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달팽이> 프로젝트를 통한 만 4세 유아의 바른 인성 함양

        정수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haracter of 4-year-old children is cultivated through the activities of project <Snail>. The participants of the project were a class of nine (5 male, 4 female) 4-year-olds in kindergarten S located in city D. The duration of the study was from April 2021 to December 2022. This study follows the method of ethnographic stud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interpreted via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other references (parent interview, teaching journal) throughout the project <Snai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developed personal inner character through the project <Snail>. Throughout the project activities, the children became interested in taking care of themselves as they took care of snails every day, and their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improved and established self-esteem in the process of observing the snails and interacting with their peers. In addition, the children developed responsibility by looking after snails, accomplishing various roles given to them, and actively solving problems. Second, through the activities of project <Snail>, the children developed an attitude of coexisting with others and nature. The children experienced cooperation in the process of thinking and participating with their peers regarding the method and role to take good care of the snails in the classroom. During the creative process of preparing an exhibition of arts and videos, which was the final stage of the project, the children shared ideas to realize their common goal, and developed a cooperative attitude that they could achieve difficult tasks when everyone played their assigned role. In addition, they formed an attitude to pre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in which snails and other life forms could survive based on the children’s interest and affection towards snails. In conclusion, the activities of project <Snail> helped children develop self-esteem and responsibility by nurturing and examining snails within the classroom and interacting with peers. Also, the children formed a cooperative attitude through solving problems with their peers and an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due to their newfound interest in nature through the snails. 본 연구의 목적은 <달팽이>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만 4세 유아의 인성 함양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D시에 소재한 S유치원 만 4세반 유아 9명(남 5명, 여4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기간은 2021년 4월 ~ 2022년 12월까지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며 <달팽이>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담, 기타 자료(학부모 면담, 교사의 저널)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달팽이>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은 개인 내적인 인성이 형성 되었다. 유아들은 <달팽이> 프로젝트 활동 중 달팽이를 매일 돌보는 과정에 흥미를 느끼며 스스로 잘하는 것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달팽이를 충분히 관찰하고 또래와 상호작용 하는 과정에서 표현력이 증진되었으며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형성되었다. 또한 달팽이를 돌보며 자신에게 주어진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감으로써 책임감이 형성되었다. 둘째, <달팽이>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은 타인 및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유아들은 달팽이를 교실에서 잘 돌보기 위한 방법 및 역할에 대해 또래와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타인과 협력하는 방법을 경험하게 되었다.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에서 전시와 그림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공동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생각을 공유하고, 각자 맡은 바 역할을 하며 혼자 하기 힘든 일도 함께 하면 할 수 있다는 협력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또한 달팽이라는 생명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달팽이와 다른 생명체들이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며 이를 보전하고자 하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결론적으로 <달팽이> 프로젝트 활동은 유아들이 달팽이라는 생명체를 교실에서 직접 기르고 탐색하는 과정에서 또래 유아들과 많은 상호작용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형성되었고, 책임감이 형성되었다. 또한 프로젝트 활동 안에서 또래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협력적인 태도가 형성되었고, 달팽이라는 생명체에서 더 나아가 자연이라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 생기게 되어 환경 친화적인 태도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뇌 Non-Contrast Computed Tomography 영상 기반 뇌졸중 분류 딥러닝 모델 연구

        정수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뇌졸중은 가장 흔하고도 매우 위험한 단일 기관 질환으로서 현대 사회가 당면한 고령화 문제에서 사회적 부담을 더욱 악화시킨다. 뇌졸중은 신경외과 전문의, 영상의학 전문의가 다양한 의료 영상학적 방법을 통해 검사할 수 있다. 