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과 기대가 유아교육기관 교육환경 요구에 미치는 구조관계 분석

        정성은 위덕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1871

        For a structural relationship study on the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and expectation for young children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al needs towar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each subfactor has been identified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ased on classified factors have been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not only the level of mothers regarding maternal attachment and expectation for young children and educational environmental needs towar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but als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identify a fundamental motive of social needs towar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s for maternal attachment for young childre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a measuring tool of Hwang Hyeon Ju & Jeong Ok Boon(2006a), which we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contact pursuit, approach pursuit, protection, coolness, and positive emotion). As for maternal expectation for young childre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measuring tools of Kim Jeong Won(2002), Park Young Ae and Won Hyo Jong(2003), and Park Sun I(2005), which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knowledge expectation, relationship expectation, lifestyle expectation, and control expectation). As for educational environmental nee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measuring tool in the study of Jeong Seong Eun and Kim Soo Hyang(2017) was used after being revised and supplemented, which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details of integrated information disclosure of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of Go Hyeon, Jeong Myeong Ja(2012), and Jo Jeong Ja(2011). It was classified into factors of teacher, director, facility, educational program, commuting, communication with parents, meal service sanitation, and safety management. The subjects were was conducted to 420 mothers whose children of 3 to 5 years old went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which 50% of them were in a metropolitan area and the rest 50% were in non-metropolitan areas.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Jun. 13 to Jun. 16, 2017, and the questionnaires with the assistance of the research center EMBRAIN were analyzed as the final data. On this, SPSS 22.0 and AMOS 20.0 were used to verify a model on maternal attachment that effects the educational environmental needs towar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by taking maternal expectation for young children as a parameter and to analyze a difference following individual variables of young children and mothers for such variables. The study results have shown as follows. First, as for maternal attachment and expectation for young children,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tact pursuit, knowledge expectation, relationship expectation, and lifestyle expectation by young children’s gender, and contact pursuit got higher as young children’s age was lower. Commuting and meal service sanitation factors under the needs towar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got higher as young children’s age was lower. Such differences occurred by mainly young children relevant variables (e.g. age and gender of young children), not background variables of mothers. Second, maternal expectation for young children partially mediated the maternal attachme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t revealed that maternal attachment for children helped form a connection that asks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for an excellent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such study results, a structural relationship on the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and expectation for young children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al needs towar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s described below.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maternal attachment and expectation for young children, and needs toward educational institution by age and gender of young children. Thus a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set an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by age and gender of young children. Second, educational environmental needs towar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s greatly influenced by maternal attachment for young children, not expectation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Therefore,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take an interest in setting an environment that enables to protect and reassure young children based on the attachment for young children as well as build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young children’s development is taken into consideration.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과 기대가 유아교육기관 교육환경 요구에 미치는 구조관계 연구를 위하여 각 하위요인을 찾고 구분된 요인을 토대로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 기대, 유아교육기관 교육환경 요구에 대하여 어머니의 수준은 어떠하며, 이들 변인 간 구조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하고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근본적인 동기를 파악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 도구는 황현주, 정옥분(2006a)의 도구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5개요인으로 접촉추구, 근접추구, 보호, 냉담, 긍정정서로 구분하였다.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 도구는 김정원(2002), 박영애와 원효종(2003), 박순이(2005) 도구를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지식기대, 관계기대, 생활습관기대, 통제기대로 구분된다. 유아교육기관 교육환경 요구는 고현, 정명자(2012), 조정자(2011), 어린이집·유치원 통합정보공시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으로서 정성은, 김수향(2017)의 연구에서 사용된 유아교육기관 교육환경 요구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교사요인, 원장요인, 시설요인, 교육프로그램요인, 통원요인, 학부모와 소통요인, 위생급식요인, 안전관리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3~5세의 자녀를 유아교육기관에 취원시키고 있는 전국의 어머니 420명을 대상으로 수도권 50% 비수도권 50%로 할당하여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6월 13~16일 동안 실시되었으며, 사회조사 전문기관인 엠브레인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최종자료로 분석하였다. 이에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를 매개로 유아교육기관 교육환경 요구에 미치는 어머니의 애착에 대한 모형의 검증과 함께 이들 변수에 대한 유아 및 어머니의 개인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로 분석은 SPSS 22.0과 AMOS 20.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과 기대는 접촉추구와 지식기대, 관계기대, 생활습관 기대에서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며 접촉추구는 유아의 연령이 낮을수록 높아진다. 교육기관 요구의 통원요인과 위생요인은 유아의 연령이 낮을수록 요구가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어머니의 배경 변인이 아닌 유아의 연령과 성별 등의 유아관련 변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다. 둘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는 어머니의 애착과 교육기관 요구를 부분매개 한다. 자녀에 대한 애착이 기대로 기대가 우수한 유아교육기관 교육환경을 요구하는 관계도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과 기대가 유아교육기관 교육환경에 미치는 구조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과 기대, 교육기관 요구는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유아교육기관은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적절한 교육환경 구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환경 요구는 유아의 발달에 대한 기대보다는 유아에 대한 애착의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은 유아의 발달을 고려한 교육환경 구축과 함께 유아에 대한 애착을 바탕으로 이들을 충분하게 보호하고 안심할 수 있는 환경 구성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EDI용 키 관리 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연구

