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淸의 駐韓公館과 韓淸 近代外交 硏究

        정동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청이 불평등조약과 서양 국제법 서적을 통해 주외공관 제도를 수용하는 과정을 분석한 다음, 이것이 주한공관 설립과 한청 근대외교로 이어지는 모습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통외교와 근대외교 각각에서 유래한 합리성과 제국성이 작용하는 양상에 유의하였다. 요컨대, 외교학의 용어와 개념은 물론 주외공관의 운영 원리에 착목하여 청의 주한공관을 체계적으로 밝힌 개척적인 연구라 할 수 있다. 청은 아편전쟁으로 체결한 불평등조약에 따라 주외공관 제도를 수용하였다. 이후 열강이 속속 설립한 주청공관은 자국인을 보호하고 외교 협상을 효과적으로 전개하는 한편, 영사재판권·포함외교 등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확보하였다. 한편 이 시기 청에 번역 소개된 󰡔만국공법󰡕 등의 서양 국제법 서적 또한 주외공관의 역할, 권리, 의무 등을 총체적으로 설명하는 한편, 非서구에 대한 영사재판권과 포함외교를 정당화하였다. 이를 통해 청에서는 합리성과 제국성으로 대표되는 주외공관 인식이 형성되었다. 본고가 불평등조약과 서양 국제법 서적에서 公使·領事 등의 번역어가 정착되는 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청의 주외공관 인식이 심화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외 위기가 고조되자, 청 정부 내에서는 상주사절 파견론이 대두하였다. 그 결과, 청은 영국을 시작으로 해외 각국에 공사관을 개설하고, 싱가포르 등 청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는 영사관을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청의 주외공관은 현지에서 교섭 사무, 자국민 보호, 정보 수집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였다. 이는 청이 불평등조약에 따라 설립된 열강의 주청공관을 관찰하고, 서양 국제법 서적을 번역 이해한 결과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1883년 청은 첫 번째 주한공관으로서 주조선상무서를 설립하였다. 그런데 주조선상무서는 분명 근대외교의 산물이었으나 청과 조선은 아직 전통외교를 적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주조선상무서는 전통외교와 근대외교가 착종된 과도적 형태의 주한공관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청이 진수당의 직함을 총판상무위원이라 하면서도 사실상 총영사의 지위를 부여한 데서도 잘 나타난다. 진수당은 주로 청 상인의 경제적 이익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제국성을 표출하였고, 이를 합리성으로 분식하기 위해 전통외교와 근대외교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였다. 이 시기 한성·인천·부산·원산에 설립된 주조선상무서는 판리조선상무장정을 토대로 운영되면서 진수당의 활동을 뒷받침하였다. 1885년 청은 진수당을 경질하고 그 후임으로 원세개를 임명하였다. 이때 원세개에게는 총리교섭통상사의라는 직함과 총영사 겸 4등공사라는 지위가 부여되었다. 본고는 원세개가 지닌 4등공사의 지위에 주목하여, 이것을 원세개가 상국의 대표로서 조선의 외교를 주지한 법적 근거였음을 밝혔다. 그러나 원세개는 외교뿐 아니라 내정에까지 개입하였고, 이 과정에서 전통외교와 근대외교를 선택적으로 구사하여 제국성을 더욱 강렬히 표출하였는데, 이는 원세개의 독단적인 판단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청 정부의 암묵적 동의에 따른 것이었다. 이 시기 원세개가 임기를 마친 후에도 두 차례나 더 유임되었고, 주조선상무서의 규모가 대폭 확장되고 용산상무서가 신설된 것은 원세개의 활동을 뒷받침하는 토대로 작용하였다. 그러던 중 청일전쟁이 일어나며 주조선상무서는 폐쇄되었다. 그러나 청은 1896년 총상동·총영사 당소의를 파견하여 주조선영사서를 개설하였다. 이때 당소의가 비공식 사절을 자처하였던 만큼, 주조선영사서 또한 비공식 기구에 머물렀다. 청이 자국민을 보호하면서도 조선의 수교 요구는 거부하기 위해 일종의 편법을 사용했던 것이다. 청은 마지못해 수교를 결정한 다음에도 4등공사 또는 흠차대신을 파견하려고 하는 등, 여전히 대한제국에 전통외교를 적용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1899년 한청수교가 이루어진 후, 청은 두 번째 주한공관인 주한공사관·영사관을 개설하였다. 이는 결국 청이 대한제국에 근대외교를 전면 적용하게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주한공사 서수붕, 허태신, 증광전은 서양 국제법과 한청통상조약에 근거하여 교섭 사무를 처리해 나갔고, 이 무렵 신설된 外務部가 주외공관 제도의 개편에 나서면서 주한공사관·영사관의 합리성은 한층 보강되었다. 이 시기 청이 제국성을 표출하기 어려워진 상황과 달리 대한제국에서는 열강을 모방한 제국성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제1·2차 한일협약 이후에는 청의 주한공사관이 철수하고 주한영사관이 그 공백을 채웠다. 이 시기 한국총영사 마정량은 주한공사에 버금가는 권한을 지녔고, 주한영사관의 규모는 더욱 확장되었다. 본고는 이 시기 청 정부가 주외공관 제도를 개편하면서, 주한영사관의 관제가 개편되고 관원에 대한 대우가 개선된 것에 주목하였다. 이는 대한제국이 국권을 상실해 가는 상황에서도 청의 주한공관이 지닌 합리성이 증진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한국총영사 마정량은 각종 현안을 교섭하는 과정에서 합리성을 내세웠지만, 대한제국을 매개로 일본이 표출하는 제국성에 대응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그리고 한일병합으로 대한제국이 주권을 상실한 후에도 주한영사관은 주조선영사관으로 명칭을 바꾸어 존속하였으나, 한청관계가 일청관계로 대체되었기에 그 위상은 점차 낮아졌다. 본 연구에서 청말 주한공관을 한청관계의 맥락 위에 놓고 전통외교와 근대외교의 착종 과정에 주목한 것은 선행 연구의 보완과 연구 지평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첫째, 중국외교사의 측면에서, 청의 주한공관은 중앙 정부와 개인 차원의 외교 행위를 상호 관련성 속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이 된다. 특히 청의 근대외교는 합리성을 갖추고 있었던 것은 물론 속국에 대해서는 명백히 제국성을 띠었던 만큼, 청의 근대외교가 지닌 후진성이나 反침략성을 강조해 온 선행 연구의 관점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한중관계사의 측면에서, 청의 조선 정책은 전통외교와 근대외교 양쪽 모두에서 유래한 합리성과 제국성이 길항하는 과정에서 그 양상을 달리하였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청의 조선 정책을 전통적인 속방 체제의 강화 또는 근대적 제국주의 어느 한쪽으로 이해하는 것보다는 양측 모두가 착종한 양상에 주목하는 것이 적절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way in which Qing dynasty had introduced the diplomatic office system through unequal treaties and the Western international law books, and figured out relevance between Qing’s diplomatic offices in Korea and Sino-Korean modern diplomacy. In particular,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 manifestation that rationality and empireness of the diplomatic offices appeared and the aspect that the traditional diplomacy and modern diplomacy competed. In premodern times, traditional diplomacy based on tributes and installation was widely practiced in East