하지만 CT 영상을 사용한 Ischemic Stroke 진단은 장소의 제약이 덜하고 빠른 시간 내에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영상을 통한 진단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영상 기반의 딥러닝 기술은 비정형 데이터인 의료 영상에 적용되어 매우 직관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능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환자의 개인정보 보호 등의 문제로 질환 별 빅데이터 구성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량의 데이터셋이면서,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학습이 어려운 허혈성 뇌졸중 질환에 대한 학습 및 분류를 수행할 수 있는 딥러닝 시스템을 제안한다. Middle Cerebral Artery(MCA) 영역의 Non-Contrast CT 데이터를 기반으로 허혈성 뇌졸중에 최적화된 전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신경망 훈련 시 부족한 데이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Transfer Learning 모듈을 최적화하는 Adaptive Transfer Learning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 및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병원에서 8년간 누적된 뇌졸중 환자 356명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각 뇌졸중 데이터는 딥러닝 시스템의 결과와 비교하여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신경외과 전문의 2인이 동일 데이터에 대한 뇌졸중 여부를 평가하고 상호검사 및 피드백을 수행하여 뇌졸중 여부에 대한 Ground-Truth를 생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통해 뇌졸중에 대한 진단을 수행한 결과, 기존의 시스템에 비하여 18.72%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무용전공대학생의 현대무용참여가 창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수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들의 현대무용과 현대무용수업의 인식을 알아보고, 현대무용수업과 인지된 창작능력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용과가 개설되어 있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대전광역시, 충청도 등 4개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6개를 임의 선정하여 무용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학생들을 표집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에 사용된 인원은 총 239명이었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대학생의 현대무용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현대무용에 대한 가치 인식이 높으며, 발레전공이 한국무용전공보다 현대무용에 대한 문화적 가치 인식이 높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현대무용에 대한 가치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높을수록 현대무용수업 효과 인식이 높으며, 현대무용 수업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현대무용 수업에 대한 효과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대무용 인식의 하위요인 중 문화적 가치는 창작능력의 하위변인인 구성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예술적 가치는 독창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대무용 참여도는 창작능력의 하위변인인 구성능력과 독창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무용전공대학생들은 현대무용과 현대무용수업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이 높다고 볼 수 있으며 다양한 동작개발과 창작능력 향상을 위해 현대무용 수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appreciate the value of modern dance class and to seek the way to contribute to nurturing the creative talent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in the modern dance and modern dance class in the dance-major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creative activities while developing and acquiring the movements through body and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the modern dance class on the perceived ability to create da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ssumed the 4-year college students in ballet and Korean dance majors as the study population as of 2010.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adopted to collect approximately 300 data.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erception of modern dance, participation level in modern dance class and the perceived ability to create dance, this study employed such statistical analyses a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summary of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erception of modern dance and the necessity of modern dance in the dance major students, most of the dance major students showed high perception level in the value of modern dance and its necessity, thinking modern dance is necessary. Second,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modern dance acros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major students, the male students perceived the value of modern dance higher than the female students and the ballet major students showed perceived the cultural value of modern dance higher than the Korean dance major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ents in the 2nd and the 4th year perceived the value of modern dance higher than those in 1st ye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value in modern dance across different their dancing career years. In respect of the perception acros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in the 4th year showed higher perception level in the effectiveness of modern dance class than those in the 1st year and those with the experience in the modern dance class showed higher level of perception in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rn dance cla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of modern dance class across different majors. Third, with respect to the impact of the perception of the dance major students in modern dance on the ability to create dance, it significantly affected the ability to construct cultural value and the artistic value significantly affected the originality. Fourth, as for the impact of participation level in the modern dance on the ability to create dance, it significantly affected the construction ability and originality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ability to create dance. To summarize these results, the dance major students showed high perception level in the modern dance. As the perception level and the participation level was higher, their perceived ability to create dance was higher. Thus, to improve the creativity, effective modern dance class is necessary. Therefore, if the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the dance major students' creativity in which they can experience various and new movements is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ey may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modern dance class and helped considerably in improving their creativity.

