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국과 중국의 관계변화가 한국의 안보정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상순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중관계는 국제질서뿐만 아니라 한반도 안보의 핵심 변수로서 매우 중요하다.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는 중국의 부상에 따라 새로운 도전과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은 미중관계의 특성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 향후 안보전략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국가전략과 국제질서에 대처하는 행동양상을 분석하고 미중관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들을 파악하여 한국의 국익을 위한 전략적 선택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미중관계는 중국의 급속한 경제력 성장에 따라 과거와는 다른 강대국 간 경쟁이라는 새로운 관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및 세계질서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미중관계는 당분간 서로의 필요에 따라 상호협력을 추진하면서도 가치와 이념 그리고 국가이익의 상대성에 따라 갈등적 관계가 표출되기도 하고 때로는 협력 및 대립 관계가 전개되기도 하는 등 불안정한 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중국은 대내외적으로 ‘안정과 성장’ 위주의 국가전략을 채택하여 세계 제1위의 경제대국 지위와, 아시아지역 내 군사적 우위 유지 등으로 국제사회에서 준(準) 초강대국으로서 미국과 영향력 경쟁을 시도되면서 상호간 힘의 경쟁관계를 가속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대(對)한반도 정책 목표는 대북억지를 통한 안정과 평화 유지에서 대량살상무기의 비확산, 지역안보구도의 형상유지와 조정 등 상황에 따라 유연성 있게 대처할 것이며, 미국의 세계 전략과 부합되는 방향으로 변화될 것이다. 미국의 입장에서 보면 한․미관계는 대북문제를 넘어서 지역안보구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자리 잡고 있고, 중국문제 또한 한․미 양국의 중요한 전략적 이슈로 부각될 것이다. 아울러 중국이 한반도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전략목표는 중국의 경제발전과 정치․사회 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안정과 평화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며, 신장된 국력을 바탕으로 한반도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한반도 문제가 중국의 이익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해결되도록 유도하고 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발언권을 확대하여 ‘책임대국’의 면모를 과시하고, 국가위상 제고 및 국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것은 천안함 사태에서 보듯 명약관화하다. 중국의 대외정책 전망은 기존 외교정책의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한국을 자국의 경제발전 및 동북아의 평화․안정 유지를 위해 필요한 전략적 협력자로 인식하고 있으며, 집단지도체제로 정책을 결정하는 국가 시스템의 성격상 對한반도 정책의 급격한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의 전략적 선택방향은 미국 중심의 안보협력체제와 중국 중심의 경제협력체제 발전이라는 복합적 안보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해야 한다. 향후 장기간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가 유지된다는 현실을 인식하고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한 안보체제를 유지하고 강화해야 한다. 그러나 한미동맹은 새로운 안보여건과 한국의 위상에 맞게 변화와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한국은 중국과 경제 및 사회 중심의 협력체제를 보다 강화하여 상호간 협력을 공고히 하고 불신을 제거하는데 활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호 협력 관계에 걸맞게 정치, 군사적 협력관계도 적극 발전시킬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미중관계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발전되는 양자 및 다자관계, 잠재적 강대국 간의 관계를 중시하여야 한다. 강대국 관계의 변화와 새로운 다자협력체제 등을 활용하여 영토 및 해양 관할권 획정문제 그리고 북한문제 같은 안보현안을 순기능적으로 해결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21세기 미중관계의 변화에 따른 지역 및 국제질서는 한국의 안보에 기회와 도전을 동시에 부여할 것이기 때문에, 한국은 이에 유연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가 미중관계변화가 한국의 안보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새롭게 인식하고 한국의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발전시키는 데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Relationship between Us and China is very important for international order and a critical factor in Korea's security. Americanized international order is facing critical changes due to rise of China's power. Therefore Korea should clearly understand distinctiveness of US-China relationship and prepare for security policy hereafter. This paper analyzed US and China's strategy and actions, figured out factors that effect US-China relationship, and present Korea's strategic decision based on method of assay. Due to China's fast economic growth, US-China Relationship has evolved to competition between two super powers and it leads the changes internationally and locally. The result of this paper can assume the relationship will show both mutual cooperation and conflicts based on differences in interests. From now on, China has set national strategy based on 'Stability and Growth' to obtain the strongest economy and military advantage in Asia and will compete between two countries as a sub-super power. America's policies toward Korean Peninsula has been carried out for stabilizing peace through deterring North Korea to anti-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and stabilizing local security state and the policies have effected on America's international strategy. In America's stance, ROK-US relationship is a critical variable on local security state rather than just a North Korea issue, so China issue can be a critical factor in ROK-US Relationship. Also, China's strategy on Korean Peninsula is to stable political and social issue and deter from any hindering their economic growth.