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미술치료가 보육원 아동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

        정명주 대구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in improving child's emotional quotient in an orphan asylum. The design of this study is pretest-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group art therapy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emotional quotient. The subjects were 8 males, 8 fema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orphanage asylum in A city. Among subjects, 4 males and 4 female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 males, 4 females in the control group which doesn't participate in group art therapy. To perform this stud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carried out 1 session for a week and the whole. sessions are 20. Each session being allocated 60 minutes.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used in this study is E.Q-test and Qualitative analysis. M(mean), SD(standard deviation) and F-value 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collected by E.Q-test. Also,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qualitative analysis to know orphanage asylum child's emotional changes. Sub-areas of each measurement have 5 areas, which are: perception of emotion, expression of emotion, empathy, regulation of emotion and utilization of emo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s emotional quoti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di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s. 2) The levels of perception of emotion was increased,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3) The levels of expression of emo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4) The levels of empathy of emo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5) The levels of regulation of emo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and this sub-area was the most significant one in the sub-areas of emotional quotient. 6) The levels of utilization of emotion was increased,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rom these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s emotional quotient in an .orphan asylum.

      • 마음공부 프로그램이 학업부적응 청소년의 자기존중감과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정명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The Influences of Mind-Practice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Impulsivity of Academic Maladaptive Adolescents. Jung Myung Ju Major in Educational Psychology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mind-practice programs on the self-esteem and impulsivity of academic maladaptive adolescents. In order to do so,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a mind-practice program by applying it to 18 academic maladaptive adolescents. As for experimental design, 8 of the 18 academic maladaptive adolesce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to a control group, followed by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self-esteem and impulsivity the process interviews as well as the observing behavior of the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amined and recor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mind-practice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5 level on the self-esteem of academic maladaptive adolescents. Secondly, the mind-practice progra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5 and higher level on the impulsivity of academic maladaptive adolescent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in order to furthermore develop mind-practice programs,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to promote changes in behavior by developing a specialized mind-practice program for adolescents by characteristics. keywords : mind-practice programs, self-esteem, impulsivity, academic maladaptive adolescents

      • 서울 일부지역 중학생의 영양표시에 관한 이해 및 인식도 조사

