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홈쇼핑 구매자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정연우 단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새로운 유통형태인 무점포형태의 홈쇼핑이 출연하면서 그 시장규모가 매년 양적 팽창을 거듭하고 있다. 새로운 형태의 구매행위의 환경적 특성을 이해하면서 소비자 의사결정과 관련된 제 변수가 홈쇼핑 구매의 경우에 어떠한 인식과 태도로 연결되며, 그러한 변수들은 소비자만족도에 어느 정도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홈쇼핑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을 좌우하는 요인을 크게 세 가지로 범주화하였는데, 정보요인, 가격요인, 편리성요인이 그것이다. 무엇보다 변수의 개념적 이해를 심화시키고 측정지표를 보다 정밀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관련 이론들을 검토하였고, 소비자만족에 관한 경험적 실증분석을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독립변수의 세 가지 요인은 모두 종속변수인 소비자만족에 대해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가격요인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편리성요인이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편리성요인은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편리성요인은 소비자의 인식면에서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이 나왔는데, 이는 홈쇼핑의 혜택요인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요인 또한 다소 긍정적으로 나왔는데 설문 문항들 간의 응답 분포 면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홈쇼핑에 대한 관심이 많거나 홈쇼핑의 경험이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홈쇼핑 이용 면에서는 성별, 연령별로는 집단간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단지 소득면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홈쇼핑의 경우에는 방송매체를 통한 광고방송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특수성이 있다. 하지만 홈쇼핑의 경우에도 가격요인이 소비자만족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분석결과는 홈쇼핑업체가 제품에 대한 가격이 적정하게 맞추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정보요인 또한 소비자만족과 중요한 상관관계를 갖는 만큼 소비자들의 정보요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정도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즉, 장기적 안목에서 홈쇼핑 유통환경의 신뢰성구축을 위해서는 정보제공의 정확성이 전제되어야만 할 것이다. 방송의 공공성과 산업성을 고루 발휘할 홈쇼핑 채널의 위상을 정립하고 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더 많은 주체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As the new form of distribution without store appears, Home Shopping is expanding its market scale rapidly year by year. With understanding new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behavior, it'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link of factors involved with consumer's decision with certain type of perception and attitude in Home Shopping and the correlation of this kind of factors and satisfaction of consumer. In this paper, the present writer categorized factors relevant to purchase decision marking into three as information, price (price/quality) and convenience. Above all, the present writer reviewed related theories in order to intensify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o select the more exact measurement indicators. And in this paper, survey was used to analyze consumer satisfaction empirically.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All of three factors of independent variables has positive correlations to dependent variable consumer satisfaction. price factor had the highest correlation and utilization convenience factor had the lowest correlation among three variables. convenience factor showed the most positive response in consumer's perception. This means that benefits of Home Shopping are extensive. Assumption that information factor will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having the highest correlation turned out to be against analysis results. Against my expectations, distribution of survey answers concerning information factor showed up positiveness to a certain extent.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answering distribution between five questions about information factor. This paper proved that the more concerns to Home Shopping and the more experiences of Home Shopping people had, the higher satisfaction consumer had, And the less inclination of impulse buying, the more satisfaction consumer had, but this correlation was not close. In Home Shopping use, three were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gender and age. but statistical analysis showed up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scholarly attainments and income.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Home Shopping is that it depends on a commercial broadcast. But analysis results that, in the case of Home Shopping, price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correlated point to consumer satisfaction suggest that Home Shopping company must focus on the selection of products reasonable in price and quality. As the information factor also has an important correlation to consumer satisfaction, efforts to enhance the degree of consumer's positive perception for information factor must be attended. That is, in order to establish trust in Home Shopping distribution environments in the long run, correctness of information providing must be presupposed. Continuous efforts by more actors concerned are necessary to establish upright Home Shopping channel having public and economic interest simultaneously, improving the position of Home Shopping .

