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충동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고양동기와 대처동기의 매개효과

        전혜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충동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자해행동동기 중 고양동기와 대처동기가 지니는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 성인 250명(남성: 79명, 여성: 171명)에게 충동성 척도, 자해행동빈도 척도, 자해기능 평가지를 실시하였다. 관찰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감각추구, 부정 긴급성, 비자살적 자해 관계에서 고양동기와 대처동기가 매개변인으로 기능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감각추구와 부정긴급성은 비자살적 자해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아울러 부정 긴급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대처동기는 매개변인으로 기능하였고, 자극추구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는 고양동기가 매개변인으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충동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대처동기와 고양동기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주요어: 감각추구, 부정 긴급성, 비자살적 자해, 고양동기, 대처동기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nhancement and coping motiv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impulsivity and non-suicidal self-injur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50 adults (male: 79, female: 171) in South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by UPPS-P Impulsivity Scale, Nonsuicidal Self-injury Frequency Scal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Findings indicated that sensation seeking and negative urgency were all significantly related to non-suicidal self-injury.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enhancement motiv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and non-suicidal self-injury. Moreover, coping motiv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ve urgency and non-suicidal self-injury. The findings suggest that coping and enhancement motives are important to examine when studying the role of impulsivity in adults’ nonsuicidal self-injury. Key words: sensation seeking, negative urgency, Non-Suicidal Self-Injury, Enhancement Motives, Coping Motives.

      • 타로 개인상담이 중학생의 자기노출에 미치는 효과

        전혜란 창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sclosure in their personal counseling by using tarot car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male and femal students who were in the ninth grade of middle school.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0 students and an control group of 10 ones.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given personal counseling by using tarot cards once a week for six weeks, 6 times in total. The study adopted a self-disclosure questionnaire which Kang Yun-jeong(1999) revised and adapted,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Haynes & Avery(1979), as a measurement tool to inspect the effects of personal counseling by using tarot cards. To examine the effects, the study conducted two ANCOVA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inspection(preliminary inspection and post inspection) regarding overall changes of self-disclosure as well as changes of self-disclosure according to objects(family, friends, teacher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the average of both groups(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t self-disclosure inspection had no difference before personal counseling by using tarot cards, while the average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This means that the personal counseling by using tarot cards is effective to improve self-disclosure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personal counseling by using tarot cards had effects upon the objects of self-disclosu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s follows; especially at the objects, family and teachers, there were significant affirmative effects at the self-disclosur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extent of self-disclosure between friends at preliminary inspection and post inspection after tarot-used personal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타로카드를 활용한 개인상담이 중학생의 자기노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K시 소재 W중학교의 3학년 남?여학생을 대상으로 20명을 무선표집하여 10명은 실험집단, 나머지 10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실험집단은 매주 1회에 걸쳐 개인별 6회기 매 45분의 타로카드를 이용한 개인상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인 타로카드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니버셜 웨이트 타로로서 메이저 아르카나 22장, 마이너 아르카나 56장(궁정카드 16장 포함) 총 78장의 카드를 사용하였다. 