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훈련 및 평가만족도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훈련참여자를 중심으로

        전휴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strengthen the links between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s centered on duties at industrial sites, and to produce excellent technical talented people tailored to industrial sites,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ct was revised in 2014. Course evaluation-based national qualification courses are run by regular educational institutions(vocational high schools, polytechnics, colleges, universities, the military, enterprises, and other types of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Of these,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have operated 63% of the courses and produces 71.5% of the qualification recipients since 2015. However, a study of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on their operations has been very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satisfaction factors in education and training that affect the employability of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course evaluation-type qualification courses operated by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t up for trainee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course evaluation-type qualification courses or were participating in the course at least 50% completing at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Satisfaction factors were derived from training satisfaction and evaluation satisfaction by considering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 evaluation-type qualification courses, and the impact on employability were examine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sub-factors of training satisfaction were derived from overall satisfaction(training), instructor, training content, training method, facility equipment, and the sub-factors of evaluation satisfaction were derived from overall satisfaction(evaluation), adequacy, objectivity, and fairness. The questions used in the prior research were revised to suit the subjects for the measurement of training and evaluation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and the survey tools were produced with 17 questions of training satisfaction, 18 questions of evaluation satisfaction, and 17 questions of employability. Data collection was randomly distributed through officials of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nd collected 157 copies online and 132 copies offline through visiting the training institutions. Of the 289 questionnaires, 240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missing or insincere answers to key variables. Using IBM SPSS Statistics 22.0, technical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ey variables were conducted, and simple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emographic variables under control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d evaluation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To summarize the findings, first, both training satisfaction and training satisfaction sub-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ability, and were influential in the order of training content, facility equipment, training method, overall satisfaction(training), and instructors. Second, both evaluation satisfaction and evaluation satisfaction sub-factors had a direct impact on employability, as well as affected employability by fully mediating training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raining, the qualification courses should not only take into account factors related to training operation, but also take into account the quality management of operating factors related to internal evaluation. Sub-factors of evaluation satisfaction were shown to affect employability in the order of overall satisfaction(evaluation), objectivity, evaluation adequacy and fair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organization of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course evaluation needs to be prioritiz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achieve the educational and training objectives in the composition of the required/selective units, minimum hours, facilities and equipments. As for the training method, by using the monitoring system as quality management tool for the competency element of the training institution, it should be confirmed whether the education and training has well operated according to the approved contents. It also needs overall quality control of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the quality control of internal evaluation. To this end, a detailed assessment implementation guide should be presented as a way to improve the competence of the assessor. And the necessity of conducting compulsory education related to improving the competence of the assessor could be proposed. Meanwhile, this study could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respondents in favor of education and training had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re was a limitation that actual labor market performance could not be measured by deriving employability and satisfaction factors based on individuals' subjective perceptions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More significant research results could be produced if long-term comparison and analysis of employability and actual labor market performance would be conducted for the subjects. In addition,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mpact of training and evaluation operations in consideration of qualification disciplines and grades through collecting large amounts of data. 산업현장의 직무를 중심으로 하여 직업교육․훈련과 자격 간 유기적 연계를 강화하고, 산업현장 맞춤형 우수 기술인재 배출을 위하여 2014년 국가기술자격법 개정 이후 2015년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을 도입하였다.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은 정규교육기관(직업계고․폴리텍․전문대․4년제대 학)과 직업훈련기관, 군, 기타 유형에서 운영 중이며, 직업훈련기관은 전체 교육․훈련 과정 중 63%, 자격취득자 배출 비율은 71.5%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직업훈련기관을 대상으로 한 운영 실태 조사및 개선방안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훈련기관에서 운영하는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에 참여한 훈련생들의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훈련의 만족도 요인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는 직업훈련기관에서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에 참여경험이 있거나 현재 참여 중인 훈련생 중 50% 이상 이수 중인 훈련생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만족도 요인은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의 운영 특성을 고려하여 훈련만족 도와 평가만족도를 도출하고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훈련만족도의 하위요인은 전반적 만족도(훈련), 교․강사, 훈련내용, 훈련방법, 시설․장비로, 평가만족도의 하위요인은 전반적 만족도(평가), 평가적절성, 객관성, 공정성으로 도출하였다. 훈련 및 평가만족도와 고용가능성의 측정을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활용 되었던 문항을 연구대상자에 맞게 수정하여 제작하였으며, 조사도구는 훈련만족도 17문항, 평가만족도 18문항, 고용가능성 17문항으로 제작하였다. 자료 수집은 훈련기관 관계자들을 통하여 무작위로 배부하여 온라인으로 157부, 훈련기관 직접방문을 통하여 오프라인으로 132부를 회수하였 다. 총 289개의 설문지 중 주요 변인과 관련된 문항의 결측값이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40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IBM SPSS Statistics 22.0을 활용하여 측정 변인의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훈련 및 평가만족도와 고용가능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변인의 단계적 투입을 통한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훈련만족도 및 훈련만족도 하위요인 모두는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훈련내용, 시설․장비, 훈련 방법, 전반적만족도(훈련), 교․강사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평가만족도 및 평가만족도 하위요인 모두는 고용가능성과 직접적인 정의 영향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훈련만족도를 완전매개로 하여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평가의 객관성 및 공정 성이 담보된 적절한 운영이 교육․훈련 운영에 반영되어 고용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은 훈련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훈련운영과 관련된 요인만 고려하여서는 안 될 것이며, 내부평가와 관련된 운영요인의 질적 관리를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평가만족도 하위 요인은 전반적만족도(평가), 객관성, 평가적절성, 공정성의 순서로 고용가 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기준 개편 시 훈련내용및 시설․장비 요인인 필수/선택능력단위의 구성과 최소이수시간, 시설․장비의 최소요건 제시함에 있어 교육․훈련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절한 것인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훈련방법은 훈련기관의 개별역량에 따른 요인으로 모니터링 제도를 활용하여 교육․훈련을 지정받은 내용에 따라잘 운영하고 있는지 점검을 통한 품질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내부평가의 질적 관리를 바탕으로 한 교육․훈련의 전반적 품질관 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평가자(assessor)의 역량향상 방안으로 구체적인 평가 실행 가이드의 제시 및 평가자 역량향상과 관련한 의무교육 실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교육․훈련에 호의적인 응답자들이 설문에 응했을 가능 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자기보고식 설문 문항을 통하여 개인의 주관적 인식에 의한 고용가능성 및 만족도 요인을 도출하여 실제 노동시장 성과를 측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대상자들이 인식한 고용가능성과 실제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종단면적 비교․분석이 수반된다면 더욱 유의 미한 연구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후속연구에서는 대량의 데이터 확보를 통해 자격등급 및 종목별 특성을 고려하여 훈련 및 평가 운영의 영향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