      • 현행 입시위주 교육현장에서의 미술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연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오늘날 과학과 기술이 발달된 산업 사회에서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지식과 기능, 물질만능의 파행적 가치관을 조장하게 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창조적 정신 능력이나 정서적 가치를 등한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물질만능과 인간성 상실의 시점에서 미술교육은 건전한 인격육성과 더불어 바람직한 인간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미술교육은 미술을 통한 인간교육이다. 미술교육의 기능이 인간의 본성과 미적 경험의 본질에 있는 이상, 인간의 본성이 분열되어 가는 현대적 상황에서 전인적 인격을 회복하려는 교육적 노력이 재고되어야 하며, 따라서 미술교육이 조형적 기능이나 교양적 지식을 전수하는 과정에만 머물 것이 아니라 미적 정서를 기르고 창조성을 계발하여 환경을 미화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는 인간상을 기르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의 교육현실은 양적인 성장에만 급급해 왔으며, 따라서 교육의 질적인 성장은 미흡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교육현실에서의 미술교육은 대학 입학시험에 도움을 주지 않는 과목이라는 이유로 소홀히 여김으로써 미술교육은 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미술교과 수업시간마저 감축시킴으로써 학교에서 받는 미술수업으로는 미술대학 진학조차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학교 교육의 부수적인 사교육기관인 미술학원이 미술교육의 주된 역할을 해내면서 입학시험 교육의 장으로써 책임을 맡게 되었고, 이는 사교육비 부담의 급증으로 국민의 가계 부담을 압박하고 교육비 부담능력에 따른 국민들 간의 위화감이 조성된다는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 교육이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창의적 탐구능력을 재는 평가방법으로 대학 입학시험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과 학교 교육이 미술전문교육을 담당할 수 있도록 예?체능 계열의 전문 고등학교를 더욱 확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하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입시위주의 학교 교육 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미술교육의 문제점을 제시, 현재의 체제 속에서 공교육 정상화를 이루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 것인지 알아보고, 그 문제점의 개선방안과 공교육, 사교육의 역할을 찾고자 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In nowadays industrial society with well-developed science and technology, we subconsciously encourage our false values stressing knowledge, techniques, and materialism, while relatively neglecting our creativity and emotion. Therefore, art education plays a major role in raising a healthy personality as well as in upright human education in current situation emphasizing materialism and lacking humanity. Art education is human education through art. Since the function of art education is in human nature and the essence of aesthetic experience, the educational effort in order to recover the whole personality must be reconsidered in contemporary situation, which disrupts human nature. We need to provide our best effort in art education, so that it stays not only in delivering modeling skills or cultural knowledge, but also develops a role model of human beings who can nurture aesthetic emotions and creativity, so that he or she can beautify and improve our environment. None the less, so far the Korean education system has heavily emphasized only on quantitative growth, so that the qualitative growth of education is considered insufficient. Also, since we pay little attention to art education in our education system due to the reason that art education cannot affect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not only art education does not achieve its goal, but also it is not possible to get into art universities if the student only takes the art classes taught in school, because the number of hours scheduled for art classes in school were reduced by the establishment of 7th stage of education. For this reason, private art institutes, which are supposed to play a minor role additional to school education, currently play a major role in art education as a place of entrance exam education. This leads to sudden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cost that pressure our family economy and the widening of social class gap between people from the different affordability of private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restore upright school education, we can either change the structure of university entrance exam in the way that students' creativity and research ability can be measured and graded, or increase the number of specialized high schools that are in charge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so that school education can be responsible for expert art education. For the aforementioned reason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proposing the problems of art education in present entrance exam centered school education system so that we can look for the kind of efforts that we need to provide to establish upright public school education within current system, suggesting the methods to correct these problems, and trying to discover the roles of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 소집단 미술치료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정연우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소집단 미술치료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정연우 