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제과·제빵 관련 기술에 비치는 효과

        전혜경 순천향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활중심 전환교육은 정신지체학생이 자립하는데 필요한 기능적인 생활기술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한 가지 방안으로 직업교과에서 제과·제빵 영역을 장애학생을 위한 직업교육으로 다루었다. 제과·제빵 영역은 7차 교육과정에 신설된 직업교과 영역으로서 현재에 필요한 제과·제빵과 관련한 기초 지식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게 하는 필수적인 이론과 실습 내용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교육부,2010). 직업교과에서 선택 중심 직업교과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데 이에 본 연구는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학생의 전환교육 프로그램 중 직업능력 향상을 위해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제과·제빵 관련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양평군 Y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시하는 직업전환교육에 참여하는 정신지체학생 3명으로 선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제과·제빵 관련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제과·제빵 준비기술, 실습기술, 안전 및 위생기술의 수행능력 수준과 활동 상태를 알아본 후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단일대상연구의 사례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연구 설계는 기초선, 중재, 유지로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첫째, 생활중심 전환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정신지체 학생의 제과·제빵 준비기술이 향상되었다. 둘째, 생활중심 전환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정신지체 학생의 제과·제빵 실습기술이 향상되었다. 셋째, 생활중심 전환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정신지체학생의 안전 및 위생기술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생활중심 전환교육프로그램은 정신지체학생의 제과·제빵 관련기술 수행 능력에 향상을 가져와 졸업 후 가정이나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생활기술을 향상시켜 줄 것이다. 또한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능력에 따른 개별화된 생활중심 전환교육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 미치는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전혜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라는 두 변인이 아버지 역할수행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와 그것의 성차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분석결과 부분매개효과 완전매개효과의 두 가지를 제안하고, 그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고등학생 237명과 312명에게 아버지의 역할수행척도, 의사소통척도와 사회적 지지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AMOS 7.0, Sobel 검증을 활용하여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모형 분석결과 부분매개모형보다는 완전매개모형이 더 적합하였다. 이것은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자녀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변화함을 의미한다. 둘째,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에 대해 아버지 역할수행의 직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것은 긍정적인 아버지 역할수행을 더 많이 했다고 지각하는 학생들일수록 아버지와 대화를 긍정적이고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함을 의미한다. 자기효능감에 대해 아버지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학생들일수록, 아버지와 의사소통이 원활한 학생들일수록 자기효능감이 더 높음을 의미한다. 셋째, 아버지의 역할수행은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었다. 이것은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를 통해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이다. 넷째, 아버지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향은 남학생 집단만 유의하였다. 즉, 남학생들의 경우에는 아버지와 의사소통이 더 원활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지만, 여학생의 경우에는 관련이 없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향은 남학생 여학생 두 집단 모두 유의하였다. 한편 아버지 역할수행이 아버지 의사소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향은 남학생 여학생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하였다.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사회적 지지로 영향을 미치는 방향은 남학생 여학생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하였다. 다섯째, 남·녀 다집단 분석에서, 완전매개모형에 포함된 네 개의 경로 각각은 남·녀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의사소통에서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는 남자 집단에서 유의하고, 여자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아 의사소통을 매개한 효과는 남·녀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관련변인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이전 연구들과는 달리 다양한 변인들을 통하여 알아본 것이다. 기존 연구는 아버지 역할수행과 자기효능감,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등 두 변인간의 관계만 다루어져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왜 자기효능감에 효과를 갖는지를 설명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로 지각됨으로써 자기효능감에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성별에 따른 연구모형의 차이를 규명하여 남녀 간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아버지 역할수행에서 의사소통으로 가는 경로가 남·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as two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role practice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and to identify how different the mediating effects are as gender difference. It suggest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an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s as analyzing precedent research and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the two mediating effects. To verify this study, Questionnaires, which contained father's role practice measure, communication measure, social support measure and self-efficacy measure, were carried out among high school students, 237 male and 312 female. Structural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questionnaire by using SPSS 18.0, AMOS 7.0, Sobel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was more appropriate to explain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role practice and the self-efficacy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This means the effects of father's role practice on the self-efficacy depend on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Secondly, the direct effects of father's role practice on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were meaningful. This means students, who think their fathers did positive father's role practice, perceived that conversation with their fathers was positive and they had more social support.