Asia. But traditional diplomacy shook and modern diplomacy spread after the Opium War. In particular, the diplomatic offices of Western powers were symbol of modern diplomacy. Qing’s understanding of the diplomatic office deepened through unequal treaties and Western international law books. The unequal treaty that Qing dynasty signed with the Western powers included clauses related to the diplomatic offices. The Western international law books introduced by Qing also included contents related to the diplomatic offices. In short course, the idea of dispatching resident envoys emerged in the Qing government. In this situation, Qing started to set up legations and consulates abroad. The diplomatic offices of Qing dynasty carried out various tasks, including negotiation affairs, protection of citizens, and gathering information. These diplomatic offices were based on the reference of the Western powers' diplomatic offices and Western international law books, therefore they contained both rationality and empireness of modern diplomacy. Paradoxically, rationality and empireness were fully expressed in the East Asian country. Qing’s diplomatic offices in Korea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rationality and empireness, and the change of Qing’s diplomatic offices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wo periods. The first phase is the founding period of the Qing’s diplomatic offices in Korea. In this period, Qing aimed at making the Chosun her vassal state through the Commercial Affair Office. The General Commissioner of Trade Chen Shu-Tang established several Commercial Affair Office. In fact, the Commissioner of Trade was equal to the consul, and the Commercial Affair Office was equal to the consulate. But Qing avoid the term ‘consul’, ‘consulate’ to emphasize the vassal status of Chosun. Yuan Shi-Kai as a successor to Chen Shu-Tang corresponded to diplomatic minister. In this period, Qing and Chosun experimented the modern diplomacy through the diplomatic offices, but the traditional diplomacy was still valid. Qing made a use of modern diplomacy and traditional diplomacy arbitrarily. The second phase is the completing period of the Qing’s diplomatic offices in Korea. In 1896, Qing established the consulate in Korea to protect the Chinese and avoid Chosun’s call for diplomatic ties. After deciding to establish diplomatic ties, Qing planned to dispatch the fourth minister, and soon changed it to the minister plenipotentiary. This phenomenon symbolically shows the shift from traditional diplomacy to modern diplomacy. In 1899, Qing established a legation and consulates after concluding Sino-Korean treaty of commerce. The ministers of Korea treated the negotiation with Korea on the basis of the Western International law and Sino-Korean treaty of commerce. At that time, Qing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to reform diplomatic institutions. As a result the rationality of modern diplomacy increased, but the empireness of modern diplomacy was difficult to appear. In 1906, Qing decided to withdraw legation of Korea by request of Japan, and the consulate then dealt with task of the legation. Accordingly, consul general of Korea Ma Ting-Liang came close to minister of Korea, and the consulate grew in size. At that time, Qing government reformed the diplomatic office institutions, so consulates of Korea were reformed and diplomat treatment improved. After Japan-Korea Treaty of 1910, Sino-Korean relations ended, but the consulate of Korea still maintained changing its name to consulate of Chosun. In short, the consulate of Korea had developed in a way that enhances the rationality of modern diplomacy, but had to defend against Japanese empirenes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meanings in terms of supplementation of prior research and expansion of research horizon. First, this article revealed that Qing’s empireness before Sino-Japanese War had come from both traditional diplomacy and modern diplomacy. Therefore preceding researches which have judged Qing’s Chosun policy traditional or modern need to be reconsidered. Second, this article discovered the rationality from modern diplomacy in proceeding of Sino-Korean relations. Several preceding researches didn’t stress on the development of Sino-Korean relations. It is clear that the rationality of modern diplomacy increased in this time.

      • 近代 渡滿 日本人의 눈에 비친 中國人像 : 帝國意識의 投影

