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체 활동기반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의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섬유형 공진코일 연구

        정민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의류에 통합 될 수 있는 전도성 원사로 만들어진 공진 코일과 자기 공진 커플링을 사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을 제시한다. 전도성 실은 은도금 된 구리 및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로 구성되었다. 실과 구리로 구성되는 각 공진 코일의 전송 특성은 시뮬레이션 및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비교되었다. 전도성 실로 구성되는 공진 코일의 신호 손실은 구리선으로 구성되는 코일의 신호 손실보다 높았다. 그러나 전송 거리가 6.5 cm 미만일 때 신호 손실 변동의 증가는 1 dB 미만이었다. 도전사로 구성되는 공진 코일을 신발과 바짓단에 위치하고, 수신 된 교류 전력을 AC-DC 컨버터를 사용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 한 후에 전송 효율을 측정 하였다. 측정 결과는 최대 전송 효율이 50%임을 보여주었다. 평균적인 전달 효율은 45%였다. 또한, 피검자가 6 km/h의 속도로 움직일 때 40% 이상의 탁월한 전송 효율을 나타냈다. 또한 인체의 팔에 착용 된 공진 코일의 전송 특성은 시뮬레이션 및 측정 툴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전도성 실은 폴리우레탄으로 코팅 된 구리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로 구성되었다. 전도성 실로 구성된 공진 코일의 공진 주파수 변화는 코일 길이, 스티치 간격, 직물 두께를 이용한 방정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송수신 코일의 측정 공진 주파수는 코일이 착용되었을 때 13.56 MHz의 공진 주파수가 되도록 설계되었다. 공진 코일은 다양한 속도로 움직이는 착용자의 팔에 착용되었고, 전송 효율은 교류 직류 변환기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측정 결과는 피험자가 6km/h 속도로 움직일 때 공진 코일이 다리가 아닌 팔 주위에 착용되었지만 최대 전송 효율이 55.1% 였고 평균 전송 효율은 52.1%였다. 향후 섬유형 코일은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감과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극복하는 통합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thesis present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magnetic resonant coupling with resonant coils made of conductive yarn that can be integrated into clothing. This conductive yarn consists of silver-plated copper and polyester filaments, and its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at of copper resonant coils using simulation and measurement tools. The signal loss in the resonant coil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pper coils. However, the increase in signal-loss variation was less than 1 dB when the transmission distance was less than 6.5 cm. The conductive-yarn resonant coils were placed in the shoes and trouser cuffs of a human subject, and the transmission efficiency was measured, resulting in a maximum transmission efficiency of 50% and average transmission efficiency of 45%, despite the change in the coil shape and alignment conditions due to body movement. An excellent transmission efficiency of over 40% was obtained when the subject was moving at a speed of 6 km/h.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resonant coils made of polyurethane-coated copper and polyester filaments, which were worn on the arm, were evaluated. The change in resonant frequency of the conductive-yarn resonant coils is obtained from the coil length, stitch intervals, and fabric thickness using equations. The measured resonant frequencies of the sending and receiving coils were designed to achieve a resonant frequency of 13.56 MHz when the coils are worn. The resonant coils were worn on the arm of a subject moving at various speeds, and the transmission efficiency was measured, resulting in a maximum transmission efficiency of 55.1% and an average transmission efficiency of 52.1% when the subject was moving at a speed of 6 km/h. It was also shown that the textile coils could be an integrative solution for providing continuous power supply for the next generation wearable devices without causing any discomfort to the wearer.

