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아동의 의사소통조망수용, 억제통제, 틀린 믿음의 발달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정미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mmunicative perspective-taking, inhibitory control, false belief, and further 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Ninety children were tested at two time points. Communica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was measured using two referential communicative tasks(i.e.,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task), each of which included both common ground and privileged ground conditions. Executive function, specifically inhibitory control, was measured using conflict inhibitory tasks. False belief understanding was assessed using unexpected content and unexpected location tasks. As for the communicative perspective-taking, we analyzed children's choosing objects in the comprehension and children's using adjectives in the production task.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communicative perspective-taking comprehensive task, children chose target object significantly more often at two time points then at one time point in the privileged-ground conditions. It means that communica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increase as times go on. Children produced the appropriate adjectives in the common-ground condition significantly more often than in the privileged-ground condition. It means that children can consider the other's perspectives. The results in general implied that children was sensitive to the perspectives of others in communication. Both false belief understanding and inhibitory control abilities increase as times go on. As for the relations among three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hildren's performance in the communicative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task was predicted only by the inhibitory control. It implied that children who possessed more developed inhibitory control ability could be better able to adopt another's perspective. Specifically, communica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could not be predicted by false belief understanding, while false belief understanding could be predicted by communicative perspective-taking. It can be interpreted in the line of Bernard & Deleau(2007).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의사소통조망수용, 억제통제, 틀린 믿음의 발달과 세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9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조망수용 과제, 억제통제 과제, 틀린 믿음 과제를 6개월 간격으로 두 시점에서 측정하였다. 의사소통조망수용 능력은 두 개의 의사소통조망수용 과제(이해 과제와 산출 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 과제들은 공통기반 조건과 특혜기반 조건 각각에서 실시되었다. 억제통제는 갈등억제 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틀린 믿음 이해는 위치변화 과제와 내용변화 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의사소통조망수용은 이해 과제에서 아동의 목표물 선택 횟수와 산출 과제에서 아동의 형용사 사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조망수용 이해의 경우 아동들은 특혜기반 조건에서 1회기보다 2회기에 목표물 선택을 더 많이 하였다. 따라서 어린 아동들도 자신의 조망과 대화 상대의 조망이 같은지 다른지를 구분하고 대화 상대의 조망에 근거하여 목표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능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의사소통조망수용 산출 과제에서 아동들은 특혜기반 조건보다 공통기반 조건에서 형용사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이것은 어린 아동들도 대화 상대의 조망에 적절한 언어를 산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들도 의사소통 상황에서 다른 사람의 조망에 민감함을 시사해 준다. 틀린 믿음과 억제통제 능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두 향상되었다. 의사소통조망수용, 억제통제, 틀린 믿음, 세 변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사소통조망수용을 예측해 주는 변인은 억제통제였다. 억제통제 능력이 뛰어난 아동이 다른 사람의 관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틀린 믿음은 의사소통조망수용을 예측해 주지 못했지만, 의사소통조망수용은 틀린 믿음을 예측해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화 상대의 감정이나 사고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경험하는 기회가 틀린 믿음 이해를 촉진한다는 Bernard와 Deleau(2007)의 연구 결과와 같은 맥락에서 해석 될 수 있다.