        정동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는 러일전쟁에서부터 본격화된 일본인의 만주 이주 과정을 통해 형성된 중국인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일본인의 제국의식이 크게 작용하였음을 규명하고, 나아가 이것이 그들의 중국인상과 어떠한 관련을 맺으며 진전되어 갔는지를 분석하였다. 19세기 일본의 국가적 차원의 제국화는 일본인으로 하여금 제국의식을 갖게 하였다. 제국의식이란 이족, 이역을 지배하는 제국체제를 형성, 유지, 강화하려는 의식이다. 일본인들은 자국이 대만, 조선으로 팽창하고 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을 격파하는 것을 경험하면서 스스로를 제국의 일원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1905년 ‘히비야 폭동’은 이러한 일본인의 제국의식이 집단 행동으로 표출된 대표적 사건이었다. 이처럼 일본인들의 제국의식은 도만 이전에 이미 형성된 것이었다. 1905년 포츠머스 조약으로 일본은 여순, 대련을 비롯한 관동주, 그리고 만철 부속지를 획득하였고, 이곳을 통치하기 위해 관동도독부, 만철 등을 설립하였다. 일본의 만주 지배욕은 1915년 남만동몽조약, 1920년대 후반의 만몽 분리를 거치며 점차 강화되었고, 결국 1931년 만주사변으로 현실화되었다. 이러한 국가적 차원의 만주 지배는 도만 일본인으로 하여금 이곳에 대한 제국의식을 형성케 하였다. 이와 더불어, 일본인이 이주한 만주라는 장소가 갖는 공간성은 그들의 제국의식을 더욱 심화시켰다. 관동주는 일본인이 특권을 갖는 장소였고, 이곳에서 자국의 제국 지배를 직접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나머지 만주 지역은 관동주에 비해 낙후된 곳이었다. 또한 만주로 이주한 일본인은 식민통치와 관련된 중간층 이상이 많았으나, 중국인들은 주로 산동성, 하북성으로부터 이주해온 빈농이었다. 따라서 일본인의 제국의식은 만주에서 훨씬 강렬해졌고, 이는 실제 여러 행동으로 드러났다. 예를 들어, 일본인들은 그들끼리만 집거하려 하였고, 중국어를 배우려고 하지 않았으며, 만주 오지로의 여행은 꺼렸고, 만주에서 하루빨리 떠나고자 하였다. 특히, 일본인의 중국인에 대한 오만한 태도는 그들의 제국의식이 가장 잘 집약되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일본인에 있어 만주 체험은 그들의 제국의식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었다. 이에 도만 후 일본인의 중국인상은 다소 변화하였다. 먼저, ‘무지한 중국인’상은 중국인의 신앙이나 교육 수준을 근거로 더욱 구체화되었다. 또한 ‘단결할 줄 모르는 분산된 중국인’상도 만주 사회에 널리 유포되었다. 이 두가지 중국인상은 공통적으로 일본의 만주 지배 논리를 강하게 드러냈다. 중국인은 무지하고 단결할 줄 모르기 때문에 제대로 된 국가를 세울 수 없다는 것이었다. 비록 당시 중국의 지식인들도 이러한 중국인상에 공감하였으나, 그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 노력했던 반면, 도만 일본인들은 이를 근거로 중국, 중국인을 지배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불결한 중국인’상은 만주의 쿠리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더욱 구체화된 인식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은 쿠리뿐만 아니라 중국인 전체로 확대 적용되었고, 때로는 이것이 일본인에 위해를 가하는 요소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범죄자 중국인’상은 주로 마적으로 인해 생성된 것인데, 일본 언론의 악의적 보도를 통해 더욱 과장되었다. 이 두가지 중국인상은 주로 일본의 실질적 지배하에 있는 관동주와 만철부속지의 중국인을 통제하는 논리로 활용되었다. 중국인은 불결하고 범죄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본인들이 적절히 통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인은 전차, 기차와 같은 교통수단이나 그 외 생활공간에서 각종 통제를 받았다. ‘모리배 중국인’상은 본디 ‘상업적 재능이 뛰어난 중국인’상이 부정적으로 변형된 것이다. 일본인들은 만주의 중국 상인들의 적극적인 이윤 추구 활동을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런데 만주의 일본 상인들은 점차 중국 상인들과의 경쟁에서 열세에 놓이게 되었는데, 이는 그들의 제국의식에 걸맞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일본인들은 중국인의 이윤 추구 활동을 부정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그들이 처한 불리한 상황을 합리화하였다. 즉, 이는 방어기제로서의 중국인상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도만 일본인의 중국인상은 제국의식과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여 있었다. 본고에서 분석한 중국인상은 각각 제국의식의 지배논리, 통제논리, 방어기제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제국의식이 투영된 중국인상은 일본 대중에 널리 받아들여져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을 지지하고 합리화하였다. 따라서 이후 만주사변과 중일전쟁으로 이어지는 일본의 침략은 단순히 정치인이나 군부뿐만 아니라, 이를 암묵적 또는 공개적으로 지지한 전체 일본인에 의해 실행된 것이다. 1945년의 패전으로 일본 제국은 무너졌다. 그러나 40여 년 간의 만주 지배 동안 일본인의 심리 깊숙한 곳에 제국의식이 각인되었기에, 그에 의거한 중국인상은 아직까지 일본 사회에 잔존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양국의 관계 회복을 위해 대중 차원의 인식에서부터 문제를 풀어나갈 필요가 있다.

      • 노인 암환자의 종합병원 입원사정 자료로 분석한 다약제 복용(polypharmacy) 실태

        정동연 서울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암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 암환자의 올바른 약물 사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종합병원에 입원하는 노인 암환자의 다약제 복용(Polypharmacy)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5년 1월 1일부터 3개월 간 자료를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며, S대학병원 암병동에 입원하는 65세 이상 노인 암환자 17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을 활용 하였으며 약물의 조사는 입원 당시 매일 복용하고 있는 자가약물 중 주사약과 외용약은 제외하고 경구약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Beers Criteria를 사용하여 노인에게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사용을 조사하였으며, 약물-약물 상호작용 위험성 약물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간한 노인에 대한 의약품 적정사용 정보집을 참조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교차분석, t-test, One way-ANOVA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72.3(±5.43)세였고 남성이 110명(64.7%), 여성이 60명(35.3%) 이었다. 대상자의 87.1%가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으며 평균 1.9(±1.4)개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암 종류는 대장직장암이 22.9%로 가장 많았으며 폐암 11,8%, 위암 11.2%의 순으로 많았다. 입원 목적은 항암화학요법이 30.6%, 검사가 30.0%, 수술이 22.9%였다. 대상자들이 일일 복용하고 있는 자가약물의 개수는 평균 5.3(±3.3)개였으며 55.9%가 5개 이상의 다약제 복용을, 10.0%가 10개 이상의 과도한 다약제 복용을 하고 있었다. Beers Criteria에 의한 노인에게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 복용은 30.0% 환자의 62례에서 확인되었으며, 약물-약물 상호작용 위험 약물 복용은 21.2% 대상자의 50례에서 확인되었다. 