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탁업의 VOC 배출계수 개발

        정선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not only harmful to the human body due to their toxicity, but also are known as ozone precursors. VOCs react with highly reactive substances such as ozone in the atmosphere and are converted into ultrafine dust, which seriously affects air pollution. According to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VOCs are indirect greenhouse gases that affect climate change. VOC emissions are mainly caused by human activities. In Korea, VOC emissions from organic solvents account for 61.5% of total emissions (as of 2013).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e estimate of VOC emissions and emission factors in dry cleaning industry. Because, there is the small amount of VOC emissions in dry cleaning industry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Ship, and painting facilities that emit large amounts of VOC in the industries using organic solvents. However, the solvent used in the Dry cleaning industry is not only discharged into the air without a separate recovery device, but also has a large impact on the human body because it is mainly located in a densely populated city. In developed countries, VOC emission factors are varied according to the emission conditions and activity level, but Korea presents only one of the business standard emission factors. The current emission factor (610.368 kg / yr) developed 14 years ago has been developed a long time ago and does not reflect the recent status of the dry cleaning industry. In order to estimate the correct emissions, a detailed emission factor should be developed for each emission condition. If the amount of textile treated is different, the amount of VOC emissions from dry cleaning business also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categorizes the amount of textile treated into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s and then presents the emission factors for the categorized groups. The activity of the emission factor was developed based on the business like the current emission factor and the textile treated which is most used as an activity in the overseas emission factor. Data which is necessary for the emission factor development are obtained through the survey. Based on the obtained data, the emission factor is developed by the top-down metho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505 samples of the nationwide survey are conducted with the cooperation of Korea Federation of Laundry Service. Statistical programs R 3.4.0 and SPSS 21 a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development of emission factor. The Business base VOC emission factor for dry cleaning business is 332.578~572.662 kg solvent consumption/business·yr. The average amount of solvent consumption is 443.001 kg solvent consumption/business·yr. The amount of textile treated base VOC emission factor for dry cleaning business is 0.031~0.102 kg solvent consumption/kg textile treated. The average amount of textile treated and the emission factor are negatively correlated. To compare the two emission factors, the VOC emission quantity of the entire sample are calculated. As a result, the total VOC emissions of the sample, which is calculated by using the business base VOC emission factor for dry cleaning business, is 223,668 kg/yr. The total VOC emission factor of that, which is calculated by using the amount of textile treated base VOC emission factor for dry cleaning business, is 232,154 kg/yr. This corresponds to 99.98% and 103.77% of the actual VOC emissions of the sample, 223,715 kg/yr. Both emission factors show error rates of less than 5%. Various factors can be used for the activity of VOC emission factor for dry cleaning business.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btained data, the amount of textile treated and business are statistically most significant as the activity. And also,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emission quantity of the sample in this research, the error rate of business base VOC emission factor is less than the error rate of the emission factor based the amount of textile treat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VOC emission quantity using the business base VOC emission factor is more reliable.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은 자체 독성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오존의 전구물질로서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하나이다. VOC는 대기 중에서 오존 등 반응성이 큰 물질과 반응하여 초미세먼지로 전환됨으로써 대기오염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또한, IPCC에 따르면 VOC는 간접온실가스로서 기후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VOC는 주로 산업 활동에 의해 발생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유기용제 사용에 의한 VOC 배출이 전체의 61.5%(2013년 기준)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산업 중 VOC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건축 및 선박, 도장시설에 비해 세탁업에서 발생하는 VOC 배출량 산정 및 배출계수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하지만, 세탁업에서 사용되는 유기용제는 별도의 회수장치 없이 전량이 대기 중으로 배출될 뿐 아니라, 주로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에 위치하고 있어 인체는 물론,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선진국의 경우, 배출 조건과 활동도에 따라 세탁업 VOC 배출계수를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업소 기준 배출계수 한 가지만 제시하고 있다. 기존 배출계수(610.368 kg/업소·yr)는 14년 전에 개발되어 세탁업의 최근 현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배출 조건에 따라 세분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배출량 산정이 어렵다. 정확한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배출 조건별로 세분된 배출계수가 개발되어야 한다. 세탁량이 다르면 세탁업의 VOC 배출량도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세탁량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그룹으로 범주화한 후, 범주화한 그룹별로 배출계수를 개발하였다. 배출계수의 활동도로는 기존 VOC 배출계수의 활동도인 ‘업소’와 해외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세탁량’으로 하였다. 배출계수 개발에 필요한 유기용제 사용량 및 세탁량 등을 세탁업중앙회 의 협조를 얻어 전국의 505개 세탁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데이터 분석 및 세탁업 VOC 배출계수 개발에는 통계 프로그램 R 3.4.0과 SPSS 21을 사용하였다. 