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쥐 난자의 체외배양에서 루틴과 칸타잔틴이 난자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나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활성세포종을 제거하는 항산화제를 이용해 정자와 난자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항산화제인 루틴과 칸타잔틴은 돼지, 양 등 다양한 가축 종의 난자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대표적인 실험 모델인 생쥐의 난자 체외배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려진 바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루틴과 칸타잔틴이 생쥐 난자의 체외배양에서 난자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난자의 배양액에 0.1 µg/ml 루틴 또는 40 µM 칸타잔틴을 첨가했을 때 활성산소종의 수준이 상당히 낮아졌으며, MII기로 성숙한 난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루틴과 칸타잔틴의 처리가 투명대 경화 지연과 처녀생식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피층 과립 분포를 관찰한 실험과 노화 억제 유전자인 sirt1 유전자의 real-time PCR 실험 결과에서 루틴은 난자의 노화 지연에 효과가 없었고 칸타잔틴은 난자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생쥐 난자의 체외배양 과정 중 루틴 또는 칸타잔틴의 처리는 난자에 일정 한도 내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The antioxidants have an ability to remov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t is reported that antioxidents improve sperm and oocyte quality with antioxidant in various livestock such as pig and sheep. However, the effect of antioxident on the in vitro culture of mouse oocyte, the representative model organism, has not been report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utin and Cx on mouse oocyte quality during in vitro culture. The 0.1 µg/ml Rutin or 40 µM Cx treated oocty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OS level and increased the rate of in vitro maturation. The treatment of rutin or Cx was not able to delay zona pellucida(ZP) hardening and had no effect on parthenogenesis. The results of CG distribution and real-time PCR of sirt1 show that Rutin has no effect on suppression of aging but Cx delays aging of oocyte. In conclusion, the treatment of rutin or Cx has positive effects on mouse oocyte during in vitro culture.

      • 주사 가능한 상전이 칼슘포스페이트 골시멘트의 제조, 특성 평가 및 in-vitro 거동

        정나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hase-transformed calcium phosphate (PTCP) bone cements including silanized-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Si-HPMC) were successfully prepared for application as novel injectable bone cements with enhanced biocompatibility. The crystal structure and chemical state of the synthesized PTCP and Si-HPMC powders as solid and liquid phase of the composite cements were measured via X-ray diffraction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 handl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i-HPMC composite calcium phosphate cements were measured via viscometric analysis, injectability tests, and three-point bending tests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cytotoxicity of the Si-HPMC composite calcium phosphate cements was evaluated. Analysis of the in-vitro performance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X-ray diffraction and SEM images of Si-HPMC composite calcium phosphate cements showed that hardening was an inherent function of the cements after immersion in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The Si-HPMC/A3P7 and Si-HPMC/A7P3 composite calcium phosphate cements showed better biocompatibility and injectability than Si-HPMC/A100 composite calcium phosphate cements. In addition, the Si-HPMC/A3P7 and Si-HPMC/A7P3 composite calcium phosphate cements have relatively higher mechanical properties than other Si-HPMC/P100 composite calcium phosphate cements. Therefore, these novel injectable cements can potentially be used as calcium phosphate cement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 수직 유기 트랜지스터 기반 인공 시냅스 소자 연구

        정나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 시냅스 소자는 읽기, 쓰기가 동시에 가능하며 뛰어난 에너지 효율성을 가지고 있어 뉴로모픽 컴퓨팅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수평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기반의 인공 시냅스 소자는 높은 구동 전압, 느린 구동 속도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l 전계 투과 소스 전극을 이용하여 수직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작함으로써 저전압, 고속 구동이 가능한 소자를 구현했다. 소자 구동 원리는 전계 투과 소스 전극의 핀홀을 통해 게이트 전계가 투과되고 채널층인 pentacene에 전하가 트랩되게 된다. 이로 인해 반도체/소스 전극의 계면의 쇼트키 장벽이 낮아지며 전류가 흐르게 된다. 소자의 채널 길이는 활성층의 두께로 결정되기 때문에 150 nm의 채널 길이를 구현하여 –1 V의 구동 전압에서 104 이상의 on/off ratio와 1.3MHz의 cutoff frequency를 달성했다. 또한 유기 반도체의 갭 준위에서 발생하는 전하 트래핑을 이용하여 excitatory postsynaptic current와 pair-pulse facilitation를 비롯한 생체 시냅스 특성을 성공적으로 모사하여 인공 시냅스로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스파이크당 최소 에너지 소비량은 61 pJ로 저전력으로 학습, 기억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소자임을 확인했다. 