      • 국내외 색조 화장품별 선호도 및 구매행동

        정미옥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marketing by drawing brand preferences through surveys about color cosmetic preference and purchasing behaviors of Korean women and to contribute to strengthen characteristics of cosmetic brands by products and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new brand launching. The color cosmetics included in the survey are foundation, powder and concealer, base make-up products and point make-up products such as products for eyebrow, eye shadows, mascara, blusher and lipsticks. Those eight products were examined statistically.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women in their twenties, thirties and forties in Seoul, Gyeonggi,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s. The direct survey method was used. The period to collected the data was from June 1 to July 30, 2009. Among 600 copies in total, 593 copies were used as the data for analysi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cross tabulation, correlation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 test were conducted.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preference of domestic cosmetics, Hera was the most preferred brand regarding all the base and the point make-up products. For foundation, Sulwhasoo was the most preferred and for seven other products, Hera was the most preferred. For the brand preferences of foreign base make-up products, the preference of Christian Dior was the highest and MAC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among the point make-up products. By products, the products of MAC were the most preferred in foundation, concealer, eyebrow, eye shadow and blusher. For powder, Christian Dior was the most preferred and Lanc?me was the most preferred about mascara and lipstick. Secon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of use, the most people use Lanc?me mascara and Hera's products are used the most for other seven categories. Thir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ferences of base and point make-ups and the preferences of each product. The preference congruity of the domestic base make-up produ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foreign base make-up products. Among them, the preference congruity of the domestic foundations were the highest. Also, the preferences of point make-up cosmetics by the domestic brands marked higher congruity than those of the foreign ones. The preference congruity of the domestic lipsticks were the highest among the point make-up cosmetics. For the foreign brands, the preference congruity of mascara was the highest. Fourth, the correl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base and point make-up products were analyzed. The domestic base make-up products all showed high correlations and all the domestic point make-up products showed high correlations, too. Especially, the blushers and the lipsticks showe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of .806 and showed very high correlations. All the foreign base make-up products showed high correlations. For correlations of point make-up products, eye brow and eye shadows showed high correlations and eyebrow and lipstick showed medium level of correlations. The other products a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Both domestic and foreign base make-up products showed high correlations regarding foundation and powder. It seems that users consider colors for use. For point make-up products, the domestic products showed higher correlations than the foreign products. It is considered that representative foreign brands are more various than the domestic ones so that users can have many chances to select products. Fifth,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use and purchasing behaviors, previous experience of us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decision-making among motives of purchase. The frequency of cosmetic- specialized stores was the highest as the place of purchase. For loyalty to products, qua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choice of colors, suitability to ski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decision-making. Sixth and finally, in the result of analyzing satisfaction for the products that the respondents currently use, the satisfactions of Sulwhasoo?s foundation, powder and blusher were the highest. Bobbi Brown was the highest for concealer, MAC was the highest in eye brow and eye shadow and Lanc?me was the highest in mascara and lipstick. As described in the above study results, preference of the domestic brands was higher than that of foreign brands. Also, Hera was the most preferred brand. For the base make-up products, foundation showed the highest congruity of the preference and the preference congruity of lipsticks was the highest among the point make-ups. Regarding coefficient of correlation,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s of the domestic produ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foreign brands.