이를 켈틱크로스 배열법 등 9가지 배열법을 활용하여 각 카드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과 그림 속에 투영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로, 친구, 가족, 학업, 이성 및 대인관계 등 회기별로 내용을 정하지 않고 개인이 반응하거나 제시하는 내용을 함께 생각하며 타로카드를 펼쳐 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방법으로 상담을 실시하였다. 타로 개인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측정도구는 박성우(1989)가 번안한 것을 초?중학생에게 맞는 표현으로 일부 개작하여 강윤정(1999)이 사용한 〈부록 1 참조〉자기노출 척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타로 개인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노출의 전반적인 변화와 대상에 대한 자기노출의 변화에 대해서 집단(실험, 통제)과 검사(사전, 사후)간의 차이를 공변량으로 하여 공변량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타로 개인상담을 실시하기 전의 자기노출 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평균값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타로 개인상담 실시 후에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평균 점수의 상승을 보였다. 이는 타로 개인상담이 중학생의 자기노출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타로개인상담의 대상에 따른 자기노출 효과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사전검사에서는 유의한 점수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자기노출의 대상에 따른 결과는 자기노출이 모두 증가하였다. 특히 하위 영역 중 가족관계와 학교 선생님과의 관계에서의 자기노출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타로 개인상담이 가족 및 교사와의 자기노출에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결과, 타로를 활용한 개인상담이 중학생의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교현장에서 타로를 상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알고 적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상담 활동이 될 것이다. 첫째, 본 연구의 실험대상 청소년인, 중학생의 특성상 방과 후에 학원 등 개인의 자기개발을 위한 활동시간을 갖는 경우가 많아서 상담시간을 정하는 데 따른 어려움 때문에, 개인별로 상담 약속을 정하였으나 이를 지키지 못하는 내담자들이 일부 있었다. 이로 인해 상담회기 사이에 날짜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효율적인 상담 활동에 다소 장애가 있었다. 둘째, 타로를 활용한 개인상담은 타로카드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지도자의 경우에만 할 수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인 중학생들은 타로를 개인적으로 접해본 경험이 없는 학생들로서 타로카드가 자신의 미래를 예언해 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으로 상담 초기에 타로에 대한 호기심이 강했다. 상담자가 내담자의 이러한 호기심을 잘 활용한다면 상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Load Unbalancing Strategy for Real-time Multi-Core Embedded Systems

        전혜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Load balancing is known as an essential feature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distributed systems. In this paper, we showed that for real-time embedded systems, this is not true since it leads to lavish power consumption by fully utilizing all the embedded cores even for a small number of tasks. To resolve this problem, we proposed a novel load unbalancing strategy based on the task characteristics: periodic and aperiodic. The proposed strategy concentrates the periodic tasks, which are most likely spends long execution time, on the minimum number of cores and the other hand it distributes the aperiodic tasks, which are most likely occurs sparsely, across the maximum number of cores. The proposed strategy has been evaluated using the four scenarios on ARM11MPCore test chip.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trategy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by 26% and mean waiting time by 82% as compared to the load balancing strategy.

      • 통근시간이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및 통근시간가치 분석 : 서울시 가구 유형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전혜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mmuting time 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and estimate the loss of utility of Seoul citizen due to daily commuting by gender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We used fixed-effect models and the Seoul Survey data from 2005-2018 for this purpose. To reflect recent changes in the types of households, the types of households were divided into a total of three types: dual-income households, single-income household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longer commuting times have a negative impact 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in all genders and household types. Second, the value of commuting time for all Seoul citizens was estimated at 23,000 won per hour. Among them, the value of commuting time for female was estimated at 28,000 won, higher