주요단어(Keyword) : 수직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인공 시냅스 소자, 뉴로모픽 컴퓨팅, 갭 준위, 유기 반도체 Artificial synapse devices have the potential for significant energy efficiency due to their ability to perform both reading and writing operations simultaneously, making them highly suitable for application in neuromorphic computing. However, the conventional horizontal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 (OFET) have failed to achieve good performance on fast switching and low voltage operation until now. Here, we demonstrated a vertical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 (VOFET) using field permeable Al source electrode and pentacene as a channel material.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device involves the gate field penetrating through the pinholes of the field-permeable source electrode, resulting in charge trapping in the pentacene channel layer. This lowers the Schottky barrier at the semiconductor/source electrode interface, allowing current to flow. The device exhibit a high on/off ratio over 104 under a low bias voltage of -1 V, a fast cutoff frequency 1.3 MHz. The excellent electrical performance is attributed to the nanoscale channel length (~150 nm). Furthermore VOFET can successfully mimic biological synaptic behavior, such as excitatory postsynaptic current and pair-pulse facilitation. using charge trapping generated in the gap state of organic semiconductor. The minimum energy consumption per spike is 61 pJ, indicating our device is candidate for a neuromorphic devices. It can be seen that it is the best device for learning and remembering with low power. Key words : Vertical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s(VOFETs), Artificial synapse, Neuromorphic computing, gap state, organic semiconductor

      • 무용을 전공하는 남자 대학생들의 슬럼프(Slump) 발생요인 분석

        정나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무용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질적 향상을 요구하기에, 5가지 요인으로 분석한다. 더불어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실력 향상에 방해가 되는 요인들은 조기 예방하고, 극복시간을 줄여 최적의 무용수행을 할 수 있게 기초 자료를 추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기초로 연구의 가설과 인과모형을 설정하였다. 유의 표집 방법을 통하여 2013년 서울, 경기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무용학과 중, 대학 C 대학교, H 대학교, S1 대학교, S2 대학교로 선정하여 발레, 현대무용, 한국무용전공 118명의 대상으로 통계 패키지 SPSS(Ver.19)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계적 분석으로 빈도분석과 카이제곱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무용수의 대학교 학년, 전공, 무용경력을 설정하였다. 각 가설 검정에 대한 유의 수준은 a=.05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슬럼프가 발생하는 요인과 학년은 연관성이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무용경력에 따라 슬럼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 대한 자료 분석 결과, 무용 경력 역시 상관이 없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경력 2년 이하, 3에서 5년은 심리적인 요인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고, 5에서 10년은 신체적인 요인에 대한 응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년 이상은 심리적인 요인과 신체적인 요인 모두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차이가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는 수치였다. 앞선 유형들에 비해, 전공 유형은 슬럼프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 발레를 전공하는 남자 대학생은 신체적인 요인과 기술적인 요인을 1순위라고 응답한 반면, 현대무용과 한국무용을 전공하는 남자 대학생의 경우는 심리적인 요인을 1순위 요인으로 응답하여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전공 별로 중시하는 요인이 다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둘째, 무용을 전공하는 남자 대학생들의 슬럼프 발생 요인 순위는 심리적 요인, 기술적인 요인, 신체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 인간관계 요인 순 이였다. 슬럼프 요인 중 환경적인 요인이 제일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으며, 심리적인 요인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슬럼프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심리적인 요인이라 응답한 학년은 1학년이 가장 높았고, 전공에서는 발레, 경력에서는 3년 이하 학생들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무용을 전공하는 남자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슬럼프 원인에 대한 파악과 윤곽을 제시해주고, 실력 향상에 방해가 되는 요인들을 조기 예방하고, 극복시간을 줄여 최적의 무용수행을 할 수 있게 기초 자료로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5 causes of occurrence of slump in university male dance majo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activation of dance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prevent obstacles against university male dance majors’ improvement of capability in advance and reduce their overcoming time, thus working out basic data on optimal performance of dance. For this, study hypotheses and a causality model were established based on preceding studies and theories. Via purposeful sampling method, 118 ballet/modern dance/Korean dance majors at such universities as C University, H University, S1 University and S2 University that had a four-year-course dance department, in Seoul and Gyeonggi-Do, as of 2013, were sampled.