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oft 집합에 기초한 BH-대수의 부분구조에 관한 연구 : Subalgebras of BH-algebras based on soft set theory

        정동은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Molodtsov [9] introduced the concept of soft set as a means to represent uncertainty.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basic version of soft BH-algebra, which extends the notion of BH-algebra to include the algebraic structures of soft sets. We gave several examples and then derive their basic properties. The intersection, union, "AND" preration, and "OR" operation of soft BH-subalgebra and soft BH-algbras are established. 1999년 Molodtsov[9] 의해 불확실성에 대한 수학적 표현의 방법으로 soft 집합의 개념이 소개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Soft 집합의 개념을 응용하여 Sofr BH-부분대수와 Soft BH-대수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이와 관련된 기본적인 예와 성질들에 관하여 조사해 보았다. 이 개념들과 관련하여 Intersection,Union,AND,OR 에 관련된 성질을 밝혀 보았다.

      • 가상현실(VR)신체활동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동은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VR)신체활동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운동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발달장애아동의 다양한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아동 14명을 대상으로 각각 7명씩 가상현실(VR)신체활동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자유로운 신체활동을 실시하는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행하였다. 첫째, VR(가상현실)과 발달장애아동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둘째, 가상현실(VR)신체활동프로그램은 1회 50분씩, 주 1회, 총 12주 동안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준비운동 5분, 가상현실(VR)신체활동프로그램 40분, 마무리 운동 5분 총 50분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가상현실(VR)신체활동프로그램 진행 전·후에 운동수행 프로파일(Motor Performance Profile-MPP)을 측정하였다. 넷째, 가상현실(VR)신체활동프로그램 효과의 분석을 위하여 SPSS(18.0ver.)프로그램으로 자료처리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의 동질성 검사를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각 집단간 운동수행능력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s t-test)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주의집중력과 인지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아동의 다양한 신체활동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수행능력에서 가상현실(VR)신체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수행능력에서 가상현실(VR)신체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운동수행능력에서 가상현실(VR)신체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가상현실(VR)신체활동프로그램은 발달장애아동의 운동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 PV부착형 가변차양 시스템 적용에 따른 건물에너지 성능 평가

        정동은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다양한 환경 및 에너지 문제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UN 국제연합에서는 1993년부터 2015년까지 6회에 걸쳐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온실가스 방출을 제한하고 기후변화 및 지구 온난화 현상을 막고자 하였다. 국내도 마찬가지로 2010년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제정하여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저탄소 사회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후 2015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는 195개 해당국은 프랑스 파리에서 기후변화협정을 재체결 하였다. 이때 대한민국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7%의 감축목표를 UN 국제연합에 제시하였다[1]. 이처럼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 각국은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전체 온실가스 발생량 중 약 86.8%를 에너지 부문에서 차지하고 있으며[2]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효율적 에너지 이용과 절감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된다. 특히, 대한민국의 연간 총에너지는 산업, 건물, 그리고 교통 부문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며 산업 부문이 약 55%, 건물 부문이 약 24%, 그리고 교통부문이 약 21%를 차지하고 있다[3]. 그중 건물 부문 에너지 소비량의 경우 국민들의 주거환경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고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다양한 정책 및 법령을 개정하고 국가 로드맵을 시행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에는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축물 에너지 효율, 그리고 녹색 건축물 등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건물 에너지 절감에 대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건축물의 미적 요소가 가미되면서 창 면적비가 큰 건물이 많이 생겨나고 이로 인해 건물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실정에 놓이게 되었다. 건물 구조체중 창의 경우 열적으로 가장 취약하기 때문에 창을 통한 건물 에너지 변동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차양 계획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변차양 장치를 활용하여 건물 에너지를 능동적으로 제어하고자 하였으며 PV시스템을 접목하여 에너지 절감과 생산 및 공급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기법을 접목한 PV부착형 가변차양 장치의 최적 제어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장치 적용 및 운용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한 장치 운용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결과, 창 부위에서 발생한 건물 에너지는 운용 전 대비 운용 후 약 49% 절감된 결과를 보였다.

