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미세먼지 예보 개선을 위한 WRF-CMAQ 기반 대기경계층 모수화 오차 특성 분석
In air quality forecasting, meteorological variables are of great importance. In particular, the planetary boundary layer(PB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vertical distributions of air pollutants. As PBL is characterized by the complex turbulence precesses in the meteorological model, it should be parameterized by determining the turbulent properties. Therefore model results of pollutant concentrations are highly dependent on parameterization methods. In this study, as a case study, we carried out three sensitivity tests from different PBL turbulence parameterization schemes: nonlocal(YSU), local(MYJ), hybrid(ACM2) for WRF-CMAQ, and detailed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pollutants were carried out over day and night separately; daytime is characterized by thermal turbulence whereas nighttime is dominant by mechanical turbul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simulated relatively better for both day and night except for some meteorological variables such as wind speed. Wind speed was overall overestimated by all parameterization schemes in the mod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wind speed simulation capability in simulating the air pollutants by WRF model. Relatively, non-local PBL scheme outperforms local scheme during daytime; local scheme simulates more than twice as much as observations during daytime. It is therefore indicating that the non-local method that parameterizes the turbulence with the consideration of overall vertical profile is relatively more appropriate for simulating wind speed. PBL height(PBLH)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e non-local scheme during daytime when large eddies were dominant and buoyancy is well associated, while local scheme shows better capabilities during nighttime when turbulence such as small eddies and molecular diffusion were mainly caused by shear. PM2.5 concentrations were underestimated at all times, while non-local scheme simulated relatively higher concentrations among the three schemes, thereby yielding simulations close to the observation. Local scheme showed relatively better capability in PBLH simulations in nighttime, whereas it showed the worst capability in PM2.5 simulation presumably due to overestimated wind speed. As a result of modeling analysis for day and night separately, it is advantageous that a hybrid technique would be recommended to parameterize turbulence characteristics by applying the non-local method during the day and the local method at night to improve the simulation capability of atmospheric boundary layer parameterization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urther,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apply model sensitivity studies to various cases and other urban areas to provide a legitimate, integrative, interpretive evaluation in association with PBL schemes in South Korea. 대기질 예보에 있어 기상요소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대기경계층은 오염물질의 연직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기상 모델 내에서 대기경계층은 복잡한 난류 과정을 반영하여 결정되므로, 직접 계산 가능하지 않고 모수화 과정으로 결정된다.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 모수화하였는지에 따라 상이한 대기경계층을 모의하므로 오염물질 농도 예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RF 모델 내에서 구별된 난류 모수화 특성을 가지는 비국지(YSU)·국지(MYJ)·혼합(ACM2) 방안 총 3가지 옵션을 선정하여 기상장을 모의한 후, CMAQ 모델로 대기질 모의를 하였을 때 변수들의 모의 차이점에 관련한 민감도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수도권 초고농도 사례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열적 난류가 지배적인 주간과 기계적 난류가 지배적인 야간을 구분시켜 분석한 결과, 기온 및 상대습도는 주야간 모두 우수하게 모의하였지만 풍속은 전부 과대모의하며 모델 풍속 모의 능력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주간에 국지 방안은 관측 대비 2배 이상 모의하여, 전체 연직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난류를 모수화하는 비국지 방법이 풍속 모의에 더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경계층 고도는 부력에 의해 큰 에디가 우세한 주간은 비국지 방안, 시어에 의한 작은 에디 및 분자확산과 같은 난류가 발생하는 야간은 국지 방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PM2.5 농도는 전 시간대에서 과소모의하였고 비국지 방안이 그 중 가장 높게 모의하여 측정 농도와 가까웠다. 야간 경계층 고도는 국지 방안이 잘 모의했음에도 불구하고 PM2.5를 잘 모의하지 못한 이유는 비국지 방안의 매우 낮은 야간 경계층 모의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주야간 종합 분석 결과, 대기경계층 모수화 정확도 향상을 위해 주간은 비국지, 야간은 국지 방법으로 난류를 모수화하는 통합적 기법이 필요해 보이며, 주간보다는 야간 모의 능력이 어느 정도 개선 가능한지에 관련한 난류 특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해석하였다.
