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ZnO/Zn(OH)2 나노시트의 합성 및 형태제어에 관한 연구

        정규현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wo-dimensional nanomaterials are obtained by physical methods such as top-down and chemical synthesis methods such as bottom-up. However, the lack of a mechanism for forming two-dimensional nanomaterials from non-layered materials presents difficulties in studying the properties of two-dimensional nanomaterials. In this study, we study on synthesize of ZnO nanosheets, which have excellent mechanical durability, single crystallinity, high surface area, and ultra-thin thickness that are advantageous for photocatalytic applications, and show excellent performance in various fields. Ionic layer epitaxy method has used to synthesize ZnO nanosheets, which provides many opportunities to synthesize materials such as ZnO having a non-layered crystal structure into a new group of two-dimensional nanomaterials. It also shows that the surfactant can act as a soft template to induce the growth of ZnO/Zn(OH)2 nanosheets in a wide area. In this study, we show shape change of ZnO/Zn(OH)2 nanosheet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how to control the shape of ZnO/Zn(OH)2 nanosheet depending on surfactant concentration. The synthesized nanosheets have treated with annealing, O2 plasma, and UV/Ozone treatment to confirm the catalytic properties through oxygen evolution reaction.

      • 양적 발전 시기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 신자들의 신앙생활 변화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분석과 이에 대한 신학적 숙고 : 합리적 선택이론에 입각한 분석과 기초신학적 고찰

        정규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topic of this article is “Religious-sociological Analysis on Korean Catholic Believers’ Religious Life Change after Quantitative Development Period, and of its Theological Consideration.” The reason why this topic was chosen was to suggest a way to renovate through analyzing causes of Korean catholic believers’ religious life changes while the necessity and request for renovation of Korean Catholic Church has become more serious than ever before. To find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n method, pastoral sociology has been applied. From Chapter 2 to 5, the main body, the ideas are separated into “Phenomenon Observation”, “Sociological Analysis”, “Theological Consideration”, “Search on Practice”. In Chapter 1, the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the situation why such a strong renovation request aroused in Korean Catholic Church is explained. Pastoral sociological method is also explained. To provide the causality of a phenomenon, variables have been set - sociological chang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religious life change as a subordinate variable. The range of catholic believers was also set within the people who have confessed themselves as catholic believers. In Chapter 2, the “Phenomenon Observation”, to limit the range of this research,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nd ‘ Statistics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were comparatively analyzed. From this analysis, Quantitative Development Period indicates from 1980’s to the early 1990’s, and the period after that period till now is defined as Quantitative Stagnation Period. I have followed its trace of The Korean Believers’ religious consciousness changes after the late 1980’s comprehending tendency researches of ‘Korea Gallop Research Institute’ and ‘Catholic Times’ and from various quantitative results. From those data, Korean believers’ drastic weakening in religious perception and activities was found. However, I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qualitative weakening and causes of quantitative development synthesizing and analyzing external evaluations and recognitions after 1980’s. Korean Catholic Church has gained public trust and reputation through various social activities, and with which merged with religious images such as holy, solemnity and piety, now it is highly evaluated with positive and favorable recognition. In this article, the difference between such an external-internal high reputation and qualitative weakening was to be recognized, and its cause analysis was preceded. In Chapter 3, I attempted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phenomenon