      •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치매예방 노인 통합무용프로그램 개발

        정수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emergence of se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poverty, loneliness, idleness, disease of the elderly, etc., amid aging of population. Particularly, dementia is a diseases accompanied not only by physical restriction but also by social disorder, making it impossible to lead normal life. Thus, dementia is a symptom so dangerous that National Dementia Management Committee was organized and Dementia Management Act was enacted. For dementia which is an incurable disease, an emphasis has been placed on prevention through constant exercise, active use of brain, active social activities, etc. Dementia is known to be caused by over 100 types of diseases and can be prevented by various activities and stimulation. Currently, programs designed to treat and prevent dementia include the therapies using music, fine art, reminiscence, horticultural activities, etc. However, dance therapeutic programs have a preponderance of programs that help maintain state of balance in terms of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health aspects among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prevention of dementia attributable to various causes and developed Senior Integrated Dance Program for Dementia(SIDPD) based on Orff teaching technique harnessing both dance and music. Orff teaching technique refers to the teaching method determining the learning difficult level and contents, depending on learning capability of students, and involves the activities such as speaking, singing, physical expression, and musical instrument playing, all of which are used as learning media. Memory and linguistic ability can be improved through activities such as speaking and singing, while opportunities for expression of inner state can be created through musical activities relying on music for physical expressions and thereby help expand motion/movement. Moreover, musical instrument playing promotes elaborate movement of local muscles and improves coordination of eyes and hands, while ensemble helps develop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sociality. However, this program added fine art and reminiscence therapy to Orff teaching technique to prevent dementia in order to maximize improvement cognitive ability and sociality of the elderly. In other words, we used fine art drawing and making activities intended to stimulate brain activities through local muscles movement in tandem with reminiscence therapy sharing the experience of the past for increasing memory and improving both fellowship and friendliness with others. The Senior Integrated Dance Program for Dementia(SIDPD),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organized and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s: First, this program aimed to increase both physical functions and cognitive functions through activities integrating various media and to prevent dementia by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functions through assorted creativity activities. Second, this program consisted of 3 units at large. Each unit could be subdivided into 2 themes and each theme was comprised of 2 sub-themes. Additionally, each sub-theme consisted of 'learning the basics' and 'creation/presentation', each lasting 60 minutes, and was implemented in 2 sessions. The class in each session was made up of introductory part, main part, and closing part. The introductory part focused on preparation and understanding activities, and main part concentrated on exploration and creation activities. The closing part focused on finalizing and reflective activities. Third, guidance on program was provid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learning media. When the dance is used as learning media, understanding of motion/movements can be increased through repeated demonstration of exaggerated and precise motion/movements, along with verbal explanation. In the event that music is used as learning media, simple and easy children's songs, favorite songs, and popular songs can be used to increase interest in class. For class using the fine as learning media, simple task can be presented which students can complete on their own. When reminiscence is used as learning media, a comfortable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to allow students to recall and talk about their past experience. Fourth, all evaluations in the program should be performed based on physical functions, cognitive func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unctions. To determine the extent of change in physical functions and cognitive function, the evaluation should be carried out twice, each in the first session and in the twelfth session. For evaluation tools, Senior Fitness Test(SFT) sheet and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K-MMSE) sheet are used. For evalu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functions, the student self-evaluation sheet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is used in the fourth session, eighth session, and twelfth session