업소 기준 세탁업 VOC 배출계수는 ‘0 < 세탁량 ≤ 5,000 kg/yr’ 범주의 세탁업에서는 ‘332.578 kg/업소·yr’, ‘5,000 kg/yr < 세탁량’범주의 세탁업에서는 ‘470.833 kg/업소·yr’으로 개발되었다. 세탁량 기준 세탁업 VOC 배출계수는 ‘0 < 세탁량 ≤ 5,000 kg/yr’범주의 세탁업에서는 ‘0.102 kg 용제 사용량/kg 세탁량’, ‘5,000 kg/yr < 세탁량 ≤ 8,000 kg/yr’ 범주의 세탁업에서는 ‘0.063 kg 용제 사용량/kg 세탁량’, ‘8,000 kg/yr < 세탁량 ≤ 14,000 kg/yr’ 범주의 세탁업에서는 ‘0.045 kg 용제 사용량/kg 세탁량’, ‘ 14,000 kg/yr < 세탁량 ’범주의 세탁업에서는 ‘0.031 kg 용제 사용량/kg 세탁량’으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배출계수의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표본 전체의 VOC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 업소 기준 VOC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총 VOC 배출량은 223,668 kg/yr이며, 세탁량 기준 VOC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총 VOC 배출량은 232,154 kg/yr이었다. 이는 표본의 VOC 총 배출량 223,715 kg/yr의 각각 99.98%와 103.77%로서 두 배출계수를 이용한 배출량 모두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이 영유아 스마트폰 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선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부모와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현황과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을 파악하여 그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 행동을 부모들에게 교육함으로써 자녀들에게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소재한 민간어린이집의 영, 유아반(만0세~5세)에 재원 중인 영유아의 어머니 230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사용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3가지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장인숙(2001)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한주리와 허경호(2004)가 사용한 ‘한국형 이동전화 중독척도’를 박용민(2011)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 여부는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 대응센터’의 스마트폰 중독 체크리스트로 측정해서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와 영유아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현황에 따라 양육 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현황과 영유아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스마트폰 몰입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증과 일원 변량분석(one-way ANOVA)을 하였다.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Scheffe의 사후검정을 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 경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며,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은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과도 정적인 관계를 보여 세대 간 전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세대 간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광주(光州)지역 미술창작스튜디오의 활성화방안 연구

        정선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내의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예술에 대한 지원의 당위성을 확보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단순한 작업 공간에 대한 지원에서 벗어나 국제교류를 통한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시작된 것은 1-2년에 불과하다. 미술창작스튜디오가 실험과 교류의 산실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창작환경 조성과 사회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창작기반이 서울에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에서 창작환경에 맞는 지원시스템을 찾아보기는 매우 어렵다. 지역에서 원활한 창작여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문화예술 인프라구축과 함께 사회적 지원이 동시에 요구되기 때문이다. 광주지역은 타 지역과는 구별되는 미술창작환경과 문화정책적 경향이 나타난다. 1995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광주에 팔각정창작스튜디오가 시의 지원 아래 설립되었고, 이를 시작으로 광주시는 지역의 젊은 작가들에게 작업실 제공과 함께 미술창작지원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그동안 광주시는 6회에 걸친 광주비엔날레를 통해 국제적인 미술도시로 자리 잡았으며, 2006년 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이 시행되고 있어 문화예술의 각계 분야에서 정책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미술창작환경은 광주지역이 창작활동의 새로운 근거지로 발전 할 수 있는 기반이 되며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이를 위한 실천적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도시의 문화예술 환경의 발전으로 성장이 예고되어 있는 광주지역의 미술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점검과 지역적인 한계를 벗어나 국제적인 미술창작스튜디오로 성장할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미술창작스튜디오는 현대미술의 자유로운 실험실로, 국제적인 교류의 산실로서의 새로운 역할을 함과 동시에 문화예술에 대한 중앙편중현상을 해소하고 지역 작가와 지역 미술계에 새로운 활로를 제공하는데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술창작스튜디오가 해외와 지역이 직접적으로 교류 할 수 있는 매개자 역할을 함으로써 광주가 국제적인 현대미술의 중심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지금까지 미술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연구는 시설 및 운영에 대한 실태보고에 치중되어왔으나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에서 벗어나 광주지역 미술창작스튜디오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환경오염 정보 수집을 위한 이동통신 전화기의 활용방안

        정선희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제적으로 스톡홀름 선언, 쿄토의정서 등, 오염물질에 대한 관리‧규제방식의 선진화 요구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총량관리, 배출부담금, 배출권거래제 등 새로운 제도도 모색되고 있다. 그런데 이 같은 환경관리 방식이 사회적 효율성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정책의 집행과정을 지원하는 적절한 감시체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 전화기의 환경오염 관련 諸정보 수집 및 전송 단말장치 활용 상의 유리한 점을 살펴보고 이의 실적용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이동통신 전화기를 환경오염 정보 수집에 활용함에 있어서는, 위치정보 획득, 고속의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 그리고 임의의 프로그램을 탑재, 운용할 수 있는 기능 등이 이미 상당부분 마련, 검증되어 있어 환경오염 정보 수집 단말기로의 활용에 있어 매우 적절하다. 미래 세대로부터 빌려온 환경자원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심각한 훼손 없이 보전하여 물려주는 일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의 의무이다. 