      • 국제법상 시제법에 관한 연구 : 영토분쟁과 조약해석을 중심으로

        정동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The application of law can be divided into spatial and temporal sphere. Intertemporal law focuses on temporal applicability of a norm. There are two major areas in which intertemporal law is applicable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law. The First pertains to the principle of treaty interpretation into which considerations of time and change are woven. The second is territorial disputes. States’ relevant acts over time may lead to creation or extinction of territorial claims even though time itself neither create or extinguish them. Besides these two areas, disputes related to intertemporal law also emerge in areas such as state immunity, state responsibility,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and so on.The principle of intertemporal law was initially shaped and developed in Island of Palmas case of 1928 where Judge Huber, as a sole arbitrator of the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distinguished the creation and the existence of rights. The first rule of intertemporal law (principle of contemporaneity), later widely accepted among scholars and international tribunals, follows from the general principle that a juridical fact must be appreciated in light of the law contemporaneous with it. It has been accepted as a principle in international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ule, which might be called as the extension of intertemporal law, refers to the necessity to take into account change and evolution in the existence of these rights. The latter approach has been criticized from eminent scholars such as Jessup and Fitzmaurice as threatening existing legal titles and causing instability as well as chaos of international society. At present, it remains as a rule up till now.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 has almost blindly adhered to the concept of legal stability and consistently upheld the legal effect of intertemporal law in various contending cases with a very few of rare exceptions displayed through individual opinions of ICJ judges.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rule of intertemporal law has been gradually expanded as can be seen in wide-ranging cases related with decolonization, international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disputes. It seems that various acute controversies over the legal nature of principles and application of intertemporal law stem from the seemingly irreconcil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ules of intertemporal law. However, the two rules, one being the principle of contemporaneity, the other being the extension of intertemporal law are not necessarily conflicting but mutually interactive and complementary each other because the intention of the ‘time-will’, to cite from the relevant vocabulary of Panos Merkouris, is the key element to resolving any issue of intertemporality. As mentioned before, Individual opinions of ICJ judges might be used as a mirror to glimpse the possibilities for the extension of intertemporal law. Individual opinion of judge may indicate other general underlying principles of law which should have been more appropriately applied in concrete cases. Such an opinion may have a value of its own as a counter-balance to the majority opinion, although it must be used with caution since the view it expresses did not persuade the majority. Depending on the author’s general reputation and the cogency of his reasoning, the individual opinion may in the course of time come to be seen as expressive of better law. The individual opinions on the jurisprudence regarding territorial disputes in two cases between Qatar and Bahrain in 2001 and Cameroon and Nigeria in 2002 share a similarity in criticizing a mechanical application of intertemporal law as significant weight was given to the decisions of colonial powers ruling at the time in the final judgement. Individual pinions of the ICJ Judges might indicate possibilities for the second rule of intertemporal law to evolve into a principle in the future with the accumulation of state practices and judicial cases applying the extension of intertemporal law. The ultimate aim of applying intertemporal law is to attain the relevance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law through universal normativity amidst rapidly changing external conditions of international society. In conclusion, the present paper tries to provide for the theoretical base of an alternative approach to Eurocentric international legal order for the purpose of re-establishing fairer international legal norms by advocating the extension of intertemporal law in various areas of international law. 