인 내용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 감독명령의 요건 상의 ‘정상적인 운영’, ‘자유로운 경영활동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등에 대한 요건을 명확히 정립해야 하며 실시협약 위반에 대한 행정처분 제재의 대상으로 감독명령의 처분성을 인정해야 한다. 공익처분에 대한 기준에 대해 ‘공익상 필요성’에 대한 세부 기준을 두어 사업을 지속하는 것이 어려운 사유를 시설 별로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또한 공익처분에 따른 손실 보상 시에도 기존에 다소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에서 손실보상의 구체적인 범위를 민간투자법에서 직접적으로 규율할 수 있도록 제도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주민감사청구의 실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감사청구에 필요한 청구인 수를 정비하고 주민소송의 대상 여부를 판단할 때 청구의 관련성인 ‘동일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주민소송을 위해 전치적인 단계로서의 역할만이 아닌 주민감사청구의 독자적 역할을 강화할 수 있도록 청구 제기 기준을 명확히 하고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주민소송 대상의 판단기준과 세부적인 기준에 대한 유형화가 필요하다. 또한 손해배상의 절차 및 범위에 대하여도 소송 결과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손해배상을 명령하고 그에 따르지 않을 때는 민사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명확한 절차를 법제화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민간투자사업과 관련된 공법적 통제에 대한 우리나라의 현행 법제도를 분석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일본의 법제도와의 비교법적인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민간투자사업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일본은 저성장과 인프라의 노후화를 이미 경험한 바 있어 일본법과의 비교는 우리나라 민간투자사업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외국인근로자의 한국생활 적응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인식

        정연주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근로자의 한국생활적응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유형화함으로써 외국인근로자의 한국생활 적응력 향상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외국인근로자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40개의 진술문을 가지고, 17명의 외국인근로자들을 대상으로 Q-sorting을 하게 하였다. Q Methodology를 통한 외국인근로자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주관적 인식유형과 그 특성은 다음 네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유형은 “적응 / 목적실현형”으로 이름 지었는데, 이 유형의 외국인근로자들은 한국생활에 어느 정도 적응하고 있으며, 돈을 벌어 생활비를 제외한 모든 돈을 고국에 송금하고 있다. 둘째 유형은 “푸대접 / 목적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이 유형의 외국인근로자들은 한국의 회사에서 푸대접을 받고, 심지어는 구타당하기 조차한다. 그렇지만 이들의 본연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고국으로의 송금을 하고 있기 때문에 참고 견디며 생활하는 유형이다. 셋째 유형은 “적응지향 / 목적미추구형”으로 이름을 붙였다. 이 유형의 외국인근로자들은 한국생활 적응을 위해서 한국어 습득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한국의 음식, 문화 습득을 위해 다양한 외국인단체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넷째 유형은 “적응노력 / 목적추구형”으로 명명되었다. 이 유형의 외국인근로자들은 한국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한국어 능력이라고 생각하며, 직장에서도 적응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주는 함의는 제도적 측면에서, 외국인에 대한 국가의 고용지원 정책의 확대와 회사에서 외국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외국인근로자들을 위한 생활상담, 법률지원, 교육 등과 같은 사회복지서비스가 뒷받침될 때 외국인근로자들의 한국생활적응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adapt to life in korea themselves by defining and sorting the subjective perceptions that they have been influenced on improving the adaption to life in korea. 17 foreign workers had implemented Q-sorting which has 40 statements about their life adapting to korea. As the results, it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types through Q Methodology. The people of the first type called “object realization” have been doing well in korea and sending the wages, but the cost of living, to their country. The people of the second type called “pursuing their objectives” has received a cold reception at their company and even beaten. However, they are reluctant to endure the treatments so that they can earn the money and send it to their family. The people of the third type called “adaptation-oriented workers” recognize that it is not only important to learn korean languages but also they need a help form diverse support organizations to get accustomed to korean food, culture, and so on. The people of the fourth type called “a industrious person” have been thinking that language‘s skill is very important to mingle with korean and trying to adapt to their company. This study means that the company that hired foreign workers is required to improve it‘s recognition and treatment against them. In addition, when the expansion of a employment support, a social welfare service counselling and law advices for foreign workers is supported by governments, it would be more helpful for them.