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 self-efficacy positively. Namely, it signifies that the more social support students get, the more frequent students communicate with their fathers, the higher self-efficacy they had. Thirdly, father's role practice affect the self-efficacy mediated by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This showed that father's role practice that adolescents perceived, has indirect effect on the self-efficacy by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Fourthly,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with fathers were meaningful only in the male student group. That is, male students had higher self-efficacy when they communicate with their fathers smoothly, female students had nothing to do. And social support had effect on the self-efficacy in the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communication with fathers was affected by father's role practice in the both groups. And father's role practice influenced communication with fathers more in the group of female students than the male students. The effects of father's role practice on social support was meaningful in the both groups. Fifth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4 path, which were included i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respectively, in multi group analysis of male and female. However the path from communication to the self-efficacy was meaningful in the male group, not in the female group. Therefore the effects mediated by communication should differently be interpreted and applied to male and female. This study has its own meaning, compared to the precedent research, in the way that it verified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related variables and the self-efficacy of adolescents. The precedent research explored only the relation of two variables such as father's role practice and the self-efficacy, communication and th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the self-efficacy. This made it difficult to explain why father's role practice had effect on the self-efficacy. This study, however, verified that father's role practice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self-efficacy as it was perceived as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Moreover, it demonstrated the gender differences by research models. The path from father's role practice to communication and the path from communication to the self-efficacy appeared differently by gender difference.

      •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판소리'흥보가' 지도방안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전혜경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3년 H. Gardner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되었던 다중지능이론(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은 심리학의 지능이론 연구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다중지능이론은 무엇보다도 교육에 있어서 지능의 개인차에 따른 교수-학습 방안을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한 데에 큰 의의가 있다. 다중지능이론은 인간의 필수적인 지능을 8개로 나누었고, 그 8개의 지능들을 각기 독립적으로 보았다. 즉, 언어적 지능이 뛰어난 학생이라고 해서 대인 관계적 지능마저 뛰어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누구에게나 자신이 뛰어난 지능과 덜 뛰어난 지능이 있고, 뛰어난 지능을 통해서 학습을 한다면 효과적인 학습을 기대해볼 수 있다. 가드너가 이 8가지 지능 안에 음악적 지능을 포함시킨 것은 음악교육이 달라져야 함을 의미하고 있다. 음악적 지능을 소수의 사람들만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라는 생각은 음악교육의 보편화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가진다. 하지만 다중지능이론은 음악적 지능을 언어적지능이나 논리-수학적 지능과 동등한 지능의 한 종류로 보았다. 그리고 이제 여기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때이다.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하여 전통음악인 판소리를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기존세대에서는 간과되어왔던 한국 전통음악은 이제 음악 교과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그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다. 판소리를 수업시간에 다양하게 다룸으로써 전통음악에 대한 흥미와 그 중요성을 깨닫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의 8가지 지능을 수업에 고르게 적용하였고, 학생들이 자신에게 맞는 지능을 활용하여 모두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방법과 활동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중지능이론의 음악교육에의 적용이 음악수업의 분위기와 학생들의 흥미를 고취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In 1983,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was introduced by H. Gardner and it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research of psychological intelligences theory. However, the purpose of the theory is that makes the various and detailed study program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individual education. It has been divided into eight different intelligences, and they are all independent each other. For example, not only the student has outstanding ability in linguistic skill, but may have poor interpersonal relation. A person's challenge is to know what controls are best for the existing circumstances. And the instructor may create an atmosphere that enables and encourages students to help themselves. The reason Gardner included musical intelligence among the eight different intelligences is that musical education should have changed in some period of time. Generally speaking, people think that talented musician has to born with their gifted skill. However, musical intelligence is equally distributed like linguistic, logical, and mathematical intelligence. In this research,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was referenced to follow the guidance for the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 Nowadays,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expressed a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and it is composed more than half of the music textbook.The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 is diversely dealt in the class and it provides great opportunity to learn about excitement and importance of the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provides the eight different kinds of intelligences with examples, and also the teaching method and activity are focused on individual intelligence and ability. Besides, the instructor should help students learn, provide and demand adequate instruction with standards of performance, and emphasize the positive. Finally, I expect that apply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music education may play a great part in increasing the atmosphere and interest of students.