        정명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서울 일부 지역의 중학교 1학년 355명을 대상으로 영양표시에 관한 이해도 및 인식도, 영양표시 관련 교육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1. 영양성분표가 무엇인지 아느냐는 질문에 알고 있다의 응답이 84.2%로 모르는 대상자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전체 학생의 81.4%가 영양표시를 확인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p<0.01), 교육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p<0.001)의 확인 비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건강관리(비만예방, 다이어트, 식이요법 등)를 위해서,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영양표시에 관심이 없어서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식품의 종류에 따른 영양표시 확인은 가끔 확인한다가 대략 40%대를 보여 가장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영양표시에 관한 지식의 출처는 남학생이 TV, 인터넷이었고, 여학생은 부모님, 친척, 친구 등을 통해서였다. 전체 대상자중 47.6%는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확인이 식생활에 대체로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유의하게 높았고(p<0.05), 영양표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나 없는 경우 모두 높았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양표시 성분은 남학생은 총열량, 트랜스지방, 칼슘 및 철분 순이었고, 여학생은 총열량, 지방, 비타민류 순이었다. 2. 영양표시에 관한 교육 경험은 전체의 33.0%만이 있었으며, 성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영양표시에 관한 교육이 있다면 참석하겠는가에 대해 남학생의 긍정적 응답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향후 영양표시 적용을 원하는 품목은 배달음식(중국음식, 치킨 등)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영양표시 교육 및 홍보의 필요성에 대해 전체 대상자의 62.8%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p<0.01), 교육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p<0.05)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비율이 더 높았다. 영양표시에 관한 교육과 홍보로 습득된 지식이 학생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점수가, 교육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는 있는 경우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좀 더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영양표시 이용실태를 보면 영양표시를 알고 확인하는 비율은 상당히 높았다. 하지만 실제 식품 구매시 식품 종류에 따른 영양표시 확인은 가끔 확인하는 정도로 나타나 영양표시를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영양표시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천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필요성, 영양표시 교육 및 홍보의 필요성, 영양표시의 영향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긍정의 답변이 우세했지만, 성별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긍정적 답변이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긍정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영양표시에 관한 교육과 홍보는 학교나 공공기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하며 특히 남학생들을 좀더 적극적으로 교육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영양표시를 더 많이 확인하고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필요성, 영양표시 교육 및 홍보의 필요성, 영양표시의 영향에 대한 인식에 있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영양표시 관련 교육은 학생들에게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evel of understanding, perception and educ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5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in Seoul. Most of the students(84.2%) answered that they had known a nutrition labeling. Most of the students(81.4%) responded that they had read the nutrition labeling. Female students read nutrition label more than male students(p<0.01). Those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read nutrition label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p<0.001). Reason for reading the nutrition label was 'for health care(preventing obesity, losing weight and dietetic therapy)' while the reason for not reading the nutrition label was 'not interested in'. Male students obtained inform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through TV, internet while female students obtained it through parent, relatives, and friends. Half of the students(47.6%) answered that reading the nutrition label when purchasing foods helped their dietary life. In terms of necessity of the nutrition labeling of processed food, female students recogniz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he necessity than male students(p<0.05). Regardless of education experience, most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nutrition labeling highly. Male students considered total calories as the most important item of the nutrition labeling, followed by trans fat, calcium and iron while female students responded total calories, fat, and vitamins in order of importance. Only 33.0% of respondents received educ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of intention attending the educ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male student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female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The delivered food(chinese food and chicken) was placed in the first on the foods to which the nutrition labeling would be applied in the future. Two third of the students(62.8%)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he necessity than male students(p<0.01). Those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recognized higher level of the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than those who did not(p<0.05). With respect to question of how knowledge acquired through educ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would influence respondents, female students recognized in more positive direction than male students. Those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showe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than those who did not. As the above results showed, the rate at which students understood and read the nutrition labeling was relatively high. However, it appeared that they did not applied when purchasing foods. Therefore, practical education program would be necessary to utilize the nutrition labeling well in dietary life.