        정성은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1855

        정보보호 서비스의 주요 기능인 강한 인증 서비스는 공개키 암호화 시스템에 기반을 두고 있다. 공개키 암호화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키 관리가 필수적이다. 공개키는 신뢰성을 위하여 보증서 형태로 보증기관에 의하여 발급되며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X.509의 인증구조를 바탕으로 인증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X.500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EDI용 보증서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EDI용 보증서 관리 시스템은 키관리 인터페이스, CA용 키 관리 시스템, CA용 DUA 및 공개키 관리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제안된 보증서 관리 시스템은 OSI 및 TCP/IP를 근간으로 하는 모든 네트워크에 구축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어 X.400 MHS뿐만 아니라 다른 OSI 응용 프로그램 더 나아가 TCP/IP를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Strong authentication is based on the public-key cryptosystem. Key management is a prerequisite for the use of the public-key crypto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X.509-based EDI Key Management System which uses X.500 directory services for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EDI Key Management System consists of the Key Management Interface, CA's key Management System, CA's DUA, and Public Key Management Client/Server that work together to provide key management services. The Key Management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is designed to be applied to a number of different applications. It can be used by X.400 MHS and other OSI applications, as well as TCP/IP based applications.

      • ISAR Translational Motion Compensation for Efficient Rotational Motion Compensation

        정성은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paper introduces a translational motion compensation method for generating a focused inverse synthetic aperture radar (ISAR) image of a target that has complex motion. Translational motion which is a target motion along radar line of sight (RLOS) and non-uniform rotational motion that causes non-uniform change rate of relative aspect angle between the radar and targets blur the ISAR images. Therefore motion compensation (MOCOM) which is composed of translational MOCOM (TMC) and rotational MOCOM (RMC) is necessary to eliminate those undesired motion components and generate a focused ISAR image. Generally we use the TMC methods that optimize cost functions of the ISAR images, but these methods distort the rotational motion components in received signals and the distortion causes errors during RMC. We proposed a new TMC method that provides data more efficiently to conduct RMC. We use range alignment (RA) an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 to estimate the translational motion of the target and eliminate the translational motion components. The proposed method eliminates only translational motion components and remains the rotational motion without distortion. So after TMC, the RMC works successfully and can generate a focused ISAR image. 역합성 개구면 레이더(Inverse Synthetic Aperture Radar: ISAR) 영상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요동보상(Motion compensation) 과정은 표적의 레이다 가시선(Radar Line Of Sight: RLOS)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거하는 병진운동 성분 보상(Translational Motion Compensation: TMC)과 관측각도 변화율을 일정하게 만드는 회전 운동 성분 보상(Rotational Motion Compensation: RMC)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TMC를 수행하기 위해 ISAR 영상의 비용함수(cost function)를 최적화하는 기법들이 널리 활용된다. 하지만, 상기의 기법들은 TMC 수행 후 회전운동 성분을 왜곡시키기 때문에 RMC을 수행하는데 큰 어려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병진운동 성분 추정에 기반한 TMC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TMC 후 RMC를 성공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한다. 거리정렬 방법(Range Alignment: RA)과 particle swarm optimization(PSO)를 통한 병진운동 성분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존의 비용함수를 기반으로 하는 TMC 기법과 그 성능을 비교한다.

