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윤곽 패턴을 이용한 얼굴 특징 추출 기법에 관한 연구

        전태준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지역 윤곽 패턴을 이용한 얼굴 특징 추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얼굴 이미지 획득 및 정렬, LoG(Laplacian of Gaussian)을 이용한 에지 검출, 지역 윤곽 패턴을 이용한 얼굴 특징 추출, 얼굴 클래스 분류 등의 4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얼굴 이미지 획득 및 정렬 과정은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여 이미지를 일정 사이즈로 조정하는 단계이다. LoG를 이용한 에지 검출 과정은 LoG 마스크를 적용하여 인간의 시각과 유사한 수직, 수평, 대각선 방향의 에지 성분을 검출하는 단계이다. 지역 윤곽 패턴을 이용한 얼굴 특징 추출 과정은 먼저 중심 픽셀을 기준으로 n방향 에지를 탐색하여 중심 픽셀에 새로운 라벨 값을 적용한다. 다음에 얼굴 히스토그램 추출은 얼굴의 효율적인 표현을 위해 이미지를 일정한 지역으로 나눈 후, 각 지역마다 히스토그램을 구하여 모든 히스토그램의 합으로 한명의 얼굴 히스토그램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얼굴 클래스 분류 과정은 벡터간의 유사성 분석을 하고, Nearest Neighbor Classifier 이용하여 클래스를 분류하는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의 객관적인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얼굴인식 표준인 FERET 데이터베이스와 Extended Yale B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표정변화, 조명변화, 노화, 노이즈 등의 얼굴 이미지를 적용하여 다른 논문과 비교평가 하였다. 실험결과에서 기존 논문의 인식률 보다 대체적으로 좋은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정면 이미지와 조명 변화 및 노이즈에서 기존 논문 보다 높은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와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전태준 연세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체육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 수준을 알아보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영리 및 비영리 상업 스포츠센터에 근무하는 사회체육지도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표본의 선정은 유목적적 표본 추출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YMCA지부 9곳, 구민체육센터 5곳, 영리 스포츠 센터 8곳, 대학 사회교육원 3곳 등 사회체육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회수된 설문지는 443부였으며, 총 393부의 설문자료가 실제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for Window 12.0과 AMOS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통계분석 시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절차에 따라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a$$a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전문직업적 정체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먼저 연령에 따라서 전문조직의 활용 요인, 소명의식 요인, 자율성 요인에서, 직위에 따라서는 전문조직의 활용 요인,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요인, 자기규제에 대한 신념 요인, 소명의식 요인 및 자율성 요인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기간에 따라서 전문조직의 활용 요인,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요인, 소명의식 요인, 자율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월 평균수입에 따라 전문조직의 활용 요인, 소명의식 요인, 자율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a$$a둘째,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설정한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원소 간 평균차이(RMR), 기초적합도(GFI), 조정 적합도(AGFI), 표준적합도(NFI), 비교적합지수(CFI) 등의 적합도 지수가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모형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a$$a넷째, 사회체육지도자 전문 직업정체성과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 등의 조직유효성 요인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 결과, 먼저 사회체육지도자들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관련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이직의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체육지도자들이 느끼는 조직몰입과 관련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지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성과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기각하게 되었다.$$a$$a

      • 1890-1940년대 재즈음악이 뮤지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뮤지컬 <시카고>를 중심으로-

