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사구조로 본 삼국유사 : 공간을 중심으로

        정귀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삼국유사》는 일연이 단군의 고조선 건국부터 후삼국의 멸망, 고려의 건국직전까지 다룬 역사서인데 당시의 정통 역사 기술방식인 기전체의 양식을 따르지 않았다. 대신 그는 민간과 사찰에 전하는 설화들을 채집하여 기존의 문서와 대등한 가치의 자료로 삼아《삼국유사》를 기술했다. 설화는 인간의 까마득한 기억을 하나의 이야기로 구성하여 간직하고 있는 구비문학으로서 인간이 자기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면서 세계를 해명하는 수많은 의식들의 산물이라고 한다. 이런 가치를 갖는 설화들을 기존의 문서와 대등한 위치에 놓고 기술했다는 것에서부터《삼국유사》는 태생적으로 당대의 역사서와는 다를 수밖에 없었다. 이 점은《삼국유사》가 역사에서 서사문학으로 변모하는 계기가 되어 이후《삼국유사》를 서사문학으로 규정하는 데 기여를 한다.《삼국유사》가 서사문학으로 변모하였다는 것은 몇 가지 의의를 갖는다. 우선 과거의 시간과 공간을 담아내는 새로운 장르라는 점에서 시작하여 서사문학으로 변모했기에 세계의 창조와 형태, 경과를 보여 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개별 사건들이 이야기 속에 들어가 재구성됨으로써 이 사건들은 유기적인 연결성을 획득하게 되고 이로써 사람들은 과거를 좀더 오래 기억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한편 《삼국유사》는 일연이 몽고의 칩임으로 국토와 정신이 모두 황폐해진 고려인들에게 민족적 자긍심을 불어넣음으로써 민족적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한목적으로 편찬되었다. 이런 그의 의도는 《삼국유사》의 체계에도 반영되어 왕실 중심의 역사편을 불교 중심의 불교편 보다 앞에 두었다. <왕력>과 <기이>는 역사편에 해당되며 <흥법>, <탑상>, <의해>, <감통>, <피은>, <효선>은 불교편에 해당된다.사건을 시간의 순차적인 구조로 기록한 <왕력>은 연대기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여기에 기록된 사건들이란 주로 왕의 즉위와 그의 가족에 대한 것 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만으로는 삼국의 왕들에게 일어난 일들, 더 나아가 그들의 시대에 일어난 일들을 알 수가 없다. 이러한 것들은 <기이>편에서 이야기로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왕력>편이 파편화된 사실들의 기록인데 비해 <기이>편은 개별 사건들이 시공간의 범주에 구체적으로 놓임으로써 사건들은 서로 인과성을 갖게 되고 그 안에서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 부분이 《삼국유사》가 역사에서 서사문학으로 넘어가는 과정이다. 이상을 제2장에서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삼국유사》소재의 이야기들을 지속적으로 지배하는 경주를 바탕공간으로 설정하였다. 경주는 단순히 신라의 수도 왕경(王京)으로서의 의미만을 갖지 않고 그곳은 신라인들에게 부처님 이전부터 인연이 있는 땅, 불국토(佛國土)라는 믿음을 갖게 한 성소(聖所)로서 신라인들의 삶을 안과 밖 모두에서 지배하였다. 현실에서 이러한 의미를 갖는 경주는 이야기 속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이러한 면모는 이야기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고 바탕에서 이야기의 구체적 장소를 지배하는 방식으로 제시된다.이처럼 왕경과 불교의 성소로서 1천 년 동안의 역사를 갖는 경주는 신이한 이야기를 합법화시키는 힘을 가졌는데 이는 러시아의 구비문학에 자주 등장하는 도시, 뻬쩨르부르그에 비유될 수 있다. 단 시간 안에 건설되어 시간의 축적이 불가능했던 뻬쩨르부르그가 그것을 메우기 위해 공간의 신화를 필요로 하였다면 경주는 위에 보는 바와 같이 오랜 시간과 의미로서 신화의 공간이 되었다.이야기 속의 구체적인 장소들은 이야기의 바탕에 있는 경주의 성격을 표면에 드러내는 공간이다. 그것은 왕경의 면모이거나 불국토의 의미였다. 이 구체적 장소들은 경주의 성격을 이야기 안에서 표면에 드러내는 성격에 따라 세 가지 주제화 공간으로 분류되었다.4장에서 이 주제화 공간들이 인물들의 행동을 어떻게 유발하는지를 살폈다. 인물들은 공간의 주된 성격에 따라 반응을 보였는데 일차적으로는 공간이 인물을 지배하였고 인물은 거기에 반응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간의 성격이 바뀌기도 하였다.먼저 왕경의 공간은 지방민에 대한 배타성을 가진 공간으로서 이야기 속 인물들의 행동을 준비․유발하였다. 이 공간의 지배를 받는 인물로는 김유신이 있다. 김유신은 왕경의 배타성에 맞서서 한 판 승부를 벌인다. 그의 ‘집’을 내놓고 세상을 얻으려 한 것이다. 그의 집은 이 과정에서 김유신의 운명과 궤를 같이 한다. 망한 가야국 왕족의 거처에서 세상의 권력을 한 손에 쥐는 왕실의 중심이 되어 간 것이다. 이처럼 공간은 그 안에 있는 인물들의 행동으로 그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신라가 하대(下代)로 갈수록 왕경은 이제 멸망의 징조와 예고가 나타나는 공간이 되었다.「처용랑과 망해사」에 나오는 포석정은 멸망의 징조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곳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망한 신라의 왕실은 백제 땅에 남아 있는 미륵사를 통해 다시 이야기에 등장한다. 신라 왕실과 백제 무왕의 혼인으로 그 미륵사가 고려조까지 남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한편 불국토의 공간에서는 인물들이 불교의 교리로 삶의 지침을 삼았음을 보여주는 이야기들을 정리하였다. 그들은 불교의 가르침을 생활에서 실천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그것은 업설(業說)과 관련된 것과 서방정토에 왕생할 것을 희망하는 것과 관련이 깊다.이 밖에 왕경의 의미가 불교의 성소와 겹침으로써 새로운 공간이 만들어지고, 죽음과 삶이 마찰 없이 존재하는 융합의 공간이 있었다. 그곳에서 사건들은 왕경과 불교의 이미지의 지배하에 있게 되고 죽음은 삶을 극복하고 산 자와 융합할 수 있게 되었다.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written by monk Iryon describes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from foundation of Old Chosun to late three kingdoms just before foundation of Koryo. It did not follow the orthodox recording style Kijeonche. Instead, Iryon collected tales being transmitted among people or in the Buddhist temples to record them as sources equal to the official data. Tales belong to the folklore literature organizing men''s faraway memories into stories to be transmitted down to next generations. In a sense, they are products of numerous thoughts raising questions and interpreting the worlds.