이동통신 전화기의 환경오염 위반상황 감시‧적발에의 활용은 직접적인 성과나 효용 이외에도 환경에 대한 주인정신의 강화가 바람직한 문화형성으로 이어져 그 어떤 정책개발이나 시설투자보다도 큰 의미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ternationally, there are new demands for improving of the pollutant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to the advanced way, according to the convention such as Stockholm Declaration, Kyoto Protocol, etc. Thereby new pollutant management system have been sought, such as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Emission charge system, Emission trading system and so forth. But, in order that these system may take a social efficiency, an appropriate monitoring system should be forth beforehand. In this study, several useful factors have been look around and the realizable possibilities have been suggested, in the practical using of PCS Phone to a data terminal equipment as a monitor or telecommunication device in the various pollution situation. the using of PCS Phone for the data acquisition device in the area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very supposed to be reasonable, because the key technologie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and tested commercially, in the phase of gathering of a location data from the phone, delivering of the data in reliable high speed, and installing and operating of various application program in mobile condition. It is an obligation of our own in present generation that make use of the borrowed environment resources suitably and return to the future generation soundly. The using of PCS Phone for a monitoring and exposing of the environmental violation is not only significant to obtain a short term result or effect directly, but also meaningful to make good culture from the host mind of our environment indirectly. And this long term effect means more ultimate to us than any other state measure or facility investment.

      • 김원일과 오정희 성장소설 비교 연구

        정선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장’은 하나의 개체가 성숙한 존재로 발달해 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인간은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 상호작용을 하며 끊임없이 자아를 탐색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성장소설은 자아 정체성 탐구에 있어서 효율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소설 속 성장주체의 삶을 지켜보면서 인물의 삶을 이해하는 동시에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은 생태ㆍ문화적 환경에서 형성된 성별에 따른 역할 차이에 따라 신체적ㆍ정신적으로 성장해 가는 존재이다. 그래서 성장소설 속 성장 주체의 성별에 따른 성장의 차이를 살펴보는 일은 자아 정체성 탐구를 위해 매우 유의미한 일이다. 김원일과 오정희는 성장소설을 통해 남성의 성장과 여성의 성장을 세밀하게 표현한 작가이다. 특히 두 작가 모두 동일한 역사적 체험을 겪었고 이를 작품의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 소설 속 성장 주체들이 대부분 어린 아이라는 점 등은 성장주체의 성별에 따른 성장의 모습을 더욱 면밀히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김원일과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남성과 여성 성장주체들의 성장 특징을 비교함으로써, 성별에 따른 성장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김원일 성장소설에 나타난 남성 성장의 특징은 아버지의 부재로 인해 남성 성장주체의 성장이 생존 욕망으로 귀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6.25 전쟁이라는 사회악과 주변인들의 죽음은 남성 성장주체에게 자아를 각성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아버지를 앗아간 좌ㆍ우 이데올로기에 남성 성장주체는 환멸을 느끼지만, 곧 그 안에서 삶의 방향을 모색하며 자아를 인식한다. 한편, 오정희 성장소설에 나타난 여성 성장의 특징은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 여성 성장주체는 가정 내에서 자신의 존재를 나타내고자 하는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라는 사회악과 주변 여성들의 죽음은 여성 성장주체에게 여성의 정체성을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여성들의 삶을 관찰하면서 자아 탐색으로서 성적 정체성을 확인한다. 이처럼 6.25라는 동일한 역사 체험에도 불구하고 남성과 여성 성장주체들의 성장은 차이를 보인다. 이를 통해 한 인간이 타인들과 동일한 문화권 속에 살아가면서도 성별에 따라 외부 환경을 다르게 인식하고, 성역할을 배우며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원일과 오정희 성장소설 비교 연구를 통해 청소년들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도움을 주는 성장소설의 가치가 더욱 확장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또한 앞으로도 성장소설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져 청소년들에게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 저소득층 자녀 정보화지원사업이 학생들의 정보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정선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 of education information project on the growth of information acquisition capability of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To do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re created. First, what effect does the education information project have on the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access to information? Second, what effect does the education information project have on the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awareness of information? Third, what effect does the education information project have on the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usage of information? Fourth, what effect does the education information project have on the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application of information? Fifth, what effect does the education information project have on the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extent of an addiction to the interne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714 student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located in Haman-gun, Masan-si, and Jinhae-si, Gyeongsan gnam-do. The respondents were consisted of 438 male students (61.3%) and 276 female ones (38.7%).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s, the respondents were consisted of 295 middle school students (41.3%), 185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25.9%), and 116 students who were attending an academic circle (16.2%), 118 ones attending a technical circle (16.5%), among the general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grade, they were consisted of 210 first graders (29.4%), 304 second graders (42.6%), and 200 third graders (28.0%). 123 students (17.2%) were living with their parents. In terms of financial status, 497 respondents (69.6%) were average, 61 ones (8.5%) are relatively rich, and 156 (21.8%) were relatively poor. 117 respondents (16.4%) were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and 597 ones (83.6%) were general. The data was analyzed by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15.0 Version) for Windows.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α=.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access to information, whether households use a computer and internet, how parents consider their children's use of a computer and internet, how much parents use a computer and internet, where to install a computer, how many days and for what they use a computer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and how they cope with when they cannot use a computer or internet at home, were surveyed. 100% of the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and 96.6% of general students owned computers, and 94.0% of both parties, respectively, used the internet. All parents tried to prevent their children from using a computer and internet. General students' parents used a computer and internet more than the low income parents. Computers were generally installed in the students' rooms (45.4%). 