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리빙랩 구축을 위한 중요 고려요인에 관한 연구 : 연구자 및 과제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전하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ategorizes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living lab-based support projects promoted by various government departments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social problems, R&D-linked projects, and product commercialization.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comprising the contribution of 3,473 researchers involved in 678 'living lab' related projects implemented from 2013 to 2020 using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NTIS). To this e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experts for the final survey were establish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publications, research data, existing theories and literature. The expert selection process utilized the implication of centrality analysis via social network analysis (SNA), confining validity among the types of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the important factors of living lab were derived to meet the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by 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s (ENoLL),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appli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erived factors and to specify priorities. Derived variables were then stratified and evaluated based on importance. As a result of this systematic review, the living lab-based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are expanding in diversity. This is significant change from prior selection criteria, which were traditionally promoted under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 or public institutions. As such, it is shifting from a less uniform procedure to a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suggesting that more complex projects can simultaneously serve as a test bed for future government policies. Moreover, by classifying the types of projects promoted with the keyword “living lab” by the type of researcher and task,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flow of government policies promoted by the government, major industries in each region, and the structure of the living lab implementation by each performing entity. Through this structured analysi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key factors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stages, and factors of business performance and performance spread. In the analysis of basic survey data using a 7-point Likert scale, most variables were above average with an elevated 4 points. This suggests that all types aimed at developing products, technologies, and services as well as solving social problems, are being promoted in close connection with R&D. Furthermo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important factors were systematically identified using the AHP technique through classification by living lab researchers and research project types on policy, infrastructure, and operational point of view. In regards to researcher type classification, operational, infrastructure, and policy factors were identified in order of importance. Regarding the task type classification, infrastructure, operational and policy factors were identified in order of importance. Finally, by comparing the weighted rankings of detailed evaluation items based on important factors of the living lab, factors to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researcher who are the subject of the living lab project planning in the futur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were determined. All three groups of utilizer, researcher, and enabler were identified as contributing potential joint value, as well as operating experience of the living lab,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government subsidy suppor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mong the important factors. Conversely,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 main industr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table sustainability strategy were determined to be of low importance.