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could not but be differentiated from its contemporary history books in that those tales of such a value were recorded on an footing equal to the conventional documents. Thus,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was redefined from a history book to an epic literature.The fact that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changed into an epic literature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First of all, since it started a new genre containing the past time and space to change into an epic literature, it could feature creation, form and process of the world. And since individual events were reorganized into stories, they could be linked organically, and thus, people could remember them longer.On the other hand,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erved to invoke a national self-esteem for Koryo people when the nation and its spirit were devastated by Mogolians'' invasion and thereby, recover the national pride. Such an intention was reflected in its system focusing on former Korean kingdoms more than Buddhism. 'Wangryok' (Calendar of Kings) and 'Kiyi' (Longitudinal History) belong to national history, while 'Hungbop', 'Tapsang', 'Euihae', 'Gamtong', 'Pieun' and 'Hyosun' belong to Buddhism history.'Wangryok' which records events sequentially has a characteristics of chronicle. The events recorded here are about kings'' ascendancy and their families. However, such records only may not tell us about the events occurring to kings of three kingdoms and their contemporary events. Such tales are described in details in 'Kiyi'. While 'Wangryok' is a record of fragmented events, 'Kiyi' positions individual events into temporal and spatial categories to make them related in an organic way. Thus,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would turn from history to an epic literature. The second chapter contains such discussions about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In the third chapter, the sources or stories of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re set against the base space or Kyongju ruling them continuously. Kyongju was not simply a capital of Shilla kingdom. To Shilla people, Kyongju was a place with a karma before Buddha or a sacred land urging them to believe that it was a Buddhism land ruling them internally and externally. Kyongju with such implications in the reality was significant in the stories, too. However, such implications were not revealed but suggested in a way dictating a specific place for the stories.As it was, Kyongju having a thousand year history as capital of kingdom and sacred land of Buddhism was powerful enough to legitimize the mysterious stories, and in this regard, Kyongju may well be comparable to the Russian city Petersburg emerging frequently in the Russian folklore literature. If Petersburg required a myth of space to fill the temporal gap because it was built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Kyongju became a space of myths over a long time.The specific places in the stories are the spaces revealing the nature of Kyongju underlying to the surface. They were aspects of the royal capital or land of Buddhism. Such specific plac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atic spac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Kyongju revealed out of the stories.In the fourth chapter, the researcher reviews how such thematic spaces invoked figures'' actions. Figures'' responses differed depending on the primary nature of space. Primarily, space ruled men, and men responded to space. In this process, nature of the space often changed.Above all, the space of 'royal capital' was an exclusive space for local people, invoking figures'' actions. One of the figures ruled by this space was Kim Yun-sin. He opposed the exclusive royal capital and contended with it. He attempted to give up ''house'' to win the world. In this process, his house would be doomed in the same way as its master. He departed from the shelter of Gaya kingdom perished to join the center of Shilla kingdom grasping the power of the world. As it was, the implications of the space differed often depending on the figures'' actions therein.As it was near the late Shilla kingdom, the royal capital showed signs and warnings of downfall. Posokjong described in 'Cheoyongrang and Mangghaesa' emerges as a place showing the strongest signs of downfall. And the royal family of the perished Shilla emerges again through Miruksa temple remaining in the territory of the old Baekje. Owing to inter-royal marriage between Shilla and Baekje (King Muwang), the temple could be preserved until Koryo kingdom.On the other hand, the space of Buddhism land is filled with the stories telling that figures had their life dictated by Buddhism doctrines. They practices Buddhism teachings in their life, which was deemed attributable to their karma and rebirth in the Western land of purity.Beside, implications of the royal capital were combined with the sacred Buddhism places to create new spaces, while there existed a space of harmony where death and life could co-exist without any conflict. There, events were ruled by the images of royal capital and Buddhism, and death surmounted life to merge into life.

