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인체 활동기반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의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섬유형 공진코일 연구
이 논문은 의류에 통합 될 수 있는 전도성 원사로 만들어진 공진 코일과 자기 공진 커플링을 사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을 제시한다. 전도성 실은 은도금 된 구리 및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로 구성되었다. 실과 구리로 구성되는 각 공진 코일의 전송 특성은 시뮬레이션 및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비교되었다. 전도성 실로 구성되는 공진 코일의 신호 손실은 구리선으로 구성되는 코일의 신호 손실보다 높았다. 그러나 전송 거리가 6.5 cm 미만일 때 신호 손실 변동의 증가는 1 dB 미만이었다. 도전사로 구성되는 공진 코일을 신발과 바짓단에 위치하고, 수신 된 교류 전력을 AC-DC 컨버터를 사용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 한 후에 전송 효율을 측정 하였다. 측정 결과는 최대 전송 효율이 50%임을 보여주었다. 평균적인 전달 효율은 45%였다. 또한, 피검자가 6 km/h의 속도로 움직일 때 40% 이상의 탁월한 전송 효율을 나타냈다. 또한 인체의 팔에 착용 된 공진 코일의 전송 특성은 시뮬레이션 및 측정 툴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전도성 실은 폴리우레탄으로 코팅 된 구리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로 구성되었다. 전도성 실로 구성된 공진 코일의 공진 주파수 변화는 코일 길이, 스티치 간격, 직물 두께를 이용한 방정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송수신 코일의 측정 공진 주파수는 코일이 착용되었을 때 13.56 MHz의 공진 주파수가 되도록 설계되었다. 공진 코일은 다양한 속도로 움직이는 착용자의 팔에 착용되었고, 전송 효율은 교류 직류 변환기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측정 결과는 피험자가 6km/h 속도로 움직일 때 공진 코일이 다리가 아닌 팔 주위에 착용되었지만 최대 전송 효율이 55.1% 였고 평균 전송 효율은 52.1%였다. 향후 섬유형 코일은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감과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극복하는 통합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thesis present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magnetic resonant coupling with resonant coils made of conductive yarn that can be integrated into clothing. This conductive yarn consists of silver-plated copper and polyester filaments, and its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at of copper resonant coils using simulation and measurement tools. The signal loss in the resonant coil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pper coils. However, the increase in signal-loss variation was less than 1 dB when the transmission distance was less than 6.5 cm. The conductive-yarn resonant coils were placed in the shoes and trouser cuffs of a human subject, and the transmission efficiency was measured, resulting in a maximum transmission efficiency of 50% and average transmission efficiency of 45%, despite the change in the coil shape and alignment conditions due to body movement. An excellent transmission efficiency of over 40% was obtained when the subject was moving at a speed of 6 km/h.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resonant coils made of polyurethane-coated copper and polyester filaments, which were worn on the arm, were evaluated. The change in resonant frequency of the conductive-yarn resonant coils is obtained from the coil length, stitch intervals, and fabric thickness using equations. The measured resonant frequencies of the sending and receiving coils were designed to achieve a resonant frequency of 13.56 MHz when the coils are worn. The resonant coils were worn on the arm of a subject moving at various speeds, and the transmission efficiency was measured, resulting in a maximum transmission efficiency of 55.1% and an average transmission efficiency of 52.1% when the subject was moving at a speed of 6 km/h. It was also shown that the textile coils could be an integrative solution for providing continuous power supply for the next generation wearable devices without causing any discomfort to the wearer.