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about the necessity of the nutrition labeling in processed food and the 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the nutrition labeling. By gender,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response rate than male students. Therefore, educ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should be continued by schools and public institutions. Specially, education would be necessary for male students more actively. Students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understood and read the label more frequently and also had positive attitude toward necessity and influence of nutrition labeling.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about food label is certainly necessary for students.

      • 국문뒤풀이의 음악적 연구 : 김주호와 오복녀 소리 비교를 중심으로

        정명주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민요의 한 현상으로 언문뒤풀이·가갸뒷푸리·가갸풀이·국문풀이·국문풀이타령·언문풀이·한글뒷풀이·한극요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구비 전승되어 온 <국문뒤풀이>의 음악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1930년대 명창으로 평안도와 서울 지역에서 활동했던 김주호와 평안도 출신이지만 일생 대부분을 서울 지역에서 활동했던 오복녀 명창의 1990년대 음반에 실려 있는 <국문뒤풀이> 음악이다. 두 명창의 <국문뒤풀이> 음악을 채보 · 분석하여 <국문뒤풀이> 음악의 일반적 특징을 살피고, 음반 취입 시기가 1930년대와 1990년대로 거의 60년 즈음 차이가 나는 두 음악을 비교하여 <국문뒤풀이>의 음악적 변화 양상을 밝힌 글이다. 그 전승 분포를 전국으로 두고 있으며, 비 특정 지역의 민요인 <국문뒤풀이>는 특히 대부분의 민요들과는 다른 비교적 독특하지만 규칙적인 사설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 <국문뒤풀이>의 가장 보편적인 사설체계는 한글 자모음의 결합 순서에 따라 4음보(音譜) 율격(律格)으로, 이에 맞춰 말을 이어가는 글자 풀이 노래이다. 그 형성 역사는 국문표가 통용되기 시작한 19세기 전후로 보고 있다. 이러한 <국문뒤풀이>의 전승과 확산에 실질적인 기여를 한 것은 20세기 전반의 유성기 음반이다. 연구 결과 밝혀진 <국문뒤풀이>의 음악적 특징을 김주호와 오복녀 두 명창의 소리 비교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주호와 오복녀 <국문뒤풀이>의 형식은, 도입 부분인 앞사설+자음 · 모음 열거+뒤풀이 형식으로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25~27연(聯)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연은 2음보(音譜) 2행(行)을 중심으로 두고 있으며, 비교적 규칙적인 가사 체계를 보이고 있다. <국문뒤풀이>의 가사 내용은 김주호의 경우 주로 신세타령조로 구성되어있으며, 오복녀의 경우에는 임에 대한 원망(怨望)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즉 두 악곡은 언어유희(言語遊戱)적 성격과 서정요(抒情謠)의 성격을 띠고 있다. <국문뒤풀이>의 중심 리듬형은 규칙적인 3소박4박 형이며, 가갸 부분은 일정한 리듬형을 보이지만, 뒤풀이 부분은 여러 변주 형태의 리듬형으로 연주된다. 리듬에 따른 가사붙임새는 일자일음(一字一音)형, 일자수음(一字數音)형, 신코페이션(Syncopation)형이 주를 이루며, 간혹 일자다음(一字多音)형도 출현한다. 템포는 김주호의 경우는 ♩.=60, 오복녀의 경우는 ♩.=35를 보여서, 김주호의 <국문뒤풀이>가 오복녀의 것 보다 빠르게 연주된다. 이는 1930년대에 비해 1990년대의 <국문뒤풀이>의 가사가 확대되면서 리듬형이 복잡해졌기 때문에 늘여서 부를 수밖에 없었던 결과로 보인다. 장단은 김주호의 경우는 자진굿거리 장단을, 오복녀의 경우는 굿거리 장단을 사용한다. 김주호 <국문뒤풀이>의 단순한 리듬형으로 굿거리보다는 빠른 잦은굿거리 장단으로 연주한다. 음조직은 김주호와 오복녀 모두 북부경토리와 수심가토리가 혼합되어 있는 경서도토리로 되어있다. 이러한 현상은 두 창자(唱者)의 출신지가 평양 지역으로 수심가토리권이지만 활동을 주로 서울 경기 지역에서 했기 때문에 인접지역의 상호영향 때문으로 판단된다. 사용 음역은 두 창자 모두 두 옥타브를 사용하지만, 음고(音高)는 김주호가 오복녀 보다 거의 한 옥타브 높게 나타난다. 김주호의 경우는 우리나라 북부에서만 주로 활동을 했을 당시의 1930년대의 음원이고, 오복녀는 남부로 이주해 오랜 동안 활동한 뒤인 1990년대 음원이기 때문이다. 이는 북부가 남부 보다 높은 음고로 노래하는 음악문화적 현상이 뒷받침된다. 김주호와 오복녀 <국문뒤풀이> 가사 구성형은, 김주호는 가갸 부분에서 대부분 앞 연의 두 음을 반복하고 뒤를 이어 진행하고, 오복녀는 제 순서대로 일정하게 진행한다. 이는 김주호 만의 가갸 열거 방식으로 규정된다. 또한 자음+모음 열거에 두 창자가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1930년대의 국문표와 1990년대의 자음+모음의 순서가 다르기 때문이다. This thesis studies , one of forms of folk songs which has been handed down orally under various names of Eonmundwipuri·Gagyadwipuri·Gagaypuri·Gukmunpuri·Gukmunpuri ballad·Eonmunpuri·Korean dwipuri and Hangeukyo, from the viewpoint of music. The research subject is the music of in the album produced in 1990s by Kim Ju-ho, a noted singer of 1930s leading an active life in Pyeongan province and Seoul, and the one by Oh Bok-nyeo, a famous singer from Pyeongan province who spent most of her life in Seoul. The music of by those two noted singers was transformed into a musical score and analyz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in . In addition, in this research, two kinds of music, which had been made into record albums in different years, in the 1930s and in the 1990s, were compared to find out the musical changes of. It has been distributed nationally and not limited to a particular region, and has relatively unique and regular storytelling organiz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most folk songs. The most general storytelling system of this is four-beat