      • A. Vivaldi의 사계 중 「겨울」 분석연구

        정민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바로크 시대(1600-1750)는 오페라 뿐 아니라 오라토리오, 칸타타, 모음곡, 소나타, 콘체르토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생겨나고 새로운 양식이 탄생한 시기이다. 특히 17세기 말부터 기악음악은 성악음악만큼 중요해졌으며, 그 중에서 콘체르(concerto)는 바로크 관현악 음악에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음악양식이 되었다. 오늘날의 콘체르토는 독주악기 혹은 작은 그룹의 악기가 관현악과 대비되어 연주되는 기악곡을 의미하나, 16세기 초 처음 등장한 후 100년이 지나는 동안 콘체르토의 의미는 다양해졌다. 17세기 중엽부터 콘체르토 양식은 콘체르토 리피에노(Concerto Ripieno), 콘체르토 그로소(Concerto Grosso) 그리고 솔로 콘체르토(Solo Concerto)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18세기에 이르러 코렐리(A. Corelli, 1653-1713), 토렐리(G. Torelli, 1658-1707), 비발디 (A. Vivaldi, 1678-1741) 그리고 바흐(J. S. Bach, 1685-1750) 등에 의해 형식과 악장구성을 갖추어 더욱 발전되었다. 비발디는 바흐, 헨델(G. F. Handel, 1685-1759)과 함께 바로크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다양한 장르에 걸쳐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그 중에서도 콘체르토는 코렐리와 토렐리의 영향을 받아 바로크 콘체르토의 형식과 악장구성 및 짜임새를 확립함으로써 바로크 콘체르토의 역사에서 한 정점을 형성한 곡들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자연을 소재로 하여 학생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고 흥미유발에도 용이한 비발디의 <사계(Le Quattro Stagioni)> 중 「겨울 (L'Inverno)」Op. 8, No. 4의 분석을 통하여 이 작품에 나타난 비발디 콘체르토의 음악적 특징 및 기법 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바로크 콘체르토, 비발디의 콘체르토와 함께 사계의 음악적 특징에 대하여 다루었고, 본론은 「겨울」의 형식, 조성 및 화성어법, 선율 및 주제적 소재를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분석 결과에서 그의 콘체르토가 바로크 콘체르토의 역사에서 한 정점을 형성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이유를 찾아 볼 수 있었다. 또한 비발디는 콘체르토의 기틀을 마련한 토렐리의 영향을 받아 그 형태를 더욱 발전시켜 바흐를 비롯한 동시대의 다른 작곡가들에게 뿐 아니라 고전주의시대의 콘체르토 작곡가들에게 까지 커다란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A number of music and new styles have emerged in the Baroque Period. By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he instrumental music became as important as the vocal music and especially Concerto became an important music style in Baroque orchestral music. The modern Concerto implies instrumental music in solo or with a small group of instruments in contrast to orchestral music, but the meaning of Concerto became more diverse since its appearance in early 16th century, 100 years ago. From the middle of 17th century, the Concerto style has been a form of Concerto Ripieno, Concerto Grosso, and Solo Concerto, and towards the 18th century, the structure became further developed by A. Corelli (1653-1713), G. Torelli (1658-1707), A. Vivaldi (1678-1741), and J. S. Bach (1685-1750). Vivaldi was a representative composer along with Bach and Handel (1685-1750) who had many pieces across various genres, and his Concerto was recognized as a reaching the pinnacle of Baroque Concerto by establishing the structure of chapters with the influence of Corelli and Torelli.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meaning and musical techniques and features displayed in Vivaldi's Concerto through the analysis of Winter from Four seasons which is an interesting material for students that include nature as a theme. This thesis will introduce Baroque Concerto, Vivaldi's Concertos and Four Seasons's musical structure theoretically. There will be an analysis on the form, tonality, harmony, melody and subjective motive from Winter Op. 8, No. 4. The above analysis shows why Vivaldi's concertos is critiqued as being at the pinnacle of the history of Concertos. Vivaldi, with the influence of Torelli who laid the foundation of Concerto, developed the structure of Concerto further, and greatly influenced not only the composers of the period such as Bach, but also the composers of the Classic period.

      • 무용지도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무용자신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민주 조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전공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파워링 리더십의 하위요인과 무용자신감,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규명하고, 무용지도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학습자들의 무용자신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겠으며, 무용학습에 있어서의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와 학생들의 자신감형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봄으로 무용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겠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무용자신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G지역의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일 – 5월 31일 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20명의 설문지 중 이중기입, 일괄된 응답, 누락 응답 5부를 제외한 315부를 최종 연구에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WIN Ver. 22.0과 AMOS Ver. 22.0을 활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구통계적 특성과 각 변인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있을 시 scheffe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임파워링리더십과 무용자신감, 학교생활적응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임파워링 리더십과 무용자신감, 학교생활적응은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무용자신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무용자신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종합해보면 무용지도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은 학습자들의 무용자신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인과관계가 규명 하게 되었으며, 무용학습에 있어서의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효과 또한 검증되었다. 또한 임파워링 리더십은 학생들의 자신감형성 및 학교생활적응을 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mpowering leadership, and dance adapt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danc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dance instruc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in dance learning and the students' I w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dance students on dance confide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1 to May 31, 2017, Respectively. Out of 320 questionnaires, 315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study, except for double entry, batch response, and five missing responses. In addition, statistical programs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include SPSS WIN Ver. 22.0 and AMOS Ver. 22.0.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In addition,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variables, and post-test was conducted using scheffe whe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dance confide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First,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empowering leadership, dance confidence,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empowering leadership has influenced dance confidence. Third, empowering leadership has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Fourth, dance confidence influenced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sum,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the dance leader has clarifi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dance confidence and the school life adaptation, and the impact on empowering leadership in dance learning has also been verified. empowering leadership has also proven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student self-confidence and school adjustment.