예술치료학과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지도교수 이명선) 본 연구는 소집단 미술치료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D광역시의 N마을도서관을 이용하는 학령기 자녀를 둔 중년 여성 4명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참여자들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해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에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로젠버그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Shere 등(1982)이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 이론의 개념을 근거로 제작한 자기효능감 척도 (Self-EfficacyScale:SES)를 홍혜영(1995)이 번안한 질문지 척도와 Abidin (1990) 이 제작한 Parenting Stress Index (PSI)를 신숙재(1997)가 번역한 척도인 양육스 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문제해결 방법에 대해 능력치를 측정할 수 있는지 파악 해보는 사과따는 사람(PPAT)그림과 부모와 자신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자신에 대 한 이해 수준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동그라미 가족 중심(PSCD)그림을 통해 소집단 미술치료가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 등 자기성장에 영향을 주는 가에 대해 그림 투사검사를 통해 확인하고자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자기성장 소집단 미술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 자기 자신의 가치와 능력을 인정하는 등 자신을 탐색하고 현재 놓여진 상황에 대한 수용과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 인지를 탐색해봄으로써 자기 유능감과 긍정적 자아개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가 긍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자아 효능감에 하위요소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 기효능감 등이 향상되면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통해 낙관성이 함양되었고 내면의 갈등과 스트레스가 해소되어 정서가 안정되고 자신을 통제하는 능력이 향상되었 다. 또한, 참여자들과 협력하는 활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 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아성장 향상에 매우 중요 한 주제이나 이를 적용한 미술치료 연구가 많지 않다. 특히,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 의 자기성장 소집단 미술치료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령기 자 녀를 둔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자기성장 소집단 미술치료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의미가 있다. 주요어: 자기성장,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소집단 미술치료

      • 무허가 주거지의 성격과 의미 변화에 대한 연구 : 서울 송파구 개미마을의 사례

        정연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무허가 주거지의 성격과 의미를 탐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로 무허가 주거지의 주민들이 이곳을 이용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둘째로 무허가 주거지에 부여된 사회적 의미를 찾아보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성격과 의미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무허가 주거지란 과연 무엇이었나?’라는 큰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개미마을이란 무허가 주거지를 대상으로 2009년 3월부터 6월까지 3개월가량 진행된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개미마을은 소위 비닐하우스촌이라 불리는 무허가 주거지의 하나이다. 비닐하우스촌은 본래 화훼재배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비닐하우스를 불법으로 개조하여 주거하는 사람들이 사는 곳을 일컫는 말이다. 정부측 공식 용어는 ‘신발생(新發生) 무허가 주거지’이다. 신발생은 1950년대~1970년대 사이에 서울과 같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생겨난 기존 무허가 주거지와 구별 짓기 위해 붙여진 수식어이다. 신발생 무허가 주거지는 기존 무허가 주거지에서 인정되었던 가옥의 소유권과 점유권을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1970년대까지 사회적으로 큰 문제였던 무허가 주거지는 1973년부터 시작된 재개발사업으로 차츰 자취를 감추었고, 현재는 도심에서 찾아보기 힘든 대상이 되었다. 개미마을과 같이 교외지역에 남아있던 신발생 무허가 주거지들도 차례대로 자취를 감추고 있다. 그러나 무허가 주거지에 의해 제기되었던 사회적 문제들은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외형적인 모습이 바뀌었을 뿐, 본질적인 부분은 그대로이다. 실제로 대도시의 주택문제와 이로 인해 발생되는 빈곤의 공간은 여전히 큰 문제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돕기 위해 무허가 주거지라는 공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무허가 주거지가 처음부터 무허가 주거지였던 것은 아니다. 개미마을이 처음 생겨나던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 사이에는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은 공백의 영역에 가까웠다. 이는 당시 행정기관의 태도에서도 유추할 수 있다. 행정기관은 원칙적으로는 무허가 주거지를 배제하였으나, 실제 내용상으로는 드러나지 않도록 은폐하면서도 비공식적인 관리를 하였다. 주민들 역시 이곳으로의 입주를 결정할 때 '무허가'라는 불법사항이 일차적 고려 대상은 아니었다. 이들은 빈곤의 상황 속에서 자신에게 맞는 '주거지'의 하나로서 무허가 주거지를 선택했다. 이곳은 공식적으로는 거주가 허용되지 않으나, 실질적으로는 거주가 가능한 모순적인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그 모순의 틈새 안에서 공적 사회의 경계선 안과 바깥을 넘나드는 전략적 행위를 통해 사회경제적인 지위의 변화를 꾀했다. 즉, 무허가 주거지의 주민들은 무허가 주거지를 목적이라기보다는 수단으로써 대했다. 그들은 적극적으로 자신이 가진 중요한 자본의 하나인 ‘개미마을’을 이용했다. 이는 그들의 마을은 공적 사회의 구조와는 다른 일종의 반 구조적인 공간이었으나, 그들의 목표는 그런 상태의 영구적인 지속에 있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그러한 상태를 이용하여 공적 사회의 경계선 안쪽으로의 안정적인 진입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쳤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무허가 주거지는 사회 질서를 위협하는 무질서한 공간이기도 하였지만, 역으로 사회 구조를 재편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 공간도 될 수 있었음이 밝혀졌다. 주민들이 개미마을을 둘러싸고 다양한 생존 전략을 펼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곳이 ‘모호하고 모순된 의미의 중첩이 제공하는 가능성 영역’이 강하게 남아있는 전이적 공간(轉移的 空間: liminal space)이었기 때문이다. 이곳은 전이적 공간이 제공하는 가능성의 토대 위에서 주민들이 만들어낸 의미와 공적인 영역이 부여하는 사회적 규정들이 충돌하는 곳이었고, 그 상호작용의 과정 속에서 새롭게 정의 내려지는 진행형의 공간이었다. 그 진행의 과정은 도시의 경계 밖으로 밀려난 주민들이 다시 도시민으로써 살아가기 위한 노력이며, 사회 질서를 유지하면서 이들을 포용하기 위한 우리 사회의 고뇌의 흔적이다. 바로 무허가 주거지를 통해 드러난 우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드라마(Social Drama)의 한 과정인 것이다.