than the value of commuting time for me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women have a life-time structure that spends more time on caring for families than men, which is why they are suffering from a more severe time deficits. Thirdly, it was analyzed that the commuting time value of dual-income household members was the highest among household types at 28,000 won, followed by single-income household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Fourth, among the models that take into account both types of households and gender characteristics, the commuting time value of dual-income household women was 41,000 won, the highest commuting time value throughout the model. This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dual-income household women suffering from a more severe time deficits compared to other types of households due to the dual burden of duties, childcare and household chores. Finally, dual-income household women showed the highest commuting time value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d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On the other hand, men in dual-income households showed a high commuting time value similar to women in dual-income households when they had children, but lower commuting time value than single-income households without children. This was interpreted as having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influencing the care and participation of dual-income household men in domestic labor.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of all, the analysis that commuting time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Seoulites means that urban residents are suffering from commuting. Therefore, transportation and social policies are needed to ease the commuting burden of Seoul citizens, a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welfare of them. Second, the burden of commuting time was particularly high for women, dual-income households and women of both working families. This is interpreted as the reason why they experience a serious time deficits and a decline in the quality of life due to the double burden of paid and unpaid labo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ease the burden of unpaid working hours at homes where they spend a lot of time, not just a policy to reduce the burden of commuting. This requires the introduction of specific policies, but at the same time, social efforts should be made to raise awareness that household labor should be done by couples together. 본 연구는 매일 발생하는 통근으로 인한 도시민의 삶의 만족도 손실은 얼마나 되며, 그리고 그 손실은 성별과 가구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지 않을까하는 궁금증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5-2018년 간의 서울 서베이 자료를 이용하여 통근 시간이 서울시민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구 유형별, 성별 통근 시간의 가치를 추정하였다. 최근의 가구 유형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가구 유형을 맞벌이 가구, 외벌이 가구, 1인 가구의 총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근 시간이 길수록 모든 성별과 가구 유형에서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서울시민의 통근 시간 가치는 시간당 23,000원으로 추정되었다. 이중, 여성 시민의 통근 시간 가치는 28,000원으로 18,000원으로 추정된 남성의 통근 시간 가치보다 높게 추정되었다.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시간을 가정 및 가구원 돌봄에 할애하는 생활시간구조을 갖고 있고 이로 인해 더 심한 시간부족을 겪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맞벌이 가구 구성원의 통근 시간 가치가 28,000원으로 가구 유형 중 가장 높았으며, 외벌이 가구 19,000원, 1인 가구 10,000원 순서로 통근 시간 가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맞벌이 가구가 직무와 육아 및 가사의 이중 부담으로 인해 다른 가구 유형에 비해 더 심한 시간부족을 겪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넷째, 가구 유형과 성별 특성을 모두 고려한 모형 중 맞벌이 가구 여성의 통근 시간 가치가 41,000원으로 전체 모형을 통틀어 가장 높은 통근 시간 가치를 보였다. 가구 유형에 따른 성별 역할 차이로 인해 맞벌이 가구 여성 통근 시간의 가치는 다른 가구 유형 여성의 시간 가치보다 훨씬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부부 가구의 통근 시간 가치 차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18세 미만 자녀 유무에 따라 맞벌이 가구와 외벌이 가구를 구분하여 통근 시간 가치를 추정한 결과, 맞벌이 가구 여성은 18세 미만 자녀 유무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통근 시간 가치를 보였다. 이와 다르게, 맞벌이 가구 남성은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맞벌이 가구 여성과 비슷한 수준의 높은 통근 시간 가치를 보였으나 자녀가 없는 경우에는 외벌이 가구보다도 더 낮은 통근 시간 가치를 보였다. 