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 power, China will actively intervene in issues of Korean Peninsula and lead them in the way that outcomes are to be positive to China, increase their impacts on Korean Peninsula as a 'Responsible Big Brother', improve national status in the world, and maximize national interest. China's international strategy is expected to be same aspect, which is recognizing Korea as a necessary partner for economy and stabilizing peace in North East Asia. Also, radical changes in strategy on Korea is not expected since group of leaders decides the policies regarding Korean peninsular. Therefore, Korea needs to construct the integrated security cooperation system that contains security cooperation with US 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and able to apply the system with flexibility. For next few decades, Korea must realize that US is still in charge of international orders and needs to strengthen the alliance with America. However, ROK-US Alliance should be changed and developed to the next level by the new security environment. Korea and China should strengthen economic relationship in order to discard any mistrust between two countries. Also, they need to solidify political and military cooperations too. Korea should utilize US-China relationship, and have multiple relationship among countries that have national interests in North East seriously because they effect Korea's territory, on land and sea, and security issues like nuclear problems.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paper emphasizes on the security of Korea's opportunity and challenge that depends on changes in US-China relationship and international order in 21st century, and stresses that Korea needs to confront the issues with flexibility and aggressiveness.

      • 어머니 양육태도와 영아기질의 보육시설 적응에 대한 관계

        정상순 군산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3개월~24개월 영아의 배경변인에 따라 보육시설 적응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어머니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이 보육시설 적 응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의 배경변인에 따라 보육시설 적응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2. 어머니 양육태도와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간 관계는 어떠한가? 3. 영아의 기질과 보육시설 적응간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라북도 군산 시에 위치한 21개소 가정보육시설 어린이집의 13개월~24개월 영아 1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는 어머니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을 측정하는 어머니용 질문지, 보육시설 적응을 측정하는 교사용 질문지이다. 수집된 자료에서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원변량분석과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배경변인에 따라 달라지는 보육시설 적응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공격성이 더 낮은 적응 정도를 보였다. 월령에서는 친사회적 행동과 일과에 대한 적응에서 13개월~18개월이 19개월~24개월에 비해 더 낮은 적응정도를 보였다. 자녀수와 출생순위, 어머니의 학력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연령에서는 긍정적 감정과 분리불안에서 35세 이상, 30~34세가 29세 이하의 어머니를 둔 영아들에 비해 유의하게 더 낮은 적응정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 양육태도와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간 관계에 대한 결과를 보면 애정적 태도를 주로 더 사용하였으며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 순으로 사용하였고, 거부적 태도를 가장 적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에서는 공격성, 자기 주도성, 친사회적 행동, 일과에 대한 적응, 분리불안, 긍정적 감정 순으로 부적응을 크게 나타내었다. 자율적 태도는 보육시설 적응의 하위요소 중 분리불안에 대해 유의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통제적 태도는 보육시설 적응에 대해 유의한 상관관계를 이루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태도가 보육시설 적응의 하위요소 중 친사회적 행동, 긍정적 감정, 자기 주도성, 일과에 대한 적응, 공격성에 대한 예측력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분리불안만이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에서 유의하게 밝혀졌다. 셋째, 영아의 기질과 보육시설 적응간 관계에 대한 결과를 보면 생리적 규칙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분, 적응성, 접근성 순으로 반응강도가 가장 낮은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영아의 기질의 하위요인 중 생리적 규칙성은 보육시설 적응의 친사회적행동, 긍정적 감정, 자기 주도성, 일과에 대한 적응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은 보육시설 적응에 있어 분리불안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적응성은 보육시설 적응의 일과에 대한 적응, 공격성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응강도는 공격성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기분은 보육시설 적응의 긍정적 감정, 일과에 대한 적응, 분리불안과 부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기질이 보육시설 적응의 하위요소 중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예측력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감정에 대한 기질요인인 기분과 생리적 규칙성은 유의하게 밝혀졌다. 자기 주도성에 대한 기질요인인 생리적 규칙성과 유의하게 밝혀졌다. 일과에 대한 적응에 대한 기질요인인 기분이 유의하게 밝혀졌다. 분리불안에 대한 기질요인인 접근성이 유의하게 밝혀졌다. 공격성에 대한 기질 요인인 접근성과 반응강도가 유의하게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of adjustment of 13-month-old toddlers to 24-month-toddl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attitude of mother's bringing up and temperament of the toddlers about adjustment at the nurser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changes are about the nursery adjustment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of toddler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of mother's bringing up and the adjustment of toddlers at the nursery?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ment and the adjustment of toddlers at the nurser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10 toddlers from 13-month-old to 24-month-old at 21 different nursery located in Gunsan, Jeonllabukdo.