versifica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combination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nd a song to play with words after words. It is estimated to start to be formed around 19th century when Korean letters began to be widely used. What made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the transmission and spread of this was the gramophone album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are as follows, when the sounds of two noted singers of Kim Ju-ho and Oh Bok-nyeo were compared. The form of Kim Ju-ho’s and Oh Bok-nyeo’s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part of front tale+consonants and enumerated vowels+dwipuri. In general, it’s made up of 25 to 27 stanzas, and each stanza is centered on 2 beats of two lines and displays relatively regular lyric system.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lyrics of, Kim Ju-ho’s lyrics are mostly about one’s hard-luck story, and those of Oh Bok-nyeo are mostly about the resentment toward one’s lover. In other words, two musical pieces have the features of word play and an epic song. The main rhythmic style of is regular three-four beat, and while the Gagya part has a certain rhythmic style, the dwipuri part is played with various rhythmic styles. The lyrics according to the rhythms are mostly one-letter-one-sound style, neumatic style, and syncopation style, and sometimes melismatic style appears. Kim Ju-ho has tempo of ♩.=60, and Oh Bok-nyeo has tempo of ♩.=35, so Kim Ju-ho’s was played faster than that of Oh Bok-nyeo’s. This is because the lyrics of was extended and its rhythmic style became complex in the 1990s, compared to in the 1930s, so they had to sing it by extending it. With regard to the beat, Kim Ju-ho used Jajingutgeori beat, and Oh Bok-nyeo used Gutgeori beat. Kim Ju-ho’s has simple rhythms and was played with rapid Jajeungutgeori rather than with Gutgeori. Both Kim Ju-ho and Oh Bok-nyeo used the note organization of Gyeongseodotori, the combination of Bukbugyeongtori and Susimgatori. It seems to result from the fact that those two singers mostly led their musical lif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even though they were from Pyeongyang, the region of Susimgatori. Speaking of the used pitch extent, both singers used two octaves, but Kim Ju-ho displayed one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Oh Bok-nyeo’s by almost one octave in the upper register. It’s because Kim Ju-ho made the album in the 1930s when he was usually singing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 and Oh Bok-nyeo’s album was produced in the 1990s after she had moved to the southern part and led her life as a singer for a long time, which shows there was the musical and cultural phenomenon that the upper register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 was higher than that in the southern part. When the organization of the lyrics of Kim Ju-ho and Oh Bok-nyeo’s were examined, Kim Ju-ho had the style to repeat mainly two notes from the first two stanzas and then proceeded to the latter part in Gagya, and Oh Bok-nyeo followed the original order. Therefore, Kim Ju-ho has his own style of Gagya enumeration. Moreover, the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s is different, which is because the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Korean letter table of the 1930s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1990s.

      • 소청룡탕의 품질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탐색 및 정성정량분석 연구

        정명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 : 소청룡탕은 한방의료기관에서 임상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처방이다. TLC 및 HPLC를 이용해 각각 다른 네 회사의 소청룡탕 과립을 정성 및 정량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품질 표준화를 위한 연구를 하였다. 실험방법: 서로 다른 네 회사의 소청룡탕 과립에 있는 오미자와 반하를 Thin-Layer-Chromatography(TLC) 시험법을 통해 정성분석 하였다. 각각의 다른 네 회사의 소청룡탕 과립을 Liquid Chromatography (LC) 시험법을 통해 마황, 작약, 감초의 정량분석을 하였다. 결과: 서로 다른 네 회사의 소청룡탕 과립 내 존재하는 오미자, 반하 성분을 TLC를 이용하여 정성분석 한 결과 오미자, 반하 성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서로 다른 네 회사의 소청룡탕 과립의 정량분석을 통해, 4곳 모두 서로 다른 비율로 구성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마황은 소청룡탕 과립A, 작약은 소청룡탕 과립B, 감초는 소청룡탕 과립D에 가장 많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같은 양의 서로 다른 네 회사의 소청룡탕 과립을 비교해 봤을 때, 소청룡탕 과립D의 구성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그에 반해 소청룡탕 과립C는 구성 성분의 함량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결론: 시판되고 있는 소청룡탕 과립의 구성 성분 함량과 비율에 차이가 있어 품질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So-Cheong-Ryong-Tang prescription is being widely used in herbal medical institutions. Using TLC and HPLC