이는 18세 미만 자녀 유무가 맞벌이 가구 남성의 돌봄 및 가사 노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먼저, 통근 시간이 서울시민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 결과는 도시민이 통근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울시민의 통근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교통 및 사회 정책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도시민의 복리 후생 증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통근 시간 부담이 여성과 맞벌이 가구 그리고 이 둘에 모두 해당되는 맞벌이 가구 여성에게 특히 차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이들이 유급 노동과 무급 노동의 이중고를 겪으면서 심각한 시간부족을 겪고 이로 인한 삶의 질 하락을 경험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통근 부담을 줄이는 정책이 아닌 이들이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가정에서의 무급노동시간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정책 도입도 필요하지만 그와 동시에 육아 및 가사 노동은 부부가 함께 부담해야 한다는 인식 제고를 위한 사회적인 노력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 이브의 눈물, 영원의 질서 속으로 : 밀턴의 『실낙원』읽기

        전혜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서를 바탕으로 인류 역사의 기원을 다루고 있는 존 밀턴(John Milton)의 『실낙원』(Paradise Lost)은 인간의 창조와 타락 그리고 이를 바라보는 작품 속 신의 자비와 사랑을 작가 특유의 다양한 알레고리적 필치로 그리고 있다. 자신의 대표작인 작품 속에서 그는 기독교적 주제인 '행복한 타락'을 바탕으로 강직한 성품의 자신이 필생을 통해 깨달은 인간의 위대함의 역설적 비밀을 타락 이후 이브의 눈물을 통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고는 작품의 사상적 배경인 성서와 기독교적 전통에서 의미하는 타락 이전 태초의 모습 속에 그려진 평온의 모습을 창조의 의미와 함께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들을 향한 신의 최고의 축복인 자유의지로 말미암아 태초, 에덴의 평온은 도전을 받고 선악과를 먹음으로써 인류는 이윽고 타락에 이르게 되는데 텍스트의 줄거리를 따라가며 그 과정을 살펴본다. 이제 작품의 중심주제인 인간의 타락과 관련한 금단의 열매를 범한 이후, 아담과 이브로 대변되는 인간의 마음속에 증오와 불신이 팽배하게 되고 그들 사이의 조화로운 사랑은 불화로 바뀌었으며 또한 탐욕이 그들의 이성을 지배하게 된다. 타락 이후 고통스런 회한과 자책을 반복하는 아담을 바라보던 이브는 비로소 이 극심한 고통의 모든 원인이 자신에게서 비롯되었음을 인식하고 아담에게 용서를 구하기에 이른다. 이브의 통회의 눈물에 마침내 굳어 있던 아담의 마음이 움직인다. 그리고 이는 인류의 시조인 그들이 화합을 이루고 신의 질서 속으로 다시 나아가 평온을 회복하는 결정적 계기가 된다. 인류의 타락을 모티브로 삼아 그로 말미암은 인간의 죄와 고통, 죽음, 그리고 인간에 대한 신의 구원에 대해 피력하고 있는 작품은, 힘과 능력에 있어서 사탄보다 훨씬 열등한 인간이 사탄보다 위대한 이유로서 이처럼 소원했던 신과의 관계를 회복한 것에 두고 있다. 자신의 죄를 인식하는 지점에서 이기적인 자기애의 감정을 뛰어넘어 영원한 신의 질서 속으로 들어가 신의 능력인 사랑과 화평을 내 것으로 이송 받을 수 있기에 위대한 인간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밀턴은 『실낙원』을 통하여 인류 타락의 씨앗을 잉태하고 있던 이브의 눈물을, 외형적으로는 아담과 이브의 화해 그리고 그들과 신과의 관계회복의 결정적인 동인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진정한 회복 즉 인류의 죄악과 고통 그리고 영원한 죽음으로부터의 건짐을 의미하는 구원의 원형으로 제시하고 있다. Dealing with the genesis of human history based upon the biblical myth, John Milton's Paradise Lost portrays with a unique allegorical style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and their Fall, together with God's benevolence and love towards them. Milton, in this masterpiece of his, displays through the tears of Eve the Christian idea of "Felix Culpa," fortunate Fall, and the paradoxical truth of human greatness, which he must have realized through his own courageous life. This thesis starts with an examination of peaceful prelapsarian human condition and what it means according to the Bible and Christian tradition. Then, I follow the text closely, analyzing the process of the Fall. Because of the human free will, which is the best gift from God, the peace in Eden is disturbed, and as Adam and Eve taste the forbidden fruit, they have to confront the Fall. Consequently, their hearts are occupied by hatred and distrust, and as their harmonious love is transformed into discordance, their reason becomes dominated by greed. Eve, while watching her husband's painful sufferings and repeated self-reproaching, finally realizes that she is the sole cause of all the miseries and approaches Adam with tears to seek his forgiveness. Eve's tears moves Adam, and this becomes a crucial point that enables the first human beings achieve harmony between them, so as to walk eventually towards God's order and benevolence. Paradise Lost, portraying human Fall and sin, sufferings, and death as its results. Through Eve's tears, however, the work paradoxically depicts how human beings who are far inferior to Satan in strength and capability could actually be greater than the arch-enemy. As one realizes one's own faults, human being can get over selfish love, and as they willfully enter God's eternal order, they could embrace God's love and peace and thus could achieve greatness in themselves. Milton's Paradise Lost suggests Eve's tears, which once possess the seed of human Fall, as an essential cause for harmony between human beings and with God. Thus, Eve's tears could be seen as the most significant motive for ultimate human salvation, through which Christians could avoid sins, sufferings, and everlasting death.