51.1% of the respondents used for more than two days a week, for one to two hours. They usually used a computer for the purpose of watching a movie or listening to music (75.5%), and then searching data for study and using educational programs (27.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sing a computer during weekdays between two groups. 93.4% of the respondents used their computers during weekends, for two to four hours a day, which showed they used more than during weekdays. They usually used a computer for watching a movie or listening to music. Both of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in using a computer during weekends and weekdays. In case they could not use a computer or internet at home, 368 respondents (51.5%) said 'they just did not 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The foregoing result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access to information. Second, for awareness of information, awareness of the meaning of 'information literacy' or 'information society,' an influence of a computer or internet upon studying, an opposite effect of games or chatting on studying, the actual state of education by means of a computer or internet, and participation in information education through a computer or internet, were examined. 56.3% of the respondents knew about the meaning of 'information literacy' or 'information society' to some degre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p<.05). Use of a computer or internet was found relatively useful for study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The respondents' studying was not affected by games or chatt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62.0% of the whole respondents had an information education for how to use a computer or internet, but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showed lower participation than general students (p<.01). Information education was usually implemented in school. The reason why they did not learn how to use a computer was they did not recognize its necessity. Participation in information education by means of a computer or internet was very low.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The foregoing result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awareness of information. Third, for usage of information, experience of a remote education by means of a computer or internet, the usage level of a computer or internet by purpose, and change in life pattern due to use of a computer or internet, were examine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experience of a remote education by means of a computer or interne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On-line games were used most, followed by searching daily life information and chatt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usage of a computer or internet,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The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ability in computer games, followed by multi-media programs and present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literacy of a computer,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In terms of change in life pattern due to use of a computer or internet, the extent of getting a knowledge of various news was highest, followed by searching and learning necessary information and dat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Fourth, for an application of information, whether to use a bookmark, capability to teach and learn through the internet, literacy of a computer and internet, were examined. Most of students used a 'bookmark' of a web browser pr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respondents. The most websites registered on a bookmark were movies or music for both of two groups. The respondents' capability to learn through the internet was not gre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Their ability to search through the internet was high.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Their literacy of a computer was 2.95 on the average, which is low level. Students showed the highest ability in computer games, followed by multi-media programs and presentation. There was, however, no difference in literacy of a computer,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Their literacy of internet was 3.31 on the average, which is relatively high level. Students showed the highest ability in internet-based multi-media, followed by data and information search, on-line games and chatt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teracy of internet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Fifth, in terms of an addiction to the internet by means of K-scale Youth Self Test, general user group covered 83.2% of the whole students.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covered 88.0%, and general students, 82.2%. Potential risk group covered 13.4% of the whole students, among them 11.2% were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and 13.9% were general students. High risk group covered 3.4% of the whole students, among them 0.8% were low income household students, and 3.9% were general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addiction to the internet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 상업계고등학교 회계수업만족도에 관한 실증적연구