패션 명품 대여의 동기, 혜택과 한계점에 관한 연구 : 서울과 상해 거주 여성을 중심으로
중국 명품시장은 2008년에 86억 달러에 도달했고 이 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 중국소비자 전국 명품소비는 약185억 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중국인들이 2014년 전 세계의 46% 되는 명품을 구매하는 것을 뜻한다. 현재 중국은 일본을 대체하여 세계 최고의 명품소비대국이 되었고 명품소비액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리웨이지에, 2015). 한국 명품시장은 2006년부터 시작하여 매년 10%를 넘는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2014년에는 45억 달러에 도달했고 이미 세계 4대 명품소비시장 중의 일원이 되었다 (정재훈, 2015). 한국과 중국 명품 시장은 급속히 성장하고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여성 소비자들의 명품에 관한 구매동기/혜택, 명품 대여 의도/동기/혜택/한계점에 관한 관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중국과 한국의 한국에 거주하는 20~50대의 학생과 직장인 및 주부 등 총450명으로 본 연구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 표집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명품 브랜드의 설정범위를 높은 가격과 오랜 역사전통과 전설적인 브랜드 스토리를 갖고 있는 해외 유명 명품브랜드로 한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5년 12월 중이었고 총 400부가 자료 분석에 이용되었는데 1회라도 명품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한국 (서울) 소비자들의 평균연령은 24.8세이고 중국 (상해) 소비자의 평균연령은 25.7세로서 차이가 거의 없었다. 또 소득 역시 200만 원 이하가 163명, 200만 원 이상이 37명으로 동일하게 조정되었으나 중국소비자가 소득이 약간 높은 편이었다. 직업과 학력은 한국의 경우가 ‘대학생’ 직업과 ‘재학 중’ 학력이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중국은 ‘직장인’ 직업과 ‘대학교 졸업’ 학력이 더 많이 표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여성은 명품구매 횟수가 1.58±0.9회/연, 중국 여성은 1.82±1.1회/연 인 것으로 나타났다 (t= -2.42, p<0.05). 중국과 한국소비자들의 평균 소득은 동일 수준이지만 한국보다 중국 소비자들은 더 자주 명품을 구매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 명품을 많이 구매한 여성 소비자가 명품을 1번만 구매한 여성 소비자보다 구매동기-즐거움/기능, 사용혜택-물질/실용적 혜택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차원축소의 요인분석 결과를 보면, 명품의 구매동기는 과시/동조성, 기능/즐거움 의 2가지 요인으로 묶였으며, 사용혜택은 개인/사회적 혜택, 물질/실용적 혜택의 2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여 동기는 1가지 요인 대여의도로 나타났으며, 대여혜택은 경제체험활용, 공간환경품위의 2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여의 한계점은 신뢰성 불안, 소유애착위생, 복잡한 절차 등 3가지 요인으로 묶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명품의 구매동기/혜택과 대여 의도/혜택/한계점은 서로 상관이 깊었다. 넷째, 국적에 따라 차이를 보인 것은 한국보다 중국이 대여 의도가 높았으며 구매 시에 과시/동조성 동기가 중국이 높았다는 점이다. 사용혜택으로 자존감 상승의 개인/사회적혜택은 중국이 높았으나 내구성의 물질/실용적혜택은 한국이 높았다. 대여혜택에서 경제체험활용의 혜택은 차이가 없었으나 공간환경품위는 중국이 높았다. 대여시장의 한계점에서 신뢰성불안, 소유애착위생은 차이가 없었으나 복잡한 절차에 대한 한계점은 중국이 높았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고연령이 대여의도가 낮았으며 대여혜택-경제체험활용이 낮았다. 30세 이상의 고연령이 공간환경품질의 대여 혜택에 관해서 저연령보다 의식적 이었다. 기능/즐거움의 명품 구매동기와 물질/실용적 사용혜택에서는 국적과 연령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는데 한국은 고연령에서 높게 나타나는 반면에 중국은 저연령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국과 달리, 한국은 경제력이 강한 200만원이상의 고소득자는 200만원이하의 저소득자보다 명품구매동기에서 기능/즐거움이 높았으며 물질실용적 사용혜택이 높았고 공간환경품위의 대여혜택에 관하여 의식이 높았으니 대여 의도는 낮았다. 직업에 따라서 살펴보면, 자영업과 직장인이 학생보다 공간환경품위 의 대여혜택에 대한 의식이 높았다. 학력에 따라 살펴보면, 대학졸업 이상 고학력자는 대학재학 이하 저학력자보다 명품구매동기-기능/즐거움이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공간환경품의의 명품대여 혜택의 의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에 대한 피아노 교육 실태조사연구
정소연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의 피아노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에 대한 배경 지식을 연구하고, 피아노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음악치료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DHD 아동의 피아노 교육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피아노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피아노 교사의 ADHD에 대한 지식, 중재방법, 지도실태 및 피아노 교육방법, ADHD 아동의 문제 발생 시 대처방법과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묻는 내용으로 작성하였다.