        전태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890-1940년대의 재즈음악이 뮤지컬 작품<시카고>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재즈의 역사는 1890-1940년대의 음악의 변화를 10년 단위로 나누었고, 20세기 초 재즈음악에 영향을 받은 작곡가들과 뮤지컬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재즈음악의 발전은 아프리카 흑인들이 전통음악을 지키려 했던 마음에 있다. 흑인들이 지켜낸 전통음악이 발전되어서 필드홀러(흑인영가), 노동요, 블루스, 가스펠이 만들어졌다. 1890-1940년대의 음악은 래그타임, 딕시랜드 재즈 밴드, 뉴올리언스 재즈밴드, 시카고 재즈, 스윙, 비밥 등이 있다. 그 이후로의 재즈는 쿨재즈, 하드 팝, 보사노바, 퓨전재즈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가 존재한다. 재즈음악은 뮤지컬의 시초가 되는 민스트럴 쇼, 보드빌, 엑스트라버간자, 벌레스크에 영향을 주었다. 뮤지컬과 재즈음악은 융합되어지면서 다양한 장르를 탄생시켰고, 역사적으로 함께 발전하기 시작했다. 재즈음악은 20세기 초부터 뮤지컬 작곡가들에 의해서 쓰여 지기 시작했으며, 특히 1900년대 초에는 작곡가 노블시스, 제롬 컨, 조지 거슈윈 등이 재즈 음악을 기초로 많은 곡을 작곡하였다. 물론 모든 음악이 재즈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재즈의 음악들이 많이 가미되었다고 할 수 있다. 뮤지컬 <시카고>는 부패한 정치, 탐욕, 성욕, 술, 마약, 담배 등의 소재를 재즈음악으로 표현하여 만들어진 블랙 코미디이다. 1920년도의 재즈음악은 시카고와 뉴욕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뮤지컬 <시카고>는 1920년대에 시카고 재즈 음악에서 영향을 받았다. 뮤지컬 <시카고>에 사용된 재즈리듬으로는 스윙(Swing), 래그타임(Ragtime), 블루스(Blues) 등이 있다. 멜로디와 코드는 펜타토닉(Pentatonic), 코드 톤(Chord Tone), 블루스 코드진행, 반음계적 재즈진행, 라인 클리셰(Line Cliche) 등이 사용되었다. 앞서 언급한 것을 보았을 때 작곡가/작사가인 존 칸더와 프레드 엡이 뮤지컬 <시카고>를 만들 때, 1890-1940년대 재즈음악을 반영했음을 알 수 있다. 뮤지컬 <시카고>의 넘버는 19곡으로 되어있으며, 그 중에 절반이 넘게 스윙리듬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그 외의 리듬으로는 라틴계열의 탱고, 변형리듬, 왈츠, 폴카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자는 뮤지컬 <시카고>에서 1890-1940년대의 재즈음악을 기반으로 해서 만들어진 넘버 19곡 중 3곡인 All That Jazz, Funny Honey, Roxie를 선정하여, 서론에서는 시대를 규정하고, 음악적 관점으로 해석의 기준을 잡고, 탐색할 음악적 개념으로는 1890-1940년대의 재즈의 역사와 시대별 재즈음악을 한정지어 연구를 하였다. 그 이유는 1890-1940년대의 재즈와 뮤지컬<시카고>의 음악적 특징에 유사한 점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본론 1절에서는 재즈의 역사 및 시대별 재즈 음악을 설명하였고, 제 2절에서는 재즈 음악에 영향을 받은 뮤지컬 작품들과 재즈의 영향을 받은 작곡가들을 연구하였다. 3절에서는 뮤지컬<시카고>의 작곡가와 작사가의 생애, 작품 배경 및 소개, 그리고 중심이 되는 악보분석을 하였다. 결론에서는 본론에서 해석한 접근 방식, 뮤지컬<시카고>넘버 3곡인 ‘All That Jazz’, ‘Funny Honey’, ‘Roxie’를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재즈음악과 뮤지컬 음악의 연구 가능성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키워드) 재즈, 뮤지컬, 초기 시대별재즈, 재즈뮤지컬, 음악 분석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azz Music on Musicals, 1890-1940 -Focused on the Musical<Chicago>- Jeon, Tae Joon Department of Film & Musical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ted by Professor: Yi, Tae W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jazz music between 1890 and 1940 on the musical Chicago. The history of jazz music was divided to ten-year periods between 1890 and 1940 in this study, and the composers and musical pieces influenced by jazz in the beginning of the 20thcentury were analyzed. The development of jazz music begins from the black people of Africa attempting to protect their traditional music. This traditional music evolved into field-holler, work songs, blues, and gospels. The music between the 1890s and 1940s included ragtime, Dixieland jazz band, New Orleans jazz, Chicago jazz, swing, and bebop. The jazz types that followed included various genres, such as cool jazz, hard pop, bossa nova, and fusion jazz. Jazz influenced what is now considered the beginnings of musicals, such as minstrel, vaudeville, extravaganza, and burlesque shows. Musicals and jazz converged to create a variety of genres, and then began to develop together historically. Jazz music began to be written by musical composers at the beginning of the 20thcentury; particularly, in the beginning of the1900s, composers Noble Sis, Jerome Kern, and George Gershwin wrote numerous pieces based on jazz. Certainly, not all musicals involved jazz, but they included a large portion of jazz components. The musical Chicago is a black comedy that approaches such subjects as corrupt politics, greed, libido, alcohol, drugs, and cigarettes through jazz music. The jazz music of the 1920s developed around Chicago and New York. The musical Chicago can be seen as being influenced by 1920s Chicago jazz music. The jazz rhythms in Chicago include swing, ragtime, and blues. The melody and chords include pentatonic, chord tone, blues chord progression, chromatic jazz progression, and line cliché. Considering the aforementioned aspects, composer John Kander and lyricist Fred Ebb reflected 1890–1940 jazz music when creating Chicago. Chicago has a total of 19 songs, and more than half of them were made based on the swing rhythm. Other rhythms include tango, switching rhythm, waltz, and polka. This study analyzed three songs, among the 19 songs in Chicago, namely, All That Jazz, Funny Honey, and Roxie, all of which were composed based on jazz music popular in 1890–1940.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defined the musical period and the basis for interpretation, provided from a musical perspective. The musical concepts explored included the history of jazz music in 1890–1940 and period-specific jazz music. This study found similarities between 1890–1940 jazz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Chicago. The first section of the paper presents the history of jazz and periodic jazz music, whereas the second covers musicals inspired by jazz music and composers influenced by jazz music. The third section provides an overview of the lives of the composer and lyricist of the Chicago, the background and introduction of the musical, and the analysis of the written music. The conclusion summarizes the approach taken by the study and organizes the musical’s three songs, ‘All That Jazz’, ‘Funny Honey’, and ‘Roxie’.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presented the potential of and need for research on jazz music and the music of musicals. Keywords Jazz, musical, early jazz by period, jazz musical, music analysis