만성질환의 수가 많을수록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 많을수록 노인에게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 복용과, 약물-약물 상호작용 위험 약물을 복용하는 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노인 암환자의 다약제 복용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노인에게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과 약물-약물 상호작용 위험성 약물 투약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약물 감시 체계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 교통약자에 대한 공공서비스 질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일선 직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정동연 동양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교통약자가 지하철 이용시 일선 직원이 응대에 대한 중요도 와 수행도의 인식차이를 비교하여 이러한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공공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통공사 직원 245명을 대상으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시설 및 응대에 따른 직원의 입장에서 그들의 일상생활이나 지하철 이용시에 어려움 인식 정도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중요도 항목에 대한 얼마나 잘 수행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시설 확보와 응대의 중요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의 관점이 아닌, 일선 직원의 관점에서 장애인·고령자·임산부 등 교통약자 전체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지하철 이용시의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분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개선전략을 수립하고자, IPA 분석을 통하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공공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통약자의 개선방안 뿐만 아니라 일선 직원의 감정노동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actual performance of front-line employees in providing public service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thereby developing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to resolve the discrepancy. To this end, 245 employees of the Seoul Metro Corporation wer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gauge the inconvenience felt by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everyday life or their subway use from the standpoint of the employees and how well the employees are carrying out the services of import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reefold: first, it was found that securing convenient facilities and providing due service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were both deemed very important. Second, the result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ront-line employees versus the customers showed a noteworthy discrepancy between the deemed importance aforementioned and the actual service provided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such as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pregnant women. Third, to develop an improvement strategy to overcome such discrepancy, a public service improvement plan based on IPA analysis to create an obstacle-free environment was proposed. In addition to the measures to better support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practical and policy-wise implications pertaining to the emotional labor of the front-line employees as well as upcoming tasks were introduced.

      • 광학부품 생산공정 자동화를 위한 지능형 로봇 비젼 시스템 설계

        정동연 慶南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48639

        Nowadays, optical devices are widely used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digital cameras, digital camcorders and display phones. They become more important and essential parts of the electrical applications. For super-precision optical lens, which is the core part in such applications, more works are needed to improve in its quality in terms of precision, and an effective way to produce in small quantity for many different models. In order to achieve this, a development of highly intelligent industrial robots and their applications technology are needs essentially for the automatic-intelligent production process. This paper presents our works on design of intelligent robot vision system for the automation of production process of optical parts. The research can be subdivided as followings: First, the design of the intelligent robot control system was carried out for the processes, such as a supply of the optical lens, precision delivery and insertion, loading and unloading. The dynamic modeling of the robot manipulator has been analyzed and examined to control the robot's position and velocity. The design method of the industrial robot controller has been improved, in which the existing method is