        정선희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lected 293 students from three commercial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as a population by convenience sampling; then, visits were performed to those three schools (Bundang Information Industry High School, Songgok Girls’Information Industry High School, Incheon Information Industry High School) from October 24 to 31, 2007 to ask the students to complete a designed questionnaire by a self-administration method through the help of teachers in charge of the subject of accounting, with those completed questionnaires collected immediately at the spot.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method an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the research began with the assumption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classes by major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As for majors and facilities in surrounding environment, satisfaction with classes was most significant by majors and ha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On the basis of variables set by prior researches, this study sets and analyzes the following hypotheses. 1.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classes by majors (accounting, trade, administration, etc.) at commercial high schools (Results of Hypothesis 1) After carrying out one-way ANOVA to se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classes by majors according to properties of majors (accounting, trade, administration, etc.), satisfaction with classes was found to be highest in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2.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classes accor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 of commercial high schools (Results of Hypothesis 2) After carrying ou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see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classes according to surroundingenvironment including teaching-learning methods, lecture rooms, and practice rooms for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classes was found to be highest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llowed by practice rooms and task evaluation. After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to see effects of such surrounding environment on satisfaction, factor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ask evalu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classes. 3.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classes by gender of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of Hypothesis 3) After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to see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classes by gender, which i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respondents, boys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nature of accounting classes than girls,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4.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classes by regional factors of commercial high schools (Results of Hypothesis 4) After carrying out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to see satisfaction with the nature of classes by regions,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classes was found to be highest in Gyeonggi Province, followed by Incheon and Seoul. Of independent variables of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classes, first, satisfaction with teaching-learning methods was highest in Incheon, followed by Gyeonggi Province and Seoul, in terms of regions. Second, satisfaction with practice rooms was also highest in Incheon, followed by Gyeonggi Province and Seoul. Third, satisfaction with task evaluation was highest in Gyeonggi Province, followed by Incheon and Seoul. 5.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classes by grades at commercial high schools (Results of Hypothesis 5) After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to see satisfaction with the nature of accounting classes by grades, it was found to be highest in the tenth-grade, followed by twelfth- and eleventh-grade, which was true to satisfac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education for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and makes up for insufficient parts of the education to performdesirable accounting educa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it only performed empirical analysis of a narrow-range sample by designating one school in each region. Although it was necessary to get a larger amount of data from questionnaires than now, the short period of research and incompete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er made it difficult to draw more efficient and significant results of stat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efficient researches by collecting data from a nationwide survey for empirical analysis rather than being restricted to a narrow sample on the basis of a more strategic method. 이 연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상업계 고등학교 재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표집방법은 편의 표본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293명을 최종적인 대상자로 선정한 후 설계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2007년 10월 24일부터 2007년 10월 31일까지 서울특별시지역 및 경기도, 인천광역시의 3개 상업계 고등학교(분당정보고등학교, 송곡여자정보고등학교, 인천정보산업고등학교)를 방문하여 회계과목을 직접 가르치는 선생님의 협조하에 학생들로부터 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에 즉시 회수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 및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회귀 분석 및 일원변량분석에 의한 분석을 하여 보면, 전공과 주변 환경에 따른 수업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전공과 주변 환경 시설을 조사한 결과, 이 중에서 전공에 따른 수업 만족도가 가장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환경은 유의적인 부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설정된 변수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기로 한다. 1. 상업계 고등학교 전공(회계, 무역, 경영, 기타)에 따른 회계수업만족도의 차이(가설1의 결과) 전공자의 전공 특성(회계, 무역, 경영, 기타분야)에 따른 전공자별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업만족도는 회계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상업계 고등학교 주변 환경별에 따른 회계수업만족도의 차이(가설2의 결과) 상업계 고등학교 재학생의 교수수업방법과 강의실 및 실습실인 주변환경에 따른 회계수업 만족도의 결과를 알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계수업의 만족도는 교수수업방법, 실습실, 과제 시험 평가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런 주변 환경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수업방법과 과제시험평가 요인이 회계수업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3. 