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프로그램의 논리모델과 성과측정 : UWA(United Way of America)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흥윤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논리모델 및 성과측정은 프로그램 기획단계에서부터 명확하게 성과목표를 제시하고 측정 가능한 성과지표를 개발함으로써 프로그램 지체의 효율적 운영은 물론, 이를 통한 지역사회변화 및 삶의 질 향상을 객관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평가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천적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다. 첫째, 프로그램의 계속 진행, 개선 및 확대여부의 결정 둘째, 새로운 프로그램의 만족도 측정 셋째, 프로그램의 관리와 행정의 효율성 증대 넷째, 프로그램 지원자(대상자)의 요구에 대한 책임성 강화 등이 그것이다. 프로그램의 기획단계에서부터 논리모델을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 기획의 투입, 활동, 산출, 성과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체계적인 접근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각 단계의 성과목표와 성과지표, 측정방법 등을 구체화 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강화할 수 있다. UWA는 이를 위해 프로그램의 성과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개발하도록 함으로써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과학화, 체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2000년 이후 프로그램의 성과측정을 바탕으로 단위 사업 프로그램이 아닌 지역사회의 총체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커뮤니티 임팩트(Community Impact) 전략을 도입함으로써 사회복지기관, 정부, 기업 등 지역사회 이해당사자 및 자원의 다양한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경우 1998년 출범이후 프로그램 중심의 사업지원 및 평가를 통해 민간복지 발전 및 지역사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여전히 프로그램 기획 및 시행, 평가의 경우 성과측정을 통한 과학적인 접근보다 산출물(Output) 중심의 결과 지향적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정부의 예산지원방식도 성과중심으로 전환되는 있는 것은 물론 민간의 경우 더 분명하게 사회적 참여를 통한 변화와 그 결과를 요구하고 있어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기획 및 평가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기획 및 시행 평가를 통한 사회변화, 삶의 질 향상을 입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논리모델(Program Logic Model)'에 대한 사회복지학계와 현장의 연구 활성화 및 적극적인 모델개발과 함께 이를 입증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성과측정(Outcome Measurement) 방법' 및 '지표(Outcome Indicator)개발'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위사업 및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목표 및 성과측정을 넘어서 지역 사회의 총체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커뮤니티 임팩트(Community Impact)' 개념의 적극적인 검토를 통해 지역사회복지의 새로운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이고 적극적인 지역사회 변화를 추구할 수 있음을 제언해 본다. 본 연구는 UWA에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최근 배분사업의 모델로 채택, 시행중인 논리모델과 성과측정을 통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한국의 민간 사회복지 지원사업이 사업기획 및 시행 그리고 평가에 이를 적용, 좀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단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시회복지 프로그램의 정의와 논리모델 및 프로그램 성과측정의 기본개념 및 미국공동모금회의 성과측정 방법을 연구문헌 및 관련자료를 통해 참고하였으며, 특히 주요한 분석대상인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대한 역사적 배경 및 모금, 배분 현황 및 문제점 등을 점검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성과측정을 넘어 지역사회 전체의 변화를 추구하는 UWA의 지역사회 변화전략 중 UWSEPA의 커뮤니티 임팩트(Community Impact) 전략과 논리모델 및 성과측정을 적용한 각종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소개함으로써 국내 사회복지 프로그램 및 민간복지 지원사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이론적, 실질적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비롯해 국내 각 기관의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논리모델 및 성과측정 모델로 재 해석 함으로써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기획 및 시행, 평가를 위한 실질적인 참고자료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상의 연구를 실시하는데 있어 본 연구가 지닌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일반적인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 및 평가 전반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UWA의 논리모델과 성과측정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모든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지닐 수 밖에 없다. 둘째, 논리모델과 성과측정 이론을 토대로 분석한 국내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의 토대로 기획단계부터 시행, 성과를 재구성함으로써 최초 프로그램의 기획의도 및 시행, 평가 결과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상의 제안점으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미흡하지만 아직 국내에 논리모델과 성과측정을 토대로 한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가 이제 막 시작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향후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기획, 시행 및 평가를 위한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또한 아직 프로그램 단위의 사업기획, 시행 그리고 평가 단계에 머물고 있는 국내 사회복지 현장에 지역사회 문제의 총체적 해결을 추구하는 커뮤니티 임팩트 개념을 소개함으로써 향후 민간복지 발전을 위한 새로운 이론과 실천적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