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SPSS WIN 21.0v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과 다중응답 내 빈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다수의 피아노 교사는 ADHD 아동이 집중을 오래 유지하지 못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중재 방법에서는 ADHD 아동의 부모가 문제행동을 어떻게 조절하고 대처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도실태에서는 ADHD 아동에 대한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실제로 대부분의 피아노 교사는 ADHD 아동에 대한 교육이나 연수를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방법에서는 쉽고 반복적인 과제에 새로움을 추가하여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는 수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대처방법에서는 장애아동에 대해 이해하려는 노력과 더불어 장애아동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 바뀌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유의한 효과를 본 지도방법은 아동이 흥미를 느끼는 교구를 사용하거나 좋아하는 곡을 연주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ADHD 아동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교사들의 사례에서는 교사만의 노력으로 ADHD 아동의 증상을 개선하기는 어려웠으며, 부모의 교육과 교육환경 개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ADHD 아동에 대한 전문지식을 배울 수 있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ADHD 아동의 증상 개선을 위해서는 부모교육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더불어 ADHD 아동의 특성에 맞는 피아노 지도방법이 개발되어 향후 ADHD 아동을 지도하는 피아노 교사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piano education in ADHD children and to propose more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background knowledge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was studied,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usic therapy was discussed to find out the effect of piano education. Based on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 piano teachers to find out the status of piano education for children with ADH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written asking piano teachers about their knowledge of ADHD, how to mediate, how to teach guidance and how to respond to problems with ADHD children and how to effectively guide them. As a method for analysis, the SPSS WIN 21.0v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in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jority of piano teachers recognized that ADHD children did not stay focused for long, and the method of arbitration showed that it was most important for parents of ADHD children to receive education and training on how to control and cope with problem behavior. The prevailing opinion was that teacher education for ADHD children was needed in the leadership practice, but in fact, most piano teachers had never received education or training for ADHD children. In the educational method, it was investigated that newness was added to the easy and repetitive task to carry out classes that arouse children's interest, and in the coping method, it was shown that negative thoughts about disabled children were changed as well as efforts to understand them. In fact, it was effective to use teaching aids that children were interested in or to play their favorite songs. In the case of teachers who had difficulties in guiding ADHD children, it was difficult to improve ADHD children's symptoms with their own efforts, and we could se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parents' educa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studies requi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learn the expertise of ADHD children, and in order to improve the symptoms of ADHD children, a way that parent education can be done together should be explored.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piano teaching methods that suit the characteristics of ADHD children will be developed and used as useful materials for piano teachers who guide ADHD children in the future.