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a statistical package, SPSS (Ver.19). And such analytic techniques as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Dancers’ university, school-year, major and dancing career were established as variables. Significance level for the test of hypotheses was set in a=.05.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auses of slump and school-year.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data on the hypothesis that ‘dancing career will have influence upon slump’ showed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auses of slump and dancing career as well. However, study subjects whose career was less than 2 years and between 3 and 5 years presented psychological cause most frequently, whereas whose career was between 5 and 10 years presented physical cause most frequently. For respondents whose career was more than 10 years, both psychological cause and physical cause were the same.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re was difference from the aspect of numerical values. Comparing to above causes, majors had influence upon the occurrence of slump. University male ballet majors presented physical cause and technical cause as primary causes, whereas, university male modern dance/Korean dance majors presented psychological cause as a primary cause. This difference seems to derive from the difference of seriously considering factors by majors. Second, the order of cause of slump occurrence in university male dance majors was psychological cause, technical cause, environmental cause, and human-relation cause. A hypothesis that ‘among the causes of slump, environmental cause will be most influential’ was rejected, and psychological cause presented the highest rate of response. Regarding school-year, most common respondents who regarded psychological cause as a cause of occurrence of slump were freshmen. Regarding major, they were ballet majors. Regarding career, they were students whose career was less than 3 years. The author hopes study findings will be basic data on understanding the cause of university male dance majors’ occurrence of slump, presenting its outline, preventing obstacle factors against the improvement of dance majors’ capability early, and reducing overcoming time, thus making them carry out an optimal dance.

      • 비문해 '어머니'의 문해교육 이전 학습경험의 변환

        정나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비문해자들에 대한 문해교육 이전 학습경험이 어떻게 재구성되고 변환되어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한 질적연구에 대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의 일제강점기, 한국전쟁과 같은 사회적 혼란기에 교육제도로부터 소외된 비문해 여성이다. 특히 이들의 성장기에는 문자가 중요하지 않았으나, 성인기에 접어들면서 문자가 중요한 사회로 급변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가난 극복과 자녀 양육으로 인해 문자를 익히지 못하고 성인기를 지내고, 노년 세대가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이 성장기에 그 시대가 요구하는 생활기술을 익힌 문해인이었음을 출발선으로 하였다. 이 출발선으로부터 이들이 문해교육 이전에 어떤 학습경험을 어떻게 체득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의 문해교육 이전의 학습경험(암묵지)에 문해교육이라는 학습경험이 글이라는 도구와 함께 더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어머니’의 암묵적 지식인 체득기술과 삶의 지혜는 새롭게 재구성되면서 형식지로 변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평생교육 장면에서 이들이 후세에 전수해야 할 기술과 전수할 수 있는 기술의 다양성이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문해교육 장면에서 ‘어머니’의 경험과 유사한 분야의 학습활동이 제공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he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illiterate.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how to reconstruct and convert the previous learning experience in literacy education. Research targets are illiteral women who had not have any experiences of formal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Korean war in Korea. The character was not important in their growth period, but the character became important very rapidly in their adulthood. However, because of their overcoming poverty and rearing children they could not learn character in adulthood. Now they are the old generation. The starting line of this study is that they were the literate learned all the necessary living techniques in their growth period. From this starting line, it was researched how they mastered any necessary living techniques from experience. And the process that Learning experiences of Literacy education were reconstructed with their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tacit knowledge] was analysed. During this process, techniques mastered from their experiences and wisdom of life as their tacit knowledges were reconstructed newly and converted to explicit knowledges. And you can see the diversity is implicated on techniques mastered from their experiences that they should hand down and that they are able to han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learning activities from similar fields to their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 must be provided on the literacy education.