법의 적용은 공간적 적용과 시간적 적용으로 구분되어진다. 시제법은 규범의 시간적 적용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국제법상 시제법이 적용되는 주된 영역은 조약의 해석과 영토분쟁의 분야이다. 첫째, 조약의 해석은 시간적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둘째, 영토분쟁 관련 시간의 경과에 따른 국가의 적절한 행위는 영토권원의 창설과 소멸의 결과를 가져오는 반면, 시간은 그 자체로서 그러한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점에서 그 영향력에 차이가 존재한다. 시제법 규칙은 1928년 상설중재재판소에 회부된 팔마스 섬 사건 중재판정의 Huber 재판관 판시에서 최초로 명확하게 밝혀졌다. Huber 재판관은 동 사건의 판시에서 권리의 창설과 권리의 존속을 구분하였다. 동 중재판정에서 제시된 동시대성의 원칙, 즉, 법적인 사실을 그 당시의 법에 의해 판단해야 한다는 시제법 제1규칙은 그 이후 대다수의 국제법 학자 및 국제사법재판소 등의 판례를 통해 적극적인 지지를 확보하여 원칙처럼 수용되어 왔다. 반면, 권리의 지속적인 발현이 법의 진화에 의해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야 한다는 시제법 제2규칙(이른 바, 시제법의 확장적용)은 기존의 법적 권원을 위협함으로써 국제사회의 안정성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거센 비판과 논란을 야기하였다. 시제법 이론과 관련 국제판례의 분석을 통해 이 논문에서 제기한 주장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조약 분야와 비조약 분야에 있어서 시제법 적용의 법리와 방식의 차이를 규명하면서 주류국제법학이 19세기 이래 국제법의 고정 또는 동결 전략 달성을 위해 시제법을 적용하여 왔으며, 이러한 입장이 현재까지도 국제판례를 통해 계승되고 확산되어 왔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탈식민, 인권, 환경 등 분야에서 행위시법에 따라 시제법의 확장적용을 주장하는 국제사법기관의 판시가 비록 소수이지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향후 국가실행 및 국제 판례의 축적되는 경우에는 시제법 제2규칙이 규칙에서 원칙으로 진화할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전망하고자 하였다. 둘째, ICJ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제사법기관은 법적 안정성 측면에서 시제법의 확장적용 문제에 대하여 대부분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 왔으며, 시제법의 확장가능성을 인정한 경우에도 그 근거로서 당사국 의사의 추정과 함께 조약의 대상 및 목적과의 합치성 여부를 감안하여 조약의 효과성을 기하도록 판시함으로써 조약의 해석과 시제법원칙 간 조화를 추구하려고 시도하여 왔음을 관련 판례의 분석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영토분쟁사건을 다룸에 있어 ICJ의 판결이 시제법적 고려에 매몰됨으로써 과거 식민주의 시대의 잘못된 관행 및 유산을 이미 탈식민화된 오늘날의 시점에서 재확인· 강화해 주고 있다는 점을 비판적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논문의 연구범위 밖에 있지만 현대국제법의 유럽 중심적 담론 형성과 신식민주의적 경향을 극복하고 제3세계 국가들의 관점에서 국제법의 체제, 역사, 과정을 이해하려고 시도함으로써, 유럽 중심적 국제법 질서에 다양성 및 타자성의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 ‘제3세계 국제법 방법론’(Third World Approaches to International Law, 이른 바 TWAIL)과 비서구 지역의 국제법사 연구는 시제법적 측면에서도 유용하다는 점을 확인한다. 셋째, 국제관계에서 시제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인정해 온 주된 이유는 법적 안정성의 확보 및 강화를 통한 법의 지배를 실현하려는 데 있다. 그러나 국제법의 기반이 되는 국제사회의 현실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기 때문에 Lauterpacht의 지적과 같이 시제법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국제사회의 변화와 안정이라는 일견 상반된 목표를 시제법 법리를 적용하여 어떻게 하면 조화롭게 관리해 나갈 것인가 하는 과제이기도 하다. 오늘날 ‘시제법의 탈식민화’에 대한 요구가 단순한 국제법 이론이나 법리의 적용 문제가 아닌, 국가 간 쟁송사건 관련 국제분쟁의 사법적 해결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법적 쟁점사안으로 대두되고 있음은 당대의 법적 기준이 부재한 역사적 부정의(不正義) 문제를 다룬 다양한 사건들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는 시제법 문제에 대한 현대적 평가와 재인식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역사적 실례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시제법의 법리와 적용, 특히 시제법의 확장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는 국제법의 안정과 함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천하는 국제사회의 이상과 현실 간 괴리를 극복하고, 탈식민 시대에 부합되는 형평과 정의에 기초한 국제법 질서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도 그 함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국제사회의 규범적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규율하기 위한 현대국제법은 그 무엇보다도 보편성과 규범성의 확보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제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시제법의 두 규칙 간 상호보완이 아닌 상호 모순내지 충돌관계가 예견되는 현재의 국제법 체제하에서, 한·일 양국을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과거사 관련 조약 및 영토 문제 등 복잡한 현안들의 해결을 위한 대안적 법리 마련을 위해서는 앞으로 국제법상 시제법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음을 조망하였다.