      • 새로운 가교제의 개발을 통한 Polysiloxane 기반의 Hybrimer 수지들의 제작 및 광학적 특성 연구와 Rugate 다공성 실리콘을 이용한 VOCs 센서의 개발

        정성은 조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Chapter 1. New cross-linking agents containing silicon-hydride such as linear hydrosiloxane oligomers were used for the synthesis of phenyl-vinyl-based polysiloxane resins via hydrosilylation reaction. Here, we discovered linear hydrosiloxane oligomers as a new cross-linking agent. Phenyl-vinyl-based oligosiloxanes were synthesized from the reaction of diphenylsilanediol and vinyltrimethoxysilane through a nonhydrolytic sol-gel condensation. Linear hydrosiloxane oligomers were obtained from the reaction of dichlorodimethylsilane and dichlorophenylsilane. Dimethylchlorosilane was used as a terminating group of linear hydrosiloxane oligomers. Structural analysis of phenyl-vinyl-based oligosiloxanes and linear hydrosiloxane oligomers were determined by using 1H-NMR. For the synthesis of polysiloxane resins, the reaction of phenyl-vinyl-based oligosiloxanesane linear hydrosiloxane oligomers in the present of Pt catalyst was carried out. Linear hydrosiloxane oligomers as a new curing agent provided the phenyl-vinyl-based polysiloxane resins showing a good refractive index, high hardness, and great transmittance. Based on this, we developed an optimal cross-linking agent. Chapter 2. Novel photoluminescent distributed Bragg reflector porous silicon exhibiting reflection optical properties were developed and used as chemical sensors.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gradient Rugate-structured porous silicon (PSi) were investigated under the exposure of organic vapors. Rugate PSi samples were prepared by an electrochemical etch of p++-type silicon under the illumination with a 300 W tungsten filament bulb for the duration of etch. The etching solution consisted of a 3:1 volume mixture of aqueous 48% hydrofluoric acid and absolute ethanol. reflectivity were measured under the exposure of organic vapors. The shift of reflection band to the longer wavelength under the exposure of vatious organic vapors was obtained. The detec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using the gradient Rugate PSi had been acheved.

      • 미계측유역의 소수력 발전 잠재량 산정과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래 발전량 전망

        정성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55

        소수력 발전설비는 비교적 간단하며 단기간 건설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다른 대체 에너지원에 비해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다. 수력 잠재량은 하천 유역의 유량을 토대로 추정되어 지며, 유량 자료가 부족하거나 미계측 유역의 경우는 강우량 자료를 기반으로 유량을 산정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유량지속특성 공식을 사용해오고 있는데 이는 연강수량과 유역면적 그리고 유출계수를 이용하여 연평균 유량을 산정하여 해당 위치의 수력발전 잠재량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하천유량에 종속적인 수력발전의 특성상, 유량지속특성 공식의 단일 기법만으로 발전량 추정의 정확성을 담보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측유량이 존재하는 계측유역의 덕송, 한석, 소천 3개 소수력발전소 지점을 미계측유역으로 가정하고, 다양한 유출모형을 적용하여 관측유량에 최대한 근접한 유량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즉, 소수력 발전 잠재량 추정에 적용하지 않았던 가지야마 공식, Modified-TPM 모형 및 Tank 모형을 이용해 유량값을 산정하여 유량지속특성공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산정한 유량값들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순평균법, MMSE, SMA, MSE의 4가지 블랜딩기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소수력 발전 잠재량의 미래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2021년부터 2100까지의 수력 잠재량을 전망하였다. 연구 결과, Tank 모형을 제외한 다른 모형으로부터 산정한 유량값들을 MSE 기법으로 블랜딩하는 것이 미계측 유역에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잠재량 분포를 추정한 결과를 보면, 가까운 미래(2021-2040)는 현재 대비 다소 감소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경우에 따라서는 47.1%까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소수력 잠재량 산정에 적용하지 않았던 유량 산정 모형들과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블랜딩 기법들을 적용하여 보다 정확한 발전잠재량을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그 방법론들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소수력 발전 잠재량 산정의 절차로 향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mall hydropower plant has some advantages such as short construction period and easy maintenance. Also, it has high energy density compared to other alternative energy sources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source. Hydropower potential is estimated based on the discharge in the river basin and the discharge can be obtained from the stage station in the gaged basin. However, if we do not have a station (say, ungaged basin) or enough discharge data, the discharge should be estimated based on rainfall data.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model i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mean annual discharge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it consists of rainfall, basin area, and runoff coeffici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hydroelectric power depending on the discharge, there is a limit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estimating the generated power with only one method of the flow duration characteristic model. Therefore, this study assumed the gaged basins that three hydropower plants of Deoksong, Hanseok, Socheon exist as the ungaged basin and the river discharges were simulated using Kajiyama formula, Modified-TPM model, and Tank model to compare with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model. 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uncertainty of the simulated discharge, four blending techniques of MMSE, SMA, and MSE were applied. Furthermore, the future prospect of hydropower potential was predicted for the period of 2021 to 2100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As the results, There was big difference in the simulated discharges between Tank model and other three models. Therefore, we used three models for blending and found that MSE method is proper for applying to the ungaged basins. And hydropower potential for the near future (2021 to 2040)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overall and the highest increase of 47.1%. So,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for the estimation of the discharge and the small hydropower potential.

