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寺刹 一柱門에 關한 硏究 -慶尙道地域 日柱門의 建築形式을 中心으로

        정대열 大邱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architectual form of Il-ju mun. It deals with Il-ju-mun that has been built before 1910 in Gyeong-sang province. This study analyzes type of member, jointing method, frame structure method by dividing Il-ju-mun into four parts such as roof, bracket system, frame stucture, podiu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Roof: The Pal-jak type of roof and the May-bae type of roof are dominant and double eaves mainly appears. 2)Frame structure:There are 4 forms in classifying frame structure depending on the jointing method of main-column, diagonal member, sub-column etc. and weight transmission method. The type made by mixing II,III and IV is seen much more frequently than one made by using I,II,III and IV seperately. 3)Bracket system: The arrangement of bracket system can be divided into one-line-arrangement and two-line-arrangement. As far as Chul-mok-su concerned, 3 or 4 Chul-mok-su is predominant. Tong-je-gong has been used to connect front and back bracket sysyem for some Il-ju-mun. When it comes Je-gong, Yon-hwa-soe-seo type is mainly seen in the exteranl shape and Gyo-du type is mainly seen in the internal shape. 4)Podium:Natural stone foundation is majority. It is judged that Il-ju-mun has no podium or natural ones, however, ot has recently been converted into artificially processed podium in many cases. Il-ju-mun is located in the routs od passing by, so it seems to be established without any podium or with one podium for people to walk easily.

      • 다포계 일주문의 건축형식에 관한 연구

        정대열 대구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전통목조건축 중 문건축 형식 가운데 하나인 다포계 일주문을 대상으로 하여 축부, 공포, 가구 세부분으로 나누어 그 건축형식을 규명하려는 것이고 둘째, 다포계 일주문을 유형화 하고 시대적 변천을 살펴봄으로써 건축사적 위치를 재조명하고 셋째, 다포계 일주문의 건축형식 및 기법을 정리하여 건축사 연구 및 전통건축의 보수, 신축시 설계 및 시공의 기초자료가 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 각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30동의 다포계 일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화재로 지정된 것을 우선 선정 하고,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건물 중에도 시대가 1910년 이전의 건축기법이 포함되어 있는 일주문은 연구대상에 포함 시켰다. 본 연구는 크게 과제설정-조사 및 실측-분석-결론의 4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그 과정은 다시 세부 단계로 나누어 동시에 일관되게 진행하였다. 논문구성은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방법 및 대상과 범위 등에 대해서 논하였고 2장은 다포계 공포의 구조에 관한 일반적 고찰을 하였다. 3장은 다포계 일주문의 축부 유형분류 및 축부의 수직재와 수평재, 기단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공포부재의 특성과 공포의 구조 및 의장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5장은 다포식 일주문의 가구부재 및 지붕가구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6장은 결론으로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다포계 일주문은 전통건축 중 상징성과 특수성이 두드러진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다포계 일주문의 건축형식에서 축부는 지역적인 특성이 두드러지고 일주문 건축을 유형화하는 대표적인 부분이며, 공포와 가구는 보편적인 다포계 건축의 바탕 위에 일주문 건축의 특수성이 가미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is to study the architectural building forms of Dapo-style Iljumun which is one of the gate forms in the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by dividing it into three sections-"bracket", "roof structure", “frame structure”. Second,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ical value of Dapo-style Iljumun by categorizing and examining that took place in fashion. Third, this research has important meanings in that sorting out the architectural form of Dapo-style Iljumun can be preliminary data for the study on the architectural history,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construction, the design and execution of new building work. The object of this study contains 30 Dapo-style Iljumun distributed across the nation. The study includes Iljumun designated as cultural treasure on the preferential basis, the other Iljumun with techniques before 1910 are also the object of the research.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stages-selection of subject, research and actual measurement and conclusion. The whole process was consistently executed through detailed step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1st chapter - the purpose, background, method, object and range of the research. The 2nd chapter - the structure of Dapo-style bracket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The 3rd chapter - the frame structure of Dapo-style Iljumun,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 and podium. The 4th chapter - the characteristic of bracket with member and the structure, design of bracket. The 5th chapter - roof stucture of Dapo-style Iljumun. In the 6th chapter,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has been summarized. Dapo-style Iljumun is the building that has deep symbolism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 in the gate form of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The frame structure has a dominant regional characteristic, and a typical part of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Iljumun architecture. Dapo-style Iljumun are based on general Dapo-style architecture and they have the characteristic of Iljumun architecture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