      • 골목상권 리질리언스 향상을 위한 COVID-19 이후 매출차이와 도시건조환경에 관한 연구

        정민주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인 COVID-19의 확산과 반복적인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은 이전과는 다른 경제적 흐름을 불러왔다. 특히, 감염에 대한 도시민의 불안감이 극대화되면서 대면·밀접시설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상권에도 직접적인 경제적 타격을 주었다. 특히 소상공인 및 영세상인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 밀접 점포로 구성되어 있어 COVID-19 유행에 따른 주변 환경 변화에 막대한 영향을 받은 골목상권의 경우 직접적인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COVID-19 이후 골목상권의 58.7%에서 매출이 하락하였지만, 41.3%에서는 매출이 유지되거나 상승하는 등 상권 특성에 따라 COVID-19의 영향이 미미하게 나타나기도 하는 등 상권별 COVID-19의 영향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나아가 방문자가 체감하는 상권의 노후도에 따른 ‘힙 플레이스’의 등장과 COVID-19로 인한 우울감의 해소를 위해 공원의 이용률이 높아짐에 따라 주변 상권 또한 경제적 효과가 창출되고 있다고 나타났다. 그렇기에 COVID-19라는 특수한 상황에 따른 상권의 경관 및 녹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변화하여 나타나는 상권 매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상권 매출에 관한 연구는 특성 시기에 한정되어 있어 연속적인 기간내에 발생한 매출 차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상권의 쇠퇴도를 고려한 연구가 존재하였지만, 상권은 장소성을 지닌 공간이라는 특성을 지님에도 인지적 요소를 고려하지 못해 실질적 측면에서 매출 영향요인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공원녹지는 거리에 따른 경제성을 가진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공원녹지의 접근성을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가로환경의 녹시율에 따라 상권의 경제적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에도 이를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COVID-19 전후 서울특별시 골목 상권 및 지역생활권을 대상으로 방문객이 느끼는 인지적 쇠퇴도와 더불어 상권의 녹시율 및 공원녹지 접근성을 중심으로 한 매출 영향요인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향후 COVID-19와 같은 사회적 재난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리질리언스한 상권 활성화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2021년 3분기까지의 골목 상권 매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경제적 특성, 도시 공간 구조특성, 지역 특성, 공원 특성, 상권 특성, 건물 특성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가설을 인지적 도시 쇠퇴도는 상권 매출에 감소를, 녹시율과 공원 접근성은 매출 차이를 증가시킨다고 설정하여 공간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인지적 도시 쇠퇴도는 매출 차이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상권 주 방문 집단이 상권 주변 거주자로 형성되어 상권의 노후도가 ‘익숙함’이라는 긍정적인 작용을 한 것으로 유추하였다. 반면, 녹시율과 공원 접근성은 유의미하게 도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요 변수가 지리적 특성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 변수의 영향력이 분석 대상지 내에서 동일하게 나타나 이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고 판단하였으며,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는 다중척도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중척도 지리가중회귀분석에 앞서 분석의 정확성을 위해 주성분 분석을 통한 변수 축소를 시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2개 변수에서 16개 변수로 차원을 축소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다중척도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인지적 도시 쇠퇴도와 공원 접근성의 경우 서울시 동남부에 인접할수록 음(-)의 영향, 서북부에 인접할수록 양(+)의 영향을 미친다고 도출되었으며 인지적 도시 쇠퇴도의 경우 주 방문 집단 구성원의 차이로 인해 지역별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유추하였다. 공원 접근성은 면적이 큰 공원의 입지로 인해 지역별 차이가 나타났다고 판단하였다. 녹시율과 공원 접근성의 경우 동남권에서는 양(+)의 영향을, 서북부에서는 음(-)의 영향을 미친다고 도출되었으며 이는 가로환경의 쾌적성 및 가로미관의 차이로 인해 매출 차이가 나타났다고 유추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골목 상권 매출액에 상권 경관과 공원녹지의 경제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COVID-19 전후 골목 상권 매출 차이와 상권의 경관 및 공원녹지가 지역 특성에 따라 상권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다는 것을 바탕으로, 향후 지역상권법을 시행하는 데에 있어서 상권 활성화 평가에 인지적 도시 쇠퇴도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활성화 사업 시행에 있어 공원 및 가로녹지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지역별 조례를 제정하는 데에 있어 지역별 상권 매출 영향요인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조례 제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다만, 매출 변화폭이 큰 상권을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COVID-19 이후 경제적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변수를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인지적 도시쇠퇴도 예측 모형을 구축함에 있어 그 학습데이터가 부족하였으며 녹시율 도출 과정에서 원본 이미지의 화질로 인해 녹시율이 포괄적으로 도출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원 접근성을 반영하는 데에 있어 면적을 기반으로 접근성을 반영하여 거리 기반의 실질적 공원 접근성의 반영이 미흡하였다. 이러한 한계는 추후 연구에서 다양한 학습데이터 구축을 통한 변수 도출과 거리를 반영할 수 있는 접근성 도출 방법을 적용한다면 상권 매출에 대한 상권 경관 및 공원녹지의 영향력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e global spread of COVID-19 and the emergence of repeated mutated viruses have brought a different economic trend than the past. In particular, as urban residents' anxiety about infection was maximized, a phenomenon of avoiding face-to-face and close-contact facilities occurred, which directly affected the sales of commercial district. In particular, alley commercial districts that are consisted with close-to-life stores centered on small business owners and small merchants have been greatly affected by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e to the COVID-19 epidemic and suffered hugely by the direct economic blow. While sales fell from 58.7% of alley commercial districts after COVID-19, 41.3% maintained or rais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districts.