      • 기존 국내 약물유전체 관련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연구

        정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약물유전체 연구는 약물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의약품의 효능(efficacy)과 안전성(safety)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약물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시키고, 임상시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약물부작용 비율을 감소시키면서 약물 개발 비용을 낮추는데 기여한다. 또한,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로 유전체 분석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개발단계에서 약물유전체의 적용이 용이해졌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미국 FDA, 유럽 EMA 등의 선진외국에서도 약물유전체 정보를 약물개발단계에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장려하는 한편, 각 의약품 규제당국의 규제 의사 결정(regulatory decision making) 과정 개발에 따른 관련 지침 발간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5년부터 약물유전체 이용 지침을 발간하기 시작하였으며, 2018.10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약물 개발(시료의 품질관리, 비임상/임상시험), 데이터의 제출, 동반진단기기의 분야에서 총 6개의 약물유전체 관련 지침을 발간한 바 있다. 그러나 2015년 약물개발 단계에서의 약물유전체의 사용 지침을 제공하였을 때 오직 초기임상(임상 1상, 2상)만을 포함하였기에 약물 개발 전 단계를 포함하는 FDA, EMA 지침에 비해 제시하고 있는 내용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임상 약물유전체학; 초기 임상시험에서 활용 및 허가사항 기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보완한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 지침에 대한 개선사항을 도출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을 이용하고자 이미 개발된 양질의 지침을 기반으로 국내상황에 가장 알맞은 지침을 선별하여 사용하는 수용개작 방법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용개작 단계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서 발간한 지침 및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에서 발간한 지침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수용개작 중 지침의 검토 단계에서는 gap-analysis를 위한 matrix를 디자인하여 객관적이고 구조적인 방법으로 개선항목을 선정하였다. Matrix를 이용하여 국내외 약물유전체 지침을 비교함으로써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최종 개선사항을 기술하였고, 이에 대한 국내 반영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수용성 및 적용성에 대한 평가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가장 적합한 지침을 선택하여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작성된 초안은 두 번의 외부검토를 거쳤다. 1차 외부검토에서 약물유전체 관련분야 경력이 5년 이상인 산업계 혹은 학계 종사자 9인에게 초안에 대한 자문을 구하였다. 참여자에게 초기 정보를 제공하고, 초안에 대한 지침 선택의 적절성, 목차 구조의 적절성, 내용의 적절성, 국내 반영 가능성, 구체적인 내용의 수정방안을 자문하였다. 1차 외부검토에서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이 나오거나 합의가 도출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수정 후 동일 집단에 대해 2차 외부검토를 시행하였다. 2차 외부검토는 1:1 심층 서면(이메일 요청)으로 진행되었다. 전문가 자문 자료 설명서와 초안에 대한 수정본을 전송하였으며, 참여자에게 자문의견서를 받았다. 최종 합의가 도출된 사항을 반영하여 최종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가지 질문을 바탕으로 도출되었다. 각 질문은 IND와 NDA영역에서 선정하였다. 첫 번째 질문은 국내 제약사가 IND 승인을 위해 약물유전체를 활용한 비임상시험을 진행할 때 고려해야할 점이며, 두 번째 질문은 국내 제약사가 NDA 허가를 위하여 약물유전체를 활용한 임상시험을 진행할 때 고려해야할 점으로 선정되었다. 각 질문에 대해 선별 단계를 거쳐 선택된 지침은 각각 2개(FDA의 Pharmacogenomic data submissions과 EMA의 Guideline on the use of pharmacogenetic methodologies in the pharmacokinetic evaluation of medicinal products) 그리고 5개(FDA의 Pharmacogenomic data submissions, Adaptive design clinical trials for drugs and biologics 및 Enrichment strategies for clinical trials to support approval of human drugs and biological products 와 EMA의 Reflection paper on methodological issues with pharmacogenomic biomarkers in relation to clinical development and patient selection 및 Guideline on the use of pharmacogenetic methodologies in the pharmacokinetic evaluation of medicinal product)로 해당 지침을 바탕으로 matrix를 작성하고, 수용성과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비임상시험에서의 약물유전체학의 이용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각론부분에서 비임상단계에서의 약물유전체 이용 방안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임상시험에서의 약물유전체학의 이용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총론부분에서 임상시험 디자인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고, 각론부분에서 임상 3상에 대한 기술을 추가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개선사항을 바탕으로 초안을 작성하고 1,2차 외부검토를 진행한 결과 1차 외부 그룹 자문에서 지침 선택의 적절성, 목차 구조의 적절성, 내용의 적절성, 국내 반영 가능성 모두 적절함에 합의가 도출되었으나 구체적인 내용의 수정방안에 대해서는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이에 2차 심층 서면 자문을 진행하였고, 수정된 모든 사항에 대한 합의가 도출되었기에 이를 반영한 최종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Pharmacogenomics enables predicting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rug development- the efficacy and safety of drugs. This will shorten the time it takes to develop the drug, reduce the adverse side effects that can occur in clinical trials, and help to lower existing development cost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made the analysis of genomes more accessible, making it easier to apply the pharmacogenomics at the development stage.