상업계 고등학교 재학생 성별에 따른 회계수업 만족도의 차이(가설3의 결과)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에 따른 회계수업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회계수업의 수업성격에 대해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을 알 수 있다. 4. 상업계 고등학교 지역별 요인에 따른 회계수업 만족도의 차이(가설4의 결과) 지역에 따른 수업성격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계수업의 만족도가 경기도,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계수업 만족도의 독립변수로 첫째 교수수업방법을 살펴보면 학교가 있는 지역에 따라 인천광역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순으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실습실에 대한 만족도 또한 인천, 경기도, 서울시 순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과제시험평가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경기도, 인천광역시, 서울시 순으로 나타났다. 5. 상업계 고등학교 학년별에 따른 회계수업만족도의 차이(가설5의 결과) 학년에 따른 회계수업성격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주변 환경에 따른 만족도 또한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업계 고등학교 재학생들의 회계교육 만족도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결과로 부족한 부분의 회계교육을 채워 바람직한 회계 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표본 집단의 각 지역별로 한군데의 학교를 지정하여 표본집단의 범위가 작은 실증분석을 추진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설문지의 수집 자료량이 현재보다도 더 많았어야 함에도 촉박한 연구기간의 제약성과 연구자의 역량 및 한계성으로 인하여 보다 더 효율적이고 유의적인 통계결과를 도출하는 데는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보다 계획적인 연구방법에 의거 좁은 표본 집단에 한정하지 않고 전국적인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실증 분석을 하여 보다 더 효율적인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순간 속의 만남 : 감정의 환기

        정선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evocation of feelings' that emotions existing as a part of memory come out against in the present 'moment' through objects encountered accidentally is described. This is a restoration of past feelings hidden in unconsciousness from the presently-existing objects in the flow of time. This evocation of feelings is a phenomenon from accidental encounter with an object and induces uncovering of past emotions. And the uncovered feelings are gradually shown up as a scenery surrounding one's body like an invisible screen, functions as an circumstance that he/she is temporarily absorbed into internal feelings in daily life. I focuses on the objects that make one experience past feelings through accidental encounter, and select matters having a property that can present similar situations as materials. Through my works, I attempt to evoke feelings again and make a moment of encounter with the present I, the past I, and memories. Emotions as a party of memory gradually lose or change, and they do not repeat as the same appearance because they appear temporarily. People try not to lose their memory as time flows and sometimes want to their past rime even for a short while. In the moment passes by, I try to encounter with a moment of the past from an object recalling the past feelings. Although a 'moment' does not appear something that clearly exists such as an object or a place, its duration makes time. A moment appears only in a moment in the present, disappears again in no time, and then appears shortly in a temporary state. Meanwhile, a moment forms the past through duration, creating factors consisting of memory, emotion, and personal history. I, therefore, attempt to describe the shape of a 'moment' through changes in matters, selecting matters changing continually and being similar with the attribute of time. In the first chapter, I search materials with temporary attribute and the meaning of repetition and rotation caused by such materials. In the second chapter, I explain feelings, senses, and memory, and deal with face-to-face based relationship between feelings recollected from memory related to specific objects and oneself. The present life is based on the past experience, and emotions control life as a basi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present oneself. Emotions sometimes recall the past feelings through an objects that one sees in the present. I experienced such encounter from the natural phenomena 'air' and 'light,' and would explain what meanings the two have and how they are effective. In the last chapter, I consider the process in which the past feelings are evoked by encounter with matters through analyzing my works, a theme I have tried to search continually. The present 'represented feelings' that are similar with those experienced in the past create an invisible circumstance made by emotions and make one stayed in it, a phenomenon caused by one's internal desire that wants to experience the passed past. This attitude makes one be absorbed into one's internal memory detached from daily life by oneself, and a moment of encounter with oneself in the past in the scenery of recalled emotions. 본 논문에서는 우연히 만난 대상을 통해 과거의 기억의 일부로 존재하던 감정이 현재라는 ‘순간’에 다시 나타나는 '감정의 환기' 상태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시간의 영향으로 모든 존재가 서서히 흐려지는 지속적인 흐름 속에서 현재 존재하는 대상으로부터 무의식 속에 잠재해 있던 과거의 감정을 다시 되살린다. 이러한 감정의 환기상태는 대상과의 우연한 만남으로 인해 비자발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감정 그 자체가 스스로 드러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유발된 감정들은 마치 보이지 않는 하나의 막처럼 신체를 둘러싸는 풍경이 되어 서서히 피어오르며, 일상을 벗어나 잠시 내면의 감정 속으로 몰입하도록 하는 환경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인은 이처럼 우연한 만남을 통해 과거의 감정을 환기시키는 대상에 주목하였으며, 이와 유사한 상황을 제시할 수 있는 성격을 지닌 물질을 재료로 선택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인의 작품에 사용된 대상을 통해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유발되었지만 무의식 속에 존재하던 감정을 다시 일깨우고, 현재의 자신과 과거, 그리고 내면과의 만남의 순간을 이룰 수 있도록 환경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억의 일부로 존재하는 감정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점차 유실되거나 변화한다. 또한 한 때의 일회적인 속성으로 나타나기에 결코 동일한 모습으로 반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많은 이들은 시간의 진행 속에서 자신의 기억을 잃어버리지 않고자 노력하며, 과거의 시간을 잠시나마 다시 만나고자 하는 소망을 지니고 있다. 그리하여 사라지는 순간 속에서 본인은 과거의 감정을 되살릴 수 있는 대상을 통해 과거의 한때와 다시 만남을 이루려 노력하는 것이다. 곧 사라질 '순간'은 어느 한 대상이나 지점처럼 명확하게 존재하는 무엇으로 나타나진 않지만 그 순간의 지속으로 인해 시간의 흐름을 만들어낸다. 항상 흘러가기에 현재의 찰나로 드러나는 한 순간은 어느새 다시 이러한 흐름 속으로 사라진다. 한편 순간은 지속적인 축적과정을 통해 과거를 형성하고, 그 안에는 기억, 감정, 그리고 개인의 역사가 담겨있다. 