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플러초음파를 이용한 신장저항계수의 연령에 따른 비교: 편측 요관 결석질환 환자군 연구

        정루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배경: 신장저항계수는 요로결석이 있는 환자들 중 급성 요관폐쇄의 유무를 진단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하지만 신장저항계수는 나이 등의 여러 인자들에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급성 편측 요로결석 환자들을 대상으로 요관폐쇄 유무 및 연령에 따른 신장저항계수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영상학적 검사에서 진단된 급성 편측 요로결석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총 155명의 성인이 포함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모든 환자들은 이중 도플러 초음파를 이용하여 양측 신장의 신장저항계수를 구하였다. 또한 완전 요관폐쇄의 유무 및 연령대별 요로결석이 있는 신장과 병변이 없는 반대측 신장의 신장저항계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요로결석이 있는 신장의 신장저항계수 평균값은 0.684 ± 0.065이었고 반대측 신장의 신장저항계수 평균값은 0.630 ± 0.055로 요로결석이 있는 신장의 신장저항계수가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그리고 각각의 연령대별로도 요로결석이 있는 신장에서의 신장저항계수 평균값이 반대측 신장에서의 신장저항계수 평균값보다 높았다. 요로결석이 있으면서 완전 요관폐쇄가 동반된 환자들 중 50세 이하와 50세 초과로 나누어 측정된 신장저항계수를 ROC 곡선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50세 초과의 환자군에서 신장저항계수가 더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0.683 vs 0.715). 하지만 신장저항계수가 0.7인 절대값을 ROC 곡선에 적용하였을 때 50세 이하의 환자군에서 50세 초과의 환자군에 비해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론: 요관폐쇄의 유무 및 연령과 상관없이 급성 요로결석이 있는 신장의 신장저항계수가 반대측 신장의 신장저항계수보다 높았다. 그리고 완전 요관폐쇄를 진단할 때 신장저항계수의 사용이 고령의 환자에게 더 유용하다. 하지만 요관폐쇄 유무를 감별하기 위해서는 연령에 따라 신장저항계수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겠다. Background : To determine the role of renal resistive index(RI) in patients with renal colic and to establish the usefulness in diagnosis of complete obstruction. However RI is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including age. Therefore, we studied the change of RI values depending on presence of ureteral obstruction and age groups in acute unilateral urinary stone disease patients. Methods: Our study consisted of 155 adult patients who presented with unilateral acute urinary stone disease documented with radiologic studies. All patients underwent duplex doppler ultrasonography of both kidneys for determination of the resistive index(RI). Also, the difference of RI between both kidneys according to the ureteral obstruction and the difference of age groups were determined. Results: In the patients with renal stone, RI of the pathologic kidney(0.684±0.065) was significantly higher(p<0.001) than that of the opposite kidney(0.630±0.055). Also, among the age groups, RI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hologic kidney. In urinary stone patients with complete ureteral obstruction, RI of the patients who older than 50 was higher than that of patients age of 50 or younger in comparison via ROC curve(0.683 vs 0.715). However, applying RI the golden standard in diagnosis of urinary obstruction 0.7, sensitivity was relatively lower in patients age of 50 or younger than other. Conclusion: RI i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kidney with urinary stone than contralateral normal kidney regardless of ureteral obstruction. And it was more useful for diagnosis of complete ureteral obstruction in old ages. However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ureteral obstruction, differentiated application of RI with age should be considered.