which are the sessions closing respective units. In order to determine to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the teacher's evaluation sheet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is used in the twelfth session for overall evaluation. The Senior Integrated Dance Program for Dementia(SIDPD), developed in this study for prevention of dementia, incorporates music, fine art, and reminiscence therapy into dance activities so as to improve basic physical strength and expand the area of motion/movement, and would help improve self-confidence and sociality based 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well as enhance cognitive functions such as memory,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inking power through stimulation of brain activities. This research hopes that integrated programs using various intervention media would be developed constantly, such as cognition rehabilitation programs, emotional stability programs, etc., combined with dance activities, and applied effectively to the sites to help promote healthy and happy lives of the elderly.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오늘날에는, 노인의 빈곤, 고독, 무위, 질병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치매는 신체적 제한뿐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장애를 동반하여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 국가치매관리위원회와 치매관리법이 설치될 만큼 위험한 증후군이다. 치매는 100여 가지가 넘는 질환에 의해 발병되며, 완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운동, 활발한 두뇌사용,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통한 예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현재 치매를 치료하고 예방하는 프로그램으로 음악, 미술, 회상, 원예요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무용은 노인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안정과 건강을 유지하도록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오르프 교수법은 무용과 음악이 통합된 프로그램으로 학생의 능력에 따라 학습의 난이도와 내용을 구성하며, 학습매체로는 말하기, 노래하기, 신체표현, 악기연주를 사용한다. 말하기와 노래하기를 통해 기억력과 언어능력을 증진시키고, 음악을 신체로 표현함으로써 움직임의 영역을 확장시키며 내면을 표출할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악기연주는 정교한 소근육 활동과 눈과 손의 협응 능력을 향상시키고, 합주는 책임감과 사회성을 길러준다. 본 프로그램은 치매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오르프 교수법에 미술과 회상요법을 첨가하여 노인들의 인지능력과 사회성 향상을 최대화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에서 통합적 결과로 나타나는 무용은 전신운동으로 바른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와주고 근력과 유연성을 증진시키며, 자신을 표현함으로써 분노, 우울 등의 정서가 완화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지도한다. 음악은 멜로디, 리듬과 같은 음악의 요소에 따라 혈압, 심박수, 호르몬 등의 정상화에 기여하도록 학습내용을 구성한다. 미술의 그리기와 만들기는 소근육 운동으로 두뇌를 활성화시키고, 과거의 경험을 공유하는 회상요법으로 기억력을 증진시키며 타인과의 유대감과 친밀감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 통합무용프로그램의 구성과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은 다양한 매체가 통합된 활동을 통해 신체기능과 인지기능을 증진시키고, 모둠창작활동을 통해 대인관계기능을 향상시켜 치매를 예방하는데 있다. 둘째, 프로그램의 구성은 크게 3단원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단원은 2개의 주제로 나뉘고, 각 주제는 2개의 소주제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소주제는 ‘기초배우기’와 ‘창작·발표하기’로 각각 60분으로 진행되며, 2차시에 걸쳐 이루어진다. 각 차시의 수업 과정은 도입, 전개, 정리로 전개되며, 도입에서는 준비와 이해 활동, 전개에서는 탐구와 창작 활동, 정리에서는 마무리와 반성적 활동으로 진행된다. 셋째, 프로그램의 지도방법은 학습요소의 특성에 따라 지도한다. 무용을 학습요소로 사용할 경우에는 언어적 설명과 함께 크고 정확한 동작의 시범을 반복적으로 제시하여 동작의 이해를 높인다. 음악을 학습요소로 사용할 경우에는 단순해서 부르기 쉬운 동요나 자신이 좋아하는 노래, 유행하는 가요를 활용하여 수업의 흥미를 유도한다. 미술을 학습요소로 사용할 경우에는 스스로 완성할 수 있는 간단한 과제를 제시하고, 회상을 학습요소로 사용할 경우에는 과거를 상기하며 이야기 할 수 있는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넷째, 프로그램의 모든 평가방법은 신체기능, 인지기능, 대인관계기능에 따라 평가한다. 신체기능과 인지기능 변화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1차시와 12차시에 총 2회 검사하며, 평가도구로는 노인체력검사지(SFT)와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지(K-MMSE)를 사용한다. 그리고 대인관계기능 평가는 각 단원의 마지막 시간인 4차시, 8차시, 12차시에 본인이 개발한 학생 자기 평가지를 사용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12차시에 본인이 개발한 교사용 평가지를 사용해 총괄평가를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치매 예방을 위한 노인 통합무용프로그램은 무용 활동에 음악, 미술, 회상요법을 통합하여 수행하게 함으로써 기초체력을 증진시키고 움직임의 영역을 확장시키며, 뇌를 활성화시켜 기억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과 같은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통한 자존감 향상과 사회성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나아가 무용 활동에 인지재활프로그램, 정서안정프로그램 등 여러 중재 매체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통합프로그램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노인들에게 건강한 삶, 행복한 삶을 제공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베토벤 말년 양식에 관한 담론 : 아도르노(T. W. Adorno)의 시각에서 바라보기

        정수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베토벤의 말년 작품이 평생에 걸쳐 어떠한 미적 노력을 통해 완성되었는지 담론 분석의 방법을 통해 이해하고 탐구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필자는 베토벤의 말년 양식에 대한 음악학적 양상을 다양한 작품과 함께 살펴보고 더 나아가 아도르노가 구축한 베토벤 말년성에 대한 철학적 관점을 그의 시각에서 자세히 고찰해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베토벤 말년 양식에 관한 아도르노의 철학적인 텍스트를 해석하여 《피아노를 위한 6개의 바가텔 Op.126》, 《현악사중주 15번 a단조 Op.132》와 같은 후기 작품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분석해봄으로써 아도르노가 주장하는 베토벤적 말년성에 대해 이해하고 다루어보고자 한다. 베토벤 말년성에 관한 아도르노의 철학적 사유와 더불어 그가 추구하는 말년 양식에 대한 복잡한 개념과 난해한 텍스트는 결코 이해하기 쉽지 않다. 또한, 아도르노가 말하는 말년성에 대한 매우 극단적이면서 단편적인 혹은 모호한 경향을 드러내는 그의 철학적 함의는 자칫 수많은 비판적 시각과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토벤의 말년 양식을 통한 아도르노의 일관된 철학적 진리를 탐구함과 동시에 음악적 말년성에 대한 그의 미학적 측면을 베토벤 후기 작품과 함께 분석하고 살펴봄으로써 본 논문이 음악학적으로 큰 의의를 가질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렌탈서비스 방문직원의 역량 모델 개발과 활용 연구