함정용 미세물분무 소화장치 내충격 성능 평가를 위한 설계
전투를 목적으로 제작된 함정은 일반상선과 달리 전시 환경하에서 다양한 충격들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충격에 대해서도 함정은 임무 저하 없이 계속적으로 임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함정용 탑재장비의 내충격 성능은 함정의 전투유지 능력향상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술로써 수중폭발 공격으로부터 장비의 안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성능이다. 실제 함정용 탑재 장비인 미세물분무 소화장치 내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검토하고자 F.E.A(Finite Element Analysis,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구조물의 설치 장소에 따른 기준 스펙트럼의 규정에 따라 설치되는 미세물분무 소화장치 Water Mist Pump Unit 와 주제어반에 대한 충격해석을 수행하고 내충격 성능은 독일해군의 특수선 선박기자재 시간이 력 충격 하중 계산 방법인 BV-043 방법 및 절차를 이용하여 규정에 따라 시간 이력을 충격 하중으로 변환하여 전산해석 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론 해석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갈은 이유로 함정용 탑재장비에 대한 내충격 안정성과 설계기술은 규격 요구조건 충족 뿐만 아니라 탑재장비의 국산화 개발 기술축적을 위해서도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함정의 건조를 위해서는 탑재장비의 내충격 설계 및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이므로 결과값을 비교 검토함으로서 내충격 해석 시 좀 더 실제 시험에 근접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해석상의 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립된 시험 방법과 실험의 결과가 인명 및 손실을 최소화 하고 함정용 미세물분무 소화장치 발전의 기여가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 학기 이상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실시한 중등 학습자의 관점에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중등 학습자의 인식과 개선 요구 사항을 분석하여 향후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중도 편입생을 제외한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회수된 100명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3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추가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새로운 매체에 빠르게 적응하는 10대 학습자 특성상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정서적 몰입은 높게 나타났으나, 학습 실재감과 교수 실재감 및 상호작용성이 오프라인에 비해 낮은 온라인 매체의 특성과 개별 수업 내용의 난이도에 따른 개별 학습자 간 차이로 인하여 인지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MS Teams 프로그램의 적합성, 적응 용이성, 시안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나 인터넷 환경의 불안정성, 프로그램 오류,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점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자기학습조절능력이 부족한 학습자의 경우 실시간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학습 몰입이 어려움을 겪었으며,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성의 차이로 인하여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낮은 학습 실재감을 느낀다는 반응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 실재감 부족과 관련하여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부재와 일대일 상호작용 및 개인별 피드백 제공의 어려움이 언급되었다. 이는 채팅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더라도 개별 학습자의 학습 상황을 충분히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해 개인별 피드백의 실시간 제공이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보다 오프라인 수업을 더 선호한다고 응답하였으나, 앞서 논의한 문제점들이 개선된다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이 언급한 개선 요구 사항을 토대로 구체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다양한 온라인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교수자와 학습자 간 인식 비교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학생선수의 e-school 참여 실태 및 저해요인 분석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학생선수의 e-school 참여 실태 및 저해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e-school 수업 및 2021년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부산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선수 324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24명의 자료를 제외한 300명의 자료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생선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e-school 참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생선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e-school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검정 및 일원변량분석을, 학생선수의 e-school 저해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개방형 설문지를 바탕으로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선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참여 실태에서 학습시기는 상시학습, 학습시간대는 주말 및 공휴일, 필요성 인식은 경우에 따라 필요하다, 수업참여 이유는 의무적 참여, 학습태도는 개인시간 활용, 흥미 및 이해도는 흥미도 없으며 이해하지 못한다, 성적변화는 무변화, 본인의 관심은 보통이다, 지도자의 관심은 책임부여(학생본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e-school 만족도 차이에서는 성별 학교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훈련시간, 대회출전횟수, 참여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생선수의 e-school 저해요인은 개인적 요인, 수업환경 요인, 수업내용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개인적 요인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e-school을 운영하는데 있어 개선 방안과 방향성 제시 및 후속연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IPA 기법을 활용한 학교급식 영양사 및 영양교사와 조리종사원의 근무환경과 작업환경 연구