      •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실태와 개선방향 : 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정루비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importance and value of middle school design education are underestimated as it is treated poorly as a curriculum without connection and unequal relative importance as a part of art curriculum, and it is the reality that most of the art teachers majored in pure art so it is extremely difficult for them to create and re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design field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lso, guide books for teachers are distributed as data necessary for guidance at the field of art education, but most of then handle only the field of pure art and even the design related contents are partial towards pure art. So the guide books for teachers in terms of design field are not being used properly. Therefore, this study was made to activate use of guide books for teachers as true educational data at schools by suggesting an efficient improvement solution to the guide book for teachers based on the research of teachers’recognition of guide books for middle school art teachers in the field of design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nd reality and problems of using such books. To provide a direction for improvement by making an analysis of requirements from teachers, problems and reality of using guide books for middle school art teachers in the field of design based on surveys, I sent e-mails to 180 randomly selected middle school art teach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Excluding 3 that were clearly insincere responses among 154 surveys that were recovered, 151 survey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t the final stage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analyzing surveys for the direction of improvements and reality of using guide books for middle school art teachers in the field of design are as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utilization is extremely low as a result of responses for the recognition of teachers in general remarks, so they answered tha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direction to editing guide books and text books for the field of design’ must be supplemented or emphasized most especially in general remarks in terms of teaching in the field of design. Such results are a response to the lowest response rate in results of teachers’recognition for general remarks, which proves that the design education system is not yet established blocking a proper academic approach towards it. Second, as a result of responding to teachers’recognition to the particulars, the level of utilization was comparably higher than that of general remarks, but the field that must be most supplemented and emphasized were ‘reality of field practice guidance (interpretation of study contents)’. So the part of ‘reality of field practice guidance’ among the contents of guide book for teachers must be researched and developed most of all, and diverse plans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are actually helpful to classes needs to be suggested. Third, a lot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interpretation of study contents and activities’, which is a field most used in actual classes among the categories that correspond to the actuality of field practice guidance of the particulars, is not helpful, due to the fact that the interpretation in the guide book for teachers are mainly of excessively unified products, and they lack to stimulate interest and motivation from students from insufficient data for actual guidance that provide reference to learning in the era of rapidly changing designs. Therefore, the teachers must understand fash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and the direction of trends, and record new and diverse examples and reference data into the guide book to educate students more accurately in advance. So the guide book should be reconstituted so the teachers can understand the contents of design more easily, and professionally guided in the field of design by providing ways to easily prepare or create learning materials and data and reference books. Forth, as a result of making research for the acknowledgement of the need to have guide books for teachers, the teachers turned out to feel the need but rather find them unhelpful due to low functionality as a guide book for teachers compared to its original purpose. Especially most of the teachers turned out to use the guide book for teachers for divers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classes and make reference to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necessary in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but there were also many problems and improvements that must be made. Fifth, the source teachers most frequently use to prepare for classes were in the order of ‘Internet, ‘visual material’, and then followed by ‘guide book for teachers’ in the last, which shows that the level of using guide books for teachers is the lowest. Most illustrations in guide books for teachers have difficulty to cause interest and motivation from students as they carry illustrations of art pieces requested by professional associations or works made by professional artists, and it is the reality that interesting teaching and learning is most difficult due to lack of diverse learning materials and insufficient explanation for works and the creation process. Moreover, the design structure and academic system are not clearly established in the field of design in guide books for art teachers so the contents and explanations for the design terms are described differently by every publishing firm. Since unclear definition for design concepts, inaccurate use of design terms, and different interpretations can give confusion or wrong value system for design to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nt use of design terms and description is in demand. Sixth, in terms of policies that must be qualitatively improved in the field of design in guide books for art teachers, the results showed in the order of ‘establish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design curriculum’, ‘relaxation of regulations related to systematic standards’, and ‘negotiation system with actual teachers to edit teaching materials’. Seventh, considering improvement that must be made in the field of design in guide books for art teachers, there were opinions such as ‘rich data must be provided to cause interest of students reflecting trend’, and ‘system for design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Also, there were also opinions such as ‘the guide books used in classes must have concrete descriptions for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received most attention, which demands that the contents of design be handled more in details and accurately in guide books for teachers as most of middle school art teachers majored in pure art and have difficulty in teaching design to the students. 