observed in the previous chapter. Comparing and synthesizing secularization theory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era, I optimized Rational Choice Theory model which could be adequate for current Korean catholic situation. When following Rational Choice Theory, religion in Korea had a tendency to accelerate internal secularization within individuals, and which strongly appeared in individuals’ autonomous independence. Korean catholic believers tend to have a capitalistic consumption society, cafeteria faith, individualistic faith and spiritual consumption when secularization of religion takes its steps forward. In chapter 4, the nature of Christian faith is considered. In this process, first of all, despite the premise of the rational choice theory of nature, the selfish rationality in human religious life, the universality of faith beyond rationality is expressed by the Numinose experience and transcendental nature, As well as the format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This article demonstrated how the nature of belief can be manifested in modern society where freedom of religion is secured in the aspect of overcome of insecurity and uncertainty by the experience of whole love. In chapter 5, practical search was attempted. The practical ways to make the nature of religion more matured was also looked for. In this article, pastorate and the role of pastorate as a prototype of a belief and reform of parish priest charge system are suggested. In chapter 6, the conclusion, the text from chapter 1 to chapter 5 was summarized. Furthermore, absence of multilateral analysis according to minor variables about subjects in quantitative research and absence of internal cause analysis of a church which affected many changes in Korean catholic believers’ religious perception and activities were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accumulation of analysis data and consistent tendency research was once again emphasized as more physical and realistic suggestions were not fully made in this article. 본 논문의 연구 주제는 ‘양적 발전 시기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 신자들의 신앙생활 변화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분석과 이에 대한 신학적 숙고’이다. 이러한 주제를 결정한 이유는 그 어느 때보다 한국 가톨릭교회의 쇄신에 대한 필요성과 요청이 부각되는 작금의 현실에서, 이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한국 가톨릭신자들의 신앙생활의 변화의 궤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원인 분석과 쇄신 방향 제시에 있다. 그리고 이 작업은 사목사회학(pastoral sociology)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본론에 해당하는 2장부터 5장을 ‘현상 관찰’, ‘사회학적 분석’, ‘신학적 숙고’, ‘실천 모색’으로 구분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한편, 서론에 해당하는 1장에서는 한국 가톨릭교회 내에서 강한 쇄신 요청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을 지적하며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을 밝혔다. 이어서는 연구 방법론으로 적용한 사목사회학(pastoral sociology)적 방법론을 간단히 소개하였다. 다음으로는 현상에 대한 인과 관계 규정을 위해 사회적 변화를 독립 변수로, 신자들의 신앙생활 변화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신자 범주는 각종 양적조사에서 스스로 가톨릭신자라고 밝힌 사람으로 한정시켜 연구의 범위를 한정지었다. ‘현상 관찰’에 해당하는 2장에서는 먼저 조사 범위 한정을 위해 ‘인구주택총조사’와 ‘한국 천주교 교세통계’를 비교 분석하여 양적 발전 시기를 1980년대에서 90년대 초반으로, 그 이후 현재까지의 시기를 양적 발전 정체기로 규정하였다. 이어서는 한국갤럽조사연구소와 가톨릭신문사의 추세조사를 중심으로 그 밖의 다양한 양적조사들의 결과들을 종합하는 방식으로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 가톨릭신자들의 신앙의식과 활동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였다. 이를 통해 1980년대 후반 이후 그들의 지속적이고 급격한 신앙의식과 활동의 약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그럼에도 확인된 양적 성장의 원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이에 대비된 위와 같은 질적 약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 가톨릭교회에 대한 외재적 평가와 인식 조사들을 종합,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1980년대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는 다양한 사회 활동을 통해 신뢰와 호감을 얻어왔고, 그것이 거룩함, 엄숙함, 경건함 등의 종교적 이미지와 융합되어, 지금에 이르는 높은 공신력과 선호도, 긍정적 이미지로 한국 사회에서 평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대내외적 높은 평가와 지속적 질적 약화 사이의 대비되는 간극을 파악하였으며 이에 대한 원인 분석을 이어갔다. ‘사회학적 분석’에 해당하는 3장에서는 2장의 관찰 결과를 설명할 원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작업에는 종교 자유가 보장된 다종교 사회 상황에서 개인의 종교 활동과 종교 조직의 변화를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 종교에 대한 합리적 선택이론이 방법론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원인 분석이 독립 변수로 설정된 한국 사회의 시대적 변화와 연관된 통시적 분석을 고려해야하기에 사회 변화와 종교 위상 사이의 변화를 설명하는 세속화이론들과의 비교 종합을 통해 한국 가톨릭 상황에 적절한 합리적 선택이론 모델 변용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합리적 선택이론의 기초 전제인 종교 활동의 근본 기저로서 비용과 보상 사이의 이기적 합리성을 추구한다는 주장을 수용하였으며, 그러한 본성이 종교에 대한 개인의 내적 세속화가 진행됨에 따라 사사화의 강화를 통해 개인의 주체적 독립성 안에서 강화되어 발휘된다고 결론 내렸다. 