for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 each So-Cheong-Ryong-Tang extract granules of the other four companies was a study for standardized quality by comparison. Methods: Omija(Schisandra chinensis) and Banha(Pinellia ternate) of each So-Cheong-Ryong-Tang extract granule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y Thin-Layer-Chromatography (TLC) test method. Mahuang(Ephedrae sinica), Jakyak(Paeoniae Radix Alba) , Gamcho(Glycyrrhizae Radix) of each So-Cheong-Ryong-Tang extract granules were quantified by Liquid Chromatography (LC) test method. Results: After a qualitative analysis of each So-Cheong-Ryong-Tang extract granules of the other four companies by using TLC, it was confirmed that Omija(Schisandra chinensis) and Banha(Pinellia ternata) component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each So-Cheong-Ryong-Tang extract granules of the other four companies were composed at a different rate. Mahuang(Ephedrae sinica) was the lot to medication A, Jakyak(Paeoniae Radix Alba) was the lot to medication B, Gamcho(Glycyrrhizae Radix) was the lot to medication D.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the same amount of each So-Cheong-Ryong-Tang extract granules of the other four compan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medication D component was the highest. In contrast medication C component was the lowest. Conclusion: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ate and component amount of commercially available So-Cheong-Ryong-Tang extract granules, it is considered that the quality standards are required.

      • 아트 아카이브에(Art achives)에 관한 연구

        정명주 명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중심에서 점차 사회 다양한 부분의 기록 관리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영역의 기록 관리는 아직 준비단계에 있어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지침이 필요하다. 아트 아카이브는 미술관련 기록을 수집, 평가, 분류, 기술, 보존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기관이다. 아트 아카이브에서 관리하는 미술관련 기록이란 미술과 관련된 각종 사건과 사실, 미술인과 그 주변 인물들에 관해 기록한 정보 모두를 일컫는다. 현재 많은 나라에서 아트 아카이브가 운영되고 있지는 않지만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아트 아카이브는 유용한 미술기록을 보존함으로써 미술문화에 대한 정체성과 함께 미술역사를 올바로 정립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는 과거의 기록을 통해 교훈과 지혜를 얻고 현재와 미래에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가늠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미술기록은 모여서 미술역사가 되고 후대에 미술문화의 기준이 된다. 또한 기록은 활동의 증거로서 미술관련 조직, 기관의 투명한 경영과 책임 있는 행정을 유도하고 미술가의 개인의 삶의 발자취를 돌아볼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트 아카이브의 역사와 미술 도서관, 미술관과의 비교를 통해 아트 아카이브 개념을 정의하고 그 기능을 살펴보았다. 아트 아카이브는 기록을 수집하고 보존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미술사와 미술문화에 대한 연구기능, 소장 기록을 이용한 출판 및 전시 등 교육적인 기능도 수행한다. 아트 아카이브는 형태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미술관 부설 연구기관에 소속되어 운영되는 미술관 소속 아트 아카이브와 독립된 기관으로 기록관의 미션에 따라 운영되는 수집형 아트 아카이브로 나눌 수 있다. 테이트 미술관 아카이브와 온타리오 미술관의 도서관&아카이브가 미술관 소속 아트 아카이브에 해당하며 미국 아트 아카이브와 아시아 아트 아카이브가 수집형 아트 아카이브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아트 아카이브라고 불릴만한 기관은 없는 실정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의 도서자료실에서 처음으로 미술관련 기록을 수집하기 시작하였고 2003년 미국 아트 아카이브를 모델로 한국현대미술기록보존소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이 두 기관 모두 아직 아트 아카이브라고 부르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외국의 사례를 통해 아트 아카이브는 어떠한 기록을 수집하고 정리, 기술하여 이용자에게 제공되는지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아트 아카이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Archives that had mostly been used by public institutions is gradually drawing attention from diverse fields of society. The area of literature and art isn't yet fully ready to introduce archives, and relevant guidelines should be laid out to ensure the efficiency of archives in this sector. An art archives denotes an institute that aims at the collection, assessment, documentation and preservation of art-related archives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Art-related archives refer here to all sorts of written information on incidents, facts, artists and related people. An art archives tend to be on the rise in the world, though this kind of institute doesn't yet exist in many nations, and there is a growing concern for an art archives in our countries as well. An art archives contributes to building the identity of art culture and to establishing the history of art in the right way by keeping informative archives on art. It's possible to learn a lesson or wisdom from records on the past, and to determine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future based on them. An accumulation of art records makes up art history, and functions as a future standard