중학교 디자인 교육은 미술교과의 일부분으로써 불균형적인 비중과 연계성 없는 교육과정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그 중요성과 가치를 평가받지 못하고 있으며, 미술교사 대부분의 전공이 순수미술 중심임에 따라 디자인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을 전문적인 지식으로 구성하고 연출 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미술 교육 현장 지도에 필요한 자료로서 교사용 지도서가 보급되어 있으나 대부분 모두 순수미술 영역으로 다루어져 있고 디자인 관련 내용도 순수미술 영역에 치우친 내용으로 구성 되어 있어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디자인 영역에 대한 교사용 지도서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 디자인 영역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실태 및 활용상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교사용 지도서의 효율적 개선안을 제공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참된 학습 자료로서의 교사용 지도서를 활성화 시키고자 수행되었다.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 디자인 영역에 대한 활용 실태와 문제점 및 교사들의 요구사항을 설문조사를 토대로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미술 교사를 임의로 선정하여 총 180명에게 이메일을 발송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54부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이 명백히 드러나는 3부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여 총 151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최종 통계 분석하였으며 조사 자료의 통계 처리를 위하여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 디자인 영역의 활용실태와 개선방향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응답 결과 그 활용도는 매우 미비하며 디자인 영역을 지도함에 있어 '교수-학습 방법'과 '디자인 영역 교과서와 지도서의 편찬 방향'이 특히 총론 부분에서 가장 보충되거나 강조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총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결과에서도 가장 응답률이 낮게 나온 것으로써, 디자인교육의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 그 학문적 접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각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응답 결과 총론에 비해 그 활용도가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보충되거나 강조되어야 할 영역은 '차시별(次時別) 지도의 실제(학습내용해설)'로 나타났다. 이에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 중 '차시별(次時別) 지도의 실제' 부분이 집중적으로 연구·개발되어야 하며 수업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교수·학습과정안의 제시가 요구된다. 셋째, 각론의 차시별(次時別) 지도의 실제에 해당하는 영역 중 실제 수업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영역인 '학습 내용 해설 및 활동'이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학습 내용의 해설이 지나치게 획일화된 결과물 위주로 제시되어 있으며 급속도로 변하는 디자인의 시대에 학습 내용을 참고할만한 실제적인 지도 자료가 부족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대의 흐름에 따른 유행과 트렌드(Trend)의 방향을 먼저 교사가 이해하고 사전에 치밀한 계획성으로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새롭고 다양한 예시작품 및 참고 자료 등이 지도서에 충분히 수록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보다 쉽게 디자인 영역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재구성되어야 하며, 학습 자료 및 소재를 쉽게 구하거나 제작하는 방법 및 참고 도서 안내 등의 제공으로 디자인 영역의 전문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사용 지도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필요성에 비해 교사용 지도서의 기능이 낮아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다수의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를 학습 내용 및 활동에 필요한 교수·학습과정의 참고와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활용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사항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들이 수업 준비 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자료가 '인터넷', '시청각 자료', '교사용 지도서' 순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도는 낮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용 지도서 도판은 전문협회에 의뢰한 작품이나 전문 작가작품 등을 수록하고 있어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다양한 학습 자료의 부재, 제작 과정 및 작품에 대한 설명 부족으로 흥미로운 교수·학습 전개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미술 교사용 지도서 디자인 영역에서는 디자인의 구조 및 학문적 체계가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아 디자인 용어의 내용과 설명이 출판사마다 다르게 기술되고 있다. 정확하지 않은 디자인 용어 사용과 상이한 해설들은 디자인 개념이 명확하게 서지 못한 중학생들에게 디자인에 대한 혼란 및 잘못된 가치관을 심어줄 수 있는 원인이 되므로 일관성을 갖춘 디자인 용어 사용 및 해설이 요구된다. 여섯째, 미술 교사용 지도서 디자인 영역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 사항으로는 '디자인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체계도 정립', '체제 기준에 관한 관계 규정의 완화', '교재 편찬 시 현장 교사와의 협조 체제' 순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 나타났다. 일곱째, 미술 교사용 지도서 디자인 영역의 개선점으로 '트렌드(Trend)를 반영한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풍부한 자료가 제시 되어야 한다', '디자인 교육 체계도가 정립 되어야 한다'라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서의 교수-학습 내용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야 한다'라는 의견이 많았는데 이는 현재 중학교 미술교사 대부분의 전공이 순수미술임에 따라 디자인 영역을 교수·학습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교사용 지도서에서 디자인 영역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다루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 중학교 수학에서 유리수와 소수의 지도에 대한 연구

        정루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2학년 ‘유리수와 순환소수’ 단원에서 다루는 유한소수와 무한소수의 지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교과서의 ‘유리수와 순환소수’ 단원의 도입과 내용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설문을 통하여 유한소수와 무한소수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소수에 대한 효율적인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방안으로, 유한소수와 무한소수는 제시된 소수의 표현에 따라 구분하도록 하며, 분수와 소수는 동일한 수의 서로 다른 표현방식임을 이해하도록 지도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지도방안에 따르는 ‘유리수와 순환소수’ 단원의 수업 모델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I have studied the instruction of finite and infinite decimals covered in the unit 'Rationals and Circulating Decimals' in the 2nd grade of the middle school. I've analyzed the introduction and the content of the unit 'Rationals and Circulating Decimals' in the textbook. And I conducted a survey to find out how much students understand finite and infinite decimals. Based on this, I've tried to find the efficient ways to instruct students in decimals. As such ways, I suggest that teachers teach students to distinguish between finite and infinite decimal by the expression of presented decimals in class and to understand that fractions and decimals are the different ways of an expression for the same number. And I present the teaching guidance plan for the unit 'Rationals and Circulating Decimals' following this method of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