      • 인지문법을 통한 구절동사의 분석 및 시사점

        전태준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인지문법적인 관점에서 구절동사의 의미를 분석해 보고 그에 따른 학습과 교육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있다. 구절동사와 관련하여 있었던 전통적인 생각은 구절동사의 의미라는 것이 그 구성성분인 동사와 불변화사로부터 의미를 이끌어내기가 힘들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구절동사의 의미는 관용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구절동사의 학습은 그 구성요소간의 의미관계에 대한 이해 없이 숙어 내지는 관용어라는 명목으로 암기와 숙달이라는 방식으로 기계적인 학습을 강조해 왔다. 이것은 학생들이 학습에 흥미를 잃게 하는 요인이 되어왔다. 그러나 인지문법의 발전을 통해 인지 언어학자들은 모든 언어 표현이란 것이 우리의 개념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며, 이 개념체계는 범주화 능력, 은유와 환유 같은 인지기제, 그리고 관습적인 세상사의 지식 등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이론은 구절동사의 의미가 그 구성성분인 동사와 불변화사의 개별적인 의미에 의해 반영되어 예측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주려고 하였으며, 인지 기제의 과정을 통해 체계적, 은유적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인지문법의 틀 안에서 이 논문은 학생들이 구절동사의 의미를 원리적이고 체계적인 교수활동을 통해 유의미하게 학습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 및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2장에서는 연구의 배경이 되는 구절동사와 인지문법에 대한 관련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구절동사 각각의 구성성분의 다양한 의미들은 임의적 이라기보다는 인지기제의 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먼저 up, get, make 을 인지문법의 틀 안에서 분석하여 보았다. up, get, make 의 원형적 의미와 도식을 바탕으로 각 구성요소의 다양한 의미가 개념적 은유를 통해 비유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4장에서는 구성요소인 up, get, make 의 합성으로부터 get up 과 make up 의 의미를 끌어내는 과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 논문은 구절동사 get up 과 make up 만을 다루었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은 다른 구절동사 학습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meanings of phrasal verbs in the framework of cognitive grammar and to see the possi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them. The traditional view was that the meaning of phrasal verbs could not be predicted from their components, verb and particle. It was thus generally thought that the meanings of phrasal verbs are idiosyncratic and unpredictable. Consequently, teaching and learning of phrasal verbs have focused on the mechanical memorization without understanding semantic relations among the components. This has caused students to lose interests in phrasal verbs. Since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grammar, however, cognitive linguists claimed that all linguistic expressions reflect human conceptual system which is based on cognitive mechanisms and conventional knowledge of the world, such as metaphor, metonymy, and categorizing ability. The theory has showed that the meaning of phrasal verbs could be predicted from their components, verb and particle, and can be extended systematically or metaphorically by the process of cognitive mechanism. In Chapter 2, cognitive grammar and phrasal verbs are examined. This has shown that the various meanings of each constituent are not arbitrary but are systematically expanded by the process of cognitive mechanism. In Chapter 3, the meanings of up, get, and make, were analyzed in the framework of cognitive grammar. Their meanings are found to be based on the prototypical meaning and schema, or can be expanded figuratively through conceptual mechanism. Further analysys of get up and make up in Chapter 4 shows again that their meanings are not arbitrary but compositional and can be inferred by their components. It is suggested that this cognitive approach can also be extended to other phrasal verbs and applied to teaching of English.