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attitude of mother's bringing up and a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 for mother and a questionnaire for teacher that was designed to assess the nursery adjustment of toddlers. As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grasp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toddlers, and a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adjustment of toddlers at the nurser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was analyzed, the boys are in lower adjustment than the girls on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and adjustment for daily task was anlyzed from 13-month-toddlers to 18-month-toddlers in lower adjustment than from 19-month-toddlers to 24-month-toddlers. The number of children, the order of birth and the degree of mothers' scholarship didn't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When their mothers are over 35 years and 30~34 years, positive emotion and anxie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be in lower adjustment than the toddlers whose mothers are under 29 years. Second,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of mother's bringing up and adjustment of toddlers at the nursery, most of them used affectionate attitudes, and than autonomous attitudes, controlled attitudes were used in order and negative attitudes were used least. Concerning the adjustment of the toddlers at the nursery, they showed not to adjust about aggression, self-direction, pro-social behavior, adjustment for daily task, anxiety and positive emotion in order. Autonomous attitud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anxiety among the subfactor temperament of the nursery on positive effect. Affectionate attitudes, negative attitudes, and controlled attitudes didn't have a correlation on positive effect. Bringing up attitudes didn't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 self-direction, adjustment for daily task and prediction of aggression among the subfactor temperament of the nursery on positive effect. Only anxie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ffectionate attitudes, autonomous attitudes. Third, how much the temperament of the toddlers predicted their nersery adjustment was analyzed, and biological dailiness was found to exert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nursery adjustment than temperament. Things in order oh feeling, adjustment and access was found to exert the smallest influence on the nursery adjustment. Biological dailin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 self-direction and adjustment for daily task. Acc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anxiety. Adjustment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adjustment for daily task and aggression. Degree of respons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aggression. Feeling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 adjustment for daily task and anxiet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ocial behavior and the adjustment of the toddlers at the nursery, it didn't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mong factors of temperament about positive emotion, feeling and biological dailines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mong factors of temperament about self-direction, biological dailines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mong factors of temperament about adjustment for daily task, feeling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mong factors of temperament about anxiety, acces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mong factors of temperament about aggression, access and degree of respons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향상을 위한 사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정상순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향상을 위해 사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개발한 사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다. 실험을 위해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중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2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 11명, 통제집단에 15명을 배치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6)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기초하여 총 10회기를 구안하고, 회기별 120분씩, 주 2회, 5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한 검사 도구는 Gibaud-Wallston과 Wandersman(1978)이 개발한 것을 신숙재(1997)가 번안한 부모효능감 척도(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s 22.0에서 혼합별량분석(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양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들의 경험보고서와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향상을 위한 사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부모효능감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효능감의 하위영역별 분석결과, 부모로서의 효능감, 부모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에서 실험집단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모로서의 불안감과 좌절감은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원들의 경험보고서의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향상을 위한 사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을 높이는데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향상을 위하여 관련된 학부모의 특성과 요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하였으며, 부모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효과검증을 위하여 비교집단을 설정할 것과 추후검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부모효능감이 낮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효과연구가 반복되기를 바란다. 셋째, 사진치료 기법이 다양한 다른 심리적 변인에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검증 연구가 후속될 필요가 있다. 넷째, 사진 또는 사진매체 활용에 대하여 잠정적 대상자들의 요구를 수렴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