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s of foundations, powders, lipsticks and blushers were very high. For the reasons of purchase, experiences of use and quality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본 연구는 국내 성인여성들의 색조 화장품 선호도 및 구매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브랜드 선호도를 도출하여 마케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현행 시판되고 있는 화장품 브랜드의 제품별 특성 강화 및 신규 브랜드 런칭의 마케팅 전력 수립에 기여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설문에 포함된 색조화장품은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인 화운데이션, 파우더, 컨실러와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인 아이브로우, 아이섀도, 마스카라, 블러셔, 립스틱 등 8개 제품을 통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 전라도 지역, 경상도 지역에 거주하는 20대, 30대, 40대의 성인 여성이었고 직접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였다. 총 600부중 593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 분산분석, 던컨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베이스 및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 모두 헤라를 가장 선호하였다. 제품별로는 화운데이션은 설화수를 가장 선호하였고 그 외 7개 제품은 모두 헤라를 선호하였다. 외국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브랜드 선호도 에서는 크리스찬디올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은 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품별로는 화운데이션, 컨실러, 아이브로우, 아이섀도, 블러셔는 맥 제품을 가장 선호하였고 파우더는 크리스찬디올, 마스카라와 립스틱은 랑콤을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사용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마스카라는 랑콤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7개 제품은 모두 헤라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스 및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의 선호도와 제품별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외국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의 선호도 보다 국내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의 선호도 일치율이 더 높았고 그 중에서도 국내 화운데이션 선호도 일치율이 가장 높았다.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의 선호도 역시 국내 제품의 선호도 일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 중에서는 국내 립스틱의 선호도 일치율이 가장 높았고 외국 마스카라 선호도 일치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국내, 외 베이스 및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국내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은 모든 제품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국내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 역시 모든 제품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블러셔와 립스틱은 .81의 상관계수가 나타나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외국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의 상관관계는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 상관관계는 아이브로우와 아이섀도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아이브로우와 립스틱은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를 제외한 모든 제품은 독립적인 변수로 작용하였다.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은 국내, 외 모두 화운데이션과 파우더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 사용할 때 색상을 고려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은 외국 제품보다 국내 제품의 상관관계가 더 높았게 나타났는데 국내 제품보다 외국제품의 대표적인 브랜드가 다양하여 제품을 선택할 기회가 많은 결과라 생각된다. 다섯째,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을 분석한 결과 제품구매 동기는 사용경험의 유무가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 이였고 구매 장소는 화장품 전문매장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제품에 대한 충성도는 품질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제품의 색상 선택에서는 피부와 어울리는지의 여부가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 이였다. 여섯째,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화운데이션과 파우더, 블러셔는 설화수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컨실러는 바비브라운, 아이브로우와 아이섀도는 맥, 마스카라와 립스틱은 랑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전체적으로 국내 브랜드의 선호도가 외국 브랜드보다 높게 나타났고 헤라 제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서는 화운데이션의 선호도 일치율이 가장 높았고 포인트 메이크업에서는 립스틱의 선호도 일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관계수는 외국 제품보다 국내 제품의 상관계수가 더 높았고 특히 화운데이션과 파우더, 립스틱과 블러셔의 상관관계는 아주 높게 나타났다. 구매이유에서는 사용경험과 품질이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기하학적 조형에서 환영과 유희 : <반복> 연작의 분석과 해석

        정미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about the illusion and play of the geometric shapes which have been positioned in my artworks as outstanding formative elements. Conventionally, the geometric shapes have been recognized as rational codes in line with Modernism arts, pursuing simplicity of forms and clarity of logic from the beginning. However, the geometric shapes used in my artworks, which are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ar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existing geometric shapes of the fine arts,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rational codes. In other words, my artworks involve emotional code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general attributes of geometric shapes which explore the transcendent essence of the medium. This question w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t