of art culture. At the same time, archives are evidence of what has been done, and serve to ensure the managerial transparency and responsible administration handling of art-related organizations, and allow artists to look back on their own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istory of art archives, art library and museum in a bid to make a definition of art archives and its functions. An art archives basically serves as a collector, keeper and supplier of records. At the same time, that makes research on art history and art culture, and publishes books and hold an exhibition for educational purposes by capitalizing on their collections. There are largely two different types of art archives by its form. One is affiliated with a research institute attached to a museum, and the other is an independent collecting organization that is run according to the mission of recorders. The typical examples of the former are Tate Gallery Archive and Art Gallery of Ontario Library&Archives, and those of the latter are Archives American Art and Asia Art Archive. At present, there's no organization in our country to be called an art archives.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s the first agency to have started gathering art-related archives, and Archives of Korean Contemporary Art was established in 2003 by modelling after Archives of American Art. But both institutes couldn't yet be called an art archives. So it's attempted in this study to delve into what sorts of archives were collected, documented and supplied by foreign art archives and to presen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Korean art archives.

      •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와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정량검출을 위한 TaqMan-based Real-time PCR

        정명주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수산생물질병 중에 가장 많은 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알려진 것은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와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이다. VHSV와 IHNV는 무지개송어를 비롯한 담수 연어과 어류에 감염되어 심각한 바이러스 질병을 야기하는 병원체이다. VHSV와 IHNV는 자연계 내의 바이러스가 양식환경에 유입되어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수산자원의 관리를 위하여 해마다 수백만 마리의 수산종묘가 연안에 방류되고 있어 양식산 어류와 자연산 어류에서의 바이러스 검출방법 최적화가 필요하다. VHSV 와 IHNV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polyclonal antibody를 이용한 효소 면역측정법이나 웨스턴 블랏팅, 전자 현미경 관찰 등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잠복성 및 감염초기의 바이러스 질병을 신속 진단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고, polyclonal antibody는 같은 성질의 항체를 계속적으로 얻을 수 없어 실험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최근에 바이러스의 검출을 위한 시험법으로 민감도와 특이도가 우수한 중합효소 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활용한 유전자 증폭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 PCR법은 빠른 시간 내에 병원체의 검출이 가능하고 검출감도가 높으며, 또한 짧은 시간에 많은 시료를 분석할 수 있어 생물학적 시험법에 비해 시간과 경비를 절약 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 특이적 primer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존재 유무를 검출하기 때문에 특이도가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VHSV와 IHNV를 신속하게 정량적으로 검출 할 수 있는 TaqMan probe real-time PCR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VHSV와 IHNV 핵산 증폭을 위한 특이적인 primer를 선별하였으며, TaqMan probe를 이용한 정량 분석법을 최적화 하였다. VHSV 분석법의 민감도는 8.10 × 10-1 TCID50/mL로 계산되었다. 확립된 시험법의 신뢰성 검증결과 이 real-time PCR 방법은 VHSV에 매우 특이성이 높았으며 재현성이 우수하였다. IHNV의 분석법의 민감도는 1.32× 100 TCID50/mL로 계산되었다. 확립된 시험법의 신뢰성 검증결과 이 real-time PCR 방법은 IHNV에 매우 특이성이 높았으며 재현성이 우수하였다. VHSV와 IHNV의 TaqMan probe real-time PCR을 이용한 정량 분석법은 양식산 어류와 자연산 어류에서의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기존의 시험법을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and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 are known as the most common causes of diseases in fisheries. VHSV and IHNV infect fishes of fresh water as well as ocean. Natural VHSV and IHNV may cause of disease by introducing into fish farm. A huge amount of fry are stocked into the coast. Therefore development of virus detection method is required. For the detection of VHSV and IHNV, enzyme immunoassay using polyclonal antibodies, western blotting, and electron microscopy are mainly used. However these methods have limitation to detect latent infection and an initial viral disease. Recently nucleotide amplification test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has been used widely for rapid and specific detection of viruses. In this study, TaqMan probe real-time quantitative PCR assays to detect VHSV and IHNV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Specific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VHSV and IHNV were selected, and VHSV and IHNV were quantified by use of TaqMan probe. The sensitivity for VHSV real-time PCR was calculated to be 8.10 × 10-1 TCID50/mL. The TaqMan probe real-time PCR assay was proven to be reproducible and very specific to VHSV. The sensitivity for IHNV real-time PCR was calculated to be 1.32× 100 TCID50/mL. The TaqMan probe real-time PCR assay was proven to be reproducible and very specific to IHNV.