      • 교사배경에 따른 발달지체유아의 미술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전혜란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eacher’s Backgrounds for Art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General Graduate School in Woosuk University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Jeon Hye-ran This research aim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arts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s and survey study with questionnaire was conducted. Participants of research were total 182 teachers who were 57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61 nursing teachers, and 64 teachers for general young children. Results of survey are the following. First, it was repor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itiative about art education’, ‘improvement will about art activities’ related to teachers’ age among awareness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bout art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econd, it was repor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nvironmental satisfaction’, ‘improvement will about art activities’, ‘the initiative about art education’, ‘perceived importance of art activities’, and ‘improvement will about art activities’ according to types of teacher’s licens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 Fourth, it was repor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art activities’ curriculum’, ‘the initiative about art education’, and ‘improvement will about art activities’ according to teachers’ work experiences. Fifth, it was repor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will about art activities’ according to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Last, it was repor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itiative about art education’, ‘perceived importance of art activities’ and ‘improvement will about art activities’ according to teachers’ art educat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ere overall perceived gaps between teachers according to age, type of license, type of service agency, work experiences, academic background, and experience of art education of teachers. Therefore it was emphasized to study in depth how different awareness of teachers about art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based on this research. For this, there was a requirement of qualitative research to investigate concrete awareness of teachers about art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국문초록 교사배경에 따른 발달지체유아의 미술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전 혜 란 본 연구는 교사배경에 따른 발달지체유아의 미술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자는 총 182명으로 유아특수교사 57명, 보육교사 61명, 일반 유아교사 64명이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유아의 미술활동에 대한 교사 개인배경에 따른 인식 중 교사 연령과 관련해서는 ‘미술교육에 대한 적극성’, ‘미술활동에 대한 개선의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자격증 유형에 따라서 ‘환경만족도’, ‘미술교육에 대한 적극성’, ‘미술활동 중요성 인식’, ‘미술활동에 대한 개선의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근무기관 유형과 관련해서는 ‘환경만족도’, ‘미술활동 교육과정 이해’, ‘미술교육에 대한 적극성’, ‘미술활동 중요성 인식’, ‘미술활동에 대한 개선의지’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교사 경력에 따라서는 ‘미술활동 교육과정 이해’, ‘미술교육에 대한 적극성’, ‘미술활동에 대한 개선의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 학력에 관련해 ‘환경만족도’, ‘미술활동에 대한 개선의지’ 변인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사의 미술관련 개인적인 교육 유무에서는 ‘미술교육에 대한 적극성’, ‘미술활동 중요성 인식’, ‘미술활동에 대한 개선의지’ 변인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 연령, 자격증 유형, 근무기관 유형, 경력, 학력, 미술관련 교육 유무에 따라 교사 간 인식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발달지체유아의 미술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긴 위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전개양상과 그 정치·사회적 문제에 관한 연구

        전혜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전개양상과 그 정치?사회적 문제에 관한 연구이다. 미술에서 비판적 리얼리즘은 그 사회의 구체적인 현실을 형상을 통해서 표현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당시의 사회가 겪은 정치적?사회적?경제적 변혁과 무관하지 않다. 사회의 변화와 함께 비판적 리얼리즘은 자본주의의 현실을 직시하여 다른 어떤 미술보다도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들을 제기하였다. 이는 그 사회의 문제들을 시각화함으로써 현실과 괴리되지 않는 미술로 인간의 평등과 민주화를 위한 투쟁적 의미였다. 당대의 현실을 바라보는 냉철한 눈으로써의 역할을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이 한 것이기 때문에 비판적 리얼리즘은 그 시대에 따라 표현방법과 주제들을 변화하여 나타난다. 그러므로 비판적 리얼리즘이 나타나는 그 시대의 역사적 현실을 어떠했는지 그 흐름을 파악하고 미술작품들로 표현된 정치?사회적 문제들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Ⅱ장에서는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비판적 리얼리즘의 개념과 그 특성을 정리하고 이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다음 Ⅲ장의 시대적 양상을 전개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기초로 삼는다.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개념은 사회적 현실에 대한 인식을 중시여기며 인간을 억압하는 사회악과 부조리를 미술적 표현으로 폭로하고 현실의 소외된 계층, 빈부차이, 도시와 기타지역의 경제적?문화적 차이와 갈등 등의 문제를 고발하는 태도의 미술경향으로 정의 하였다. 