      • Cathode/Electrolyte interface engineering using organic molecules for Li-O2 and Li-ion batteries

        정성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현대 사회에서 전기 자동차 시장의 급작스런 성장과 초소형 휴대 전자 기기들의 출현으로 인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원자재 가격이 저렴하고 충방전 수명이 우수한 리튬 전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는 차세대 리튬 전지의 충방전 수명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전해질과 양극 간 계명 제어를 통해 부반응을 막는 것이 필수적이다. 제 2장에서는 리튬-산소에서 가장 큰 이슈인 충전과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heme 구조의 촉매를 양극에 부착하였다. Heme 구조의 리간드를 azide와 thiocyanate로 변형시킴에 따라 Fe 활성점에서의 electrostatic potential이 달라지게 된다. 이에 lewis acidity가 다른 각각의 촉매를 이용하여 과산화리튬 분해 반응이 달라지는 것을 밀도범함수이론 (Density functional Theory)로 계산하였고 lewis acidity 와 충전과전압 감소 및 수명 성능 향상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high-Ni NCM 의 충방전 사이클 중 구조적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pyrazine-linked covalent organic framework (Pyr-2D) 을 high-Ni NCM 의 표면에 코팅하였다. Pyr-2D 는 이온 및 전자 전도도가 있고 매우 얇은 코팅층을 형성 할 수 있어 무기물로 이루어진 기존 코팅 방법에 비해 이점이 있다. 더욱이 Pyr-2D 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NCM 표면에 형성된 preformed TM mixed layer는 Pyr-2D와 더불어 충방전 중에 전이금속 혼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여 충방전 사이클 수명 향상 및 율속 특성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리튬 배터리의 전해질/양극 계면 제어를 위한 촉매 개발과 표면 개질 방법의 논리적 접근 방향을 제시하고 충방전 수명 특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전해질/양극 계면 제어 연구의 발전에 기여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rapidly increasing usag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ic vehicles have consistently demanded high energy density batteries. While commercial lithium-ion batteries (LIBs) are consisted of layered oxide cathode materials, LiCoO2, the low specific capacity (145 mAh g−1) and scarcity of cobalt reserves have arisen the investigations on alternative cathode materials such as oxygen and high-Ni LiNixCoyMnzO2 (NCM). The lithium-oxygen (Li−O2) batteries have been a promising high energy density battery system attributed to the high theoretical specific energy of 3458 W h kg−1. However, their low cycle life originated from the large overpotential has inhibited them from practical use. Especially, the sluggish charging process has derived the charging overpotential larger than that of discharge. Thus, various catalysts were applied to the cathode electrode to reduce facilitate charging of lithium-oxygen battery. In chapter 2, the ligand modified heme catalysts were applied to the cathode of Li−O2 battery to reduce the charging overpotential and enhance the cycle life. According to the applied ligands of heme structure, the lewis acidity at the Fe active sites varied and affected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cells. Furthermore, the origin of the different catalytic activity among various ligands were revealed using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along with each charging steps. In addition, high-Ni NCM have attracted attentions owing to its high specific capacity of >200 mAh g−1 and comparably reasonable price of nickel. However, as the content of nickel becomes higher,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layered oxide decreases due to large volume change of the layer structure, transition metal (TM) mixing and TM dissolution. Thus, the surface engineering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high-Ni NCM without disturbing the electronic/ionic conductivity is crucial in preventing the degradation of high-Ni NCM. In chapter 3, the pyrazine linked covalent organic frameworks (Pyr-2D) were coated on the high-Ni NCM. The Pyr-2D provides electronic/ionic conductive layer on the high-Ni NCM through its unique rigid and porous structure. Moreover, the preformed transition metal mixed layer combined with Pyr-2D showed improved cycle life and rate capability due to prevention of TM mixing and dissolution of transition metal during cycling. This thesis on the cathode catalysts design (chapter 2) and surface modification of cathode materials (chapter 3) would provide logical designing strategies toward electrolyte/cathode interface engineering to enhance the charge/discharge cycle life of lithium batte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