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se rapid, specific, and robust assays could replace the conventional assay for detection of these viruses.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사립 유아교육기관의 질적요인간의 관계 : 일과 계획, 상호작용,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정명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조사하고,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립 유치원 교사를 통해 사립 유치원의 질적요인(일과계획, 상호작용, 교육과정)을 평정하여 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사립 유치원의 질적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교수 관련변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것에 대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어떠한가? 교사의 개인적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2. 사립 유아교육기관의 질적요인(일과계획, 상호작용,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교사의 개인적 배경변인에 따라 사립 유아교육기관의 질적요인(일과계획, 상호작용, 교육과정)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사립 유아교육기관의 질적요인(일과계획, 상호작용, 교육과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100개의 기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한 시설에 1년 이상 근무한 교사를 1명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 교수 효능감 검사 도구를 김희진·이분려(1999)가 유치원 교사효능감 도구로 수정한 도구이며, 유아교육기관의 질적요인에 대한 평정도구는 이기숙, 이은해(1989)가 NAEYC 인준 기준을 수정 보완한 도구중 간편형 유아 교육프로그램 평가척도 중 교사의 개인적 차원인 일과계획, 상호작용,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질적요인을 평정하였다. 유아 교사효능감에 따른 사립 유아교육기관의 질적요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개인적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 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전체 효능감은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고,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경력에 따라서는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교사의 연령에 따라서는 전체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개인적 해경변인에 따라 사립 유아교육기관의 질적요인(일과계획, 상호작용, 교육과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원아 수, 연수회수는 사립 유아교육기관의 질적요인의 하위영역 일과계획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전체 교사효능감과 사립 유아교육기관의 질적요인(일과계획, 상호작용, 교육과정)의 상관관계에서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일반적 교수효능감에서는 일과계획과 질적요인 전체에서 유의하였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에서는 일과계획, 상호작용, 교육과정(사회), 교육과정(언어), 교육과정(전체), 질적요인 전체에서 유의하였고 전체 교사효능감에서는 일과계획, 상호작용, 교육과정(언어), 교육과정(전체), 질적요인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eacher's sense of efficacy of infant teachers, and put down factors of a private institution kindergarten in quality (a daily routine plan, interaction, an education process) through a private institution kindergarten teacher working at the spot. Be going ti0 recognize the professor related excreta phosphorus whom it looks into teacher's sense of efficacy of infant teachers and relation with factors in quality of a private institution kindergarten, and rais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 study problem about this is as follows: 1. How is teacher's sense of efficacy of an infant teacher?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eacher's sense of efficacy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excreta phosphorus of a teacher? 2. How are factors of a private institution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in quality (a daily routine plan, interaction, an education process)?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factors of a private institution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in quality (a daily routine plan, interaction, an education proces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excreta phosphorus of a teacher? 