하지만 합리적 선택이론의 논증과 2장의 관찰 사이, 불일치하는 사항들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에 대한 심층 분석을 위해 한국 사회의 후기 근대적 재편이라는 통시적 변화와 한국 사회의 종교 지형과 종교 심성이라는 기본 토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1987년 제도적 민주화, 1997년 IMF 사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총체적 사회변화를 이끈 사건들을 기점으로 하여, 한국 가톨릭신자들의 종교적 수요 변화가 자본주의적 소비사회로의 재편과 불확실성 및 불안의 일상화, 총체화, 압도성을 통해 카페테리아 신앙, 개인주의적 신앙(신앙 개인화), 영적 소비주의로 규정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합리적 선택이론의 관점에서 이와 같은 변화를 일관된 인과관계로 구성하였다. ‘신학적 숙고’에 해당하는 4장에서는 그리스도교 신앙 본질을 숙고함으로써 3.에서 파악한 한국 가톨릭신자들의 신앙생활 변화 원인과 신앙의 본질 사이의 간극을 드러냈다. 이 과정은 먼저 이기적 합리성이 인간의 종교생활에 있어서도 본성이라는 합리적 선택이론의 기초 전제의 대당으로, 합리성을 뛰어넘는 믿음의 보편성을 누미노제 체험과 초월론적 본성, 그리고 이 둘의 융합으로 드러나는 믿음 공동체로서의 종교 조직의 형성에 관한 논증을 통해 진행되었다. 다음으로는 이와 같이 밝혀진 인간의 보편적 신앙 가능성의 조건 위에 성경에 나타난 그리스도교 신앙의 본질을 숙고하였다. 이로써 본 논문은 구약에서 드러난 신앙의 본질을 계약과 신의의 측면에서 정리하였고, 신약에서 드러난 신앙의 본질을 예수의 사랑에 대한 응답인 회개와 추종의 측면에서 정리하였으며, 이 두 양상을 하느님의 선행하는 자기계시와 이에 대한 인간의 자유로운 실존적 기투로 종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이러한 신앙의 본질이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 후기 근대적 사회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발현될 수 있는지 인격적 사랑 체험을 통한 불확실성과 불안의 극복이라는 측면에서 논증하였다. ‘실천 모색’에 해당하는 5장에서는 3장에서 파악한 신앙생활의 약화 원인에 비추어, 4장에서 결론 내린 신앙의 본질을 성숙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여기서 본 논문은 신앙을 본질을 살아내는 프로토타입으로서의 사목자들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어서 방법적 차원의 심화 방안으로는 신앙 공동체 안에서의 하느님 사랑 체험, 성사와 전례를 통한 신비교육, 성경 말씀 공부와 사회적 영성의 연결을 통한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유기적 연결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제도 측면에서 본당 내 더욱 많은 프로토타입의 사제들이 상주할 경우 특화되고 중첩된 사목 활동을 통해 신자들의 신앙 심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본당 사목구 사제 담당제의 개편을 건의하였다. 결론에 해당하는 6장에서는 1장에서부터 5장의 내용을 요약하였고, 연구 한계로서 한국 가톨릭신자의 신앙의식과 활동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교회 내부 원인 분석의 부재 및 양적조사 내 표본에 관한 세부 변수들에 따른 다각적 분석의 부재를 지적하였다. 또한 실천 모색 부분에서 현황 자료 수집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므로 더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제안이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밝히며, 한국 가톨릭의 쇄신을 위한 사회학적 접근과 다양하고 지속적인 추세조사와 질적조사 실시 및 분석자료 축적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가톨릭 청년 신자들의 종교생활과 종교적 정체성 : 직무 봉사를 통한 의미와 행위의 재구성

        정규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n society, the population of ‘religious nones’ in 20s and 30s young adults is increasing. Even in the pastoral field of Catholic Church, the phenomenon of church exit in young adults has also emerged as an important pastoral task. Existing researches on this have often approached to find cause and solution by dealing with unchurched people as the homogeneous tepid Christian. However,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young adults living in the postmodern society, studies on why they exit Catholic Church from interpretations based on their religious life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paper focused on the organizational experience of church as a reason of young adult lay people’s church exit. Therefore, in this pap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young adults lay people who closely experienc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church in ministerial assisting. Thus, this paper classified the organizational experience which they have undergone while they were lay leaders as various factors of priesthood leadership and relationship with subgroup members.