was a well-known fact that the geometric shapes became the irreducible basic model of visual perception in this period of great transformation into abstract arts, which pursue the intelligible essence beyond the phenomenon along with the extinction of Mimesis. At this point, the geometric abstract intended to rule over the area of high arts separated from life by excessively emphasizing spirituality and formalism, based on the idea of purism or fundamentalism. There ar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fact that the geometric shapes became the target of intensive criticism based on the deconstruction reasons of de-modernism. Moreover, the urge of post-modernism reorganized the level of the geometric shapes into a more complex structure of meaning by using the strategy to re-contextualize the basic propositions of modernism.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anings and limits of the differentiated practical devices of the activity to create geometric shapes in the paradigm of contemporary arts by considering the changing process of geometric shapes and its relevant issues. This is because it can be a measure of explication within the differentiated context by projecting my artworks based on the principle of form of repetition and accumulation of the geometric shapes into the context of art history. The ultimate goal pursued by this study was to specifically find the new potentials of the geometric shapes by doing so. First, I reviewed the issues on the abstract fine arts that appeared in the Modernism arts given the fact that the geometric shapes were created in the method of abstraction of thinking. Next, I contemplated the points in question and the meanings of the geometric shapes transformed under the spirit of the times of de-modernism. The discussion suggested ambiguity, decentralization and intertextuality, which were focused on as the source of the formative attitude in the contemporary arts, as the conceptual basis to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y artwork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 put an emphasis on seeking the new possibilities of geometric shapes by analyzing the strategies and effects of the geometric shapes in the research artworks, and reinterpreting their meanings and possibilities. It was the imaginary illusion as the surface effect and the play as an emotional code that the research artworks intended to reveal through the geometric formative element. The attributes of illusion and play are concepts that conflict with the geometric shapes which have been perceived as solid, meaning that the geometric shapes are reconstructed into the flexible attribute through changes and reversals. This study intended to prove how such hard vocabularies of the geometric shapes are transformed into such a soft liquid attribute. In other words, it aimed to re-contextualize the semantic forms of the geometric shapes, which are fixed as rational codes, into the new emotional code that “shares the meaning with the fun” by avoiding fixation of the semantic forms. The study aimed to emphasize the fact that the geometric shapes have the attributes of anti-purism or anti-fundamentalism as a universal visual language based on the common perception of forms of entire humans and cultures and one of the contemporary cultural codes. Moreover, it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finding the point to integrate once separated life and arts in Modernism arts by transforming the elements of illusion created by the geometric formativeness into ‘de-materializing play.’ 이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에 두드러진 조형이념으로 자리매김해 온 기하학적 조형에서의 환영과 유희에 관한 연구이다. 기하학적 조형은 관례적으로 그 출발부터 형태의 단순성과 논리의 명료성을 지향하는 모더니즘 미술과 궤도를 함께 하면서 이성적인 코드로 인지되어 왔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기하학적 조형은 이성적인 코드로 인지되어 온 기존 미술의 기하학적 조형과는 거리를 두고 있다. 다시 말해 연구 작품은 매체의 보편적인 본질을 탐구하는 기하학적 조형의 일반적인 언어로는 설명할 수 없는 매체의 특수한 감성적 속성을 중시한다. 이러한 논점이 이 연구의 출발점이었다. 20세기 초, 회화에서 재현 이념의 쇠퇴와 더불어 가시적(可視的) 현상 너머, 대상의 가지적(可知的)인 본질을 탐구하는 추상미술로의 대전환이 이루어지던 시기에 기하학적 조형이 등장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때 기하학적 추상은 순수주의(purism) 혹은 정초주의(fundamentalism) 이념에 근거하여 지나치게 정신성과 모던한 형식성을 우선한 나머지 삶과 분리된 환원주의적인 미니멀리즘 미술로 귀착된다. 이로 인해 기하학적 조형이 탈 모던의 해체론적 사유에서 집중적인 비판의 대상이 된 것은 상당한 시사점을 가진다. 이 같은 해체론적 맥락에서의 포스트모던적 충동은 모더니즘의 기본 명제들을 차용하여 재맥락화하는 전략을 펼침으로서 환원주의적인 기하학적 조형의 지층을 한층 더 복잡한 의미 구조로 재편성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기하학적 조형의 변천 과정과 그 쟁점들을 고찰함으로써 동시대 미술의 패러다임 속에서 기하학적 조형 행위가 가질 수 있는 실천적 장치에 대한 의미와 한계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이는 다른 한편으로 형의 반복과 축적의 원리에 기초한 연구자의 작품을 미술사적 맥락 속에 투사함으로서, 차별화된 문맥 속에서 해명(explication)하는 방편이 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기하학적 조형의 미적 혹은 조형적 가능성들을 구체적으로 모색해 보는 것이 이 연구가 추구하는 궁극의 목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하학적 조형이 사유적 추상의 방식으로 등장한 점에 착안하여 모더니즘 미술에 나타난 추상미술에 관한 쟁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탈 모던의 시대정신 속에서 변용된 기하학적 조형의 논점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 논의에서 특히 동시대미술에 나타나는 특수한 조형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모호성, 탈중심성, 상호텍스트성을 연구 작품의 분석틀로서 차용하였다. 