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effects of the surrounding commercial districts are being created as the increase in the use of parks to relieve depression caused by COVID-19 and the emergence of "hip places" as an level of deterioration in the commercial districts that visitors feel. Thus, studies are needed for the sales of commercial districts that appear due to the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 of the scenery and green spaces of commercial districts according to the special situation of COVID-19 to enable the commercial districts more resilient during the pandemic period. Until now, studies on sales in commercial districts have been limited to a specific period; and thus, studies on sales differences that occurred within a continuous period have been insufficient. Although there were some studies considering the decline of commercial district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commercial districts lack practical sales influencing factors because they may not fully consider the cognitive factors of place. In addition, although the park/green space can be considered as an economical space depending on the distance, the accessibility of the park/green space was not thoroughly measured, and the economic effect of the commercial district may vary depending on the index of greeness of street environment, but it was not considered.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xamine the cognitive urban decline degree felt by visitors in the alley commercial and local living areas of Seoul before and after COVID-19, as well as the sales influencing factors focusing on the index of greeness and access to park/green spaces. The results suggested the need for a measure to revitalize the resiliency of Korean commercial district that can flexibly respond to social disasters such as COVID-19 in the near future. Spatial regression analyses are used in this study to identify whether the cognitive urban decline, index of greeness, and park/green space accessibility affects the sales difference of commercial distric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urban space structural characteristics, regional characteristics, park characteristics, commercial characteristics,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as factors influencing the sales difference in alley commercial districts from year 2017 to the third quarter of 2021.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urban declin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ales difference, meaning that the commercial district's decline had a positive effect with the 'familiarity' as the visiting group was formed as residents around the commercial distric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index of greeness and park/green space accessi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 This result shows that the main variables were based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s was the same within the analysis target site, and thus, multi-scale geographic regression analysis reflect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was further conducted. Prior to the multi-scale geography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variables were reduced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and finally, the dimensions were reduced from 42 variables to 16 variables. By using these variables, multi-scale geograph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cognitive urban decline and park accessibility te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he Southeastern part of Seoul and a positive (+) effect as they move to the Northwest part. This infers that the cognitive urban decline was different by region due to differences of main visitors. Moreover, park accessibility differed by region due to the location of the large-scale parks. In the case of index of greeness and park accessibility, it was derived that they had a positive (+) effect in the southeastern region and a negative (-) effect in the north-west, meaning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ales due to the level of comfort and aesthetics of the street environment. The paper further confirmed the economic effects of the commercial district landscape and park/green spaces in the sales of alley commercial districts. Based on the difference in sales of alley commercial district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the impact of commercial districts' landscapes and park/green spaces on commercial district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of applying cognitive urban decline to the evaluation of commercial district revitaliza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while enacting regional ordinances, it will be meaningful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effective ordinance enactment by presenting factors influencing sales of local commercial districts. However, limitations still exist in that commercial districts with large sales changes were not considered and variables that could explain economic phenomenon after COVID-19 were not fully considered. Moreover, the training data were insufficient in constructing a cognitive urban decline prediction model,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index of greeness was comprehensively derived due to the quality of the original image in the pre-processing. Finally, in reflecting park accessibility, practical distance-based park accessibility was not gathered with the consideration of park siz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future study should more accurately measure the influence of commercial landscape and park/green space on commercial sales by applying an accessibility derivation method that can reflect the distance and constructing diverse training data.