      • e스포츠 전용경기장 계획에 관한 연구

        전태준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e스포츠’는 전자매체의 발전으로 인한 패러다임의 변화로 파생된 새로운 문화콘텐츠이다. 1990년대 후반 ‘PC방’의 이벤트성 게임대회로부터 시작된 ‘e스포츠’는 방송사의 운영으로 정식 대회가 개최되면서 발전하였고 2004년 부산 광안리 ‘스타 프로리그 결승전’에서 10만 관중을 군집하는 쾌거를 이루는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미래지향적 가치를 입증하였다. 하지만 폭발적 수요에 비해 짧은 역사로 안정적 체제를 구축하지 못한 ‘e스포츠’는 임시경기장 설치로 과도한 예산 낭비를 초래하고 경기장의 전문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을 야기하였다. e스포츠의 지속발전 가능성과 세계 문화콘텐츠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종주국으로써 성공가능성을 판단한 정부는 ‘e스포츠 전용경기장’ 건립을 통해 ‘e스포츠’의 체계화 및 표준화로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전용경기장에 대한 논의와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에 따라 2012년 상암동 DMC IT Complex 상설경기장이 완공될 예정이었지만 세계경기 침체와 예산부족 문제로 인해 완공되지 못한 실정이다. 현재까지도 ‘e스포츠 전용경기장’은 존재하지 않아 과거의 문제점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e스포츠 전용경기장’의 발전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거 수립된 ‘e스포츠 표준모델’을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진행하고자 하며, 그 방법은 선행논문과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적 고찰로 ‘e스포츠 전용경기장’ 설계기준을 정리하였다. 이론적 고찰은 크게 4가지로, 사회문화적 가치 판단과 ‘e스포츠 전용경기장’ 구성 요소 및 계획 반영 요소, 건축 프로그램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리한 설계기준은 ‘관람장’의 형태 및 가변성․가시한계와 가시선․관중석 규격과 주위 통로 폭․출입문의 개수와 크기․화장실 계획․잔향처리와 난반사를 고려한 흡음재 사용 및 잔향가변장치계획․벽면 마감재 사용이며, 최근 e스포츠 결승경기를 진행한 사례에 대입하여 문제점 및 개선 사항을 분석하고 설계기준의 합리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이 완료된 설계기준을 바탕으로 계획안을 제시하여 향후 e스포츠 전용경기장 계획 시 고려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전용경기장 건립 후 종주국으로써 신문화콘텐츠의 흐름을 주도하는 상징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veloped design criteria for e-sports specific stadiums by examining and revising the previous ones. Since 1990s, the government has supported the e-sports business and recognized its possibility as a national business. Furthermore, since the final competition of ‘Starcraft Pro League’ was successfully held in Busan, in 2004, 100,000 people gethering. In spite of the public needs, the related government plan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specific stadium and policies have been suspended. To establish concrete design criteria for e-sports stadiums,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ones and investigated needs for any revisions in order to enhance them. The current study considers four aspects for them: social and cultural value, essential facilities, plans, and architecture program. It particularly focuses on flexibility and visibility of stands including sight line, features for aisles, entrances, and lavatory, and materials for soundproof and light reflection. The study examined the design suitability by reviewing the problems in the final competition of e-sports which was recently held in sangam-dong, and suggested the enhanced standards for the stadium.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stablish concrete design criteria for e-sports stadiums and promote e-sports business in Korea and over the world.