정민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본 연구는 학교급식 영양사 및 영양교사와 조리종사원의 근무환경과 작업환경의 실질적 분석을 위해 서울, 경기 소재 140개교 140명의 영양사 및 영양교사 와 서울, 경기 소재 30개교 136명의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2009년 5월25일부터 7월1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조사항목으로는 근무환경인 직업의식, 직무조건, 유기적 환경, 작업환경인 물리적 환경과 작업안전이었다. 조사 방법으로는 조사대상자들의 각 항목별 중요도와 만족도를 측정하고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양사 및 영양교사의 전체적인 중요도와 만족도는 각각 4.12, 3.01로 중요도는 높게 나타난 반면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조리종사원의 경우도 전체적인 중요도와 만족도 평균은 각각 4.06, 3.27 로 중요도는 높게 나타난 반면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전체 42개 항목 중 영양사 및 영양교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환기시설’(4.41±0.86)이었으며, 가장 만족도가 낮은 것은 ‘소음’(2.39±1.12)이었다. 한편 조리종사원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설비 및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4.52±0.81)였고, 가장 만족도가 낮은 것은 ‘급여’(2.46±1.24)였다. IPA 분석결과 영양사 및 영양교사의 ‘집중’(focus here)에 해당하는 항목들은 ‘학생들의 급식에 대한 이해도’, ‘교직원들의 급식에 대한 이해도’, ‘실내 온도’, ‘소음’, ‘급식 규모에 적합한 공간 넓이’, ‘조리기기의 효율적 배치’, ‘환기 시설’, ‘배수 시설’, ‘조리 기기와 기물수량’, ‘시설 설비 확보를 위한 노력’이었으며, 조리종사원의 ‘집중’(focus here)에 해당하는 항목들은 ‘노동의 힘든 정도’, ‘실내 온도’, ‘소음’, ‘급식 규모에 적합한 공간넓이’, ‘조리기기의 효율적 배치’, ‘환기 시설’, ‘시설설비 확보를 위한 노력’이었다. 또한 정규직 조리종사원이 비정규직 조리종사원보다 직업의식에 대한 중요도(p<.05), 직무조건에 대한 만족도(p<.05), 유기적 환경에 대한 중요도, 만족도(p<.01),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p<.01), 작업 안전에 대한 만족도(p<.01)가 모두 높게 조사되었다. 열악한 근무환경과 작업환경에서는 고객만족을 높이기 어렵고 급식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영양사 및 영양교사와 조리종사원들의 욕구와 필요를 파악하고자 하는 인식의 전환이 있어야 하겠고 구체적인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Perceived Working Condition and Physical Work Environment of School Dietitian, School Nutrition Teacher and School Food Service Staffs This study is to analyze work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of dieticians or nutrition teachers and of cuisine employees in school foodservice. It was done by questionnaires sent out to 140 dieticians or nutrition teachers in 140 schools in Seoul and Kyonggi-do and to 136 cuisine employees in 30 schools in Seoul and Kyonggi-do between the period of May 25 and July 10, 2009. The examination items are work environment which contains Professionalism, Job Conditions, and Organic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Physical Environment and Job Safety. Respondent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ach item were measured and IPA analysis was used. The general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dieticians or nutrition teachers are 4.12 and 3.01. It shows that the importance is high whereas the satisfaction is low. Those of cuisine employees are 4.06 and 3.27, which says that the importance is high and the satisfaction is low. IPA analysis shows that the ‘Focus Here’ items of dieticians or nutrition teachers are ‘Students’ Understanding of Foodservice’, ‘School Personnel’s Understanding of Foodservice’, ‘Room Temperature’, ‘Noise’, ‘Space Suitable for Foodservice Scale’, ‘Efficient Arrangement of Cooking Utensils and Facilities’, ‘Ventilation System’, ‘Number of Kitchen Utensils and Facilities’, and ‘Efforts to Procure Facilities’. Also, the analysis says that the ‘Focus Here’ items of cuisine employees are ‘Intensity of Labor’, ‘Room Temperature’, ‘Noise’, ‘Space Suitable for Foodservice Scale’, ‘Efficient Arrangement of Cooking Utensils and Facilities’, ‘Ventilation System’, and ‘Efforts to Procure Facilities’. In addition, regular cuisine employees show higher degrees in importance of Professionalism(p<.05), satisfaction of Job Condition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Organic Environment(p<.01), satisfaction of Physical Environment(p<.01), and satisfaction of Job Safety(p<.01) than irregular employees do. Poor work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result in low customer satisfaction and loss of food service productivity. Therefore, our perception must be changed to understand the needs of dieticians or nutrition teachers and cuisine employees, and concrete programs must be developed.