      •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성과중심 공공인사관리 연구 : 공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연우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신공공관리의 맥락에서 효율적인 정부운영을 위해 도입되는 성과관리제도 중 공공부문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시행되는 성과중심 인사관리를 주제로 작성되었다. 공직사회에는 성과를 중심으로 근로자를 평가하는 것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만연해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성과의 측정과 평가, 이를 바탕으로 한 조직 및 인사관리는 피할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 보았다. 이러한 흐름을 피할 수 없다면, 성과중심 공공인사관리의 부정적 측면을 부각하기보단 공직사회에 연착륙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발전적인 연구 방향이라는 판단 하에 본 연구를 설계하였으며, 성과중심 공공인사관리가 개별 공무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개인의 인식 차원과 조직의 문화·제도적 측면으로 이원화하여 정책의 대상을 구체화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적자원관리를 통해 개별 공무원이 받는 영향을 조직에 대한 몰입과 직무에 대한 만족의 두 가지 요인으로 보았으며, 두 가지 관리점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개인과 조직 차원으로 분리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과중심 공공인사관리가 정부 전반에 스며들 수 있도록 개인 수준에서는 본인의 업무성과와 상사의 거래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조직 수준에서는 성과를 중시하는 조직문화와 성과관리제도를 유지하려는 조직의 노력을 선행요인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평가하는 ‘조직공정성’ 개념을 도입하여 개인이 인식하는 분배·상호작용공정성과 조직 차원에서 형성된 절차공정성을 매개변수로 반영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이 조사한 ‘2016년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전체 응답자 2,070명 중 관리체계가 어느 정도 일관성 있게 통합된 중앙부처 공무원 1,340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인식조사 자료가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개념을 충실하게 설명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구성타당도 및 판별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개인 수준에서 수집된 인식조사를 조직 수준의 응답으로 합산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ICC(1)과 rwg(j)를 산출하고 다층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인 수준과 조직 수준의 영향력 동시검증을 위해 통계 프로그래밍 언어인 R의 psych, lavaan, multilevel 등 패키지를 사용하여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를 위해 설정한 총 24개의 가설 중 20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분석된 결과를 통해 (1) 조직공정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성과중심 공공인사관리 시스템 아래에선 공무원 본인의 업무성과에 대한 인식이 매우 중요하며 상대적으로 조직 차원의 노력은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2) 조직공정성을 고려 시 상사의 거래적 리더십이나 문화, 제도운영 등 조직 차원의 노력이 매우 효과적이며 본인의 업무성과에 대한 인식 효과는 희석되었다. 또한 (3) 공정성의 매개효과를 감안하더라도 조직차원의 노력은 조직에 대한 몰입에만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밝혀져 조직과 직무에 대한 접근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고 정책 제언을 하였으며, 본 논문의 한계점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성과중심 공공인사관리와 관련된 후속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thesis was written under the theme of performance-based HRM, which is implemented for public servants, among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in the paradigm of New Public Management. There is a widespread view of assessing workers based on performance. However, in this study, measuring and evaluating performance, and organizing and personnel management based on performance are viewed as an inevitable trend of the times. If we cannot avoid this trend, finding a way to soft-land the trend in the public sector would be developmental research, rather than highlighting the negative aspects of performance-oriented public personnel manage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clarify policy objectives by dividing the impact of performance-based public HRM into individuals’ cognitive level and organizations’ cultural and institutional aspects. The impact of individual civil servants through HRM was viewed as two fac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se two managerial points were separately analyzed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To permeate performance-based management into the government, this research selected four variables: perceived own work performance and leader’s transactional leadership at the individual level, and performance-oriented culture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t the organization level. In addition, following previous research, organizational justices are considered as mediators. Organizational justice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distributive and interactional justices at the perception level and procedural justice at the agency level. Data from the “2016 Public Employees’ Percep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KIP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Of the 2,070 respondents, data of 1,340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were selectively used due to the consistency of management systems. To confirm that the data could be proxies of variabl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conducted, and construct and discriminant validity tests were also performed. Moreover, to build a multilevel model, this study calculated ICC(1) and rwg(j) before data aggregation, performed multilevel CFA, and ran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SEM) using 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0 out of 24 hypotheses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ree important implications. First, without considera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s, public employees’ perceived own work performance is very important under performance-based public HRM, but organizational efforts have a relatively weak effect. However, considering organizational justices, transactional leadership, performance-oriented culture, and/or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re more important than workers’ perceived work performances. Finally, conside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justices, it was also found that organizational efforts could on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mplied that the approaches to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Limitations of this paper are propos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related to performance-based public HRM.