따라서 본인은 시간의 속성을 닮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유동하는 성격의 물질을 재료로 선택하여 물질의 변화를 통해 '순간'의 모습을 그려내고자 했다. 본론 첫 번째 장 '기록된 순간'에서는 일시적인 속성을 지닌 재료에 대해 탐구하고, 이런 물질들로 인해 발생하는 반복 행위와 순환의 의미를 찾아보도록 한다. 두 번째 장 '감정의 지속'에서는 감정과 감각, 기억에 대해 설명하고 특정 대상에 얽힌 기억으로부터 유발되는 감정과 자신과의 대면 관계에 대해 다룰 것이다. 현재의 삶은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지나간 감정 역시 자신의 현재 상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토대가 되어 삶을 움직이는 일부로 작용한다. 한편 과거에 경험한 감정은 때로 현재의 순간 마주한 대상을 통해 다시금 유사하게 나타난다. 본인의 경우 이러한 마주함을 '공기'와 '빛'이라는 자연적인 현상들과의 만남으로 경험하였으며, 본문에서 두 요소가 어떻게 본인에게 감정의 환기작용에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설명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감정의 환기'에서는 개별 작품의 분석을 통해 지속적으로 본인이 탐구하고자 했던 물질과의 만남으로 이전의 감정을 일깨우는 과정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과거에 경험했던 감정과 유사하게 나타난 현재의 ‘재생된 감정’은 지나가버린 과거를 다시 경험하길 바라는 내적 요구로 인하여 감정으로 만든 보이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고 머무르도록 한다. 이러한 행위는 스스로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내면의 기억 속에 몰입하도록 하여 되살아난 감정의 풍경 속에서 일시적으로 지나간 과거의 자신과 만남의 순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 성인지적장애인의 용언 활용 특성

        정선희 용인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지적장애인과 언어연령일치아동을 대상으로 용언 활용의 정확도를 형태적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2-3급의 성인지적장애인 10명과 이들과 언어연령일치아동 10명으로 총 20명이었다. 연구 과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용언 활용 정확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용언 활용 정확도 검사는 10개 용언, 5개의 어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용언과 어미 결합을 정확히 활용하는가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언활용 정확도 총점에서 성인지적장애 집단은 평균 35.90, 표준편차 12.574이고, 언어연령일치집단은 평균 46.40, 표준편차 2.591로, 용언 활용 정확도 총점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용언의 규칙성 여부에 따른 용언 활용 정확도에서는 성인지적장애 집단, 언어연령일치아동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규칙성 여부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과 규칙성 여부 간 상호작용 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데, 규칙 용언 활용 정확도보다 불규칙 활용 정확도에서 상대적으로 집단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규칙성 여부에 따른 용언별 용언 활용에서는 규칙 용언 ‘넣다’, 불규칙 용언 ‘짓다’, ‘걷다’, ‘귀엽다’, ‘색칠하다’, ‘파랗다’에서 성인지적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아동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용언 활용 정확도를 어미별로 살펴 본 결과 연결 어미에서는 ‘니까’와, ‘면’에서 성인지적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아동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성인지적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아동 집단은 오류 유형별 빈도와 오류율의 순서에는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 가지 특이한 사항은 보조용언 사용과 용언대치 오류가 성인지적장애 집단에서만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 성인지적장애인이 언어연령일치아동에 비해서 용언 활용의 정확한 사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불규칙 용언 활용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아동들이 용언 활용에서 규칙적인 것은 어느 정도 습득도 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도 있지만 불규칙 용언의 활용에서는 성인기가 되어서도 여전히 어렵고 실수를 하므로 지적장애아동 중재에서 불규칙 용언 활용의 측면을 지속적으로 관심있게 지도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curacy in the production of  iInflected predicates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rdinary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with a focus on morphological asp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20 persons including 10 adults with second to third degre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0 ordinary age matched children. For the research task, we performed test of accuracy in the production of predicates. The test of predicate utilization consisted of 10 predicates and 5 endings. The test measured the accuracy of combination between those predicates and e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a mean score of 35.90 and standard deviation of 12.574 in total score for accurate production of predicates. Meanwhile, the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group showed a mean score of 46.40 and standard deviation of 2.591, suggesting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otal scores for accurate production of predicates.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group in total scores for accurate production of predicates based on regularity of predicates. Moreover, a difference was found to exist between the two groups in regularity. Furthermo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effect of interaction based on group and regularity. A relatively large difference was found to exist between the two groups in accuracy of production of irregular predicates, compared to the production of regular predicates. In terms of production predicates by predicate depending on regularity,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group in the words, such as a regular predicate 'insert', and irregular predicates 'build', 'walk', 'cute', 'paint colors', and 'blue'. Third, when we examined the accuracy in the production of predicates by end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nection ending such as 'nikka (so)' and 'myeon (if)'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Fourth, no difference was found to exist betwee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group in terms of frequency by error type and order of error rates. Particularly, auxiliary predicate utilization and predicate substitution error were observed only i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difficulty with accurate production of predicates more than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did, and showed more production of irregular predicates. In conclusi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imply that guidance should be offered to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linguistic difficulty during intervention constantly with interest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of irregular predicates, considering that they still make mistakes in the production of irregular predicates even when they become adults, although they can learn the way to production regular predicates to some degree and can utilize regular predicates accurately.