        정수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급변하는 외부 환경에 제조업의 서비스화 전략인 렌탈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방문직원이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대응하는 방안으로 역량 모델링 개발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개발된 역량 모델을 활용하여 방문직원 및 관리자에 대한 교육적 활용방안을 도출하여 기업 전체의 역량 수준을 높여 기업의 인적 자원 경쟁력을 높이는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기업 현장에 제공하는 것이다. 렌탈서비스 및 렌탈서비스 인력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연구대상은 렌탈비지니스를 영위하는데 역할이 큰 렌탈서비스 방문직원으로 선정하였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렌탈서비스 방문직원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고성과자와 평균성과자간의 각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보유 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방문직원의 역량모델링을 통한 HR(D) 활용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수행을 위해 연구 대상이 속한 기업의 고성과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행동사례에서 역량을 추출하고, 역량 요소를 내용의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 요소를 지지하는 인용문을 작성한다. 그리고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잠정 역량명을 정한 후 선행 연구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정의문을 작성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역량에 대해 내부 전문가와 외부 전문가로부터 타당성 검증을 하고, 최종 수정·보완 단계를 거쳐 렌탈서비스 방문직원의 역량모델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렌탈서비스 방문직원의 역량모델에는 목표지향, 서비스마인드, 고객관리, 고객응대, 신규고객창출, 커뮤니케이션, 자기관리, 직업적 책임의식, 영업도구 제작 및 활용, 전문지식 및 기술 역량이 포함되었다. 고성과자와 평균성과자의 각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보유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성과자와 평균성과자들에게 역량진단을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두 그룹 모두 중요도에 비해 현재 보유 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고성과자는 보유수준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요구도가 높았으며, 이러한 두 그룹의 차이점을 통해 공통으로 개발해야 하는 역량과 최우선으로 개발해야 하는 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역량모델링을 통한 HR(D) 활용방안은 방문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방문직원의 역량 강화에 지원 및 책임이 있는 관리자에 대한 교육으로 설계되었다. 방문직원을 위한 교육은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을 강화하는 것으로 설계하였으며 온·오프라인 교육이 병행되도록 블렌디드(Blendid Learning)방식으로 구성하였다. 방문직원의 관리자 교육은, 방문직원이 보유해야 하는 역량과 고성과자들에게 보여지는 행동지표가 무엇인지 공유하고, 행동지표를 통해 현재 관리하고 있는 조직원의 역량 진단을 하고, 관리자로서 지원해야 하는 영역과 보완해야 하는 영역이 어느 부분인지 학습할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성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렌탈서비스 방문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역량 모델을 개발한 초기 연구라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렌탈서비스에 종사하는 인력에 대한 역량 모델링의 연구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학문적 의의가 있다. 둘째, 빠르게 변화하는 외부 경영상황에 맞춰 기업의 사업전략이 반영된 실질적인 역량 모델을 단시간 내에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기업의 비전과 전략이 빠르게 변화 하는데 기존에 가지고 있던 역량 모델이 변화하는 환경에 충분히 대응할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을 기업의 경영전략을 반영한 역량 모델을 빠르게 개발하여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데 있어 기업현장에 하나의 실질적인 방안으로 제시하여 불안감을 해소하였다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역량 모델 개발에 한정하지 않고 교육적 활용 방안을 함께 도출하여 실질적으로 기업현장에서의 역량 모델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이다. 특정 기업에 종사하는 방문직원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부분은 연구의 확장성에 한계가 예상되나 각 기업별 방문직원의 수행하는 업무의 범위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연구 결과의 활용도와 기업 내 적용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 성찰적 자아 형성을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정수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후기 현대 사회에서 성찰적 자아의 교육적 중요성을 인식하는 가운데 학습자가 일상에 대해 미시적・거시적 관점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생애 고유성을 인식하고 성찰적 자아를 형성하도록 하는 시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성찰적 자아의 시적 사고를 유형화하고, 1990년대 이후의 시들을 통해 성찰적 자아의 시적 사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성찰적 사고의 필요성과 성찰의 구조 및 작용과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를 이어가되, 후기 현대라는 시대적 맥락을 반영하여 학습자가 세계와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도록 하는 현대시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성찰적 자아로 명명되는 주체는 세계의 영향을 받으며, 동시에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먼저, 철학・심리학・사회학의 연구를 검토하여 성찰적 자아의 개념과 중요성을 도출하였다. 성찰적 자아는 주체의 시선이 분리되고, 자연적 자아에 대한 인식론적 포괄과 존재론적 초월이라는 조건을 바탕으로 세계와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역동적인 존재이다. 여기에 자본의 논리 및 매체의 영향으로 인해 개인의 일상이 재단되는 후기 현대라는 맥락을 고려하여 성찰적 자아의 개념을 재정의하였다. 후기 현대의 성찰적 자아란 자본에 의해 식민화된 세계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자동화되어 의식하지 못한 일상을 주목함으로써, 대체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자신의 고유한 생애를 인식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자기 형성적 주체이다. 성찰적 자아는 자본주의의 지배 원리가 개인의 삶과 내면까지 파고드는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이들이 주체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형성되어야 하는 자아상이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특히 불안정한 자아 형성의 과정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시를 통해 자기 삶의 가치를 인식하고 발전시켜 나가게 한다는 점을 성찰적 자아 형성을 위한 시 교육이 지니는 의의로 보았다. 시 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성찰적 자아의 시적 사고를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거리두기를 통해 생활세계의 식민화를 인식하는 것이다. 