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일 고찰

        정선례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금 한반도는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고 남북간의 화해 시대로 접어들고 있으나 우리의 통일교육은 예전의 냉전적 사고 틀에서 형성된 관행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학생들은 급격히 변해가고 있는데 아직도 통일교육은 학생들의 피부에 와 닿지 않는 체제비교, 이론주입교육에 머물러 있다. 진정한 통일교육의 부재라고 진단할 수 있는 현실을 개선하여 이제 남북의 화해, 평화통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통일교육의 새로운 모습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노력이 우리 교사들의 주도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통일교육의 현실적 문제점을 짚어보고 화해, 평화통일을 위한 바람직한 통일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먼저 현행 학교 통일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해 본 것은 첫째, 학교 통일교육의 영향력이 상실된 이유 둘째, 통일교육 관련 교과서 내용상의 문제 셋째, 학교 통일교육 과정의 문제로서 체제비교 중심의 교육과정과 도덕과 중심의 교육과정 넷째, 교수학습 방법상의 문제 다섯째, 타성화된 통일 행사이다. 민족화해를 위한 통일교육에서는 화해교육의 필요성과 사고의 전환 그리고 자주교육과의 관련성과 함께 평화와 공존을 위한 통일교육과 북한이해교육의 내용을 담았다. 아울러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될 수 있는 통일교육의 방법으로 훈화 및 이야기 자료와 조사활동자료 그리고 영상 및 참여식 학습자료를 제시한다. 통일을 자신의 삶과 연관지어 생각하는 학생들을 찾아보기 힘든 현실에서 통일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새롭게 만들어 나가야 할 우리 교사들의 어려움과 고민은 클 수밖에 없다. 더구나 통일 논의의 제한이 여전하고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교육 주체의 자율성이 한정되어 있는 여건 또한 학교 통일교육을 타성과 관행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그런 의미에서 통일시대의 주인공인 학생들이 통일 지향적 가치관과 삶의 양식을 갖게 하고 통일을 앞당기기 위해 노력하는 마음의 자세를 배양하기 위한 화해와 평화를 위한 통일교육은 그 필요성이 더욱 요청되는 시점이라고 하겠다. Our curren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s stayed in a typical routines which have been formed by cold war way of thinking and framework in the former times, notwithstanding the south and north summit talk is opened and it is approaching at national reconciliatory era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the students are remarkably changed, but the curren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does not still reach directly to students mind and has been concentrated on cramming education like political system comparis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the absence of real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we teachers hav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a new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curriculum bring the new paradigm for accomplishment of reconciliation and peaceful unifi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t makes new attempt to point out the actual problems of curren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progressed so far and it suggests the new alternative of education how to carry out the racial reconciliation and peaceful unif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the future. First of all this study represents the problems which are pointed out as below for curren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First problem is that the influence on curren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s loosing. Second problem is that the textbook contents deficiency in relation with unification education. Third problem is that the comparison curriculum of political system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and morality oriented curriculum as the things derived from the course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Fourth problem is that the conventional tutorial method supplied for students in current unification education curriculum Fifth problem is that the typical and stereotyped unification demonstrations and events without new encouragement to participants. The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suggested in this study contains both the necessity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for racial reconciliation and the innovative change of way of thinking for a national reconciliation together with understanding the north Korea as well as unification education for peaceful coexistence based on self reliance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is study recommends the practical tutorial materials and applicable alternative methods such as the discourses, a talk data, an investigation activity data, video data and a participant studying data which are useful to real school education curriculum. Under the current difficult circumstance, we scarcely find a few students who think of our country unification in relation with their actual life and we our teachers may have difficulty with the agony in innovating the textbook curriculum and method for the conventional unification education. It may be more difficult circumstances such as the limit of opening discussion on the country unification and the autonomic education programming on the school education curriculum to be free from the stereotyped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Finally it may be stated that the future subject will be the establishment of our people consensus for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by making the unification education be generalized and civilized for peaceful unification and racial reconcilable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