      • HMI와 연동한 火葬진행 실시간 자동안내시스템 구현

        전혜경 인천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국내 장묘문화센터(화장장)의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HMI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및 자막 자동 안내방송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고자 한다. 국내 대부분 장묘문화센터의 안내방송시스템은 실시간 자동안내방송이 아닌 관리자의 조작이 부가된 안내방송을 하고 있다. 장묘문화센터에서 실시간 방송이 어려운 이유는 자동제어시스템인 중앙감시시스템과 업무용 응용프로그램의 구성 메커니즘이 서로 달라 정보의 공유 및 분석이 힘들고, 기존에 설치된 방송시스템과의 연계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화장 진행 중 발생하는 각종 돌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S/W적인 대응도 미비하고 사무자동화 분야와 공장자동화 분야의 업무 공조 부족도 그 원인 중 하나이다. RAC시스템은 PLC를 이용하여 각 장비를 제어하는 중앙감시프로그램인 HMI 시스템으로부터 화장 진행 상황과 관련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운영관리시스템으로부터 예약상황 및 기초자료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방송 내용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며, 최종적으로 이 데이터가 자막 및 음성으로 변환되어 방송 장치의 H/W 제어를 거쳐 자동안내방송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하였다. RAC시스템은 일체형이 아닌 모듈 단위로 개발함으로써, HMI 기반의 타 자동화시스템 구현 시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장묘문화센터에 RAC와 같은 자동안내방송 시스템이 도입됨으로써 빠르고 정확한 안내방송, 운영 인력 감축으로 인한 인건비 절감 등 직접적 효과뿐만 아니라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장례의식 서비스 제공과 같은 간접 효과도 얻을 수 있다. In this thesis, a real-time automated information system (abbreviated as RAC) interconnected with HMI which monitors the on-site situation in a crematorium (i.e., a funeral facility) for informing mourners the current status of cremation process as recorded voices and/or closed captions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most of Korean funeral service centers it only can be capable of broadcasting information about cremation process with intervention of a specific operator, instead of an automated information system. The reasons why such an automation system is not possible are the following: First of all, since a centralized monitoring system as an automatic control system is quite different in the point of building mechanism from its application software, it is hard to share and analyze data and also the linked operation with the already installed broadcasting system does not performs well. Second, the responsiveness of its software to respond to unexpected situations that may occur during cremation process is not sufficient. Finally, for the field of office automation it is not strongly cooperated with the field of plant automation. The RAC system uses PLC to collec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remation process with the aid of the HMI system as the centralized monitoring program to control their equipments. In addition, it receives both the reservation data and the fundamental data and analyzes them from its operation management system. By doing these, the data which corresponds to the content to be broadcasted is automatically generated. At last, it converts them into the corresponding closed captions and recorded voices and then do inform them mourners automatically through a proper control of its broadcasting system. The RAC system can be utilized in realization of other kinds of HMI-based automation system by building a system on a modular basis, not a single integrated system. Building an automated information system for funeral service centers can achieve the primary effects such as fast and accurate automated information services, and saving labor costs due to curtailment of human resources. Besides, it can have the indirect effect such as upgraded funeral services.