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the meaning interpretation of organizational experience and the dynamics of behavior strategies, and paid attention to changes in religious identity after ministerial experience. For data analysis,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ology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riesthood leadership with synodality and authenticity, and self-efficacy felt through lay people members made increase communion. On the other side, top-down communication and authoritarian priesthood leadership, the relationship conflict between lay people made organizational conflict issue of young adults lay leaders. Second, according to communion or conflict situation, they interpreted organizational elements of church they faced. After that they also selected behavior strategies between satisfaction-commitment, voice and suggesting opinions, diverse types of silence and staying. Moreover, in this process, despite the experience of worsening conflict issue, they overcame difficulties and chose to commitment to the church if they have several overcoming mechanisms. Third, after the ministerial experience, they restructured their religious identity with it, centered on a newly restructured relationship with church. Young adult lay leaders who had experience of increasing communion strengthened their identity. Their religiosity of dimensions of faith, performance, and belonging make them committed and integrated to church organization. Conversely, young adult lay leaders who had experience of worsened conflict problem restructured their religiosity fluidly and liminalitely, according to autonomous and reflective meaning interpretation. In conclusion, tepid situation was reinterpreted in a denormative sense through their own organizational experience of church.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exchange structure and exchange cost adjustment process of the active lay group were subdivided. Second, this paper classified priesthood leaderships based on communication and pastoral main focus, also, was able to additionally categorize ethical and religious silence as behavior strategies that does not make young adults lay leaders exit despite the worsening conflict in the church. Third, this paper was able to identified the reasons, factors, restructurization process of autonomous religious identity of tepid young adults Catholic lay people. 한국 사회 20-30대 청년 무종교인구는 증가하고 있다. 가톨릭교회의 사목 현장에서도 청년 이탈 현상은 중요한 사목적 과제로 대두되어왔다. 이를 두고 기존의 연구는 교회 이탈자를 ‘냉담자’라는 동일 집단으로 판단하여 원인과 처방에 접근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후기 근대사회를 사는 청년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그들의 종교생활에 기반한 해석으로부터 왜 가톨릭교회를 떠나게 됐는지를 살피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청년 평신도들의 냉담의 원인 중 하나로 교회 조직 경험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 평신도 중 교회 조직 문화와 특성을 밀접하게 체험한 직무 봉사 경험이 있는 16명과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이 직무 봉사를 수행하며 체험한 조직 경험 구성 요소인 사제 리더십과 평신도 구성원과의 관계 요소를 정리하였고, 조직 경험에 대한 의미 해석과 행위 전략의 역동성을 분석하였으며, 직무 수행 이후의 종교적 정체성 변화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종교생활 전반에 관한 종교경제론적 접근과 조직 경험을 아우르는 사제 리더십과 이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행위 전략을 구분하기 위한 조직사회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재구성되는 종교적 정체성의 요소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종교의 문화적 배태성과 다면적인 종교적 정체성에 집중하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공동합의성과 진정성을 겸비한 사제 리더십과 평신도 구성원으로부터 체감하는 자기효능감은 청년 직무 봉사자의 교회 내 친교 작용을 상승시켰다. 이와 반대로 하향식 의사소통과 권위주의적 사제 리더십, 평신도 구성원 간의 관계 갈등은 청년 직무 봉사자의 조직 갈등 문제를 야기했다. 둘째, 친교 혹은 갈등 상황에 따라 청년 직무 봉사자는 자신이 대면한 교회의 조직 요소들을 해석하고 이에 따라서 만족과 몰입 또는 항의 및 의견 개진, 다양한 방식의 침묵과 머무름의 행위 전략을 선택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갈등 문제 심화 체험에도 불구하고 사제의 도움과 과거의 만족-몰입 경험 및 기존의 교회 조직 중심의 통합과 몰입의 종교적 자기 정체성을 유지했을 경우 어려움을 극복하고 교회로의 몰입을 택했다. 셋째, 직무 봉사 이후 청년 평신도는 직무 봉사 경험에 따라 새롭게 구성한 교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종교적 정체성을 재구성했다. 친교 증진을 체험한 청년 평신도는 신앙, 수행, 소속 차원의 종교성이 교회 조직으로 통합-몰입되는 정체성을 공고히 하였다. 반대로 갈등 심화를 체험한 청년 평신도는 신앙, 수행, 소속 차원의 종교성을 자율적이고 성찰적인 의미 해석에 따라 유동적이고 임계적으로 재구성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에게 냉담은 자신의 고유한 교회 조직 경험을 통해 탈규범적 의미로 재해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 평신도 집단의 교환구조와 교환비 조정과정을 세분화였다. 둘째, 사제 리더십을 의사소통과 사목 주안점을 기준으로 대별하여 제시하였으며 윤리적이고 신앙적인 침묵을 선택하면서 교회 조직 갈등 심화에도 불구하고 이탈하지 않는 행위 선택을 유형화할 수 있었다. 셋째, 냉담자로 구분되는 청년 평신도의 자율적인 종교적 정체성의 재구성 과정과 그 변화 요소 및 이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 茶山 敎育思想의 探索과 敎育行政에의 接近