      • 스토리텔링 창의·융합 수학 모델 :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정연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우리나라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등에서 강조되어온 수학에 대한 정의적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학습을 위하여 수학 교과서가 스토리텔링을 적절히 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하에 집필되었고 현재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13종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앞서 일부 단원에서 스토리텔링의 구현을 의무화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스토리텔링 모델을 조사하였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중학교에서 스토리텔링 수학수업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개발한 중학교 모델 교과서를 조사하였다. 이어서 현재 많은 중학교에서 채택되어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5종을 중점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수·학습에서의 스토리텔링 창의·융합 수학 모델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특히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모델이 효율적으로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고 논의한다. 한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창의 역량을 비롯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되는 창의·융합 역량의 관점에서 스토리텔링 모델을 찾아 분석해 본다. 이러한 교과서 분석 연구는 수학 학습을 힘겨워 하는 학생들이 수학을 좀 더 친근하게 느끼고 수학 학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수학 교수·학습에서 스토리텔링의 정착을 위한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학교 현장의 수학교육에서 스토리텔링 교육이 성공하기 위하여 몇 가지를 제언한다. 첫째, 수학 교과서에서의 스토리텔링 모델은 학생들에게 실제적으로 접근 가능해야 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스토리 맥락이 다양하게 구현되어야 한다. 둘째, 수학 교과서에서 스토리텔링 구현 형식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이야기의 전달 형식이 다양하도록 하여 수학 교과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는 스토리텔링이 적절히 구현된 교과서를 채택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수업방식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넷째,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이 수업할 때, 스토리텔링의 장점을 잘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사 연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스토리텔링 교과서가 현장교육에 적용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현장 연구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eller의 ARCS 동기이론을 적용한 관악합주 수업지도안 : 중학교 방과 후 관악부 중심으로

        정연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인간에게 어떤 행동을 하거나 목표에 도달하는데 있어서 동기는 가장 중요하다. 무언가를 하고자 하는 의욕을 일으키는 동기는 교육을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이며, 교육에서 필요한 종류의 동기를 일반적으로 학습동기라고 지칭한다. 학습동기는 학습자가 배움에 대한 의욕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에서 교수자들은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위해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배움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는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기에 다양한 이론 중 Keller의 ARCS 동기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관악합주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는 것이다. 먼저 관악합주 수업을 하기위한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여 제시하였으며, 대중적인 제재곡을 활용하여 연주회를 목표로 지도안을 연구하였다. 효과적인 학습을 이끌어 내기 위해 Keller의 ARCS 동기이론의 요소와 방법을 수업의 각 단계에 접목하였으며, 관악합주의 특성과 그에 따른 수업의 효과를 학습자들에게 알려주고자 하였다. 음악교과는 활동 자체에 창의성이 내제되어 있기 때문에 자율적인 사고방식을 수업활동에 접목시켜 학습자의 내제된 창의력과 잠재력을 촉진 시키고 표출시킬 수 있는 활동과 경험이 필요하여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특히 방과 후 수업에서의 관악합주를 연구의 매체로 선정하였는데 이는 방과 후 학교의 목표인 사교육비 경감과 교육격차의 완화, 지역사회학교 실현을 더불어 학습자 중심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경험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관악합주를 통해 학습자들의 흥미와 만족감을 일으킬 것이며, 함께 연주한다는 것에 대한 공동체의식을 인식시켜주고 타인과의 소통과 공감, 배려하는 것이 가능한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하는데 영향을 줄 것이다. 논문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방과 후 학교의 목표와 내용을 자세하게 살펴보고 교수·학습의 중심역할이 되는 Keller의 ARCS 동기이론에 대한 내용을 연구한다. 