      • 하브루타 수학 수업이 수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전혜경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요 약 하브루타 수학 수업이 수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전 혜 경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교육전공 (지도교수 백 대 현) 본 연구의 목적은 하브루타 수학 수업을 적용한 4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하브루타 수업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학업성취도가 상위권인 학생들의 측정 영역과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4명 중 3명 정도의 학생들은 하브루타 수업이 재미있고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하브루타 수업의 적용은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지만, 학업성취도는 측정 영역과 확률과 통계 영역에 제한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 키워드 : 하브루타, 수학 태도, 수학 학업성취도 * 본 논문은 2016년 8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Havruta Learning on Students’ Attitude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Jeon, Hye Gyeong Major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Paek, Dae Hyu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n students’ attitude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by employing Havruta to fourth graders. After employing Havruta,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ir mathematical attitude. The higher achievement students improved their abilities in the areas of measurement,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addition, every 3 out of 4 students responded that the Havruta classes were interesting and helpful. Overall, the application of Havruta indicate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 Whereas, the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s were limited in the areas of measurement, probability and statistics. * keyword : Havruta, mathematical attitude, academic achievement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전통 지승공예 제작 유래의 고찰과 창의적 디자인 접근 연구 : 전통기법의 활용 및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전혜경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began with a demand for the necessity of making crafts that reflect the culture of each country in the 21st century. The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jiseung technique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references, and in particular, the principle of the formation of jiseung technique was grasp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ultra-high technique in the technique. In addition, the formative consciousness that appeared in traditional jisung crafts was grasped through relics, and the trends and techniques of the works were examined through examples of contemporary jiseung crafts. In addition, through a basic survey and consumer sentiment analysis, consumers' sensibility for the modernization approach of traditional jiseung crafts was identified, and based on this, a total of 10 jiseung works were produced and a modern design trend based on traditional jiseung crafts was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Jiseung craft is a folk craft that was spontaneously generated by the people, and its origin originated from the universal binding and weaving behavior of mankind through a comparison of techniques with ultra-high craft in reviewing its development process. It was possible to grasp that it was connected to the material called Hanji, which led to the Jiseung Craft, and that the technique was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material called Hanji. Prior to the empirical analysis, a basic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grasp the consumer's sensibility for jiseung craft,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craft, and art, and this was used as basic data for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basic survey,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to understand the typicality of traditional jiseung crafts, it was analyzed that the three components accounted for about 53% of the total consumer sentiment. Therefore, in the three components, the first component was defined as the traditional sensibility, the second component was the modern sensibility, and the third component was the creative sensibility. In addition, the dendrogram result extracted through cluster analysis was set as a cluster of three categories, and as a result, the cluster distribution between images similar to the emotional adjective result of the preceding factor analysis could be confirmed. Lastly, this study is the future as a Korean cultural product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appearance of modern jiseung crafts through the proposal of 10 works of traditional, modern, and creative sensibility derived from the results of consumer empirical analysis. It was intended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access to globalization that lays the horizon for the future.