        정규현 京畿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산학의 여러 사상적 맥락에서 교육사상을 經學 및 經世學的 측면으로 탐색하고 다산의 교육행정 사상을 經學的인 측면에서 규명하여, 현대교육이 안고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시사점을 찾고 교육개혁과 교육발전에 기여할 바를 찾는데 있다. 첫째, 다산의 실학사상과 목민사상이 다산의 교육사상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둘째, 다산의 교육사상(목적, 내용, 방법)은 교육 원리적인 측면에서 오늘날 교육 현장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셋째, 다산의 교육행정사상을 경학을 기초로 한 사상적 구조의 파악에 관심을 두고 철학적인 측면을 고찰할 때 오늘날 교육행정 현실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는 주제와 관련되는 선행연구물과 원전, 단행본, 정기간행물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문제를 분석한 결과를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산의 사상은 그의 개인적 환경과 시대적 상황의 산물이다. 왜란, 호란과 경제적 피폐, 삼정의 문란, 성리학으로 표현되는 다산이 살던 시대는 실학이라는 학문을 필요로 하게 하였고, 성호의 학문을 실학적 정신의 토대를 둔 다산의 실학사상은 반주자학적 의미를 지닌 실천적 개신유학을 정립시켰으며, 이러한 실학정신은 과학적 측면의 서학을 수용하게 됨으로써 실천, 실용, 실증을 바탕으로 하여 백성과 국가를 위한 독특한 실학사상을 잉태하게 되었다. 2. 다산의 실학사상은 경세치용, 이용후생, 실사구시의 학을 넘어 서학의 과학적·실증적 사상을 수용하여 사회개혁, 직업에 대한 새로운 인식, 경제발전, 과학기술 측면의 인간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학문의 체계를 세울 수 있게 되었으며, 목민사상은 목자의 자질론과 목자와 민의 평등을 제시함으로써 인간존중 및 평등사상, 교육 내용 및 제도, 행정제도 발전에 대한 기틀을 세우는 바탕이 되었다. 3. 다산의 교육이념 및 목적은 실천하는 수기치인의 인간상과 구현과 孝·悌·慈의 실천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았는바, 지행합일의 전인적 인간상 구현 즉, 오늘날 교육이 추구하는 전인적 인간육성에 시사하는바 크며, 교육내용면으로 볼 때 국학의 강조는 국적있는 교육을, 기예론은 과학 지식과 기술교육의 필요성 측면에서, 육서, 오학론과 불가독설은 아동의 발달단계에 맞는 교육의 실천을, 경서의 확대는 교육 내용의 확충을 시사하고 있으며, 가계와 서간은 가정 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다. 교육방법면으로 (경험 학습,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인간의 발달단계에 맞는 교육, 영재교육, 흥미위주의 교육방법, 우수한 교사의 확보, 교육 재정의 확충, 도서 확보 등 다양한 측면의 교육 방법론을 제기하고 있다. 4. 다산의 교육행정사상은 근본적으로 유교적 테두리에서 진보적이라는데 그 특색이 있다고 하겠다. 그의 사상은 주례와 중국의 역사적인 선례를 참고로 하고있는 일면이 있지만, 그러나 이것은 복고적인 것이 아니며, 옛것을 신성불가침시 하려하지 않았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새로운 제도와 질서를 창조하려는 의지와 동기가 그의 엘리트 선도주의, 전인적 인격주의, 실용적 개혁주의, 탈중화적 민족주의의 철학과 교육행정제도 속에 표현되어 있다. 그는 중국의 예를 단순히 참고하였을 뿐이고 우리의 전통문화를 존중하는 주체의식을 가지고 교육행정문제에 접근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그의 정책들도 이상에만 치우쳐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 교육행정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이론이었다. 그러나 그 당시의 집정자들이 그의 교육행정에 관한 개혁론을 외면해 버린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 일부 종합병원 병리조직실 공기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

        정규현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포름알데히드는 단기간 노출 시 눈, 코, 기관지에 심한 자극을 일으키며, 장기간 노출될 경우 피부염과 호흡기, 생식기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동물 실험결과 발암성을 지니고 있다고 밝혀져 있다. 병원의 해부병리과에서는 조직 표본을 만드는 과정에서 의사 및 병리사들이 포름알데히드에 노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평가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병원 조직검사실을 대상으로 공기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여 종사자들의 노출실태를 평가하고, 개선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부산지역에 소재하는 3개 병원의 해부병리과내 육안 판독실과 조직표본실를 대상으로 포름알데히드와 에타놀, 크실렌 등을 개인 시료채취기로 측정하여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하였다. 시간가중 평균치(Time weighted average, TWA)를 구하기 위하여 육안 판독실에서 작업하는 의사와 병리사를 대상으로 하루 근무시간, 즉 8시간동안 호흡기 영역의 위치에 개인용 시료 채취기를 두고서 채취하였다. 하루동안 고농도 노출이 예상되는 시점인 포르말린에 고정한 조직을 꺼내어 검사하는 동안 호흡기 영역에서 15분간 8회 채취하여 분석한 값의 기하평균치를 단시간 노출 농도를 사용하였다. 각 병원의 조직 검사실 별로 공기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한 결과 8시간 가중평균치의 경우 2 곳의 병원에서 허용기준인 1.0 ppm을 초과하고 있었으며, 15분간의 단시간 노출 농도는 1 곳에서 허용기준 2 ppm을 초과하고 있었다. 병리 조직검사실에서 흔히 사용하는 에타놀과 크실렌에 대해서 측정한 결과 모두 허용기준치 이내의 저농도로 발생이 되고 있었다. 포름알데히드에 고농도로 노출이 되고 있는 병리 조직 검사실의 의사와 병리사들의 건강장애 예방을 위하여 실내 환기와 적절한 국소배기시설의 설치, 포르말린에 고정한 조직의 보관을 위한 별도 시설의 설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ormaldehyde irritiates mucous membranes in the eyes, nose, and upper respiratory tract, and it is a potential carcinog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time-weighted average (TWA) and short-term exposure limit (STEL) concentration to formaldehyde exposure and to suggest proper improvement strategy to minimize exposure. This study was conducted at 3 histopathology laboratories in the hospitals located in Busan from January 20 to March 10, 2002. Formaldehyde and organic solvents (ethanol and xylene) were sampled by personal air sampler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WA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ranged from 0.28 to 10.64 ppm and those of two laboratories out of 3 were exceeded the threshold limit value (TLV). 2. In one laboratory, STEL concentrations was exceeded threshold limit value (TLV), as 2.39 ppm. 3. TWA concentrations of ethanol and xylene were under the TLV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ocal ventilation systems and other facilities to prevent the personnels in the laboratories from the diseases due to formaldehyde exposure.