resulting a significant loss in performance in the real production situations where the load variation and interference are large. Moreover, it has been designed to control consistently and precisely even if an unknown load causes variation in dynamics characteristic of robot model, uncertainties in inertia and link parameter introduced by modeling error, or when there may be a delay caused by lag of computational time in operation. To achieve the desired performance of control system, a neural network control, self-organizing fuzzy control, and adaptive control methods of robot manipulator have been developed. It was to be worked with any combinations of the methods. The computer simulations and performance tests of the system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intelligent robot control system. Second, an open-loop robot controller that has an easy expansion structure, and it also can be adapted with other various systems. Real time joint controller with a quick digital signal processor as having parallel processing structure has been also designed. In addition, intelligent robot hand-eye which can control contact force of robot manipulator has been designed to serve lenses correctly without any scratches to the lens pallet Third, developed pattern recognition technology and vision technology for optical lens inspection, and including external form state of lens for the performance testing, developed so that can be good, achieve badness finding. And, establish to existing image data because inputting surface badness degree of scratch's standard specification condition directly, and error designed to distinguish from product more than schedule error to badness product by normalcy product within schedule extent after calculate the error comparing actuality measurement image data and standard image data mutually. Finally, design of main board of integrated controller, composition of servo interface circuit, composition of interface between host computer and controller, communication of integrated system, and off-line programming software have been designed construct integrated system for automation of production process of optical parts. The minimum unit measured by the designed integration system is 1 pixel, which means 3.7㎛×3.7㎛(0.1369×10-4mm2). The accuracy has been proved by the performance test measuring up to 10-4mm. 오늘날 광학부품은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Web 카메라, 화상 전화기, 카메라 폰, 그리고 안경산업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전자제품 및 관련 제반산업에서 매우 필수적이고 중요한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중 핵심 부품인 초정밀 광학 렌즈는 고품질화, 고정밀화, 다품종 소량화 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생산공정의 자동화.지능화를 위한 고기능의 지능형 산업용 로봇 및 응용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광학부품 생산공정 자동화를 위한 지능형 로봇 비젼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첫째, 광학 렌즈의 공급, 정밀이송 및 삽입, 로딩/언로딩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능형 로봇 제어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로봇의 위치 및 속도 제어를 위해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동적 모델링을 해석하였다. 그리고, 부하변동이 심하고 많은 외란이 존재하는 실제의 공정에서 두드러진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기존의 산업용 로봇 제어기 설계방법을 개선하였다. 또한, 미지의 부하변동으로 인한 로봇 모델의 역학적 특성 변화, 모델링 오차에 기인하는 관성상수 및 링크상수 등의 파라미터 불확실성, 제어기 실현 시 수반되는 계산 시간의 지연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견실하고 정확한 제어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신경회로망 제어기법, 자기구성 퍼지 제어기법, 적응 제어기법을 제안하고 각각의 기법들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지능형 로봇 제어시스템의 효율성을 입증하고 신뢰성의 검증을 위해 시뮬레이션 및 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둘째, 특정 시스템을 위한 제어기가 아닌 여러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고 확장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개방형 로봇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병렬처리 구조로서 그 처리 속도가 빠른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실시간 관절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또한, 공급 렌즈 팔레트에 렌즈를 정확하고 흠집 없이 공급할 수 있도록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접촉 힘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로봇 Hand-Eye를 설계하였다. 셋째, 가공된 광학부품이 로봇에 의해 광학부품 검사공정으로 이송되면 정밀검사를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광학부품 자동검사 계측을 위한 비젼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형상인식 기술 및 광학부품 검사용 비젼 기술을 개발하여 렌즈의 가공 정밀도 및 외형상태를 비롯하여, 양.