      •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효과

        정민주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er intended to examine an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The subject of research is 5-year-old children of B daycare center located in B-si, Gyeonggi-do and this researcher randomly arranged 12 children whose parents agreed by experimental group of 6 children and control group of 6 children with recommendation of homeroom teacher. The period of research is from Mar. 2018 to Jun. 2018 and total 16 times of program except for pre-test and post-test was conducted to experimental group for 60 minutes twice a week. For tools of research,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and daycare center adaptation scale were used. For picture projection test, Kinetic School Drawing(KSD)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used in SPSS 24.0. For qualitative analysis, Kinetic School Drawing was conducted forward and afterwar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analysis standar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made an effect on changes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n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elf-emoti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ther emotion, control of self-emotion and impulse inhibition, use of self-emotion, relations with teachers, and relations with peers, it showed positive effects. Second, group art therapy made an effect on changes of children’s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It showed positive effects on all of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 peer competence, ego strength,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life. Third, group art therapy made an effect on changes of children’s Kinetic School Drawing test. By arranging characters of facial expression evenly in the scene and drawing activities with teachers and friends, it confirms group art therapy provided emotional stability to children and was helpful to relations with peers and teachers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Therefore, it verified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for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through this research. So, group art therapy of this research should be utilized as a program improv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and the basic material useful to prevent and improv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daptative problem in the field of daycare center.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적응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B시에 소재한 B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부모님의 동의를 얻은 12명의 유아들을 담임교사의 추천을 받아 각 6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이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6회기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주 2회 6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정서지능 척도와 어린이집 적응 척도, 그림투사검사로는 동적학교생활화(KSD)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4.0에서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였고, 질적분석은 동적학교생활화(KSD)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해석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유아의 정서지능에 효과가 있었다.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자기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정서의 이용,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효과가 있었다. 친사회적 행동, 긍정적 정서, 또래 유능감, 자아강도, 어린이집 생활에서의 적응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는 유아의 동적학교생활화(KSD) 검사의 변화에 효과가 있었다. 얼굴표정이 표현된 인물들을 화면 골고루 배치하고 선생님, 친구들과 함께 활동 하는 모습을 그림으로써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주고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와 어린이집 적응에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적응에 효과가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집단미술치료를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적응 향상 프로그램으로 활용하여 어린이집 현장에서 유아의 정서지능과 적응 문제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장기안정성을 가지는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작을 위한 자발적인 계면 제어에 대한 연구