그다음으로 관악합주의 주체가 되는 관악기와 타악기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수업 지도안은 총 4차시로 연구되었으며, 1차시 수업은 제재곡의 내용과 성격을 파악하며, 관악합주의 효과에 대한 공동체의식을 갖는 것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2차시 수업에서는 음악적 표현들과 학습자 개인의 성공에 대한 기회, 협동학습을 통한 연주활동을 진행한다. 3차시 수업은 협동과제를 통해 서로 협력하여 해결하는 과정을 거치며, 다음 차시에 진행되는 연주회를 위한 연습과 최종점검을 한다. 마지막 4차시는 연주회를 개최하는 것을 진행하며, 서로의 연주에 대한 감상평과 개인평가 및 모둠평가가 이루어진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표현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서로 협동하는 과정에서 공동체의식이 함양되길 바란다. Motives are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people act or achieve a goal. Motives that bring out the desire to do something are elements needed to make education successful and motives needed for education are generally called learning motives. Learning motives play an important role in allowing learners to actively engage in learning with morale. Here, teachers attempt to develop research so that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with intrigue and so the successful learning of learners can be achieved. Among various theories on learning mo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ARCS Motivational Theory of Kell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write up effective and systematic wind orchestra lesson pla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First, theories and methods for wind orchestra classes were researched and presented and lesson plans were made for recitals using popular pieces. For effective learning, the elements and methods of the ARCS Motivational Theory of Keller were grafted into each class stage and learners were taught the characteristics of wind orchestras along with corresponding class effects. As creativity is inherent in the activities of music courses, research was conducted because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at graft autonomous thinking to class activities and promote and express the inherent creativity and potential of learners are needed. In particular, wind orchestras in after school classe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medium and this was to reduce the costs of education, which is the goal of after-school classes, relieve education gaps, materialize community schools, and provide learner-focused diverse and creative educational experiences. Wind orchestras will increase learner interest and satisfaction, make learners aware of a community spirit regarding performing together, and affect how learners grow into creative fusion-type people of talent who are capable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empathy, and consideration. The research method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 detailed observations were made of after-school class goals and contents and then research was conducted on contents regarding the ARCS Motivational Theory of Keller, which is a central role of teaching and learning. Next, examinations were made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ind instruments and percussion instruments, which are the principal agents of wind orchestras. Lesson plans were made with a total of 4 sessions and the 1st session looks into the contents and character of pieces and is conducted based on community spirit regarding the effects of wind orchestras. The 2nd session conducts performance activities through musical expressions, opportunities for the success of individual learners, and cooperative learning. The 3rd session goes through processes in which learners cooperate and find solutions through cooperative assignments and practice and go through final inspections for the recital in the next session. In the 4th and last session, a recital is held and learners share reviews, individual assessments, and group assessments. It is hoped that learners can feel and express the beauty of music through this study and that their community spirit can be cultivated through a process in which learners cooperate with each other.