그 특성으로는 첫째로 전형적인 주제를 다루는 것, 둘째로 반자본주의적이며 반문명적인 특성을 가지며, 셋째로 정치?사회에 참여하는 행동주의적 특성이다. 그리고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와의 관계에서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반대하는 성격도 드러남을 알 수 있다. Ⅲ장은 이러한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개념과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역사적 전개양상을 시대 순으로 제시한다. 먼저 19세기에 프랑스와 러시아에서 태동하는 비판적 리얼리즘 양상과 20세기 초반의 서구유럽 각지와 제3세계에서 나타나는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을 다루고 20세기 중반이후에 서구의 리얼리즘의 복귀의 의미는 무엇인지 파악한다. 그리고 1980년대의 우리나라 민중미술의 흐름을 비판적 리얼리즘의 경향으로 파악하여 전개한다. 이러한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경향은 미술사의 흐름에서 비주류로 여겨진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삶과 통합하는 미술의 요구에 맞는 비판적 리얼리즘은 다시 평가 받아야함은 당연하다. 시대적 상황에서 함께 미술운동으로써의 비판적 리얼리즘은 그들이 나타내고자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던진다. Ⅳ장에서는 미술작품으로 재현된 이러한 메시지를 억압과 차별에 대한 저항, 자본주의와 문명위주의 사회가 낳는 문제들을 반대, ‘타자’들의 정체성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초기 자본주의 형성과 함께 나타나는 문제들로 제국주의 국가가 식민지국가를, 지배계급이 피지배계급을 억압하고 차별하는 문제이다. 미술로 표현된 멕시코와 남아프리카에서 나타나는 억압과 차별의 문제는 서구백인중심의 제국주의에 반대하여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대중적 운동으로써 나타난다. 그리고 사회주의 사회로 가기 이전의 러시아에서 비판적 리얼리즘은 노동자 계급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두 번째로 자본주의와 문명의 확장으로 인한 도시의 문제, 전쟁과 폭력의 문제, 환경과 생태의 문제는 미술로 통해 강력히 반대하고 비판하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의 타자들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는 성적 소수자인 여성, 동성애를 중심으로 행동주의적으로 강력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은 사회 속에서 형성되었다. 자본주의 태동과 함께 인간의 모순적 측면을 적나라하게 폭로했던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은 그 시대의 문제들을 제기해 왔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비판적 리얼리즘이 사회의 어떤 문제들을 폭로해 왔고 어떻게 표현해 왔는지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늘날의 자본주의 사회가 낳는 문제는 더욱 확장되고 있기 때문에 그 시대를 참된 의식과 비판을 담으며 인간이 나아가야할 본질을 탐구하는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을 주목하는 계기를 가졌으면 한다. This study is made on the development aspects of critical realism art and the sociopolitical problems. In art, critical realism is characterized by that the concrete realities of the society are expressed through figure. This is not unrelated to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hanges the then society suffered. With social changes, critical realism more raised a critical mind of the society than any other genres of art, facing up to the realities of capitalism. This was combative meaning for human equality and democratization by visualizing the social problems by means of art not alienated from the realities. Since critical realism art played a role of cool-headed eyes looking straight on the realities of the then times, critical realism appears with changes in expression method and subject according to the age. Therefore it is deemed important that sociopolitical problems expressed in art works as well as the flow of the periodical historic realities where critical realism was shown should be examined. In Chapter Ⅱ,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ritical realism being variously applied are described, and these are set as criteria and deemed as theoretical basis necessary to develop the periodical aspects of Chapter Ⅲ. Critical realism art is defined as an art trend of attitude that importance is given to recognition of the social realities, social evils and irregularities to suppress human beings are disclosed in art expressions, and the problems of the realities including the alienated classes, the gap between haves and have-nots, and economic and cultural gap between cities and other areas are accused.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al realism are as follows: first, it deals with typical subjects; second it has anti-capitalism and anti-civilization attributes; third, it has behavioral nature for participation in policy and society. The nature of opposing capitalistic ideology is also revealed in its relation with capitalistic ideology. Chapter Ⅲ suggest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spects of critical realism art by periodic order on the basis of it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First, the aspect of critical realism started in France and Russia in the 19th century and that shown in each area of West Europe and the Third World in the 20th century are described, and the meaning of return of Western realism after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s examined. And the flow of our popular art in 1980s is examined and developed as the trend of critical realism. It is a matter of fact that this trend of critical realism art is deemed as a non-mainstream group in the flow of art history. However, it is natural that critical realism meeting the art demand to be integrated with the life of the postmodernism age should be evaluated