이 같은 논의를 토대로 연구 작품에서 기하학적 조형의 전략과 효과를 분석하고 그 의미와 가능성을 해석함으로써 기하학적 조형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자 작품이 기하학적 조형요소를 통해 드러내고자 한 것은 표면효과로서의 가상적 환영(illusion)과 감성코드로서의 유희(play)이다. 환영과 유희의 속성은 고체성(solidity)으로 인지된 기하학적 조형과는 상반된 개념으로서, 이는 연구 작품에서의 기하학적 조형이 변형과 전복을 통해 유동적(floating) 속성이나 작동적(operational) 기능으로 재구조화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고체적인 기하학적 조형언어가 연구 작품을 통하여 부드러운 액체성(liquidity)으로 변용되는 과정과, 명사적인 실체 개념의 작품이 아닌 동사적인 작동적 개념을 수행하는 작품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즉, 이성적 코드로 고착화된 기하학적 조형의 의미형식을 탈고착화 시킴으로서 ‘재미를 통해 의미를 공유’하는 새로운 감성적 코드로 재맥락화하고자 했다. 이상의 논의에서 본 연구는 기하학적 조형이 모든 인간과 문화의 공통된 형태지각에 바탕을 둔 보편적 시각언어이기는 하지만, 또한 탈모던으로 지칭되는 동시대 문화코드의 하나로서는 반(anti) 순수주의 또는 반 정초주의의 속성을 가질 수도 있다는 점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그것은 곧 모더니즘 미술에서 분리되었던 삶과 예술이 다시 통합할 수 있는 지점을 찾는 행위와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 영아 보육시설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정미옥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 사회는 자녀의 양육 문제를 가정 내에서 해결해 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여성의 사회참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영아 보육 형태에 큰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보육에 대한 새로운 가치체계와 의식구조를 요구하고 있으나 기존 영아보육에 관한 우리 나라 영아보육에 관한 연구는 적다. 특히 영아보육시설의 일반적 운영 및 시설?설비현황, 영아 보육프로그램, 종사자 현황, 정부의 지원사항 등에 관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설립주체별 차이점과 문제점을 찾아 영아보육시설 운영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아보육시설의 일반적 운영 현황에서 교사 1인당 영아수가 많은 곳으로는 가정이 86.3%로, 영아수가 적은 곳은 직장이 41.2%이였다. 표준 보육료 단가이하로 받는 시설은 민간(개인)이 74%로 가장 많고, 국공립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표준 보육료 단가 이하로 수납하였다. 표준 보육 시간 이상 보육하는 곳은 가정이 33.3%, 표준 보육 시간 이하의 경우 직장이 41.2%로 가장 많았다. 영아반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조사에서는 국공립은 시설?설비의 부족(50.8%), 민간(개인)은 정부 보조금 지원 부족(33.8%), 가정은 낮은 보육료 (31.4%), 직장은 학부모의 인식(18.8%)이 가장 어려운 점으로 조사되었다. (2)영아보육시설의 시설?설비 현황에서는 건물 형태에서는 단독 건물은 국공립은 77%, 상가 건물은 민간(개인)이 58.8%, 공공 건물의 경우는 직장이 58.8%, 아파트는 가정이 45.1%로 많았다. 영아 1인당 필요한 연건평이 부적합한 곳은 민간(개인) 55.7%로 가장 많았고, 가장 적합한 곳은 국공립이 93.3%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아반이 위치한 층은 가정의 경우 1층이 66.7%로 가장 많았고, 2층 이상은 민간(개인)이 68.2%로 가장 많았다. (3) 종사자 현황에서 교사의 자격현황을 보면 유치원 정교사가 국공립이 41.3%, 보육 교사 2급의 경우는 민간(개인)75%, 보육 교사 1급의 경우는 직장이 29.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학력에서는 전문대졸이 국공립에서 52.1%, 대학졸의 경우는 직장이41.2%, 고졸의 경우는 민간(개인)45.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경력은 1~3년이 52.3%으로 대부분 짧은 것으로 나타났고, 영아만 가르친 경력은 1년~3년이 국공립에서 78.8%로 가장 많았고, 4~6년은 민간(법인?단체)가 38.3%, 7~10년은 직장이 13.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교사의 근로 여건 즉, 의료보험, 국민연금. 유급휴가, 고용보험, 상해보험, 퇴직금에서 3가지 이하만 갖추고 있는 경우는 가정이 90%이었고, 4~6가지를 갖추고 있는 경우에는 국공립 90.2%이었고, 그 외 운영체에 따라 국공립과 민간(법인?단체)에서는 수당과 연구비가 별도로 지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보수교육에 관해서 전혀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는 가정이 27.5%이었고, 2년에 1회는 직장이 17.6%, 1년에 1~2회는 국공립이 62.8%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교사의 급여 수준에서 국공립은 97.5%가 보건복지부 지정 호봉으로 지급되고, 가정의 64.7%가 50?60만원대, 민간(개인)의 60%가 70?80만원대로 나타났다. (4) 영아보육프로그램 운영현황에서 연간?월간?주간?일일보육계획안 수립은 평정척도 (1~5) 중 평균 4.12로, 초기 적응과 기본 생활습관의 체계적인 계획은 3.76으로 대부분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발달적 장애를 보이는 영아 보육의 계획의 수립여부는 평균 2.22로, 지역사회의 자원봉사자나 자원봉사단체등의 인적자원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지의 여부는 평균 2.51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 중에서 국공립이 민간(개인)보다 우수한 것으로는 일일보육계획과 초기적응?기본생활습관계획과 계획된 시간표 진행, 보육활동의 균형으로 나타났고, 국공립이 가정보다 우수한 것으로는 연령별? 월령별 일과운영과 다양한 보육활동의 평가활용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 결과의 활용은 국공립이 민간(개인)과 가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에 관한 조사에서 비상안전시설?대피훈련의 실시여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국공립이 민간(개인)과 가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지역사회 서비스에 관한 조사에서는 지역사회의 행사계획에 적극 참여와 지역사회의 자원봉사자나 자원봉사 단체등의 인적자원을 적절하게 활용여부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국공립이 민간(개인)과 가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5)정부지원에 관한 사항 중 정부 지원이 필요한 부분은 전반적인 운영보조가 24.4%로 가장 많았고, 영아 시설?설비의 지원이 21.3%순으로 나타났다. 보조금 지원의 가장 큰 문제로 국고 보조금 기준이 너무 낮다가 52.7%로 나타났고, 정부 지원 중 가장 시급한 개선점은 영아보육교사의 보수와 영아보육프로그램 및 교재?