불량 판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렌즈를 검사하기 위하여 렌즈 표면 Scratch 검사용 비젼 기술과 렌즈 가공 정밀도 측정 검사용 비젼 기술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표면 불량 Scratch 정도의 기준사양 조건을 직접 입력하여 기준 영상 데이터로 설정하여 놓고, 실제 측정 영상 데이터와 기준 영상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그 오차를 계산한 후 일정 범위 이내의 오차는 정상제품으로 일정 오차 이상의 제품을 불량제품으로 판별하도록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광학부품 제조공정의 실시간 자동화 실현을 위한 통합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통합제어기의 메인보드 설계, 서보인터페이스 회로 구성, 호스트 컴퓨터와 제어기간의 인터페이스 구성, 통합 제어기 통신 및 오프라인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통합 시스템은 최소 1 Pixel 단위까지 측정이 가능한데 1 Pixel은 3.7㎛×3.7㎛(0.1369×10-4mm2)로서 그 정밀도는 10-4mm까지 정밀하게 측정이 가능함을 실험에 의한 성능 검증을 통하여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일반교사의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학년 내 팀-구성원 교환관계,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모바일 메신저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

        정동연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SS 26.0 and AMOS 26.0 in 406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t directly affect TMX, work engagement, teacher efficacy, teach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T-OCB), and innovation behavior. In addition,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whether the linkership of grade department head teachers affects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e grade, respectively. In addition, we looked at how 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MMC) uses mobile messengers to control the impact of senior teachers on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e grade when they exercise linkership. Finally, it was empirically investigated how MMC controls the impact of linkership on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of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e grade. The detailed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linkership of grade department head teachers had a positive (+) effect on TMX in the grade, work engagement of general teachers in the grade, and teacher efficac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nkership of grade department head teachers, teach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Second, TMX in the same grade,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completely mediate between the linkership of head teachers and the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of general teachers in the same grade.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MC of the head teacher has an moderating effect when the linkership of the head teacher affects TMX, general teachers’s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e same grade. Fifth, MMC of grade department head teachers controls the effect of linkership on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of general teachers in the grade, but MMC has no control effect when it affects teach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MX in the grade.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linkership of head teacher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T-OCB, innovative behavior of general teachers in the grade, but TMX, job enthusiasm, and teacher efficacy completely mediated the realationship between the linkership of head teachers and T-OCB,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MMC, the greater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inkership of the head teacher on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e grade, and that MMC controls the mediating effect when the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mediate between the linkership,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through this study. First, in the school, it was reveal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operly utilize the linkership of head teachers as an important means of securing psychological resourses and establishing an organizational environment to create successful performance for teachers. Specifically, it was discovered that if a head teacher demonstrates linkership well, the quality of TMX in the grade,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e same grade can be increased.