      • 프린키피아 속에 나타난 뉴턴의 유율법에 대한 고찰

        정동은 順天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format and the method of fluxions, upon which he discovered Calculus, as appears in the Principia. First, we looked into Newton's life, his methodology of fluxions and the changes therewith. Secondly, we investigated the first eleven Lemmas, some corollaries of the first book and Lemma Ⅱ of the second, in modern terms.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because the Principia was written in the form of classical and synthetic geometry, there was little trace of calculus techniques in it. However, in the demonstrations of the propositions, we could see that there was the basic idea(arbitrary motion is essentially uniform during an infinitely short time interval) of the method of fluxions.

      • 여성 일상 공간의 회화적 분석과 변형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연구자의 작업은 여성 일상공간의 관찰과 재현을 추구한다. 여기서 관찰과 재현은 현실의 즉물적 묘사를 의미하지 않는다. 연구자는 여성 일상공간의 배치와 구성이 반영하는 사회적 권력관계를 관찰한다. 즉 지배적인 사회질서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실제로 공간에서 작동, 기능하는 양상을 관찰한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여성의 일상공간이 단순히 사회적 권력관계를 반영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도린 매시, 질리언 로즈 등 페미니즘 지리학자들이 확인한 대로 여성의 일상공간은 여성을 억압, 통제하는 사회적 권력관계를 반영하지만 동시에 그 억압과 통제에 저항하고,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의지와 행동을 반영한다. 여성은 자신에게 주어진 공간적 배치를 수용하고 그에 적응하려고 노력하지만 그러한 공간적 배치를 자신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어떤 식으로든 수정, 변형해 나간다. 연구자의 작업은 여성 일상공간의 특성을 관찰, 기록, 재현하면서 그 변형 가능성을 모색하는 작업이다. 여성으로서 연구자 자신의 정체성을 긍정하면서 일상공간을 관찰하고 회화작업을 통해 그러한 일상공간을 변형시켜 나간다. 일상공간의 관찰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작업은 객관적인 측면을 지니지만 그것을 보이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의 내적 요구나 의지에 따라 변형한다는 점에서 주관적인 측면도 지니고 있다. 억압적 존재, 폭력적 사회질서를 깨트리려면 그것을 마주 대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을 정면으로 마주 대하되 이전과는 다르게 마주 대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것을 이전과는 다르게 재분할하고 재배치하는 리듬분석, 기존의 질서를 대변하는 감각계의 분할을 감각계의 재분할로 이끄는 공간의 건축술이 필요하다. 연구자의 회화는 그러한 요구에 대한 응답이자 실천이다.