교구지원의 활성화 35.3%로 나타났다. (6) 설립주체별의 차이점에서 국공립의 경우 교사의 경력이 짧은 것이 가장 큰 문제로 나타났고, 보육시설 운영의 모든 부분에서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현진(1998)의 영아보육시설의 운영실태비교에서 나타난 가정보육이 시설보육보다 건강과 안전,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에서 더 우수하다는 결과와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개인)의 경우 낮은 보육료와 정부 보조금 지원부족으로 재정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학력과 교사 급여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의 형태는 상가 건물 2층 보육실이 많았고, 민간 시설의 면적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물 임대 가격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의 경우 교사1인당 영아의 비율이 낮아 교사와 영아간 상호작용이 원활하고, 교사의 경력이 7~10년(13.7%)으로 대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3%가 공공건물의 2층이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영아보육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의 경우는 교사1인당 영아수가 많고, 표준 보육시간 이상으로 보육하고, 낮은 보육료로 재정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근로여건과 급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영아보육의 질이 낮아질 수 있는 여건들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설비에서 실내 화장실과 욕조등을 많이 갖추고 있었고, 보육실이 1층이 많아 영아에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전제로 영아보육시설의 질적 향상을 기하고, 영아들에게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영아보육시설? 설비보강이 필요하고,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처우와 전문성이 개선되어야 하고, 셋째, 보육정보센터를 적극 활용하여야 하며, 넷째, 설립 주체별로 정부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nursery school about the operation and actual condi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city each establishment body. In this study analysis the item which is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establishment body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general present condition, facilities/equipment, employees, programs, and government suppor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general operating condition, an place which is many infant per one teacher are home nursery schools(86.3%) and which is a few infant per one teacher are employee's nursery schools(41.2%). Most of an place accept low charge than standard nurture one. for example, an private nursery schools are 74%. The situation of over time than standard care one is home nursery school(33.3%) but the employee's nursery schools(41.2%) are less than standard care time. in the difficult matters of operating the national/public nurserschools(50.8%) are insufficient of the facilities/equipment, private(personal) nursery schools(33.8%) are short of government subsidy, home nursery schools(31.4%) are low service charge, and employee's nursery schools(18.8%) are inactive understanding of parents for infants. Second, in the condition of facilities/equipment, the type of building is as follows.National/public(77%) is in the indivisual house, private(personal)(58.8%) is in the shop, employee's(58.8%) is in the public, home(45.1%) is in the apartment. The place which is insufficient of total floor space per an infant are private(personal)(55.7%) and are national/puclic(93.9%) on the contrary. the floor of the schools allocated first one for the home(66.7%) and more than second one for the private(personal)(68.2%). Third, the situation of the employee is as follows, in the case for teacher's qualification are 41.3% of national/public have kindergartener certificate and 75% of private(personal) have second nurture instructor certificate and employee's nursery schools(29.4%) have first nurture instructor certificate. in the school career national/ public(52.1%) have college, employee's(41.2%) have university, private(personal) (45.9%) have high school. The career of nurture is 52.3% for from one year to three in the all samples. It is 78.8% of national/public which have from one year to three and is 38.3% of public(corporation/organization) which have from four years to six and is 13.7% of employee's which have from seven years to ten, for the career of nurture only for infants. The given condition of service for the nurture instructor, for example, medical insurance, pension, paid vacation, engagement insurance, injury insurance, retirement annuity is 90% of home have less than three items, 90.2% of national/public have four or six items. further, national/public and public(corporation/organization) paid the compensation and study cost depending operating body. The refresh education for nurture instructor is that never attend 27.5% of home, attend one time per 2 years 17.6% of employee's, attend one or two times per one year 62.8% of national/public. The payment for nurture instructors is that paid 97.5% of national/public a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pecified salary class, 64.7% of home paid 500~600 thousand won, and 60% of private(personal) paid 700~800 thousand won. Forth, in the infant nurture program condition, The year, monthly, weekly, daily nurture plan establishment is mean 4.12(evaluate scale 1 to 5). The systemic plan of the initial adaptation and basic living habit 3.76 for all samples. but infant nurture plan which appear development obstacle establish mean 2.22. The practical use of human resource as volunteer service of local society or volunteer service organization is mean 2.51. The national/public superior than private(personal) in the meaning difference is daily nurture plan, initial adaptation and basic living habit, progress of time table, and balance of the nurture activities. The national/public superior than home is daily work of the each years/months