생활세계의 식민화는 생활세계가 화폐와 권력을 매개로 하는 체계의 논리에 침식되어 물화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거리를 두고 바라봄으로써 이를 비판적으로 인식한다. 둘째, 낯설게 하기를 통해 습관화된 의식을 각성하는 것이다. 습관화된 의식은 일정한 행위의 반복과 지속으로 유지되는 일상에 의해 형성된다. 습관적인 사유 방식에 변형을 가하여 낯설게 함으로써 자동화된 의식을 각성할 수 있다. 셋째, 내면화를 통해 삶의 지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시적 화자가 외부의 사건을 내면화하여 자기 삶의 지향을 설정하는 것은 시의 본래적인 속성이자, 성찰적 사고의 중요한 유형이다. 다음으로 1990년대 이후의 시를 분석함으로써 성찰적 자아의 시적 사고의 유형을 구체화하였다. 첫째, 자본주의의 상업성을 가시화하고, 대중매체의 장악력을 폭로함으로써 일상을 식민화하는 원리를 비판하는 것이다. 둘째, 현대인의 타성적인 일상을 묘사하고, 견고한 일상의 질서에서 균열을 인식함으로써 일상의 자동화된 의식을 각성하는 것이다. 셋째, 삶의 진정성이 담긴 일상을 포착하고, 자연의 전경화를 통해 생애를 통찰함으로써 삶의 지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끝으로, 성찰적 자아를 형성하기 위한 시 교육의 내용은 학습자가 시를 통해 일상에 대한 미시적 탐구와 거시적 조망을 함으로써 자신의 생애 고유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생활의 체험에서 서정의 순간 발견’은 학습자가 시의 생산 및 수용 활동이 일상에 대한 성찰의 과정임을 인식하고, 생활 속에서 인간과 삶의 본질을 발견하는 감식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거시적 조망을 기반으로 한 서정성 탐구’는 학습자가 시의 생산 및 수용 활동을 시대정신의 실천으로 인식하고, 시인과 같이 시적 의미의 공동 생산자로서의 주체성을 가져야 함을 교육하는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가 대체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자신의 생애 고유성을 인식하고 가꾸어 가도록 생애교육으로서의 시 교육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존 현대시 교육에서 개인적 차원으로 다루어진 ‘성찰’의 개념을 타자와 세계를 아우르는 ‘성찰적 자아’ 개념으로 확장시켰다는 점이다. 그리고 후기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이 지니는 고유한 가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현대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s modern societies applaud for the educational value of reflective self,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reate educational contents involving contemporary Korean poetry and to encourage reflective self by helping students recognize their own selves through poetry. This reflective self is aroused by students’ macroscopic and microscopic views in life created from studying contemporary poetry written after 1990. While this research continue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flective self as in other studies about Korean literature, it also proposes a new instructional method that supports the current educational trend of promoting an activ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he world around them. The research emphasizes that individuals who are capable of being the subjects of reflective self are not only influenced by their environments but also the ones who are in control of those environments. First, this research evaluates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studies to grasp the concept of reflective self and its importance. In this research, the term ‘reflective self’ is redefined as the postmodern influence of media and capitalism play significant roles in building a concrete foundation for a successful intrapersonal relationship. Reflective self in late modern society is critically examining the world that is colonized under the influence of capitalism and acknowledging each individual’s idiosyncratic, therefore irreplaceable character by paying attention to the details of one’s daily routines, which were prone to be neglected in behalf of one’s adaptation to the automated world.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at reflective self is vital for an independent and autonomous life; as the dominance principle in capitalism is profoundly affecting the mental states of the members of the postmodern society, being able to self-reflect is essential in order to have a full control in life. For this reason, young adults who struggle with their self-identities will particularly benefit from this introspective educational approach involving poetry. In order to specify the proposed poetry lesson plan that promotes reflective self, the method is broken down into three steps. First is acquiring a 3rd person point of view to be aware of the colonization of one’s daily activities; by distancing oneself from one’s own life with the 3rd person point of view, one can critically analyze the embedded system of colonization under capitalism. Second is unfamiliarizing one’s sense created by habitual behaviors; changing daily patterns can awaken one’s conscience established by individual habits. Third is promoting essence in life through reflective self. The narrator of a poem internalizes an event in order to find a meaning in life; this is the original characteristic of poetry and an epitome of reflective self. Next, by analyzing Korean poetry written after 1990, the process of reflective self is promoted. First, by visualizing capitalism and pronouncing the power of media, the system of colonization in daily life is criticized. Secondly, the inactiveness of the lifestyle of the members in the postmodern society is depicted to alert the weakness of one’s sense based on the society’s automated system. Thirdly, the authenticity of oneself is captur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nature in the foreground in order to illustrate one’s purpose in life. Lastly, it is concluded that reflective self can be promoted by teaching poetry as students can acquir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views in life through this particular educational