      • 성장 소설 연구 :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성장 소설을 중심으로

        전혜경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성장소설이 학습자가 배우는 교과서에서 작품으로만 남겨지는데 만족하지 않고 인생의 한 측면을 반영함으로서 독자에게 삶에 대한 지혜를 미리 터득할 수 있는 문학의 효용론적 기능을 잘 실천한다고 생각되어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고 성장 소설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성장’은 인간의 성품, 능력, 신념, 태도, 지력 등이 자연적 문화적 환경에 적응하는 힘이 되고 내적으로 통합 성취하면서 재구성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미숙하고 불완전한 소년·소녀가 성숙하고 완전한 성인의 세계로 들어서기까지 겪는 정서적 아픔과 정신적 성장, 현실 인식과정을 주로 다루는 소설을 성장소설이라 정의한다. 결국 성장 소설은 사춘기 소녀가 성과 죽음 또는 선과 악의 도덕적 갈등, 그리고 자아의 발견과 같은 일련의 충격적 의미를 어떻게 수용하면서 이전과는 다른 변화와 효과를 어떻게 성숙되는가를 다룬 소설이다. 서론에서 살펴 본 성장 소설의 특징은 첫째, 성장 소설은 내부적 형식과 외부적 형식을 모두 갖춘 소설의 유형으로 장르 종의 개념으로 파악 될 수 있다. 둘째, 성장 소설은 아직 성인에 입문하지 않은 유년의 화자를 그 주인공으로 한다. 셋째, 성장 소설은 이항대립의 구조를 갖춘다. 넷째, 성장소설의 서술자는 1인칭 서술방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기 고백적이거나 회고적인 담론방식에 많이 의존한다. 다섯째, 성장 소설은 개인의 일대기적 구성을 취하지 않는다. 여섯째, 성장소설은 이를 읽는 독자들의 성장을 돕는 교육적 효과를 지닌다. 본론에서는 성장 소설의 특성에 맞추어 성장 소설이라 알려진 구체적인 작품을 분석하였다. 황순원의『별』에서는 모성에 강한 집착을 보인 아이가 어머니를 대신 하던 누이가 죽어 존재하지 않을 때 누이를 그리워하게 되고 누이를 진정한 대리모로 인정함으로써 성숙한 자아로 거듭난다. 윤흥길의『기억속의 들꽃』에서 서술자는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통해 사람들의 인심이 야박해지며 인간성 상실로 인해 명선이의 삶이 죽음까지 가는 비극적 체험을 통해 성숙하게 된다. 하근찬의『희종이 수염』에서는 징용에 나갔다 한쪽 팔을 잃고 돌아온 아버지로 인해 겪게 되는 아들의 심리적 거부감이 장애에도 불구하고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진정한 아버지의 모습을 보여주는 행위를 발견함으로써 긍정적인 감정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통해 성숙을 보여준다. 마지막 작품 윤흥길의『장마』에서는 장마를 상징적인 배경으로 설정하면서 전쟁으로 인해 한 집안에서 두 개의 이념이 일으킨 갈등과 갈등과정을 통해 현실 세계의 삶을 깨달아 성숙한 자아로 성장하는 것을 보여준다. 결국 성장소설의 궁극적 의미는 유년기에서 소년기를 거쳐 성인의 세계로 입문하는 인물이 겪는 내면적 갈등과 정신적 성장,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에 대한 각성의 과정을 담고 있는 것이다. 독자는 독자와 비슷한 연령인 소년 소녀의 이야기로 소설 속의 주인공의 성장 과정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민이 자신만의 일이 아니라 남들도 겪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교육소설과 같이 교훈이나 교육을 목적으로 한 장치에 의해 독자가 피동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주인공의 성장 과정을 따라가며 독자가 스스로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의 가치를 찾아가는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성장소설은 문학 교육면에서 장르적 인식이 부족하다고 본다. 앞으로 소설 교육에서 성장소설에 대한 교육적 인식을 부여하여 학습자가 친근감을 느끼면서 관심을 가지고 학습할 수 있는 작품들이 교과서에 다양하게 수록되어 현장에서 유익한 수업이 되기를 바라며 본고를 맺는다.