and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for much of the nurture activities. The national/public superior than private(personal) and home in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 result. The national/public superior than private(personal) and home in the safety, facility of emergency and shunt exercise. The national/public superior than private(personal) and home in the parents and local society service. Fifth, in the government supporting, item which necessitate government support is that appear general operating support(24.4%) and facility support for infant(21.3%). The most problem of subsidy is too low criterion(52.7%). the improvement point is pay, program for infant, and support for the teaching materials(35.3%). Sixth, in the difference of the establishment body, the national/public have big problem about the insufficient of career and superior about all of the operation. The private(personal) inferior the finance status for low nurture charge and insufficient of subsidy, and low school career and payment of instructors. The type of biulding of located place is second floor of shop and have incongruent floor space. the case of employee's have smooth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and infant because infant per one instructor is low, and career of instructor is seven to ten years(13.7%). Because 53% of employee's located at second floor, it is not appropriate for nurture. The home is generally weakness for infant nurture except these items which have facility/ equipment such as toilet and bathtub and have first floor for nurture space. The suggested improving scheme for presented problem as above is that need the reinforce the facility/equipment, should improve of nurture instruct's treatment and professionality, activate nurture information center, need systemic support for the each establishment body.

      •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수적합화를 통한 문제해결학습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미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수적합화를 통한 문제해결학습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H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비장애학생 25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기간은 2013년 9월 2일부터 10월 11일까지로 매회기 40분씩 주 2~3회 6주간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1-2학년군 국어2 교사용지도서를 참고로 연구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으며, 평가도구는 오원석(2008), 하성수(2008)가 사용한 장애수용태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PC+21.0 for Windows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증하고, 95% 신뢰구간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수적합화를 통한 문제해결학습은 비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수적합화를 통한 문제해결학습은 또래와 함께하는 학습이나 활동, 게임 등을 통해 바람직한 행동을 배울 수 있었고, 나와 다른 친구에 대해서 인정해 주고 이해하며, 배려하는 마음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장애학생과 쉽게 대화하고 같은 학급의 구성원으로 인정하도록 하여 긍정적인 관계를 맺게 됨으로써,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가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수적합화를 통한 문제해결학습은 비장애학생의 장애인의 능력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수적합화를 통한 문제해결학습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들의 특성 및 학습능력에 맞게 교과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학습량을 조절하거나 단계를 낮추는 등의 방법으로 학생의 발달 단계와 특성에 맞게 수업계획을 세우며 수업을 실행함으로써 비장애학생으로 하여금 장애학생의 신체능력과 일상생활능력에 관한 가능성과 잠재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되어 장애인의 능력에 대한 인식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수적합화를 통한 문제해결학습은 비장애학생의 행동의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수적합화를 통한 문제해결학습은 수업시간 중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한 모둠이 되어 모둠활동하기, 입술책으로 짝꿍과 이야기해보기, 시장에 가면 놀이 활동하기, 인사하기 놀이 등 자주 부딪히고 같이 활동함으로써 비장애학생이 장애학생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장애학생과 자발적으로 상호작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아짐으로 행동의도가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넷째,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수적합화를 통한 문제해결학습은 비장애학생의 학급동료인식기대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수적합화를 통한 문제해결학습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특성과 학습능력을 파악하여 학습내용을 재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한 공간에서 함께 모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비장애학생 자신뿐만 아니라 같은 학급에 소속된 친구들도 장애학생을 학급 구성원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장애학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되어 비장애학생의 학급동료 인식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국가기록원의 국가지정기록물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 패싯 기반 디렉토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정미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National Records Designation System is designed to protect valuable civilian records from loss or damage. It also intends that government administrates important civilian records to raise public concerns civilian records and to foster archival culture in Korea. National Archives of Korea designates 12 record collections(15 sub-collections) until