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mobile messengers were used, the greater the impact of the linkership of head teacher on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Third, it was revealed that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which are more desperately required in the current school situation, can be increased not only by the linkership of head teachers, but also when both teachers and school organizations try to increase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Therefore, head teachers in the same grade need to actively use mobile messengers to maximize the effect of linkership,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iled need to prepare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emphasized in the today’s educational field. Since school organiz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loosely coupled system,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is determined by how to connect the competencies of teachers with their own expertise and expand positive relationships. Therefore, grade department head teachers, who are the middle managers of the school organization and the center of the network in elementary schools, need to share the organization's vision and goals with fellow teachers, maintain smooth relationships, and actively exercise linkership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educational activitie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원 406명을 대상으로 SPSS 26.0과 AMOS 26.0을 통해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팀-구성원 교환관계(Team-Member Exchange: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 교사 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을 각각 매개로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모바일 메신저 커뮤니케이션(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MMC)이 학년부장교사가 링커십을 발휘할 때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링커십이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의 매개를 통해 교사 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MMC가 어떻게 조절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실증분석의 세부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은 학년 내 TMX, 학년 내 일반교사의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침이 드러났다. 반면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과 교사 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과의 관계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둘째, 학년 내 TMX, 학년 내 일반교사의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은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은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과 학년 내 일반교사의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년부장교사의 MMC는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TMX, 학년 내 일반교사의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때 상호작용 효과를 가진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학년부장교사의 MMC는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일반교사의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만, 학년 내 TMX를 매개로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는 MMC의 조절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일반교사의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과 같은 매개변인들을 통해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를 밝힐 수 있었다. 또한 MMC가 높을수록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조절효과를, 학년 내 일반교사의 직무열의와 교사효능감이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과 교사 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 사이를 매개할 때, MMC가 매개효과를 조절함을 실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는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교사의 성공적 성과 창출을 위한 심리적 구인 확보와 조직 환경 구축에 중요한 수단임을 알고 이를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학년부장교사가 링커십을 잘 발휘한다면 학년 내 교환관계의 질, 동학년 교사들의 직무열의와 교사효능감이 높아져 교사의 자발적·실천적 행동인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이 보다 적극적으로 발휘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학년부장교사의 MMC가 높을수록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더 커질 수 있으며,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과 학년 내 일반교사의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더 강해질 수 있기에 모바일 메신저를 적절히 활용하여 의사소통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의 학교 상황에서 보다 절실히 요구되는 교사의 자발적 행동인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은 단순히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만으로 증가되는 것이 아니라 교사 개인과 학교 조직 모두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고자 노력할 때 증가될 수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년부장교사가 링커십을 발휘하여 오늘날 교육현장에서 강조되는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링커십 발현을 위한 민주적인 학교 조직 분위기가 구축되어야 한다. 학교 조직은 이완조직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자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교사들의 역량을 어떻게 연결하고 긍정적 관계를 어떻게 확장하는지에 따라서 학교 교육의 효과성이 결정된다. 따라서 초등학교 내에서 학교 조직의 중간 관리자이자 네트워크의 중심이 되는 학년부장교사는 동료 교사들과 조직의 비전과 목표를 공유하고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교육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때 제공하는 링커십을 적극 발휘할 필요가 있다.