again. Critical realism as art movement with periodic situations casts a powerful message they desire to express. In Chapter Ⅳ, such message reproduced in an art work is examined into resistance to suppression and discrimination, opposition to problems of capitalism and civilization-oriented society, and the problem of identity of ‘others’. First, the problem shown with the formation of initial capitalism is the suppression and distinction of an imperialistic country to a colonial one and the governing class to the governed class. The problem of suppression and discrimination found in Mexico and South Africa as expressed in art appears in popular movement which finds out their identity in opposition to imperialism centered on Western whites. And critical realism in Russia prior to socialistic society raises problems of the working class. Second, the problems of cities, wars & violences, and environment & ecology which result from expansion of capitalism and civilization are shown in a trend of strong opposition and criticism through art. Finally, the problem of others' identity casts a powerful behavioristic message centered on women of the sexual few and homosexuality. Critical realism art was formed in society. Critical realism art, which plainly revealed contradiction with start of capitalism, has raised the periodical problems. The author thinks that focus should be given to what problems has critical realism revealed and how they have been expressed. Since the problem of current capitalistic society is more expanding,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focus upon critical realism which views the age with a true sense and criticism and searches for the true nature human beings should pursue.

      • 한국형 부영양화 지수를 이용한 경기도내 호소의 수질평가연구

        전혜란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for the five lakes and reservoirs was situated in Gyeonggi-do area utilizing the Korea Trophic State Index(TSIKO) which was developed by th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06. The targeting lakes and reservoirs were Seoho lake and Gwanggyo reservoir located in Suwon City, Idong lake and Shingal reservoir in Yongin City, and Gosam reservoir in Anseong City. The water quality data of the ten years from 2005 to 2014 for the five lakes and reservoirs were obtained from Water Information System operated by th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d Wat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perated by Gyeonggi-do government. The targeting items for this study wer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COD), total nitrogen(T-N), total phosphorus(T-P) and chlorophyll-a. The average values for the ten years of the Korea Trophic State Index(TSIKO) in Shingal reservoir, Seoho lake, Idong lake, Gosam reservoir and Gwanggyo reservoir were 74.70, 84.82, 54.32, 60.88 and 59.27 respectively. Shingal reservoir and Seoho lake showed higher values compared with those of Idong lake, Gwanggyo reservoir and Gosam reservoir. The eutrophication status estimated by TSIKO indicated that Shingal reservoir and Seoho lake were hypertrophic state, and Idong lake, Gwanggyo reservoir and Gosam reservoir were eutrophic state. Also, the average TSIKO values of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for the ten years showed 59.26, 66.85, 65.12 and 53.85 respectively with Shingal reservoir(spring 69.87, summer 74.56, autumn 67.61, winter 60.50), Seoho lake(spring 82.19, summer 81.60, autumn 82.80, winter 71.57), Idong lake(spring 47.37, summer 55.89, autumn 53.61, winter 43.36), Gosam reservoir(spring 48.90, summer 65.29, autumn 60.00, winter 44.60) and Gwanggyo reservoir(spring 47.97, summer 56.91, autumn 61.58, winter 49.21), and thus the eutrophication status of spring and winter in the five lakes and reservoirs showed eutrophic state, and summer and autumn indicated hypertrophic state. Especially, Seoho lake had the worst water quality showing hypertrophic state in every season compared with the other lakes and reservoirs. The main causes of eutrophication for lakes and reservoirs in Republic of Korea are natural run-off of nutrients from inorganic fertilizer(containing nitrates and phosphates), manure from farms(containing nitrates, phosphates and ammonia), and discharge of partially treated or untreated sewage(containing nitrates and phosphates), and thus in most lakes and reservoirs the limiting nutrient is phosphorus, so an input of phosphorus in the form of phosphate ions(PO43-) results in an increase in biological activity. Therefore, the eutrophication problem can be solved reducing the external load of nutrients or directly manipulating the water body ecosystem by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lakes and reservoi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