        정민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 사회는 급증하는 세계 인구수에 비례하여 세계 에너지 소비량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급증하는 에너지 사용량의 대부분이 석탄과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로부터 나오기 때문에 지구온난화와 대기오염과 같은 심각한 환경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위와 같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양한 종류의 태양전지가 연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유무기 하이브리드 할로겐화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조성을 치환함에 따라 밴드갭 조절이 용이하며 저온 공정으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가화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런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 표면에 존재하는 많은 결함들로 인해서 많은 비방사형 재결합이 일어나고 전반적인 태양전지 특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유기 정공수송층의 정공전도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용되는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Li-TFSI)와 4-tert-butylpyridine (tBP)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장기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런 문제들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해결해야하는 문제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Gallium(III) acetylacetonate (Ga(acac)3)을 정공수송층의 첨가제로 사용하여 페로브스카이트 /정공수송층 계면에서 자발적인 화학 반응을 유도하였고, 이로 인해 계면에서 발생하는 비방사형 재결합을 억제하고 수분에 안정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먼저 Ga(acac)3가 정공수송층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화학적, 광학적, 전기적인 분석을 통해서 증명하였으며, Ga(acac)3가 페로브스카이트/정공수송층 계면에서 화학적인 결합을 하는 것을 모델 실험을 통해서 증명하였다. Ga(acac)3를 poly(3-hexylthiophene) (P3HT)층에 도입하여 제작한 소자는 기준 소자에 비해서 전반적인 태양전지 특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상된 태양전지 특성들에 대해서 분석하기 위해서 계면에서 일어나는 전하의 이동과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비방사형 재결합에 대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Ga(acac)3가 페로브스카이트 /정공수송층 계면에서 정공이 더 효율적으로 이동하게 하였으며 결함에 의한 비방사형 재결합을 억제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계면에서의 정공의 원활한 이동과 비방사형 재결합의 억제로 인해서 태양전지 특성의 향상을 이끌었다. Ga(acac)3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장기안정성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해보기 위해서 어떠한 봉지재 없이 온도 25℃, 상대습도 85%에서 시간에 따른 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기준(control) 소자는 600시간에서 초기 효율의 50%까지 감소한 반면에 Ga(acac)3가 도입된 소자는 2000시간에도 초기 효율의 99%를 유지하였다. 향상된 수분안정성은 Ga(acac)3가 계면에서 페로브스카이트층과 정공수송층간의 계면 접합력을 향상시킨 것과 Ga(acac)3 물질의 소수성 특성에 기인한다. 최종적으로 Ga(acac)3가 도입된 P3HT를 이중층 (double halide architecture, DHA) 구조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1.15 V의 개방전압, 83.3%의 충진율 그리고 24.2%의 광전변환효율을 보였다. 이 수치는 현재까지 보고된 P3HT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다. 본 연구 결과는 정공수송층에는 어떠한 영향을 끼치지 않고 페로브스카이트와 정공수송층 사이의 계면에서 전하의 효율적인 이동과 비방사형 재결합을 억제함으로서 태양전지 특성 향상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계면간의 접합력 향상과 Ga(acac)3의 소수성 특성으로 인해서 장기안정성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학위 논문에서는 장기안정성을 가지는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작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 <동상기>의 교육적 의의와 교수학습 방안 연구

        정민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상기>는 조선 후기 이옥의 창작한 작품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고전 문학에서 최초의 희곡(戱曲)형식으로 창작된 글이다. 그리고 “혼례”가 작품 전체의 중심 소재로 등장하는 작품이다. 이 글은 우리 문학에서 최초의 희곡(戱曲) 갈래의 등장을 학생들에게 증명해 주는 작품이다. 그리고 조선 후기의 전통 사회의 모습과 가치관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의 역할을 한다. 동시에 <동상기>에는 조선 후기의 도시 문화의 형성이 나타나고 있다. 고전 문학 읽기는 교육 현장에서 꾸준히 학습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이 ‘왜 이글을 읽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은 미진한 편이다. 일반적으로 문학을 통해 과거의 삶을 이해하고, 등장인물의 성격과 정서를 파악하는 것이 학습 목표이다. 이러한 학습 목표는 수험생활을 위한 독서일 뿐이다. 고전 문학 읽기는 학생들에게 그 가치를 이해하고 독서의 동기를 구체적으로 부여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동상기>의 교육적 의의를 규명하는 데 있다. 그리고 교수학습 방안 연구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습 지도의 예를 제시하였다. 본 글은 <동상기>의 작가를 이옥으로 상정하고, 그의 가계와 생애·교우를 살폈다. 그리고 <동상기>의 서사와 인물·사건·구조를 살핀 후에 당대 사회 이해와 평상성의 가치 인식을 통해 “혼례”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인식을 비교했다. 그후, 고전의 현대적 수용의 모습과 가치를 제시하여 현대에도 유용한 고전 문학 읽기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연구의 진행 순서는 첫째, <동상기>의 교육적 의의를 증명하였다. 조선 후기의 시대상과 ‘혼례’의 평상성 구현이 작품의 가치와 의의이다. 둘째 고전의 현대적 수용을 <백일의 낭군님> 드라마 시나리오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외에 <삼국지>, <바람의 나라>, <신과 함께> 등의 예를 들어 ‘OSMU’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했다. <동상기>가 <백일의 낭군님>으로 현대적 수용이 된 양상을 통해 학습자에게 해당 작품의 교육적 의의와 학습 동기부여에 도움을 주고자 했다. <동상기>는 “노총각·노처녀의 혼례”라는 “이야기형 소재”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동시에 “혼례식 준비 과정”은 “비(非) 이야기형 소재”로 활용될 수도 있다. 고전 문학 텍스트를 ‘OSMU’와 연계하여 교육 자료로 만드는 과정은 미래 세대인 학생들에게 고전 문학의 가치를 일깨울 것이다. 학생들은 제시된 교수 학습방안의 활동을 따르면서, 고전 문학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학습의 필요성과 동기가 부여됐음을 모둠 발표 때 설명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상기>가 당대 사회 이해라는 문학 내용 이해와 현대적 수용이라는 현실적 가치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는 작품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 희망 수명이 시니어의 온라인쇼핑플랫폼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민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액티브 시니어는 전체 인구의 삼분의 일을 차지하는 5060세대다. 