      • 제네릭 의약품 허가·심사기간에 대한 조사 연구(2014년~2021년) :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정동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환자들의 질병을 치료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신약 개발도 중요하지만, 합리적인 가격으로 의약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제네릭 의약품의 출시도 매우 중요하다. 규제당국에 의한 “허가(Approval)”는 의약품의 후보물질이 개발과정을 거쳐 정식으로 의약품으로서의 사용을 인정받는 첫 관문이자 필수적인 조치이다. 따라서 품목허가 신청일로부터 품목허가일까지 소요되는 기간인 허가·심사기간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신약의 허가·심사기간에 대한 연구는 여러나라에서 많이 진행이 되었으나, 현재까지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심사기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와 FDA가 공개한 허가심사 보고서 자료를 기준으로, 2014년부터 2021년까지 허가된 제네릭 의약품에 대하여 품목허가를 받는데 소요되는 기간의 차이와 어떠한 요인들이 제네릭 의약품 품목허가 검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한국은 총 906개 품목의 제네릭 의약품이 본 연구에서 분석되었다. 품목허가를 받는데 소요된 검토기간은 중앙값 116일이었고, 회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연구기간 동안 매년 평균 2.1일씩 빨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판매품목여부에 따라 구분하였을 때, First 제네릭 의약품은 298개 품목, Second 제네릭 의약품은 147개 품목, Third 이상 제네릭 의약품은 461개 품목이 분석되었고, 품목 허가를 받는데 소요된 검토기간은 각각 중앙값 113일, 128일, 118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First 제네릭 의약품보다 Second 제네릭 의약품이 유의하게 15일 길게 나타났으며(p=.013), First 제네릭 의약품이 허가·심사기간을 증가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504, p<.001). 또한 회귀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Third 이상 제네릭 의약품 대비 First 제네릭 의약품이 평균 10.1일 적게 소요되고, Second 제네릭 의약품이 평균 12.2일 길게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총 687개 품목의 First 제네릭 의약품이 본 연구에서 분석되었다. 품목허가를 받는데 소요된 검토기간은 중앙값 1,266일로 나타났고, 회귀분석 결과 연구기간 동안 매년 평균 52.7일씩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한국과 미국의 First 제네릭 의약품 허가·심사기간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중앙값 113일, 미국은 중앙값 1,266일로 허가·심사기간이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한국 First 제네릭 의약품 대비 미국 First 제네릭 의약품이 평균 1,320일 길게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제네릭 의약품 허가에 실제로 소요되는 기간(ANDA review timeline)을 조사·분석한 최초의 연구이며, 제네릭 의약품 신청에 대한 규제기관의 검토 시간은 새로운 제네릭 의약품이 시장에 출시되는 데 걸리는 시간과 환자가 얼마나 빨리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Not only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but also the launch of affordable generic drugs is important for patients to treat disease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pproval” by regulatory authorities is the first step for a drug to be officially recognized for use as a drug after going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the period of approval/review, which is the period from receipt to approval by the MFDS(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r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s very important. Until now, research on the review period for new drug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review period of ANDA(Abbreviated New Drug Application) in the US has also been studied.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review period for generic drugs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ANDA review period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generic drugs review process of approval from 2014 to 2021, based on the approval review report data released by the MFDS and FDA. In Korea, a total of 906 generic drug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view period(median) for generic drugs was 116 days, a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accelerated by an average of 2.1 days per year during the study period(2014∼2021). When classified First/Second/≥Third generic drug status, the number of First, Second, ≥Third generic drugs were 298, 147, 461, respectively, and the review period(median) was 113 days, 128 days, and 118 day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post hoc test, the second generic drug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onger by 15 days than the first generic drugs(p=.013), and the first generic drug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in increasing the approval/review period(β=0.504, p<.001).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t was found that first generic drugs took an average of 10.1 days less than third generic drugs, and second generic drugs took an average of 12.2 days longer than third generic drugs. In United States, a total of 687 first generic drug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view period(median) for First generic drugs was 1,266 days, a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it was accelerated by an average of 52.7 days per year during the study period(2014-2021),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Comparing the review periods for first generic drug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countries. Korea takes a median of 113 days, while the United States takes a median of 1,266 days (p<.001). It was found that US first generic drugs took an average of 1,320 days longer than Korea’s first generic drugs (p<.001). This study is the first to investigate the review period for generic drugs(ANDA timeline) in Korea, and the review period for generic drugs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how long it takes for new generic drugs to hit the market and how quickly patients can start saving costs.

      • 고객만족경영을 위한 고객접점서비스 표준매뉴얼 개발

        정동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의 최고 수송분담을 차지하고 있는 수도권 및 지방 도시철도가 우리 생활 패턴에 깊숙이 관련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이러한 친환경 교통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 증가와 함께 고객의 니즈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다. 고객의 니즈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운영기관은 다양하고 창의적인 고객서비스 창출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고객서비스에 대한 제공을 고민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대부분 대중교통기관이 공기업에서 운영하고 있는바 공공서비스와 경영성과 달성의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최근 3년간의 도시철도기관의 고객만족도조사 분석에서 전체적인 관점 보다는 고객이 제일 중요시하는 고객접점서비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고객지향적인 고객서비스방안을 제시하여 이를 적극 활용한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언제 어느때나 항상 동일한 서비스를 고객이 느낄수 있도록 고객만족경영 달성을 위한 고객접점서비스 표준매뉴얼을 개발하여 고객 응대성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