      • 물류업체의 상호신뢰가 RFID 응용기술 도입요인과 물류성과 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연우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물류/유통업체 중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도입하여 사용 중인 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RFID 응용기술을 도입할 경우 참여 기업들 간에 공동의 목표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FID 응용기술의 도입요인과 성과요인들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이들 요인들을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 모형을 제시하면서 참여기업들 간에 전략적으로 RFID 응용기술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참여기업들 간의 신뢰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예상되어 상호신뢰 요인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실제 상호신뢰 변수가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는 조직특성, 관계특성, 기술특성으로 정의하였고, 종속변수는 기업의 물류성과로 정의하였다. 조절변수는 상호신뢰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 중 조직특성 요인에서는 최고경영자 지원, 시스템 운영능력, 문화 유사성, 산업의 경쟁정도를 하위변수로 설정하였고, 관계특성 요인은 정보의 공유, 정보의 질, 상호이익, 상호 의존도를 하위 변수로 설정하였다. 기술특성 요인에서는 IS인프라/기술지원, 제품의 식별성, 추적 가능성, 기술 신뢰성을 하위변수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로는 기업의 물류성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수도권에 있는 물류/유통업체 중 RFID 기술을 도입하여 사용 중인 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수집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하여 표본 자료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 설문에 대한 타당성 분석 및 신뢰도 분석,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FID 시스템 도입 시 조직특성 중 최고경영자 지원, 시스템 운영 능력, 문화 유사성 등의 요인들은 기업의 물류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나. 산업의 경쟁 정도는 기업의 물류 성과에 유의미하지 않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RFID 시스템 도입 시 관계특성의 정보의 공유, 정보의 질, 상호 이익, 상호 의존도 등의 요인들은 기업의 물류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RFID 시스템 도입 시 기술특성의 IS인프라/기술지원, 제품 식별성, 추적 가능성, 기술 신뢰성 등의 요인들은 기업의 물류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RFID 시스템 도입 시 상호신뢰 요인은 조직특성의 최고경영자 지원, 문화 유사성, 산업의 경쟁정도 등의 요인과 기업의 물류성과 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나, 시스템 운영 능력과 물류성과 간에는 조절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관계특성에서는 정보의 공유, 정보의 질, 상호 이익, 상호 의존도 등의 요인과 기업의 물류성과 간에 상호신뢰 요인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기술특성에서는 IS인프라/기술지원, 제품 식별성, 기술 신뢰성 등의 요인과 기업의 물류성과 간에도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나, 추적 가능성 요인과 물류성과 간에는 상호신뢰 요인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 동기,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 공감을 중심으로

        정연우 강남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In the school a place in which adolescent who are destined to lead our society in the future is belonged, due to overflowing selfishness, the virtues such as consideration for other person, and providing help are now being diminished. To resolve this issue, the education department of Korea adapted a volunteer work duty system. The volunteer work of students now has become a periodical assignment. This institutional attempt is intended to provide the consideration for other person, empathy and finally, the motivation for altruistic life to the students. These attempts are based on an assumption that an experience of understanding other person, and other psychologic experiences such as satisfaction, and pride from a volunteer work may have a good influence to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of the students.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which investigated this issue. If we can know what influence can be given to adolescent through the psychologic experiences which can be earned by volunteer works, we can identify more detailed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ese volunteer works. In previous studies, prosocial behavior is known to have motive of helping, and empathy as major predicting factors.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the role of psychologic experiences from help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ive of helping (self-oriented and other-oriented),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mposed following detailed study issues. First, the process of the motive, psychologic experiences and empathy affecting prosocial behavior was investigated. Second, we tried to verify whether the process we investigated in the first step is different according to self-oriented or other-oriented motive. To verify study issues, measuring factors for variables were extracted by systemic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by systemizing these extracted factors. The print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high school student to collect responses for the prosocial behavior and its’ affecting factors an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and the degree of influences between facto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18.0 and Amos 18.0 statistics software packages. To verify an influence of variables, we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and in order to analyze influencing route and power, a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we deducted following results. First, we could develop a questionnaire with 28 items composed by acceptance of others, frustration and conflict, positive feedback, acquisition of trust, and pride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Second,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associated factors which explain prosocial behavior revealed that the factors were correlated each other and also, according to each route of study model, these factors are affecting each other. Especially this study identified that self-oriented motive of helping has negative impact on the prosocial behavior. This finding did not matched with previous studies which suggested both self and others-oriented motive of helping have good influence to the prosocial behavior. Therefore, a follow up study on this issue may need to be done. Third, we could verify a structural regression model in which revealed connections from a motive of helping to an experience of helping, from an experience of helping to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and from empathy to prosocial behavior. Study model we set in this study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appropriate and the motives were more likely to have indirec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rather than direct effect. This result suggested that an experience of