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의 스트레스와 우울이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해님 호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년 남성·여성들의 미용관리행동 영향변인으로 파악되고 있는 스트레스 및 우울이 그들의 다양한 미용관리행동(메이크업·피부관리, 체형관리, 두피관리, 헤어스타일링, 미용성형)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하고 이 과정에서 각 변인들 간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는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40세부터 59세까지의 중년 남성·여성 400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5일부터 4월 2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응답이 불완전한 설문지를 제외한 370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s 18.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였으며 설정한 가설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χ²-test, t-test,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년의 스트레스는 외모·신체적 스트레스, 직업 스트레스, 사회적 스트레스, 가족 스트레스라는 4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중년의 스트레스가 전체적으로 미용관리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에 따른 미용성형 경험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코수술, 주름제거수술, 치아미백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 중년의 우울은 일상생활 우울, 정서적 우울, 신체적 우울이라는 3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중년의 스트레스가 전체적으로 우울에 유의한 정적(+) 영향(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중년의 미용관리행동은 메이크업·피부관리, 체형관리, 두피관리, 헤어스타일링이라는 4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중년의 우울이 전체적으로 미용관리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p<.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에 따른 미용성형 경험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쌍꺼풀수술, 주름제거수술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4. 중년의 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하여 미용관리행동에 미친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중년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와 우울 및 미용관리행동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중년의 스트레스와 우울이 각각 우리 사회의 중년들로 하여금 외모에 많은 관심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메이크업·피부관리, 두피관리, 헤어스타일링 및 체형관리에서부터 미용성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미용관리행동을 하도록 하는 영향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독립변인들이 미용관리행동에 미친 직접적인 영향은 간접적인 영향보다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중년의 스트레스와 우울이 종속변인인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경로에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tress and depression which have been regarded a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middle-aged adults’ beauty care behavior on their diverse beauty care activities (ex: makeup & skin care, body shaping, scalp care, hairstyling, cosmetic surgery) and figure out causality among these variable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distributed to 400 middle-aged men and women (aged 40-59)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rom April 5 to 20, 2015. Among them, a total of 370 copies apart from incomplete on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the SPSS for windows 18.0 Statistics Package was adopted. Regarding a hypothesis tes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χ²-test,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1. The middle-aged adults’ stress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ppearance & physical stress, job stress, social stress and family stress. This stress mostly had a positive effect (p<.001) on beauty care behavio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experience of cosmetic surgery by stress,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nose surgery, fold removal and tooth whitening. 2. The middle-aged adults’ depression was divided into daily-routine depression, emotional depression and physical depression. The stress mostly had a positive effect (p<.001) on depress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3. The middle-aged adults’ beauty care behavior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makeup & skin care, body shaping, scalp care and hairstyling. Their depression mostly had a positive effect (p<.05) on beauty care behavio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experience of cosmetic surgery by depress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double eyelid surgery and fold removal. 4. The effect of the middle-aged adults’ stress on beauty care behavior through depression wasn’t significant. 5. In terms of difference between stress & depression and beauty care behavior by the middle-aged people’s gender, a partial significance was observed. The said results found that the middle-aged adults’ stress & depression have made them more interested in their appearance. Furthermore, they have had an effect on diverse beauty care activities such as makeup & skin care, scalp care, hairstyling, body shaping and cosmetic surgery. In terms of the effects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on beauty care behavior, in addition, direct effect was greater than indirect effect, which in turn proved that there is no causality between the middle-aged adults’ stress & depress and beauty care behavior.

      • 군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전해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정신전력교육 수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정신전력교육 주제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요구가 크게 나타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전력교육 주제에 대한 병사, 중대장, 공보정훈장교 집단의 중요도와 이해도, 우선 순위를 분석한 후 향후 수업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주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이 잠정적인 교육 주제 63가지를 도출하였으며 병사, 중대장, 공보정훈장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34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요도와 이해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나 중요도와 이해도 사이에는 격차(공보정훈장교>중대장>병사 순)가 있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1수준 집단(병사)은 중요도를 낮게 평가했으며 2수준 집단(중대장, 공보정훈장교)은 이해도를 낮게 평가하였다. 따라서 수업에 대한 동기(motivation)를 높이기 위해서는 1수준 집단의 경우 수업의 가치(value)를 인식해야 하며 2수준 집단의 경우 학습자의 수행에 대한 기대(expectancy)를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요구분석의 기법으로 -검정과 Borich의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사용하였다. 각 주제에 대한 종속표본 -검정() 결과 병사 집단에서 6개의 주제를 제외하고 중요도와 이해도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Borich의 요구도 분석에서 1순위 주제는 병사 집단에서 ‘미래 전쟁 대비’, 중대장 집단에서 ‘명예’, 공보정훈장교 집단에서 ‘국방의 의무’로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분석했을 때는 병사 집단에서 15개, 중대장 집단에서 19개, 공보정훈장교 집단에서 20개의 주제가 HH분면에 속하였다. 세 집단 모두 HH분면에서 나타난 주제는 ‘건전한 애국심’과 ‘북한군의 군사전략’이었다.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바탕으로 각 집단에서 최우선 순위와 차우선 순위 주제를 도출한 결과 집단별로 다양한 요구가 나타났다. 향후 수업에서 우선 고려해야 할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3개 집단의 요구를 종합한 결과 모든 집단에서 1회 이상 우선 순위가 나타난 주제 2개와 2개 집단에서 우선 순위가 나타난 주제 21개를 핵심 주제로 선정하였다. 또한 1개 집단에서 우선 순위가 나타난 주제 21개를 필수 주제로 선정하였다. 19개의 주제는 우선 순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해당 주제도 전문가의 검증을 거쳤으며 4점 이상의 중요도를 보였기 때문에 선택 주제로 포함하였다. 향후 핵심 주제는 기본과제 교육에 연간 1회 이상, 필수 주제는 기본과제 또는 시사안보 교육에 연간 1회 이상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택 주제는 핵심 주제나 필수 주제를 다룰 때 하위 주제로 포함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육의 경우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 정책’에 대해 요구가 나타났으나 자유민주주의 및 시장경제체제의 우월성이나 대한민국의 발전상, 북한의 실상과 관련된 주제에서는 요구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해서는 1수준 집단에서는 ‘국민의 권리’에 대해, 2수준 집단에서는 ‘국민의 의무’에 대해 요구가 나타나 이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셋째, 국방력 및 준비태세와 관련한 주제의 수업이 필요하다. 넷째, 2019년 교재에서 새롭게 추가된 주제 중 다수에서 요구가 나타나 현재 해당 내용에 대한 수업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 다섯째, ‘조직 및 개인 차원의 가치’에 대한 주제는 중대장 집단에서 요구가 크게 나타났으며 병사 집단에서는 요구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 이유는 해당 주제가 태도 목표와 관련이 깊기 때문일 수 있으며 향후 수업에서 모델링과 강화를 활용한 행동화 수업, 자기 보고식 평가 등을 통해 수행 격차를 줄이는 노력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정신전력교육 수업 주제를 선정하거나 기본교재를 개정할 때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본 연구는 언어적 정보로 진술된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여 조사된 이해도 수준과 실제 학습자의 수행 수준이 다를 수 있으며, 도출한 주제에 대해 목표 진술 및 과제 분석을 수행하는 수준까지 나아기지 못했다. 또한 표본수가 충분하지 않아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