approach. Experiences that help detect lyrical moments in life aid students realize that creating and accommodating poetry in life is a process that leads to reflective self, and this attitude forms educational criticism in which students discover a purpose in life. This study on lyricism based on a macroscopic view fosters education that supports the creation of various poems and the learning environments that accommodate the variety of poetry. Under this type of instruction, students are taught that they should identify themselves as the co-creators of the poems, along with the poets, and that the students as well contribute to the meanings behind each lines of the poem. Such educational guidance with poetry leading to reflective self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one’s authenticity in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concept of introspection, introduced in the previous studies, is broadened to consider not only the individual self-examination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The proposed poetry education in this research can help young adults of the postmodern society find meaning in life. As a result, these youngsters finally acknowledge the irreplaceable value of their own lives.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 유형에 따른 피동 표현 습득 연구

        정수민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 유형에 따른 한국어 피동 표현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는 피동 표현을 나타내는 문법 형식이 발달되어 있다. 이에 한국어 학습자들은 피동 표현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잦은 오류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한국어교육에서 피동 표현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대조언어학적인 관점에 치중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표현 습득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법 성 판단 테스트와 말하기 테스트를 실시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표현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 중간 언어와 한국어 피동 표현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기존에 진행된 연구의 한계점을 지적하며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학습자 중간 언어와 한국어 피동 표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언어는 과제 유형에 따라 다양한 변이를 나타내며 특히 주의 집중도가 높은 과제일수록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언어 습득 과정은 ‘학습-혼란-재 학습’의 과정을 거치며 이는 U자형 곡선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어 피동 표현의 이론적 검토를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될 한국어 피동 표현의 범주를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장에서는 실험 참여자 선정 기준과 연구에 사용되는 문법 성 판단 테스트와 말하기 테스트의 문항 구성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예비 실험과 본 실험으로 이루어진 연구 절차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표현의 습득은 과제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낸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둘째, 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숙달도별로 한국어 피동 표현 사용 양상을 알아본 결과 문법 성 판단 테스트에서는 피동을 학습한 지 6주 미만인 중급 학습자 집단(A집단)과 피동을 학습한 지 12개월 이상 되었으며 한국에서 대학이나 대학원을 다니고 있는 고급 학습자 집단(C집단)이 비슷한 수준의 점수로 높게 나타났으며, 피동을 학습한지 4개월 이상 된 고급 학습자 집단(B집단)의 정확도는 낮게 나타났다. 반면 말하기 테스트에서는 C집단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A집단과 B집단은 비슷한 점수로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셋째, 과제 유형에 따른 한국어 피동 표현의 변이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넷째, 동일한 유형의 과제를 수행할지라도 학습자의 숙달 도에 따라 학습자 언어 변이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다양한 과제 유형을 사용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표현의 습득 양상과 그 변이 유형을 살펴보았다. 둘째, 과제 유형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표현 습득은 숙달 도에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변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말하기 테스트의 경우 통제된 말하기의 성격을 지니므로 학습자가 실생활에서 발화하는 한국어 피동 표현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이에 향후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학습자 발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표현의 습득에 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This thesis intends to inspect aspects of passive expressions acquisition according to task types of Chinese learners. Korean has the developed grammatical forms to represent passive expressions. So learners of Korean have many difficulties in using passive expressions and make mistakes frequent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studies on passive expressions have been concentrating on the contrastive linguistics and there’s no study on acquisition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of learners. Therefore,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aspects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acquisition of Chinese learners by conducting tests of grammaticality judgment and speaking. The composition of this thesis are like followings below. In the ChapterⅠ, it identifies the necessity and aim of the study, examines precedent studies on learners’ interlanguage and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sented research topics and hypotheses of this study while pointing out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udies. In the ChapterⅡ, it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learners’ interlanguage and Korean passive expressions. Through such a process, this study