3. How 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of an infant teacher and relation with factors in quality (a daily routine plan, interaction, an education process) of a private institution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Selected to the teacher one person who worked at the facilities which selected an organization of 100 private institution, kindergartens that had to Ulsan Metropolitan City with the study object, and did on me year this, and examined this study object. A study tool is the tool that Gim Hui-Jin Lee Bun-Ryeo (1999) modified a sci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spection tool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on a kindergarten teacher's sense of efficacy tool. The evaluation tool about factors in quality of an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used convenient quality during the tool which Lee Gi-SukㆍLee Eun-Hae (1989) supplemented with a NAEYC approval basis on just Wednesday. Evaluated factors in quality during infant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criteria to the center in the daily routine plan that was a personal dimension, interaction of a teacher, an education process. Proceeded study about factors in quality of a private institution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along infant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it was a level more than the middle that as a result of having analyzed a difference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along personal background excreta phosphorus of an infant teacher, a total effect of an infant teacher went, and general teacher's sense of efficacy appeared more a little than personal teacher's sense of efficacy high. Personal teacher's sense of efficacy to stand in according to a career of a teacher noted the total teacher's sense of efficacy which stopped according to age of a teacher there was a difference. The second, be the results that analyzed a difference of factors in quality (a daily routine plan, interaction, an education process) of a private institution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excreta phosphorus of an infant teacher. A kindergartener number, training recovery in a low-ranking scope daily routine plan of factors in quality of a private institution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as meaning there was a difference. The third, showed static correlation in total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correlation of factors in quality (a daily routine plan, interaction, an education process) of a private institution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The general teacher's sense of efficacy noted in daily routine plan and factors everyone in quality, and noted in, daily routine plan, interaction, education process (a society), education process (a language), education process (everyone), factors everyone in quality in personal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everyone who is a daily routine plan, interaction, an education process (a language), an education process (everyone), a yaw in quality in total teacher's sense of efficacy as meaning there was a difference.

      • 위암세포주에서 칠피의 항암 효능 연구

        정명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Objective: In this study, the anti-cancer effects of urushiol removed RVS-W were investigated in gastric cancer cell lines. Methods: Cell proliferation and cell cytotoxicity were measured by the MTS method, protein expression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First, human gastric cancer AGS cell lines(in vitro) were decreased cell viability by RVS-W, and traditional herbal medicine- RVS-W induced caspase-dependent apoptosis in AGS cells. Second, RVS-W dephosphorylated cell survival related protein-AKT. Third, RVS-W decreased cell viability in HER2 positive and negative gastric cancer cell lines. Fourth, KRAS mutated gastric cancer cells were more decreased cell proliferation than KRAS wild type cells by RVS-W. Fifth, RVS-W dephosphorylated Raf protein in KRAS mutated gastric cancer cells. Conclusion: RVS-W treatment showed anti-cancer effects on gastric cancer cell lines by reduction of cell viability, induction of apoptosis. RVS-W could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therapeutic substance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알레르기 유발물질인 urushiol을 제거한 칠피(RVS-W)를 이용하여 위암세포주에서의 항암 효능을 평가하였다. 실험방법 : 다양한 위암세포주들- AGS, SNU-1, SNU-16, SNU-484, SNU-216, NCI-N87, KATOIII 등 및 정상 세포인 RIE를 RVS-W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능은 MTS cell viability assay를 통해 분석하였고 western blot을 통해 세포 사멸능을 분석하였다. 결 과 : RVS-W의 처리는 위암세포주의 생존율을 감소시켰다. 반면에 정상 세포인 RIE의 생존율은 증가시켰다. 세포주기 억제와 관련된 단백질은 오히려 감소되거나 변화가 없어 세포주기와 관련이 없음이 관찰된 반면 RVS-W 처리 시 세포사멸이 일어날 때 발현되는 단백질인 Bax, caspase-3에 변화가 있었다. 또한 RVS-W는 HER2/neu 단백질의 발현 유무와 관련 없이 위암세포주의 생존율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RVS-W는 KRAS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경우 세포 생존율이 더욱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RVS-W가 KRAS 단백질과 관련되어 있는 MAPK 신호전달계의 하위에 존재하는 Raf 단백질의 인산화를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 론 : RVS-W는 위암세포주의 생존율 감소에 유효한 것으로 평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