이들은 은퇴 후에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잠재적인 소비자 집단임과 동시에 무기력함 등 기존 시니어에 대한 고정 관념을 깨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 플랫폼 상황에서의 시니어의 사용 의도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기술 수용 모델을 활용하여 자기 효능감과 주관적 규범, 적합성 변수를 추가하였다. 이에 더하여 주관적 연령 변수인 희망 연령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심리적 요인에 따른 영향도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첫째, 지각된 유용성이 사용의도에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 효능감과 적합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또한 적합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희망 연령이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 의도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가지고 마지막 장에서 본 연구는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해 내었다. Active seniors in Korea are in their 50s and 60s, accounting for a third of the total population. They are a potential consumer group who are economically affordable after retirement, and at the same time break the stereotype of existing seniors such as lethargy.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seniors to use in the situation of an online shopping platform. To this end, self-efficacy, subjective norms, and compatibility variables were added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additi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was also confirmed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referred life expectancy, which is a subjective age variabl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and compat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Finally, it was also found that compat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preferred life expectanc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With these results, in the last chapter, this study drew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 서비스직원의 감성능력이 팀웍 역량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정민주 경기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비스 산업은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키고 기쁨과 만족을 주는 고도의 감성산업이자 정서산업이다. 오늘날과 같이 고객이 과거 어느 때보다 다양하고 폭넓은 선택의 기회를 가지고 있고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여간해서는 고객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고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기 어렵다. 항공사 객실 승무원은 항공서비스 요인 중에서 가장 오랜 시간 고객과 접촉하고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즉, 서비스 전달 과정을 통해 서비스 접점을 관리하며 항공사에 대한 고객 만족도와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승무원의 태도, 친절함, 업무 수행 능력,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 고객과의 의사소통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뛰어난 자질이 요구된다. 또한, 고객응대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감정과 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감성능력이 요구된다. 감성능력은 더 나은 직무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개인적, 사회적 기술을 뜻하는 것으로 감성지능에 기반을 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서비스 직원의 감성능력이 높을수록 자신의 감정을 잘 조절하고 고객의 감정을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직원의 감성능력이 팀웍 역량과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감성능력과 팀웍 역량, 창업의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를 근거로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서비스 직원의 감성능력과 팀웍 역량, 창업의지와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적인 연구 방법과 실증적인 방법을 병행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A항공사에 근무하는 승무원을 대상으로 10월 10일부터 10월 21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5.0 통계 패키지와 AMOS 17.0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분산분석,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문헌적 고찰을 통해 감성능력의 구성요인을 자기감성관리와 타인 감성관리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자신의 감성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는 자기감성관리 능력은 팀웍 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하며 감성을 통해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인감성관리 능력이 뛰어날수록 팀웍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직원의 팀웍 역량은 인간관계적 팀웍과 기능적 팀웍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팀웍 역량은 창업의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팀웍 역량이 뛰어난 직원일수록 창업에 대한 의지는 더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서비스 직원의 자기감성관리 능력과 타인감성 관리 능력이 높을수록 창업의지도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직원의 감성능력이 높을수록 자신의 기업을 소유하고 운영하고자 하는 창업의지는 높아진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감성능력에 대한 연구의 폭을 확대하여 서비스 인적자원에 대해 보다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 의미를 둘 수 있다. 또한 그동안 심리학에서 연구되어왔던 팀웍의 개념을 항공 객실 승무원에 적용시켜 조사해봄으로서 팀 중심 업무 수행에 유용한 연구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그간 창업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왔으나 서비스 직원의 서비스 수행경험과 지식, 네트워크 등을 바탕으로 한 창업의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므로 서비스 직원의 창업의지에 대한 새로운 토대를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