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living labs for the purpose of project planning through collaboration with various fields and users, not limited to regions, and practical problem solving that do not lean only on the weight of social issues can be replaced. For a complete study of the living lab project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accompany a project manager who can suggest and oversee an operation method based on accumulated experiences and theories, as well as secure diversity of participating groups and collaborative efforts between operating organizations that can derive systematic performance analysis. 본 연구는 각 정부부처에서 사회문제해결, R&D 연계사업, 제품상용화 등의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리빙랩 기반 지원사업에 대해 유형을 분류 하고 각 유형에 따라 도출될 수 있는 리빙랩 구축 시 중요 고려요인에 대한 연구로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를 이용해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시행된 ‘리빙랩’ 관련 사업에 참여한 3,473인의 연구자와 678개 과제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자료조사 및 기존 이론과 문헌고찰등을 통해 최종 설문대상 전문가를 선정할 수 있는 기준을 수립하였으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주관하에 설문을 추진할 수 있었다. 전문가 선정과 정에서 SNA(소셜네트워크분석) 중심성 분석을 통해 다양한 분야와 성격의 연구자 유형 중 설문대상을 변별력있게 선정할 수 있는 타당성을 얻을수 있었다. 또한 리빙랩 구축의 중요 고려요인을 ENoLL(유럽리빙랩네트 워크)에서 제시하는 평가 기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도출했으며 도출된 요인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과 우선순위 구체화를 위하여 AHP기법을적용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변수를 계층화 한 후 이를 토대로 중요도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연구결과 리빙랩 기반 정부 지원사업은 정부나 공공기관 주도하에 추진되던 초창기와 다르게 수행주체의 다양성이 확장되고 있다. 그만큼 획일적인 목적에서 벗어나 다양한 산업군에 접목 가능한 형태로 변해가고 있으며 향후 정부에서 추진하는 정책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 범위가 상당히 큰 사업임을 시사한 다. 또한 리빙랩이라는 키워드로 추진된 사업 유형을 연구자 및 과제의 유형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통해 정부에서 추진하는 정부정책의 흐름과 지역별 주력산업, 수행주체별 리빙랩 추진구조 등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구조 화된 설문 조사를 통하여 리빙랩의 유형 파악, 기획·실행 단계의 중요요소, 사업성과와 성과확산의 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Likert의 7점 척도에 의한 설문 기초자료 분석에서 대부분의 변수들의 평균이 보통(4점)이상 이었 으며, 특히 추진중인 리빙랩의 적합한 사업유형이 R&D연계형(6.118) 으로 판단한다는 결과값이 평균 대비 수치가 높았다. 이는 제품, 기술, 서비스개발 및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목적을 둔 유형 모두 R&D와 밀접하게 연계하여 추진되고 있음으로 연결된다. 또한, 리빙랩 구축을 위한 중요 고려요인을 정책적, 인프라, 운영적 관점에서 계층화된 구조를 통해 AHP기법을 이용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자 유형 분류 에서는 운영적, 인프라, 정책적 요인 순으로, 과제 유형 분류에서는 인프라, 운영적, 정책적 요인 순으로 높았다. 마지막으로 리빙랩 구축을 위한중요 고려요인의 세부 평가항목의 가중치 순위 비교를 통해 향후 정부나 지자체에서 리빙랩 사업 기획 시 수행 주체인 연구자 유형에 맞춰 고려해야 할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자 유형별 집단 모두 공동가치 창출의 가능성, 리빙랩의 운영경험, 정부지원금 지원유무의 요인이 구축 고려요인 중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파악한 반면 주력 산업분야에 적합한 지리적 특성, 안정적인 지속성 확보전략 유무에 대해서는 낮은 중요도가 도출되었다.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와 사용자들과의 협업을 통한 과제기획및 사회적 이슈의 무게에만 치우치지 않는 실용성 있는 문제해결을 위한목적의 리빙랩 등이 대체 가능할것이라 생각된다. 향후 리빙랩 사업의 완성도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축적된 경험 및 이론을 바탕으로 운영방식을 제언할 수 있는 리더와 참여집단의 다양성 확보, 체계적인 성과분석을 도출할 수 있는 운영기관의 협업이 함께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 실크 피브로인 필름을 이용한 각막 내피 세포의 재생과 조직 공학적 응용

        전하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각막 내피 세포의 손실은 각막의 기능을 약화시키거나 오작동을 유발한다. 특히, 각막 내피 관련 많은 질병은 끝내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노화, 스트레스, 외과적 외상, 당뇨병, 녹내장 치료 등의 원인은 이를 더 가속화시킨다. 조직 공학은 각막 내피 세포의 손실 및 각막의 재생을 복구하는 방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실크는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로서 생체 적합하며 세포 성장을 돕고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작 가능하여 각막 지지체로 적용이 가능하다. 실크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실크 피브로인은 면역 거부 반응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리소포스파티딕 산 또는 타우린을 함유 한 실크 피브로인 필름을 제조하여 각막 내피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지 연구하였다. 리소포스파티딕 산은 다기능 세포 간 인지질 전달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세포 부착, 증식 및 분화를 촉진한다. 타우린은 안구 조직에 풍부한 아미노산이며 각막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한다. 필름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SEM, AFM, 투명도, FT-IR, 접촉각, 초기 부착도, MTT 분석, RT-PCR 및 면역 형광법을 시행하였다. 실크 피브로인, 리소포스파티딕 산/실크 피브로인, 타우린/실크 피브로인 필름은 모두 평평하고 투명하며 유사한 친수성을 가졌으며 실크 피브로인의 화학적 성질을 유지하였다. 시험관 내 실험 결과는 0.0087% 리소포스파티딕 산/실크 피브로인 필름 또는 0.003% 타우린/실크 피브로인 필름에서 각막 내피 세포가 육각형 형태를 유지하면서 양호한 세포 부착 및 증식을 나타냈다. 그리고 각 실험에서 0.0087% 리소포스파티딕 산/실크 피브로인 필름 또는 0.003% 타우린/실크 피브로인 필름에서의 각막 특이 유전자 발현이 가장 높았다. 각막 내피 세포 재생을 위한 조직 공학적 지지체로써 0.0087% 리소포스파티딕 산/실크 피브로인 필름 또는 0.003% 타우린/실크 피브로인 필름을 적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