identifies that learners’ language has the various variations according to task types and that especially as the task has higher attention level, it shows higher accuracy. It also identifies that language acquisition of learners goes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confusion-relearning’ which is represented as U-shaped behavior. In addition,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it sets categories of expressions to be used in this study. In the ChapterⅢ, this study describes research methods. It gives a concrete explanation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participants and test item construction of grammaticality judgment and speaking used for this study. In addition, it presents the research process composed of the preliminary and main experiments with the analytic method for collected data. In the Chapter Ⅳ, this study describes research results. As the result, first, it shows that passive expressions acquisition of Chinese learners h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ask types. Second, as the result of inspecting use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by proficiency according to task types, in the test of grammaticality judgment, Intermediate learner group which has been learning passive expressions for less than 6 weeks(group A) and advanced learner group which has been learning passive expressions for more than 1 year and attending a college or a graduate school(group C) received higher scores similar to each other while accuracy of advanced learner group which has been learning passive expressions for more than 4 months(group B) was lower. On the other hand, in the speaking test, group C showed the highest accuracy and group A and B showed lower similar to each other. Third, variations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vary from the task types. Fourth, it shows that learners’ linguistic variations vary from their proficiency even if they perform a task of the same typ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like followings. First, it examined that aspects of passive expressions acquisition and variation types of Chinese learners using the diverse task types. Second, according to task types, it identified that proficiency influences on passive expressions acquisition of Chinese learners with the diverse variations. However, as speaking is controlled in the test of this study, it has a limitation that there may be difference from Korean passive expressions learners utter in real life. So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on acquisition of learners’ Korean passive expressions based on their utterance in the actual communications.

      • Web2.0을 활용한 수학교육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수학 3-가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정수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과 도형 영역의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하여 웹2.0 환경의 콘텐츠를 개발하고, 우리 주변의 자연이나 생활 속에서 수학적 내용을 발견할 수 있는 내용을 학습자 스스로 UCC(User created contents)로 콘텐츠를 제작하여 공유함으로써 학생들이 수학교육에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여 Web2.0을 활용한 수학교육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 향상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중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B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60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학생들의 학력 수준은 울산광역시교육청 주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중위권 정도의 학업성취수준을 보였다. 사전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두 집단은 유의도 .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동질집단임이 검증되었다. 이를 근거로 3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비교집단은 일반적 학습을 적용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Web2.0을 활용한 학습을 적용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와 Excel 2007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 사후 t-검증을 실시하였고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본 실험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Web2.0 기반의 교수․학습 자료(Web과 UCC)를 개발하여 울산사이버가정학습에 탑재 활용함으로써 학습자가 학교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도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해 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직접 UCC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수학 도형 학습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다. 둘째, 본 연구에서 Web2.0 기반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해 수학교육을 실시한 학생들과 교과서 위주의 일반적 수업을 실시한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Web2.0 기반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한 실험집단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교육에 Web2.0 기반의 수학과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 수업을 적용한 비교집단보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학습자가 직접 제작한 UCC 등의 자료를 교육적으로 활용한 교수-학습이 일반적 학습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비교집단의 학생들보다 내재적 동기, 학습기회의 개방성, 자율성 모든 영역에서 있어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Web2.0을 활용한 수학교육은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을 통한 수학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학습 태도 형성에도 매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