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FDA and European EMA are encouraging to integrate drug genomic information into the drug development stage. They are making efforts to issue relevant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gulatory decision-making process for each drug regulatory authority as well. In Korea, the guidelines for the use of pharmacogenomics began to be published in 2015. By 2018,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issued six guidelines that are related to drug development (genomic sampling, non-clinical and clinical trials), data submissions, and companion diagnostic devices. However, when the guidelines for the use of pharmacogenomics in the drug development were produced in 2015, only phase 1 and phase 2 of a clinical trial were included. Therefore, compared with that of FDA and EMA, the content of the proposal was insufficient. Thus, in this study, the improvement plan was designed to supplement the existing guidelines, “Clinical Pharmacogenomics: Premarket Evaluation in Early-Phase Clinical Studies and Recommendations for Labeling.” In order to make use of systematic methods to derive improvements from the guideline, we conducted research based on the “Adaptation methodology.” The adaptive methodology is an approach to select and use the most appropriate guidelines for the domestic situation based on developed and high-quality guidelines. Most of the steps of the adaptation methodology were formed from the guidelines issued by the Korea Health and Medical Research Institute and the guidelines issued by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the review phase of the guideline, a matrix for gap analysis was designed and the improvement items were chosen by objective and structural methods. The final improvements were acquired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by comparing international pharmacogenomics guidelines to Korea’s using matrix.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acceptability and applicabilit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domestic reflection. Based on the suggestions that have been derived, the most appropriate guidance has been selected and drafted. The draft was undergone to two external reviews. The first external review consisted of nine academics or industry expert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of pharmacogenomics with the aim of advising on drafts. The initial information was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and the appropriateness of selected guidelines for the draft, of the structure of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contents, a possibility of domestic reflection, and revision of specific contents were consulted. When it was judged to be inappropriate or no agreement was reached, the second external review was conducted by the same group after the amendment was made. The second external review was led in 1: 1 (email request). The final improvement proposal was suggested by reflecting the final agre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based on two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is that Korea pharmaceutical companies should consider when conducting non-clinical trials using pharmacogenomics for IND approval, and the second question is that when Korea pharmaceutical companies should consider when conducting clinical trials using pharmacogenomics for NDA approval. For each question, guidelines were selected for each of the two (FDA's Pharmacogenomic data submissions, EMA's Guideline on the Use of Pharmacokinetic Evaluation of Medicinal Products) and 5 (FDA's Pharmacogenomic Data Submissions, Adaptive design clinical trials for drugs and biologics and EMA’s Reflection paper on methodological issues with pharmacogenomic biomarkers in relation to clinical development and patient selection and Guideline on the use of pharmacogenetic methodologies in the pharmacokinetic evaluation of medicinal product). Based on these guidelines, a matrix was created and evaluated for acceptability and applicability. The followings are improvements to each question. First, the question of the use of pharmacogenomics in non-clinical studies has been elicited in the addition of information on the use of pharmacogenomics data in the non-clinical phase. Secondly, the questions about the use of pharmacogenomics in clinical trials were added to the summary of the clinical trial design, and the details of phase 3 clinical trials were added. Based on the improvements, the draft was drafted and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review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in the first external group consultation, it was agreed that the selection of the guidelines, the structure of the table of contents, the contents, and the possibility of domestic reflection were all appropriate. However, no consensus was reached on the specific contents. Therefore, the second consultation was conducted and the final improvement proposal was presented. As the agreement on all revised matters was derived, the final improvement (draft) was reflected. This study is first to derive an improvement for the pharmacogenomics related guidance in Korea using a gap-analysis matrix and the adaptation methodology. It is meaningful that the proposed improvement contributed to the management of pharmacogenomics in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application system.