      • 광 주입을 이용한 1.5 ㎛ 표면 방출 레이저의 편광 특성 연구

        정규현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외부 레이저 광의 주입에 의한 단일 모드로 작동되는 1.5 μm 파장대의 수직 공진 표면 방출 레이저(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VCSEL)의 편광 스위칭 특성을 연구한 결과를 소개한다. VCSEL이 임계 전류보다 조금 높게 구동될 때, VCSEL의 고유 편광 방향에 대해 수직한 편광 방향으로 파장 가변 레이저 광을 주입함으로써 VCSEL의 편광 상태를 외부 주입 레이저 편광 방향으로 스위칭하는 현상을 처음으로 관측하여 보고한다. VCSEL의 구동 전류와 외부 주입 레이저 광의 세기에 따라 편광 특성의 변화 정도를 관측하고, 외부 주입 레이저 파장의 변화에 따라 편광 스위칭에 필요한 주입 레이저 광의 세기 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단일 모드 1.5 μm 파장 VCSEL의 경우는 임계 전류가 약 1.95 mA이며, 구동 전류가 2.1 mA이고 주입 광 세기가 -27.7 dBm일 때 편광 스위칭에 의한 VCSEL의 각각의 편광 방향으로 출력된 광의 세기 차이가 10 dB 이상이 됨을 실험적으로 관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고속 광 교환에 필요한 스위칭 기능에 활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카오스 현상을 이용하는 암호화 광통신 기술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research results on polarization switching characteristics of single-mode 1.5 μm wavelength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VCSEL) under an external laser beam injection. It was observed, for the first time to our knowledge, that an external laser beam injection whose polarization is perpendicular to that of the original single-mode VCSEL laser beam causes switching on its polarization direction when it is operated a little above the threshold current. We have measured the polarization changing properties as functions of the VCSEL's driving current and the external laser beam injection power. In addition, the minimum injection power requirement for the polarization switching has been determined when the injection laser wavelength is deviated from the VCSEL laser wavelength. The 1.5 μm wavelength single-mode VCSEL used in our measurements has a threshold current of about 1.95 mA, and shows a well-defined polarization switching with a polarization extinction greater than 10 dB at the driving current of 2.1 mA and the injection power of -27.7 dB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be useful for future high-speed optical switching and optical chaos based secure cryptographic communications.

      • 중학교 국악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정규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problem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Kugak' education and activate it to prosper into high level. At first, it'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the Korean music teaching related with the school texts. Second, it's to improve the music teacher training method. Discussing the result item by item, I'll try to find out the improvement plan. The true music education is to explain the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of the national music and study them. The first step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developement is that our school music teachers must teach 'Kugak' in class through the school education.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already reported, the Korean classical music elements are set and reinforced in the school education curriculum. But acdcording to the survey of this paper, the problem is as follows ; looking at the music text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carefully, we can find that there is just a little content about the Korean classical music. Each music text has difference and so there is no coherence in it. Most music teachers do not have much knowledge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and they can't teach it correctly and fluently. Meanwhile the music texts have a little content about the Korean classical music and that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our own musical tradition. In addition, 42.7 percent of schools have no fluent Korean classical music instrument and facilities. The study and training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must be more wide and systemetic than before. The present music colleges and universities which produce a large number of music teachers have fixed that each student should get only 2 or 4 points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course. On the ground of this result, I'll suggest the next improvement plan. first, the music texts must have the systematic curriculum, proper difficulty, and coherent content. Second, each school must have the fluent and useful Korean classical music instrument and facilities. Third, the present music teachers and future music teachers must have much knowledge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And last, the Korean classical music course must be a required subject, not an optional subject in all college and university, and every future music teacher must learn our own music and its spirit.

      • 進路指導를 위한 職業價値觀 形成要因 比較 硏究 : 男子商業高等學校를 中心으로

        정규현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different is the influence each factor between undergraduates and students and to guide them to select a right occupation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factors of their occupational values having a close relation with their career selection. The 3 basic factors and 12 subordinate factors are as follows. 1. individual factors : aptitude, score, physical condition, sincerity, parental opinion 2. school factors : schoolmates, hand-out, teachers 3. workshop factors : salary, social recognition, the location, self-realization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given factors on career selection I compared and analyzed each factor for 2 groups-graduates and students, and established and verified the following hypotheses. hypoth.1 : individual factors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hypoth.2 : school factors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hypoth.3 : workshop factors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sults of the above hypotheses are as follows. 1. Individual facto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P<0.01) This shows that occupational value has a great effect on career selection. Specifically, 'aptitude', 'score', 'physical condition', and 'parental opinion' of them are signigicanly different, but 'sincerity' isn't. Also, students think highly of 'aptitude' and 'sincerity', while graduates of 'sincerity' and 'aptitude' in order. 2. School facto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shows that school factors don't have an effect on career selection. Specifically, schoolmates have a greater effect on graduates than students and an-other factor-teachers-is significantly different(p<0.01), but 'hand-out' isn't. Also, students think highly of teachers and hand-out, while graduates of hand-out and schoolmates in order. 3. Workshop facto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P<0.05) This shows that workshop factors have a great effect on career selection. Specifically, self-realization has the greatest effect on career selection and social recognition doesn't influence it at all. Salary has a greater effect on graduates than students in their career selection, but the location on students than graduat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ortant points are discoverd : 1. Individual factors in career selec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2. The 2 of 3 school factors -schoolmates and hand-out-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rest factor-teachers is significantly different. 3. Workshop facto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Especially self-real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ir career selection, but social recognition is the least for both groups. Finally, the basic career guidances suggested for vocational education are as follows. 1. Teachers should give students many chances to have talks about career selection by inviting their seniors at work and the persons concerned. 2. Students' aptitud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ir career selection and so teachers should inform them and their parents of the result of aptitude test and guide about it thoroughly. 3. Teachers should come by enough hands-out about career guidance and arrange space and time for every students to make the best of them. 4. Students should be interested in point industry and idea industry and develop their individuality regardless of their school scores.