      • 金壽根 建築의 有機的 環境體로서의 特性에 關한 硏究

        정귀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emerging of Kim Swoo Geun accomplished many achivement in many ways. The many korean critics of architecture have criticized Kim Swoo Geun's thoughts and his works. But most of their criticques were the superficial view and did not suggest other tangible view point. So such criticques could no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the thoughts and works.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concrete characteristics of Kim Swoo Geun's Architectural thoughts and works. This study is composed of five chapter and content can summerized as follows : In chapter one, I try to mention the purpose, the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In chapter two, I consider a general organic architecture's theory, and then I establish a hypothesis that is a special organic characteristics of Kim Swoo Geun's work As with most concepts used in architecture, the concept of an organic style is borrowed from other fields and remains difficult to delimit once applied to architecture and building. It subsumes the harmonic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s, but is also tied to natural processes such as birth, growth, and death. In chapter three, through unfolding of Kim Swoo Geun's work I consider all of his work's ideal background. I study 4th period. There were showed respective characteristic aspects. Of course, I focus on a pursuit of region, a consideration of environment. Chapter four is the main body of this study. In this part, I prove an organic character concretely through analysis of Kim Swoo Geun’s work. I analyze to his work in based on 7 criteria. These 7 criteria are architectural elements which has been in Kim Swoo Geun's work and an organic architecture. And it proves special organic characteristics of Kim Swoo Geun's work that was establish a hypothesis in this study. Conclusively, the characters have been 4 parts. (1) Individualism. It means free architectural design without restriction of excessive ratranalism or functionalism. It is that human dosen’t hold any universal and unchangeable system. Even though it shows disordered part, we have to give a human’s free creature. Kim Swoo Gem always sought next one. His work was filled with unexpected Individual experiment. (2) An expression of humanity & recovery of nature. There are organic character of Kim Swoo Geun's work ; to use decoration as poetic expression, to adopt human scale, etc. (3) Environment with an organic harmony. An organic architecture was seemed to grow from the site. For Kim Swoo Geun, the relationship of the parts to the whole was an essential feature:every part should have its own identity, but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inseparable from the whole. Each building was viewed as something special, in relation to the site on which it stood, and as part of the landscape of nature. Kim Swoo Gem's work is to make harmony of architure shape with environment. It is made possible by using natural material and color. The material uses originally, not artificial material such as steal, glass etc. So he used to rocks, red brick and concrete. In the city, Kim Swoo Gem's work is made organic harmony to environment by space composition. So Kim Swoo Gem's work looked like close and it has been to help environment's defect. (4) Recognition of tradition. An organic architecture was under the controlled by tradition. Design elements of Kim Swoo Gem's work is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and traditional architecture. In the chapter five is a conclusion. Kim Swoo Gem's thoughts and organic characters will be a model which presents new direc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which has to be coexistence with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