      • 북한 핵·미사일 도발 관련 언론보도가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중심으로

        정동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At the 8th Party Congress held in January 2021, North Korea announced strategic tasks in the defense sector to advance it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and a “five-year plan for national defense development and weapon system development” to achieve them. In March 2022, by launching an ICBM-class missile, the “declaration to halt nuclear testing and ICBM launch” announced at the 3rd plenary meeting of the 7th Central Committee of the Party in April 2018 was virtually abrogated.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vocations are constantly continuing, and in 2022 and 2023, the number of them has increased even more, and security threats are increasing. The media covers these facts with great importance and provides a good guide to the current level of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However, reviewing the articles reported in the media,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orm of reports by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s based on their political orientation. Analyzing what factors of information the people who accept these threats, and how information sharing differs depending on attitudes toward newspaper media and political inclinations might be very important in terms of national defense and security. Considering factors affecting media reports of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vocations on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the central pathway (information quality, information reliability, and information up-to-dateness) affects attitudes toward media outlets and intentions to share information. The influence of peripheral channels (media article expertise, press popularity) on attitudes toward media companies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media companies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tical orientation by newspaper media need to be verified. To this en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total of 318 copies, excluding 32 unanswered and incomplete questions, after an online survey targeting 350 nationwide adults over the age of 20 who had encountered media articles about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vocations within the past year.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of SPSS 26.0 and AMOS 26.0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whether the central route had a positive (+) effect on attitudes toward news media.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quality, information reliability, and information up-to-dat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media companies. Second, it was verified whether the central rout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information up-to-dat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with media companies. However, information relia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Third, it was verified whether the peripheral rout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media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article expertise and journalist popula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ttitudes toward media companies. Fourth, it was verified whether the peripheral rout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rticle expertise and media popula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Fifth, it was verified whether the attitude toward the media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 toward the media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Sixth,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of attitudes towards media history and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reliability and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was insignificant, so attitude toward the media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and attitude toward the media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variables. Seventh, multi-group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thre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newspaper media and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between the group with high and low perception of threa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between the newspaper media-oriented conservative group and the progressive group.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propensity for newspaper media had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s a result of confirmation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newspapers. Eighth, it was verified whether the political propensity of newspaper media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media companies and intentions to share inform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he propensity of newspaper med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based on the conservative group and the progressive group.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he propensity of newspaper media was found to have no moderating effect in the central path (information quality, information reliability, information up-to-date), peripheral path (article expertise, journalist popularity), and attitude toward media companies. More refined model need to be applied explaining the influence factors of media reports related to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vocations on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need to be more subdivided, and also the breadth of understanding for readers expanded in future research. Also, more in-depth follow-up studies are needed relating to similar topics in this fiel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ollow-up studies to this end. 북한은 2021년 1월에 개최한 제8차 당대회에서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 를 위한 국방분야 전략적 과업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국방발전 및 무기 체계개발 5개년 계획’을 발표하였다. 2022년 3월에는 ICBM급 미사일을 발사함으로써 2018년 4월 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3차 전원회의에서 발표 한 ‘핵실험 및 ICBM 발사 중지 선언’을 사실상 파기하였다. 북한의 핵· 미사일 도발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으며, 2022년과 2023년에는 그 횟수 는 더욱 더 늘어났으며 안보위협은 가중되고 있다. 언론에서는 이러한 사실들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으며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현 수 준을 잘 안내해 주고 있다. 하지만 언론에서 보도된 기사를 살펴보면 정 치성향에 따라 보수 및 진보 신문 매체별 보도의 형식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위협상황을 언론을 통해 수용하는 국민들은 정보의 어떤 요인을 중심으로 받아들이는지, 그리고 신문 매체에 대한 태도 및 정치성향에 따라 정보공유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국방과 안보 차원 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 핵·미사일 도발 관련 언론보도가 정보공유의도 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중심경로(정보품질성, 정보신뢰성, 정보최신성)가 언론사에 대한 태도와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변 경로(언론기사 전문성, 언론 인기도)가 언론사에 대한 태도와 정보공유의 도에 미치는 영향, 언론사에 대한 태도와 정보공유의도 간의 관계를 확 인하였으며, 신문 매체별 정치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년 이내 북한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언론기사를 접한 20세 이상 의 전국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후 무응답 및 미완료 설문 32부를 제외한 총 318부를 기준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변수 간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SPSS 26.0과 AMOS 26.0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경로는 언론사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 증하였다. 검증결과 정보품질성, 정보신뢰성, 정보최신성은 언론사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심경로는 정보공유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 다. 검증결과 정보품질성, 정보최신성은 언론사에 대한 정보공유의도 유 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보신뢰성은 정 보공유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변경로는 언론사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 하였다. 검증결과 기사전문성, 언론인기도는 언론사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변경로는 정보공유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 다. 검증결과 기사전문성, 언론인기도는 정보공유의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언론사에 대한 태도는 정보공유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언론사에 대한 태도는 정보공유의도에 유의한 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언론사에 대한 태도가 가지는 중심경로 및 주변경로와 정보공 유의도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보신뢰성과 정보공유의도 간 직접적 관계는 유의 하지 않아 언론사에 대한 태도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고, 그 외 변수 간 관계에서 언론사에 대한 태도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신문 매체에 대한 태도와 정보공유의도 간 관계에서 위협인지 의 조절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위협인지 인식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각 변수 간 관계에서 영 향력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문 매체 성향의 보수집단과 진보 집단은 각 변수 간 관계에서 영향력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각 변수 간 관계에서 신문 매체 성향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 위협인지, 신문 매체의 조절 효 과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여덟째, 언론사에 대한 태도와 정보공유의도 간 관계에서 신문 매체의 정치성향이 조절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신문 매체의 성향이 보수집단과 진보집단의 각 변수 간 관계에서 영향력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각 변수 간 관계에서 신문 매체의 성향은 중심경로(정보품질성, 정보신뢰성, 정보최신성), 주변경로(기사전문성, 언론인기도), 언론사에 대한 태도에서 조절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북한 핵·미사일 도발 관련 언론보도가 정보공 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적용하여 그 특성들을 세분화하고 탐색적 연구로 독자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 고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향후 이 분 야와 유사한 주제와 관련하여 더욱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가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