      • Automatic Voltage Regulator based on Series Voltage Compensation with AC Chopper : 교류쵸퍼를 가진 직렬전압보상을 기반으로 한 자동전압조절기

        전태준 포항공과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n automatic voltage regulator (AVR) based on series voltage compensation with an ac chopper. The proposed AVR is made up of a pulse-width-modulated (PWM) ac chopper and a transformer for series voltage compensation. In the ac chopper, the commutation problem is solved by switching patterns. The ac chopper provides direct ac-ac power conversion without energy storage elements, so the size and cost of the AVR are reduced. The ac chopper compensates for only the required voltage, so the switches have reduced ratings and stresses. Using bypass switches, the proposed AVR can compensate not only for the voltage sag but also the voltage swell of the input voltage.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at the proposed AVR quickly compensates for the voltage sag and swell of the input voltage.

      • 자기해석유형과 모바일 상품추천유형, 패션제품유형이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태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 mobile shopping environment, which has expanded to various channels along with the growth of the online fashion shopping market, there are numerous fashion products and a huge influx of new products every day, requiring strategies to ensure that online companies can choose products efficiently. One of them is a fashion product recommender system.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impact of consumers' self-construal type, product recommender system type through mobile and fashion product type on purchasing attitude. The design for this was composed of three-way mixed designs of 2 (self-construal type: independent vs interdependent) x 2 (product recommender system type: best-seller vs content based) x 2 (fashion product type: pleasure vs practical). The study surveyed 387 female college students and ordinar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in the Seoul/Gyeonggi area, excluding 73 insincere or incomplete questionnaires and 21 corresponding data from the self-construal-type median, a total of 293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ackage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tricircular variable analysis, and simple interac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duct recommender types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while self-construal types and fashion product typ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vorability and purchasing intent of products. This suggests that for product recommender system in online fashion shopping malls, different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presented that can be effectively appeal according to the self-construal type, product recommender type and fashion product type. Second, fashion product types and self-construal types hav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favorability and purchasing intent. Therefore, it would be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product type when executing a product recommender system. Third, product recommender types and fashion product types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favorability and purchasing intent. Therefore, it will be effective to sugges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type and recommender type when organizing product recommender system for fashion products in online fashion shopping malls. Lastly, the effect of product recommender type and self-construal type on favorability and purchasing intent was found to vary depending on fashion product type. 온라인 패션 쇼핑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다양한 채널로 확대가 이루어진 모바일 쇼핑환경에서는 하루에도 엄청나게 많은 제품들이 소개되기 때문에 온라인 업체들은 소비자들에게 효율적으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심하고 있는데 이 중 하나가 패션 상품추천서비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자기해석유형, 모바일을 통한 상품추천 서비스유형, 패션제품유형이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설계는 2(자기해석유형 : 독립적 vs 상호의존적) x 2(상품추천유형: 베스트셀러 vs 내용기반) x 2(패션제품유형 : 쾌락적 vs 실용적)의 삼원혼합설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의 20~30대 여성 대학생 및 일반인 3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한 설문지 73부를 제외한 총 314부를 대상으로 소비자 자기해석유형 분류를 진행하였고 자기해석유형 중위수의 해당하는 21명의 자료를 제외한 후 총 293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삼원변량분석, 단순 상호작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추천유형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해석유형과 패션제품유형은 제품의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패션 쇼핑몰의 상품추천서비스의 경우 상품추천유형과 패션제품유형 그리고 자기해석유형에 따라 효과적으로 소구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각기 다르게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패션제품유형과 자기해석유형은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품추천서비스를 실행할 때에는 패션제품유형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일 것이다. 셋째, 상품추천유형과 패션제품유형은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패션 쇼핑몰에서 패션제품을 대상으로 상품추천서비스를 구성할 때에는 제품유형과 추천유형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품추천유형과 자기해석유형이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패션제품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