      •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시각 이미지 구성 연구

        정나현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objective was to establish the guidelines for creating visual images used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produce actual images based on these guidelines. Korean language teachers face significant challenges in finding appropriate images for classes and exams, often dealing with copyright issues. Additionally, creating suitable images for educational purposes can be difficult due to subjective interpretations of the same vocabulary or content.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creating educational visual images and explore ways to produce actual images that meet educational needs. Chapter I outlines the research objectives and necessity, and reviews existing studies. It examined research on the composition of educational visual images, the analysis of visual images in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on errors in visual images, and previous research on creating visual images for vocabulary or content. The review revealed that while some studies focused on visualization through symbols, there was a lack of guidelines for creating visual images that consider non-verbal expressions, background knowledge, and culture. This highlighted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guidelines of creating educational images and the elements to consider during production. Chapter II defines the terms related to educational visual images and discusses their importance by exploring the functions of educational visual images. It reviewed various types of visual images discussed in previous literature, such as illustrations, multimedia materials, and more. Visual images are crucial for beginner learners who have not yet mastered the language, as they help in understanding and acquiring background knowledge without additional explanations. These images capture learners' attention, provide background knowledge, and aid in long-term memory retention. Chapter III examines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material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static visual images and dynamic visual images. Static visual materials include illustrations, photos, and mixed media used in textbooks, while dynamic materials include dramas, movies, animations, or videos created for educational purposes. Various issues were identified, such as images with ambiguous backgrounds, unclear target vocabulary, incorrectly presented actions, situations and content not being evident, visual images with incorrect symbolic signs, and visual images with ambiguous symbolic signs. Chapter IV proposes general guidelines to avoid these issues, emphasizing the need for validity, clarity, realism, and ease of learning in visual materials.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reflect the universality or cultural typicality of Korean culture and to avoid discrimination or social and cultural biases. Additionally, visual materials should be adaptable and reusable for teaching and learning purposes. Given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learning for beginner learners, the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guidelines for creating images of nouns, process vocabulary, state vocabulary, and abstract words, providing actual examples. Chapter V concluded by summarizing and organizing the discussions and making recommendations.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수·학습 시 사용하는 시각 이미지를 제작하기 위한 구성 원리를 세우고 실제 이미지를 제작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어 교원은 수업 시, 시험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미지를 제작할 때 저작권 문제도 겪으며 교육에 적합한 이미지를 구하기까지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시각 이미지를 그릴 때 같은 어휘나 내용이 있더라도 각자의 주관이 들어가기 때문에 실제 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적합한 이미지를 제작하기까지의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어려움을 겪지 않고 교육에서 적합한 시각 이미지 제작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원리를 세워보고 실제 이미지를 보여주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기존 선행 연구를 조사하였다. 교육용 시각 이미지 구성에 관한 연구, 현재 한국어 교육에 있어 시각 이미지를 분석한 연구, 시각 이미지에 오류가 있는지에 대해 살핀 연구를 보았고 어휘나 내용을 시각 이미지로 제작한 선행 연구를 살폈다. 그 결과 기호를 통해 시각화하는 연구는 있었지만 실제 비언어적 표현, 배경지식, 문화 등을 고려해 시각 이미지를 제작하는 구성 원리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용 이미지 제작 구성 원리를 세우고 제작 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II.