거시경제심리지수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This paper tested the impact of the economic sentiment index on the apartment price in the Korean property market. It is expected this research provides investment and political guide line to the investor and government. Main finding is that there are positive impacts of the economic sentiment indices, especially house price prospect index, income prospect index and 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 on the apartment price. The effects of sentiment indices exist only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implies that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market sentiment when they control the major economic variables.
ERP 운영요인이 ERP 성숙도와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민주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6 국내석사
글로벌 경영환경 하에서 기업들은 과거에 비해 심한 경쟁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기업들은 지식 자산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경쟁우위를 점유하기 위하여 글로벌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노력을 경주해 왔다. 기업에서는 가장 일반적으로 전사자원 관리 시스템(ERP)을 도입하여 기업 전반의 업무를 수행하고 자원관리를 추구하고 있다. 다국적 기업에서는 이의 필요성에 대하여 인지를 하여 본사 및 해외 지사간에 표준화된 글로벌 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왔으며, 이를 통한 기업성과를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마다 운영적인 여건이 모두 다르고 외국계 기업의 경우 그 법인의 기능과 역할에 따라서 ERP 시스템의 필요성 및 성과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ERP 연구의 경우 외국계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가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다국적 기업을 대상으로 ERP 운영 수준, ERP 도입 성숙도, SCM 성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ERP 운영 요인이 ERP 운영 성숙도와 공급사슬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요인 측정을 위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여 현재 외국계 다국적 기업에 근무 중인 직원을 그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조방적식 모형을 활용하여 각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후분석을 위해 ERP 성숙도를 매개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ERP 운영요인인 ERP 기능, ERP 조직, ERP 교육은 ERP 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RP 성숙도는 SCM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ERP 운영요인은 SCM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ERP 운영요인은 ERP 성숙도를 매개로 할 경우에만 SCM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ERP 성숙도는 완전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ERP 시스템의 운영요인이 ERP 성숙도와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글로벌화된 비즈니스 환경 하에서 외국계 기업들이 ERP 시스템을 통하여 SCM 성과를 추구할 경우, ERP 운영요인으로 ERP 성숙도를 향상 시켰을 때 기업성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어 기업들은 성과를 위하여 어떠한 요인에 중점을 두어 투자 및 대응해야 하는지 시사점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외국계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ERP 도입이 기업성과로 이루어지게 하는 연구 실적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가진 학문적 기여를 평가 할 수 있다. As the wave of globalization intensifies, companies large and small have been exposed to more competition than ever before. In order to cope with the increasingly difficult business condition, companies are recogniz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knowledge assets and have worked hard to establish a global information system as a way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using the system. The most common form of the information system that would raise corporate competitiveness is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software and companies are using it to improve their business operations and manage resources. Multinational corporations early on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RP systems and have used standardized global information systems linking the headquarters with local operations throughout the world, with substantial benefits through the system. Nonetheless, the benefits from adopting an ERP system may differ widel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each corporation. For foreign companies, this is more so as the benefits are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functionality and role. From a survey on ERP-related domestic research literature, the author found that most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multinational corporations as their main focus. This study tries to beg to differ by focusing on foreign multinationals doing business in Korea, in terms of their ERP operation level, ERP adoption maturity level, and perception toward Supply Chain Management (SCM) performance. It then attempts to look into the impact of ERP operations on the degree of ERP maturity and SCM results, which the author believes is what's different from preceding studies in this area. Based on preceding studies, the author set up a research model with corresponding hypotheses. It was then followed by a survey on employees working in foreign multinational corporations to measure variables in the model. With data thus gathered as the basis, the author analyzed the correlations of each variable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purpose of after-the-fact analysis, the author then followed up with a mediation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ERP maturity level as a mediation variable.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turned out first that ERP operational factors like ERP functionality, ERP organization, and ERP educa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egree of ERP maturity. Second, the degree of ERP maturity has a positive impact on SCM results. Third, ERP operational factors does not have any direct impact on SCM results. Rather, ERP operational factor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CM results only when these are mediated by the degree of ERP maturity, with ERP maturity exhibiting the perfect mediation effect. This is an empirical study to find out the impact of an ERP system's operational factors on ERP maturity and SCM performance results. It implies that corporate performance can indeed be enhanced when foreign companies seek to improve SCM performance results through their ERP systems, which would also increase ERP maturity level, one of the ERP operational factors. It also shows what factors to focus in their investment when the companies want to raise corporate performance. Given the fact that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in this area which focus on the performance-enhancing adoption of ERP systems by foreign companies, the author believes that this i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academic study.
