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제천의 아쟁선율 비교 연구 : 20세기 이후의 아쟁보를 중심으로

        정계종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정악의 대표곡이라 할 수 있는 수제천을 1930년경에 이왕직 아악부에서 연주되던 아악부의 아쟁 악보인 『아악부보』, 1950년경에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양성소에서 교재로 사용하던『양성소보』, 국립국악원에서 1994년 12월에 편찬한 『국악전집16 정악아쟁보』인『국악원보』, 김천흥의 구술과 연주를 채보하여 1998년 12월에 출간한 『김정수보』를 중심으로 각 장에 따라 한 장단씩 4종의 악보 선율을 비교하였다. 필자는 이 네가지 악보의 수제천 선율을 시대별로 나열하여 같은 부분과 다른 부분을 비교함으로써 가락이 첨가하는 부분, 음이 바뀌는 부분, 음이 분할하는 부분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혔다. 첫째, 잔가락의 첨가 현상이 보인다. 즉,『김정수보』의 초장 제 1각과 3장 제 2각, 제 3각, 제 5각에서는 그 이전의 악보인『아악부보』,『양성소보』,『국악원보』에서는 보이지 않는 광, 남의 잔가락이 첨가된다. 둘째, 요성이 첨가되는 현상이 보인다. 즉,『양성소보』,『국악원보』,『김정수보』의 초장 제 1각, 제 6각, 3장 제 1각, 제 6각, 4장 제 1각, 제 2각에는 각각 『아악부보』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태, 광, 태, 고, 람, 태와 광 등의 요성이 첨가된다. 셋째, 음이 첨가되는 현상이 보인다. 즉,『김정수보』의 초장 제 6각과 3장 제 6각에서는 『아악부보』,『양성소보』,『국악원보』에서 보이지 않는 광, 남, 광, 남과 고, 태, 고, 태의 4연음이 첨가된다. 또,『양성소보』,『국악원보』,『김정수보』의 3장 제 5각은『아악부보』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태와 고가 첨가된다. 넷째, 음이 변하는 부분이 있다. 즉,『아악부보』의 초장 제 2각, 제 4각과 3장 제 3각, 제 4각의 응은『양성소보』,『국악원보』,『김정수보』에서는 黃으로 변했다. 다섯째, 음이 분할되는 부분이 있다. 초장의 제 4각에서 장구의 덩더러러 이하 부분을 볼 때,『아악부보』의 남은『국악원보』에서는 림, 남으로 분할되었고,『양성소보』와 『김정수보』에서는 림, 광, 남으로 분할되었다. 3장의 제 3각에서 장구의 덩 더러러 이하 부분을 볼 때,『아악부보』에는 태와 남의 두 음만 있으나,『국악원보』에서는 태, 람, 남의 세 음으로 늘어났고,『양성소보』와『김정수보』에서는 태, 고, 람, 남의 네음으로 분할 증가되었다. 4장의 제 1각에서 장구의 덩 더러러 이하 부분을 볼 때『아악부보』에는 태의 한음만 있으나,『국악원보』에서는 태, 남, 태 로,『양성소보』와『김정수보』에서는 태, 광, 남, 태로 분할되었다. 여섯째, 장단이 변하는 부분이 있다. 즉,『아악부보』의 초장 제3각과 3장의 제2각은 왼각의 한 장단으로 되어있으나, 『양성소보』, 『국악원보』, 『김정수보』에서는 반각의 한 장단으로 변했다. 요컨대, 본고를 통하여 수제천의 아쟁선율은 이왕직아악부보 이후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는 선율형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부분적인 선율진행 및 음의 첨가, 요성첨가, 리듬분할 등 변화를 거쳐 지금과 같은 선율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ujecheon is a representable piece among court music. From the four different scores of Sujecheon, such as「Aakbubo」which was performed during 1930s in Yiwangjik Aakbu, 「Yangsungsobo」which was used as a text in Korean musician training center annex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during 1950s,「Kukakwonbo」which was publish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December of 1994 and 「Kimjungsubo」which was published in February of 1998 that transcribed the performance of Kim Chun-Hue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se four scores and find some critical changed melody pattern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me phenomena those melodies are added. In other hands, the first beat of the first phrase in the first movement. the second, the third ,and fifth phrase of the third movement in 「Kimjungsubo」, you can see Hwang(광) and Nam(남) which were not seen in the 「Aakbubo」,「Yangsungsobo」and 「Kukakwonbo」. Second, there are a some phenomena those yosung(搖聲) are added. In other hands, the first movement first phrase, the first movement, the sixth phrase, the third movement the first phrase, the third movement, the sixth phrase, the fourth movement the first phrase, the fourth movement the second phrase in「Yangsungsobo」,「Kukakwonbo」and 「Kimjungsubo」,Tae(태), Hwang(광), Tae(태), Go(고), Yim(람), Tae(태) and Hwang(광) which were not seen in 「Aakbubo」are added. Third, there are a some phenomena those tones are added. Therefore, Hwang(광), Nam(남),Hwang(광),Nam(남) and Go(고), Tae(태) Go(고), Tae(태) of four prolonged tones are showed in the first movement the sixth phrase, and the third movement the sixth phrase of「Kimjungsubo」」'that are not found in 「Aakbubo」,「Yangsungsobo」,and..「Kukakwonbo」 Also, Tae(태) and Go(고 ) which were not seen in 「Aakbubo」.are added in third movement the fifth phrase, of「Yangsungsobo」,「Kukakwonbo」and'「Kimjungsuo」. Fourth, there are some phenomena those tones are changed. In other words, Eung(응) in the first movement the second, fourth phrase and the third movement the third and fourth phrase tone of「Aakbubo」has changed to Hwang(黃) in ,「Yangsungsobo」, 「Kukakwonbo」and 「Kimjungsubo」. Fifth, there are some phenomena those tones are divided. Nam(남) in the first movement the fourth phrase'of「Aakbubo」has been divided into Yim(림) and Nam(남) in「Kukakwonbo」and has divided into Yim(림) Hwang(광), and Nam(남) in 「Yangsungsobo」and 「Kimjungsubo」. Also, after the Jang-gu pattern, "Deong Deoleoleo," the third movement the third phrase' in the「Aakbubo」only Tae(태) and Nam (남) are remained. In the 「Kukakwonbo」, it has become Tae(태,) Yim(?) Nam(남) of three tones and in the 「Yangsungsobo」and 「Kimjungsubo」it has divided and increased to the four tones of Tae(태) Go(고) Yim(?) and Nam(남) In the fourth movement first phrase of 「Aakbubo」, there is one tone of Tae(태). In the 「Kukakwonbo」, Tae(태) Nam(남) and Tae(태) have been divided and in the 「Yangsungsobo」and 「Kimjungsubo」have divided into Tae(태) Hwang(광) Nam(남) and Tae(태). Last, there is phenomenon that Jangdan is changed. Therefore, the first movement the third phrase, and the third movement the second phrase of 「Aakbubo」 are originally composed with one Jangdan. However, in「Yangsungsobo」,「Kukakwonbo」and 「Kimjungsubo」,half phrase has changed into one Jangdan. Throughout this paper, I have argued that Ajaeng melody in Sujecheon before Yiwangjikaakbu and after Yiwangjikaakbu is not different from the basic structure of the melody. However, in parts, melodic process, Yosung and rythmic patterns have been changed through out time and have become the one that is in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