그러나 본고에서 소설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이 추상적 차원에서 이루어졌음을 한계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유형론에 근거하여 시점을 단편적 지식으로 다루고 있는 시점 교육에 문제의식을 느껴, 본고는 작가의 이데올로기적 차원을 기저로 하는 다층적 시점 교육 방법을 대안으로 제안하였으나, 이는 현실과의 정교한 교호작용에서 파생된 것이라기보다는 상상력의 전시물에 더 가깝다. 따라서 교육 과정에의 적용 방법, 내용의 선정 및 위계화, 교수-학습 방법으로서의 실용 가능성 등 구체적인 국면에서 실효성이 의문시된다. 본고의 이론적 바탕이 된 우스펜스키와 랜서의 이론 자체에 대한 반성과 비판 또한 필연적일 것이다. 따라서 본고가 제안한 소설 교육 방법론은 구체적인 교육 방법이라기보다는 하나의 관점을 제시한 것이라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다층적 시점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학년별로 위계화하며, 절차적 지식으로 환원시켜 교수-학습 방법으로 실용화하는 것 등 남겨진 문제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유비쿼터스(ubiquitous)환경에서의 모바일 게임컨텐츠기획 연구 : 지역성에 연동하는 아바타 성장 'Ubi-mobile game' 을 중심으로
정소연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최근에 와서 미래 산업기술 트렌드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는 유비쿼터스 IT혁명은 미국, 유럽, 일본 등을 중심으로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유비쿼터스 세상이 도래하면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처에 존재하면서 스스로 컴퓨팅 하는 기기들을 어쩌면 인식조차 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렇게 우리는 새로운 시대, 즉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구현되면서 가장 큰 변화는 이동 공간에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카메라, 캠코더, MP3, 리모컨, TV, 게임기들의 기능이 내장되었으며 앞으로 수많은 디지털 기기들이 모바일에 통합되어가는 형태가 되어가고 있다. 모바일의 쓰임이 날로 다양해지짐에 따라 다양한 모바일 콘텐츠가 필요해지고 있다. 특히 MP3, 카메라를 비롯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한층 강화되고 있고 게임과 관련해 모바일을 이용한 게임 이용자 수와 관련 시장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현황이다. 모바일 게임이라 하면 단순한 슈팅 게임이나 퍼즐 게임 등이 주종을 이루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그 양상이 더욱 복잡하고 다양한 게임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무수히 개발되고 있는 모바일 게임 들이 실질적인 모바일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개발되어지고 있다. 관련 반도체 칩 제조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다양한 콘텐츠가 요구되고 있는 만큼 모바일의 특성인 이동성이나 위치 확인성, 편재성 등을 이용한 효율적인 모바일 게임 콘텐츠 개발이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보여진다. 그래서 본 연구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미래의 Ubiquitous computing 환경에서 모바일 게임 콘텐츠의 모습은 변화해야 한다고 보고 앞으로 좀 더 특성화된 게임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논하고자 했으며 유비쿼터스 환경을 적극 활용한 새로운 게임 장르를 제시하고자 한다. "Ubiquitous Computing" is surfacingas the core key word for future industry technology trend. Materialization of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will greatly enhance convenience, safety, and efficiency of everyday life. The biggest change can be evidenced in the mobile field with numerousdigital units being integrated into a mobile phone. With diversified form of use, various contents are need. Especially, entertainment function has been strengthened and the number of game users using mobile phones and related markets are greatly increasing. In the past, mobile games took the form of simple shooting games or puzzle games, however, more complex games are recently being developed. However, they are being developed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phone. Related semiconductor chip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wireless communications technology are continuously developing, and as much as variety of contents are demanded, the need to develop efficient mobile game contents using characteristics of mobile phones is increasing.