      • 라이프스타일 호텔 식음공간의 공간 스토리텔링 표현 특성 연구

        정연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iversification of modern society, the diverse values of modern people and the resulting consumption culture that values the intangible value pursuit and experience are important, the demand for accommodations is on the rise. Thus, unlike in the past, hotels have become more than just a cultural experience platform, fulfilling their own tastes or sensibility, or having new and special experiences, making it important to play a role as a function of their destination itself. Now I am deeply interested in the value of more than design and service of the hotel with a variety of approaches to concepts and changes in consciousness about the meaning of the hotel, regardless of the operators and users of the hotel industry. In order to meet these social changes, the hotel's trend is also changing with the advent of a lifestyle hotel with a strategy of these needs and one-size-fits-alls. What's noticeable is that in addition to the basic room space that forms the hotel, the dining and drinking area is emerging as a role that satisfies expectations of delicate personal tastes and new cultural experiences. The role of the food and beverage space in the lifestyle hotel is to reach out to a variety of people who can deeply reflect the culture and trends that the hotel pursues and accept as a preference, and to help re-create the personal life style and social flow. Therefore, this study will look at storytelling and spatial storytelling and the concepts and chang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festyle hotels, and analyze lifestyle hotel food and beverage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rough exampl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of the lifestyle hotel's food and beverage space from a spatial storytelling perspective and to present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omestic lifestyle hotel to develop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e subject of the case analysis was opened after 2015 with a rapidly changing lifestyle hotel centered on the domestic case. It was limited to three-star or more international chain hotels and local hotels,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keywords derived from the previous three aspect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spatial branding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derived lifestyle hotel food and beverage space were applied evenly in the case. First, in the context of the story, entertainment is shown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style hotel food and beverage space. Boutique Hotel customers are seeking to satisfy their curiosity and enjoyment through creative elements or content and programs that can be alienated or experimental and stimulating. This is why the proportion of the diversity of the extra space outside the guest room, which is the representative space of the hotel, is increasing. Second, in terms of the method of expression, the lifestyle hotel food and beverage space is multiculturalism that aims to convey various values through spatial expression elements. In addition to the basic layout of the space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the customers who use the hotel, the hotel has various conceptions of space. This is because it expresses various spati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concept in a mixture of genres, culture, or sense of time and space. Third, in terms of the creation of relationships, the Lifestyle Hotel food and beverage space is the consumer's desire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by customers through the elements applied within the space in which the story is designed. The above research shows that the concept, type, and strategy elements, the appearance of a lifestyle hotel, and the life style hotel food and beverage expression elements are actively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contents of the story, the way of expression, and the creation of the relationship.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orytelling in the life style hotel dining and drinking spaces, the users who will experience the space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flow of the domestic lifestyle hotel food and beverage space an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on the operation and research of the eating and drinking spaces of the lifestyle hotels and food industry. 현대사회의 다원화로 인하여 현대인들의 다양한 가치관과 이로 인한 무형적인 가치 추구과 경험을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문화가 대두되면서 숙박시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호텔은 과거와는 달리 단순한 숙박 기능 이상의 문화 경험 플랫폼으로 변모하면서 자신의 취향 또는 감성을 만족시키거나 새롭고 특별한 체험을 하는 등 그 자체가 목적지의 기능하는 공간으로써의 역할이 중요하게 되었다. 이제는 호텔 산업의 운영자와 이용자를 막론하고 호텔이 갖는 의미에 대한 의식의 변화와 개념에 대한 다각도의 접근 등으로 호텔의 디자인, 서비스 그 이상의 가치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부합하고자 호텔의 트렌드 또한 맞추어 변모하고 있는데, 이러한 니즈와 원츠를 전략으로 내세우는 라이프스타일 호텔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 중 눈에 띄는 부분은 호텔을 구성하는 공간 중 기본이 되는 객실 공간 외에 식음공간은 섬세한 개인의 취향과 새로운 문화적 경험에 대한 기대를 만족시키는 역할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이다. 호텔이 추구하는 문화와 트렌드를 공간에 깊이 반영할 수 있고 이를 취향으로 받아들이는 이용자들이 서로 소통하고 영향을 주고 받는 공간으로, 이를 향유하고 공감하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멋진 추억과 경험으로 다가가 개인의 삶의 방식과 사회의 흐름의 재창조를 돕는 것이 라이프스타일 호텔 식음공간의 역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그리고 공간 스토리텔링과 국내외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개념과 개념 및 변화에 대해 고찰하고, 라이프스타일 호텔 식음공간 표현 특성을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공간 스토리텔링 관점으로 본 라이프스타일 호텔 식음공간 표현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 라이프스타일 호텔이 시대의 흐름에 맞춰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고자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례 분석의 대상은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트렌드에 맞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호텔 중심으로 2015년 이후에 개관하였으며, 국내 3성급 이상의 인터네셔널 체인 호텔 및 로컬 호텔들로 한정하였고, 앞서 도출된 3가지 측면에서 도출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된 라이프스타일 호텔 식음공간의 스페이스 브랜딩 표현 특성이 사례에 골고루 적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이야기의 내용 측면의 경우, 라이프스타일 호텔 식음공간 표현 특성으로 나타난 오락성이다. 부티크 호텔을 찾는 고객은 탈일상적 또는 실험적이고 감성을 자극하는 조형적 요소 또는 컨텐츠와 프로그램을 통해 호기심을 해소하고 즐거움을 영위하고자 한다는 점이다. 호텔의 대표적인 공간인 객실 외의 부대공간의 다양성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둘째, 표현의 방법 측면의 경우, 라이프스타일 호텔 식음공간은 공간적 표현 요소를 통해 다양한 가치를 전달하고자 한다는 다문화성이다. 호텔을 이용하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공간의 기본적 레이아웃 이외에도 다양한 공간의 컨셉을 갖추고 있다. 이는 컨셉에 따라 다양한 공간 구성을 다양한 장르나 문화 혹은 시공간적 감각들이 혼재되거나 뒤섞인 양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관계의 생성 측면의 경우, 라이프스타일 호텔 식음공간은 이야기가 디자인된 공간 속 그 안에 적용된 요소를 통해 고객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자 한다는 소비자 참여성이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공간스토리텔링 개념과 유형 및 전략요소,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등장배경과 라이프스타일 호텔 식음공간 표현요소를 파악하고, 라이프스타일 호텔 식음공간의 공간 스토리텔링 표현특성이 이야기의 내용, 표현의 방법, 관계의 생성 측면을 통해 도출된 특성이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라이프스타일 호텔 식음공간의 공간 스토리텔링 표현 특성을 통해 해당 공간을 경험하게 될 이용객이 국내 라이프스타일 호텔 식음공간 및 업계에 대한 흐름의 이해를 돕고 호텔 및 식음업계 관련 실무자 또는 관계자, 운영자에게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식음공간 운영 및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