      • 권장행동과 금지행동에 대한 아동의 가치판단과 칭찬ㆍ처벌의 효과

        전혜경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value judgment of children on moral behaviors, or prescriptive & proscriptive behaviors, and the practice of moral behaviors, and to the relation of the praise and punishment by parents with the practice of moral behaviors. Also, the effects of the value judgment and experiences of praise and punishment on the emotions after the children did moral behaviors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7 fifth graders, and they were required to answer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male and female children who judged prescriptive behaviors to be valuable did more prescriptive behaviors and showed more positive emotion after doing prescriptive behaviors. However, the male children failed to have a connection between judging proscriptive behaviors to be bad and doing some moral behaviors in practice, and they experienced negative emotion after doing proscriptive behaviors. Meanwhile, the female children did less proscriptive behaviors when they judged proscriptive behaviors to be bad, and had negative emotion after doing proscriptive behaviors. The effects of value judgment were different for males and females, based on whether an behavior was prescriptive or proscriptive. Second, the male children who had a lot of praise did prescriptive behaviors more and had more positive emotion after doing prescriptive behaviors, and the females experienced more positive emotion after doing prescriptive behaviors. However, the males who had a lot of pun ishment tended to do proscriptive behaviors even more and felt negative emotion after doing proscriptive behaviors. The more the females had punishment, the more they showed negative emotion after doing proscriptive behavior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value judgment and praise experience on prescriptive behaviors on the frequency and emotion of prescriptive behaviors, both variables were proven to be used as an explanation for the frequency of prescriptive behaviors and emo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value judgment and the punishment experience on proscriptive behaviors on the frequency and emotion of proscriptive behaviors showed that both variables were proven to be used as an explanation for the frequency of proscriptive behaviors and emo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imilar to those of a preliminary study in which the value judgment from cognitive developmental viewpoint is related to doing moral behaviors. It is said that affective aspect and behavioral aspect are co-related in the development of morality, but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morality was hard to be led to practical behaviors without cognitive development as its base. The results of finding out praise &punishment experiences showed that praise served as a factor to motivate prescriptive behaviors. However, as for punishment, the principle of behavior modification in which punishment should be properly used according to situations and subjects was applied. Those who teach children should know that motivating prescriptive behaviors by praise rather than punishment is able to be a means to reduce the frequency of proscriptive behaviors. Keywords: prescriptive behaviors, proscriptive behaviors, praise and punishment, moral emotion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행동인 권장행동과 금지행동에 대해 아동의 가치판단이 도덕적 행동의 실천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부모로부터 경험하는 칭찬과 처벌이 도덕적 행동의 실천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가치판단 및 칭찬과 처벌은 도덕적 행동을 하고 난 후의 정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3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 · 여 학생 모두 권장행동이 가치있는 행동이라고 판단하는 아동은 권장행동을 더 많이 하고, 권장행동을 하고 난 후의 정서도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금지행동의 경우 남학생은 금지행동에 대해 나쁘다고 판단하는 것이 실제 행동과는 상관이 없었지만 금지행동을 한 후에는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학생은 금지행동에 대해 나쁘다고 판단할수록 금지행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금지행동을 한 후에는 부정적 정서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판단은 그 행동이 권장행동인지 금지행동인지에 따라, 남· 여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칭찬을 많이 받은 남학생은 권장행동을 더 많이 하고 권장행동을 하고 난 후의 정서도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칭찬을 많이 받은 여학생은 권장행동을 한 후에 더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처벌을 많이 받은 남학생은 오히려 금지행동을 더 하는 경향성을 보였고, 금지행동을 하고 난 후에는 부정적 정서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처벌을 받을수록 금지행동후에 부정적 정서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권장행동의 빈도와 정서에 미치는 권장행동에 대한 가치판단과 칭찬경험의 영향력을 회귀분석한 결과, 두 변인 모두 권장행동의 빈도와 정서에 대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지행동 빈도와 정서에 미치는 금지행동에 대한 가치판단과 처벌의 영향을 회귀분석한 결과, 두 변인 모두 금지행동 빈도와 정서에 대해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도덕적 행동을 하는데 있어 인지발달론적 입장에서 본 가치판단이 도덕적 행동을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성 발달에 있어 정의적인 면, 행동적인 면이 서로 상호작용한다고 하지만 인지발달이 기초가 되지 않고서는 도덕성의 발달이 행위로까지 이어지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칭찬이나 처벌경험을 조사한 결과 칭찬은 권장행동을 많이 하도록 하는 요인이 되지만 처벌의 경우는 상황에 따라, 대상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여야 한다는 행동수정의 원리가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벌 보다는 칭찬을 통해 권장행동을 더 많이 하도록 하는 것이 금지행동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아이들을 가르치는 사람이라면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권장행동, 금지행동, 칭찬과 처벌, 도덕적 정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