      • 구약성경에 나타난 “하느님의 정의(正義)”에 대한 주석적 고찰 : 아모 5,4-6.14-15과 미카 6,1-8을 중심으로

        정규현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의(正義)’라는 보편적이고 원대한 가치 앞에 서있는 모든 사람들은 이를 반드시 준수하고 실현해야 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 특히 그리스도인은 ‘정의’ 실현에 있어서 특별한 사명을 갖는다. 성경을 삶의 진리로 고백하고 있는 그리스도인은 ‘하느님께서 바라시는 정의’를 실천해야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연구는 성경에 나타난 ‘하느님의 정의’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리스도인들이 ‘정의’를 실천해야하는 당위성을 제시하려 한다. 단지 ‘인간들은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이기 때문에 세상 안에서 ‘정의로움’을 실천해야 한다’라는 고정되고 관념화된 답변이 아니라, 진정한 정의의 당위성이 어디에 근거하고 있는지 밝히려는 것이다. 특별히 기원전 8세기 하느님의 정의를 부르짖었던 예언자들인 ‘아모스’와 ‘미카’의 본문을 취사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본연구의 주제본문은 아모 5,4-6.14-15과 미카 6,1-8이다. 본문들의 연구를 통해 그리스도인의 ‘정의’ 실현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보다 분명하게 규명할 수 있으리라 본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 동기 및 목적에 부합하고자 해당 본문에 대한 주석적 접근을 시도하였는데, 연구의 내용은 3부분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제1부에서는 본문의 배경이 되는 기원전 8세기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국제정세, 경제, 사회, 종교적 상황이 바로 그것이다. 기원전 8세기 이스라엘 사회는 대내적인 안정 속에서 경제적 풍요와 정치적 번영을 이루고 있었다. 당시 국제정세는 주변 강대국들의 쇠약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이스라엘이 정치적 번영을 꾀할 수 있었으며, 그러한 번영 아래 경제적 풍요를 누릴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안정과 번영이 사회, 종교적인 발전을 이룩하지는 못했다. 경제적 안정과 풍요는 오히려 이스라엘 민족들에게 독이 되었던 것이다. 이스라엘 민족들은 ‘가진 자’들이 자신들이 가진 부를 더욱 축적하기 위하여, 힘없고 약한 이들을 핍박하였고, 또한 그러한 번영이 자신들의 힘으로 가능한 것이라 믿으며 하느님을 잊기 시작하였다. 그러한 사회적, 종교적 부패는 결국 혼합종교적인 형태로 드러나게 된다. 제2부는 이스라엘 사회에서 예언자이 가졌던 독특한 역사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하느님이 중심에 서는 ‘정의로운 사회’를 선포한 예언자들의 확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기원전 8세기 히브리 예언자들이 파악한 역사관은 내려져오는 전승에 의거하여, 오로지 하느님에 의해 이루어지는 하느님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그들은 하느님이 중심에 서는 역사, 하느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역사를 선포하였던 것이다. 역사란 이스라엘 예언자들에게 있어, 단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어떤 사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이 역사의 주체로서 인간들을 이끌어 가시는 역사이다. 마지막으로 제3부는 기원전 8세기 북왕국과 남왕국에서 각각 활동한 아모스와 미카를 중심으로 ‘하느님의 정의’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아모스와 미카서를 연구함에 있어, 그 연구범위를 제한하여 아모 5,4-5.14-15와 미카 6.1-8을 고찰하였다. 각 예언서의 개괄과 ① 내·외적 근거를 통한 본문 설정, ② BHS의 apparatus에 근거한 본문비평, ③ 원문에 근접한 본문 제시, ④ 본문 번역 ⑤ 본문 주석의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하느님이 중심에 서는 사회, 하느님께서 스스로 정의(□□□□)롭기 때문에, □□□□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스라엘 민족들은 그들 삶의 과정 속에서 하느님의 의로움(□□□□□)을 경험하였고, 은총의 역사를 걸어왔다. 그들이 역사 안에서 체험하였던 하느님의 □□□□□은 반드시 기억해 내야 할 것이며, 때문에 그들은 자신들의 삶 속에서 □□□□를 실천해야만 했다. 그들에게 있어서 하느님께서 바라시는 □□□□의 실천은 선택의 문제가 아닌, 당위의 문제이며 생명의 문제이다(너희가 살기 위해서라면, 악이 아니라 선을 찾아라-□□□□□□□□ □□□□□□ □□□□ □□□□). 본 연구를 통해서 드러난 하느님의 뜻은 하느님에 대한 인간편의 응답, 즉 정의의 삶에 대한 요구이다. ‘하느님의 정의’는 인간 삶의 모든 영역에서 근거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회적 영역이나 제의적 영역 모두에서 나타나야 한다. 예언자들의 정의의 시작은 하느님이고, 또 그 중심도 역시 하느님이시다. 하느님을 잃어버린 백성들 사이에서는 불평등이 존재하고, 관계의 균형이 깨어진 부조리한 사회가 영속되며, 제의 역시 자신의 만족을 위해서 형식적으로 드리는 제사가 실행될 뿐이다. 따라서 예언자들은 이러한 삶의 태도를 돌이켜 하느님과 맺었던 옛 계약으로 돌아가 하느님 중심의 생활을 할 것을 요구한다. 하느님이 중심에 서있을 때야 말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느님께서 진정으로 바라시는 ‘정의’를 실천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느님이 중심에 서있는 자리, 그것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예언자들의 정의에 대한 외침은 하느님의 구원 역사를 인식하고 있는 그리스도인 각자에게 실 Everyone standing before a universal and lofty value of 'justice' has a mission to observe and realize it. Specifically, Christians have a special mission in the realization of justice because they confess that the Bible is the truth of life and thus have the obligation to practice 'justice that God hope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justification that Christians should practice 'justice' based on a study on 'the justice of God' that appears in the Bible. This study does not just attempt to find a fixed and ideal answer that 'because human beings live together, they should practice 'justice' in the