초·중 통합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충청남도 E 초·중 통합학교를 중심으로
정소연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본 연구는 초․중 통합학교에 대해 교원 배치, 교육과정 운영, 교육시설 사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 배치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교육시설 사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E 초․중 통합학교의 통합운영 실태를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통해 얻은 정보는 빈도와 백분위를 사용하여 표로 나타내었다. 보다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중학교 교사 3명과 초등학교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초․중 통합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원 배치에서 교사들은 초등과 중등 별도로 관리자가 배치되어야 하며 교무분장을 각각 조직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운영에서 교사들은 학교교육계획을 각각 수립하되 사전에 충분한 토의와 협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예체능 수업지원에 대해 긍적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행사활동을 필요에 따라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운영 중에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초등과 중등이 협력해야 한다고 하였다. 시설사용 측면에서 교사들은 현대화된 시설에 만족을 하고 있었으나 이를 활용하는데 있어 많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설사용,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초․중 통합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중 통합학교에 대한 법령의 신설 및 행정제도 개선이 꼭 필요하다. 통합학교에 대한 교원 배치 기준을 마련하여 초등학교와과 중학교의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 다. 이를 위해서는 통합학교에 양자격증 소지자 우선배치, 초․중교사의 통합학교 발령, 다른 학교 급 학습지도를 위한 연수기회 부여, 교류교사에 대한 가산점 등 보상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공문서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를 줄이고 이에 따른 업무분장의 효율적인 통합이 이뤄져야 한다. 둘째, 초․중 통합학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초․중 통합학교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장과 교원들의 통합의지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초등학교, 중학교가 아닌 우리 학교라는 교사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통합학교의 효율적인 운영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고 논의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초․중 통합학교 교육과정 계획을 수립단계에서 초등과 중등이 협의 조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특히, 시설사용, 수업단위시간, 행사활동, 계발활동 부서 통합, 교차수업지원 등을 논의하여 효율적인 교육과정계획 수립이 중요하다.
컨벤션종사자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컨벤션 산업은 모든 업무가 종사자들의 실무에 의해 실행되기 때문에 환대 산업 분야 중에서도 특히 인적 자원의 중요성이 매우 높게 부각되고 있는 산업이다. 이에 따라 컨벤션 유치와 개최의 중심 역할을 하는 전문 컨벤션 산업에서는 산업의 발전을 위해 단순히 종사자가 아닌 전문가로서 교육하고 육성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는 컨벤션산업 종사자가 자신의 직업에 대한 전문성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지, 전문성 인식이 조직유효성인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권의 특급호텔 및 1급, 컨벤션전문시설 종사자, PCO, PEO 기업, 협회, 학교, 학회에서 컨벤션업무의 기획 및 운영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컨벤션종사자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컨벤션산업 종사자의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성인식 구성요소를 밝히고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컨벤션산업 종사자의 전문성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직업전문성인식의 중요한 요인을 파악하여 현재 컨벤션 산업이 요구하는 전문인을 육성하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총 242부의 유효 표본을 실증 분석에 사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컨벤션종사자의 전문성인식 개념을 ‘직업 전문성’, ‘사회 공헌성’,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 윤리성’, ‘업무 자율성’, ‘전문적 기능성’으로 도출하였고, 컨벤션종사자의 직무만족 개념을 ‘임금·복리 만족’, ‘동료·상사 관계 만족’, ‘직무 자체 만족’으로 도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컨벤션 종사자 전문성인식은 4개의 요인이 부분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임금복리 만족요인을 제외한 2개의 요인이 부분적으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컨벤션 산업 종사자의 직업에 대한 사회적·개인적 인식을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컨벤션산업의 인적자원 관리 체계에 미래지향적 지표를 제시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convention industry is an industry in which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is very high, especially in the hospitality industry, because all work is carried out by the practitioners of the workers. Therefore, in the professional convention industry, which plays a central role in attracting and holding conventions,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nurture the industry as an expert rather than an employe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n the convention industry employees, a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fessional Recognition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Result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the professionalism of convention industry employees in the planning and operation work of the convention business in the first class hotel, conventions professional worker, PCO, PEO enterprise, association, school, And their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ism in the convention industry by analyz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d identifying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components affecting the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convention industry employees.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important factors of recognition of occupational professionalism and suggested the direction to nurture the professionals required by the current industry. A total of 242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factors of professional recognition of convention employees were classified into 'professionalism', 'social contribution', 'social and economic status', 'work ethic', 'work autonomy'. And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convention employees was classified into 'wage and welfare satisfaction', 'colleagues and superior relationship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ur factors influenced job satisfaction. and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of professional of convention employees showed that four factors partial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and two factors excluding job satisfaction wage satisfaction factor partially affected job performance. Based on this research, the social and personal awareness of the duties of the convention industry employees is improved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onvention industry is suggested. and suggested a way to raise the social and personal awareness of the occupation of the convention industry employees. Finally,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the basic data for presenting the future - oriented index to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of the convention industr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