      • 노인 입원환자의 퇴원 시 간호요구

        정선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인 환자에게 질적으로 우수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간호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노인 입원환자의 퇴원 시 간호요구와 노인환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를 파악하여 노인환자의 간호요구에 적합한 퇴원계획을 세울 수 있는 기초적 근거가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G시의 D대학병원에 입원 중으로 퇴원 예정이거나 퇴원을 예고 받은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 153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0년 3월 30일부터 4월 23일까지 였으며,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 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이용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이선자 등(2001)이 개발한 퇴원 시 간호요구 사정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입원과 퇴원관련 특성, 질병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퇴원 시 간호요구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퇴원 시 간호요구 차이는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간호요구 점수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51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간호요구를 보였다. 영역별로는 사회정서적 간호요구가 평균 3.82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정보적 간호요구가 3.47점이었고, 신체적 간호요구의 점수가 3.24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종교(F=3.271, p=.023)와 병원에 상주한 보호자(F=3.537, p=.009)에 따라 간호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 영역별로는 종교(F=7.713, p=.000), 성별(t=-2.310, p=.022), 연령(F=2.794, p=.042)에 따라 사회정서적 간호요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병원에 상주한 보호자에 따라서는 신체적 간호요구(F=10.060, p=.000)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입원기간(F=6.203, p=.000), 퇴원통보시(F=13.245, p=.000), 퇴원장소(F=7.954, p=.000), 퇴원 후 주 돌봄(F=3.887, p=.010)와 퇴원시기 적절성(t=-3.495, p=.001)에 따라 간호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 영역별로는 입원기간, 퇴원통보시기, 퇴원시기 적절성에 따라 정보적, 신체적, 사회정서적 간호요구 등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퇴원장소에 따라 신체적 간호요구(F=13.033, p=.000)와 사회정서적 간호요구(F=5.375,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입원경로(F=2.349, p=.020)와 퇴원 후 주 돌봄자(F=9.412, p=.000)에 따라서는 신체적 간호요구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동반질환(F=2.858, p=.039)에 따라 간호요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 영역별로는 동반질환에 따라 신체적 간호요구(F=3.013, p=.03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수행능력과 간호요구(r=-.439, p=.000)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하위영역별로도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정보적(r=-.226, p=.000), 신체적(r=-.639, p=.000), 사회정서적 간호요구(r=-.250, p=.000)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노인환자의 간호요구는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노인의 특성에 맞는 체계화된 퇴원간호 계획이 필요하며, 특히 사회정서적 간호요구에 부합되는 간호중재가 포함된 퇴원계획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ursing needs of the elderly inpatients aged over 65 at the discharge stage of hospitalization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elemental information for discharge plan program. The sample consisted of 153 inpatients who have been in hospital before leaving hospital or have been informed of the discharge day at D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oyang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th of March to 23rd of April 2010 through face-to-face interview. Main research tool used was the instrument of nursing need measurement (Lee et al, 2001).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applied using SPSS WIN 17.0 Program to analyze the data. In addition was applied Duncan in the post-hoc test.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below: 1. With regard to the nursing needs scored at an average of 3.51 out of 5. The emotional and social needs scored highest at 3.82 followed by informational needs at 3.47 and physical needs at 3.24. The physical needs scored the lowest among the different nursing needs measured.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ligious background(F=7.713, p=.000), sex(t=-2.310, p=.022) and age(F=2.794, p=.042) of the patient in the nursing needs on emotional-social, according to care giver for admission stage in the nursing needs on physical(F=10.060, p=.000)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care needs according to length of hospitalization, discharge notice day and the propriety of discharge period .The discharge destin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nursing needs score for physical(F=13.033, p=.000) and emotional-socal needs(F=5.375, p=.002). According to admission pathway(t=2.349, p=.020) and care giver after discharge(F=9.412, p=.000) affected difference in the nursing needs on physical.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diseases in the nursing needs on physical(F=3.013, p=.032). Relation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are needs of the elderly pati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with total nursing needs(r=-.439, p=.000), informational needs(r=-.226, p=.000), physical needs(r=-.639, p=.000) and emotinal-social needs(r=-.250, p=.000)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different nursing need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atient. Emotional-social nursing needs should be given more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nursing plans, and systematic nursing suited for the elderly inpatients should be provided at the discharge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