대학생의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안녕감의 관계 :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울산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무조건적 자기수용, 안녕감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무조건적 자기수용, 안녕감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안녕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거나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매개로 간접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process of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 of college students affecting well-being. To this end, a survey of 45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Busan and Ulsan was conducted to measure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well-being.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each sub-facto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each scale was appropriately supported by previous studies. SPSS Statistics 21.0 was used for all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well-being. Second,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s directly affected well-being or indirectly throug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discussions regarding prior studies were made,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동상기>는 조선 후기 이옥의 창작한 작품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고전 문학에서 최초의 희곡(戱曲)형식으로 창작된 글이다. 그리고 “혼례”가 작품 전체의 중심 소재로 등장하는 작품이다. 이 글은 우리 문학에서 최초의 희곡(戱曲) 갈래의 등장을 학생들에게 증명해 주는 작품이다. 그리고 조선 후기의 전통 사회의 모습과 가치관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의 역할을 한다. 동시에 <동상기>에는 조선 후기의 도시 문화의 형성이 나타나고 있다. 고전 문학 읽기는 교육 현장에서 꾸준히 학습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이 ‘왜 이글을 읽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은 미진한 편이다. 일반적으로 문학을 통해 과거의 삶을 이해하고, 등장인물의 성격과 정서를 파악하는 것이 학습 목표이다. 이러한 학습 목표는 수험생활을 위한 독서일 뿐이다. 고전 문학 읽기는 학생들에게 그 가치를 이해하고 독서의 동기를 구체적으로 부여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동상기>의 교육적 의의를 규명하는 데 있다. 그리고 교수학습 방안 연구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습 지도의 예를 제시하였다. 본 글은 <동상기>의 작가를 이옥으로 상정하고, 그의 가계와 생애·교우를 살폈다. 그리고 <동상기>의 서사와 인물·사건·구조를 살핀 후에 당대 사회 이해와 평상성의 가치 인식을 통해 “혼례”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인식을 비교했다. 그후, 고전의 현대적 수용의 모습과 가치를 제시하여 현대에도 유용한 고전 문학 읽기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연구의 진행 순서는 첫째, <동상기>의 교육적 의의를 증명하였다. 조선 후기의 시대상과 ‘혼례’의 평상성 구현이 작품의 가치와 의의이다. 둘째 고전의 현대적 수용을 <백일의 낭군님> 드라마 시나리오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외에 <삼국지>, <바람의 나라>, <신과 함께> 등의 예를 들어 ‘OSMU’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했다. <동상기>가 <백일의 낭군님>으로 현대적 수용이 된 양상을 통해 학습자에게 해당 작품의 교육적 의의와 학습 동기부여에 도움을 주고자 했다. <동상기>는 “노총각·노처녀의 혼례”라는 “이야기형 소재”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동시에 “혼례식 준비 과정”은 “비(非) 이야기형 소재”로 활용될 수도 있다. 고전 문학 텍스트를 ‘OSMU’와 연계하여 교육 자료로 만드는 과정은 미래 세대인 학생들에게 고전 문학의 가치를 일깨울 것이다. 학생들은 제시된 교수 학습방안의 활동을 따르면서, 고전 문학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학습의 필요성과 동기가 부여됐음을 모둠 발표 때 설명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상기>가 당대 사회 이해라는 문학 내용 이해와 현대적 수용이라는 현실적 가치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는 작품이라고 결론을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