helping and empathy are stronger affecting factors on prosocial behavior than the motive of helping itself. Forth,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structural regression model stratified by self-oriented or others-oriented motive,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models. There was negative direct effect of self-oriented motive on the prosocial behavior. However, there was stationary indirect effect through an experience of helping and empathy. In other words, even in person who have strong self-oriented characteristics, empathy could be improved by experiencing helping and knowing other person’s hardship and motive to help other person could be also reinforced. However, in case of high other-oriented motive, psychologic experiences of helping or empathy showed relatively lower impact on the prosocial behavior, meaning that experiencing helping may have high contribution to improve prosocial behavior in adolescent with high other-oriented motive of hel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n implication that we could find a usefulness of volunteer work in terms of humanistic education, through identifying an experiencing helping could improve prosocial behavior of adolescent with higher self-centered tendency. Finally, we discussed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necessity of follow up study. 우리사회를 이끌어갈 청소년들이 몸담고 있는 학교에서 개인 중심적 가치의 팽배로 인한 타인배려와 도움을 제공하는 사회적 덕목이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개선을 위하여 교육계에서는 학생봉사활동 의무제를 도입하여 봉사활동을 의무화하면서 청소년봉사활동은 시대적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시도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들을 도와주는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의 타인에 대한 배려와 공감능력을 길러주고, 나아가 타인 지향적 삶의 동기를 길러주기 위함이다. 이는 봉사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도움 수혜자에 대한 역지사지(易地思之)의 경험이나 도움행동을 통한 보람이나 자부심 등과 같은 심리적 경험이 개인의 인성함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 의한 것이며, 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연구는 아직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청소년들이 봉사활동을 통해 경험하는 심리적 경험이 도움 제공자 개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면 청소년들에게 인성교육 차원에서 실사하는 봉사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으로 친사회적 행동은 도움행동의 동기, 공감능력 등이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도움행동을 통해 얻게 되는 심리적 경험들이 도움행동의 동기(자기 지향적, 타인 지향적)와 공감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세부적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는 청소년의 동기,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과 공감이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는 도움행동의 자기 지향적 동기와 타인 지향적 동기에 따라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인지를 확인하였다.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들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체계화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를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배포하여 친사회적 행동과 그 영향요인들에 관한 응답을 수집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와 영향정도를 검증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변수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변수의 영향경로와 영향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도움행동을 통해서 얻게 된 심리적 경험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두고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통계적 분석을 거쳐 타인수용, 좌절과 갈등, 긍정적 피드백, 신뢰획득, 자부심으로 명명된 28문항의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친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 관련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각의 변인들이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연구모형의 경로에 따라 각각의 변인들이 다른 변인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자기 지향적 동기가 친사회적 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밝혀졌다. 선행연구 분석에서 자원봉사활동과 관련한 연구들에서 자기 지향적 동기와 타인 지향적 동기가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아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동기에서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으로,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에서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으로, 공감에서 친사회적 행동으로 연결되는 구조회귀모델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동기는 친사회적 행동에 직접효과보다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과 공감이 도움행동의 동기 그 자체보다 친사회적 행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해 주는 결과이다. 넷째, 동기를 자기 지향적 동기와 타인 지향적 동기로 구분하여 구조회귀모델을 검증한 결과, 두 가지 모델에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우선 자기 지향적 동기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자기 지향적 동기가 친사회적 행동에 부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과 공감을 통해서 정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 지향적 특성이 강한 사람도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을 통해 공감능력이 향상되고 타인의 어려움을 알고 도우려는 의도가 강화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타인 지향적 동기가 높은 경우에는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이나 공감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 지향적 동기가 높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이 타인 지향적 동기가 높은 청소년들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는 정도가 높다는 것을 입증해 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이 자기중심적 경향이 높은 청소년들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인성교육 차원에서 청소년들의 봉사활동 활용

      • 수학사를 활용한 수업지도 방안 : 중학교 1학년 함수영역을 중심으로

        정연우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함수영역의 수학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사를 활용한 중학교 1학년 함수영역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으로 두 종류의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수학교육에서 수학사의 도입은 수학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올바른 인식과 창의적인 사고를 기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수학사는 수학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thesis, we emphasize the role of history of mathematics in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math classes. First, we analyze how mathematics textbooks use history of mathematics especially in the function part and review the relevant literatures. We suggest two specific teaching plans which explain how to teach the function part with history of mathematics. The introduction of history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not only encourages students to get high interests and motivations, but also helps them to develop the creative thoughts as well as the right recognition of math. For this, history of mathematics should be used actively in mathematics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