world', but to reveal the basis of the justification of true justice. This study specially selected texts of Amos and Micah, prophets who cried for the justice of God in the 8th century BC. The subject texts of this study are Amos 5:4-6, 14-15 and Micah 6:1-8. It is expected that these texts will contribute to examining a Biblical basis of realizing 'justice' by Christian more clearly. In other to achieve this motivation and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an exegetical approach to texts and its content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the first part briefly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8th century BC which was the background of texts: international situation and economic, social, and religious situations. Israel society in the 8th century BC achieved economic wealth and political prosperity in domestic stability. Israel could strived for political prosperity under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weakening surrounding powerful countries, leading to economic wealth. However, such stability and prosperity could not contribute to social and religious growth. Rather it proved poisonous to Israel people. 'The rich' oppressed the weak and the poor to amass their wealth and became forgotten God, believing that such prosperity was possible by their own power. Finally this social and religious corruption was exposed in the form of mixed religion. The second part addressed prophets' unique historical views in Israel society. This research contributed to deriving the conviction of prophets who proclaimed 'just society' around God. Historic views understood by Hebrew prophets in the 8th century BC was the history of God achieved only by God according to oral tradition. Thus they proclaimed the history with God as its center and that achieved the intent of God. To Israel prophets, history meant not only certain events along the flow of time, but also one that God led human beings as the subject of history. Finally, the third part attempted to research 'the justice of God' with its focus on Amos and Micah who worked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Kingdom of Judah respectively in the 8th century BC.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Amos 5:4-6, 14-15 and Micah 6:1-8. The study proceeded with the overview of each prophet and ① establish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bases, ② text review based on a BHS apparatus, ③ suggestion of texts close to the original, ④ translation of texts, and ⑤ exegetics of texts. Based on this, it was found that since God was just(□□□□) Himself, we should practice justice(□□□□). Israel people have experienced the justice(□□□□□) of God in their life and walked the history of grace. Since they should remember the justice(□□□□□) of God they have experienced in their life, they should practice justice(□□□□) in their life. To them, the practice of justice(□□□□) that God hopes is not a matter of selection, but a matter of justification and a matter of life[□□□□□□□□ □□□□□□ □□□□ □□□□(Seek good, not evil, that you may live)]. The intent of God reveled in this study is the response to God in the side of human beings, that is, a demand for justice life. Because 'the justice of God' should be the basis of all areas in human life, it should appear in both social and ritual areas. The begin of prophets' justice is God and its center is also God. If people lose God, inequality will be existing, irrational societis which breaks the balance of relationships will be lasting, and formal ritual will be performed for oneself satisfaction. So prophets demand to return from this attitude of life, recover to old testament which was made with God, and live around God. Only when God was the center, Israel people could practice 'justice' that God truly hopes. The place where God is the center, it is the same to today's Christians. Prophets' cry for justice presses each Christian being aware of God's history of salvation for practical dec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