장에서는 교육용 시각 이미지의 용어에 대해 정의하고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교육용 시각 이미지의 기능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기존에 논의된 시각 이미지, 즉 삽화, 일러스트레이션, 멀티미디어 자료 등 다양한 종류의 시각 이미지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시각 이미지는 아직 언어를 익히지 못한 초급 학습자에게 있어 부가 설명 없이도 한눈에 이해와 배경지식 습득을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자료이며 학습자의 주의를 끌고, 배경지식을 심어 줄 수 있으며 오랫동안 이미지를 기억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II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되는 자료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자료는 크게는 정적인 시각 이미지와 동적인 시각 이미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는데 정적인 시각 자료에는 교재에 사용되는 삽화, 사진, 그림과 사진의 혼합 자료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동적인 자료는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또는 교육을 위해 제작된 영상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 살폈다. 배경이 모호한 이미지, 목표 어휘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동작이 잘못 제시된 이미지, 상황과 내용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 상징 기호가 잘못된 시각 이미지, 상징 기호가 모호한 시각 이미지 등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IV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타당성, 명료성, 실제성, 학습 수월성을 갖춰야 하며 한국 문화의 보편성이나 문화 전형성이 정확하게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 차별이나 사회, 문화적인 편견이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 더불어 교수·학습 시 시각 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시각 자료의 변형, 재사용이 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점을 일반적 원리로 세웠다. 그리고 초급 학습자에게 있어 어휘 학습은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 내용 중 어휘에 중점을 맞춰 구체 어휘, 추상 어휘, 과정 및 동작 의미를 가진 어휘, 상태 및 정적 의미를 가진 어휘로 나누어 어휘의 교육용 시각 이미지 구성 원리에 대해 밝히고 실제 예를 제시하였다. V장에서는 논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제언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 Synchronous Intestinal Cancer Models within a Single Patient Reveal Heterogeneous Molecular Features Reflected in Variable Drug Responses

        정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Synchronous cancer is defined as two or more primary tumors detected in the same or different organs of a single patient at the initial diagnosis. The incidence rate of multiple primary cancer identified in the intestinal tract is exclusively rare and the discovery of tumorigenesis in these simultaneous tumors using patient derived organoids and cell lines has not studied yet.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set of six patient-derived organoids (PDOs), cell lines (PDCs) and PDO derived cell lines (PDOCs) isolated from six different regions of the intestinal track of a single patient encompassing not only the large bowel but also the small intestine. Our synchronous intestinal cancer(SIC) models were subjected to genomic, transcriptomic, epigenetic and pharmacological analysis. We demonstrated that a series of PDOs, PDOCs and PDCs recapitulate histopathological and molecular heterogeneity of human SIC throughout the intestinal tract of an individual patient. By capturing hierarchical clonal structure of synchronous tumors derived from a single patient, we observed an unexpected clonal expansion pattern transcending small and large bowel not only in genetic, transcriptional and epigenetic alterations but also in drug responses among independent subclones of in vitro models. As discov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molecular characteristics and drug responses of PDOs, multi-omics data can suggest appropriate therapeutic targets for an individual patient who diagnosed multiple cancers simultaneously. 동시성 암은 초기 진단 시 단일 환자의 동일하거나 다른 장기에서 발견된 2개 이상의 원발성 종양으로 정의된다. 장관에서 확인된 다발성 원발성 암의 발병률은 극히 드물며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및 세포주를 사용하여 이러한 동시 종양에서 종양 형성은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대장뿐만 아니라 단일 환자의 장 트랙의 6개의 다른 영역에서 분리된 6개의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 세포주(PDC) 및 PDO 유래 세포주(PDOC) 세트를 수립하였고, 이러한 동시성 소장 및 대장암 (SIC) 모델을 이용하여 게놈, 전사체,후성 유전학 및 약리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수립된 PDO, PDOC 및 PDC가 개별 환자의 장관 전체에 걸쳐 인간 SIC의 조직병리학적 및 분자적 이질성을 요약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단일 환자에서 유래한 동시성 종양 시험관 내 모델로부터 계층적 클론 구조를 포착함으로써 종양 간 이질적인 유전적, 전사 및 후성 유전적 변화와 소장과 대장의 장기 특성을 초월하는 종양의 진행 패턴을 관찰하였다. 뿐만 아니라 SIC 모델에서 약물 반응성을 확인함으로써 분자적 이질성과 동일한 종양 간 독립적인 서브클론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전체, 후성 유전체와 약물 반응성을 통합하는 멀티 오믹스 데이터는 SIC 모델의 분자적 특성과 약물 반응 간의 상관관계를 밝혀냄으로써 동시성 암 환자에게 적절한 환자 맞춤형 치료 표적을 제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