May, 2019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the collections. National Archives of Korea also provides a web page of national designated records to introduce the value of the records and to give access to the collections. In terms of archival record service, however, the services of the National Archive Korea has several issues. The web page is entirely depend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institutes that hold the designated records. Furthermore, the difference in size and function among institutes causes the inconsistent level of information services. Currently, the web page of designated records can not provide information service at the basic leve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s of service fo the designated record through the web page of National Archive of Kore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of designated records is dispersed in two web pages by the National Archive of Korea, an introductive web page of every collection in the National Archive of Korea and a web page of designated record service. Second, the web page of designated record service provides information of designated records only at collection level, so it is not easy for users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records. In order to improve the service for the designated record service of the National Archive of Korea, this study proposed the unification of dispersed web pages to provide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records consistently. It also suggested a facet based directory service and word cloud service to give access to the contents of each designated record collection. The facet based directory and word cloud service will help users to understand the designated records in more detail. The lists of designated records at item and folder level were generated from the information that was collected from each holding institutes of designated record collections. All information was gathered by the request of information disclosure, emails, phone call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 The contents of the records in the lists were analyzed and five facets were drawn for the designated records. The facets for designated records are subject, media, activity, place and time. The five facets are originally based on the Langanathan PMEST facet theory. Word clouds of four facets, subject, activity, place, and time, were produced with top 100 keywords from the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 in the lists of designated records. The major keywords were visualized for users to access the designated records at content level in various aspects of the record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current service of the designated records by the National Archive of Korea. It suggests the unified web page and facet based directory service to give various accesses to the contents of the designated records. In addition, word clouds of four facets are proposed to illustrate major topics of the designated records.

      • Dual energy CT에서 metal artifact redu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artifact reduction에 관한 연구

        정미옥 高麗大學校 醫用科學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Dual Energy CT에서 Metal Artifact Redu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Artifact Reduction에 관한 연구 금속이 삽입된 인체의 CT영상에는 Metal artifact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Artifact에 의해 영상의 질이 저하되어 미세부분의 관찰 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ual energy CT의 Metal Artifact Reduction(MA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Metal, Gold, Titanium 물질별 특성을 파악하여 진단적 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Humanoid phantom (RANDO; The Phantom Laboratory, Salem, NY)의 7번 slice의 치아구조물 TLD holder부분에 Metal, Gold, Titanium을 삽입한 후 MAR알고리즘을 사용하였을 경우와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의 영상을 얻었다. 얻어진 영상을 10keV 단위별 70keV에서 140keV까지 재구성하여 Black hole artifact와 White streak artifact부위에 ROI를 설정하여 HU값을 구하고 금속의 직경을 측정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Beam hardening artifact와 Cortico medullary differentiation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여 점수화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금속 물질 삽입 시 생기는 Black hole artifact, White streak artifact 의 HU값은 Metal, Gold, Titanium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Metal, Gold, Titanium의 직경은 MAR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을 경우가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실제 직경에 가깝게 측정되었다. 셋째, Beam hardening artifact는 Metal, Gold에서 MAR 알고리즘을 사용한 120 keV이상의 경우에서 Titanium은 MAR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감소하였다. 넷째, Cortico medullary differentiation은 MAR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가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금속별 특성을 영상검사와 판독 시에 고려한다면 보다 정확한 검사와 판독을 시행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