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자녀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 유능성

        전정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oth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and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on social compete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oth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in her conversation with her chi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4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in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the moth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for this study, the measurement tool used was that of Jung, Se-Yong(1994), who modified Ma, Jung-Geon's(1998) tool to suit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 Jung-Geon(1998) originally based his model on Carkhuff's(1967) Scale. As f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Moon, Yong-Lin 's(1996) model based on salovey and Mayer(1990) for children in grades 3 through 6. Moreover,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s social abilities, the social ability test developed by Park, Kum-Ok(1998)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AS statistics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Cronbach's α was calculated. For the each research question,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 moth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have an effect on a child's social competence. In other words, as a mother expresses unconditional respect in her conversations, it was found that adaptation and popularity in the child's interpersonal relations became higher. Moreover, the more genuine the mother's attitude, the higher the child's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more specific her terminology, it was found that the child's leadership was higher. Second, the research showed that a moth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has an effect on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The more the mother sympathized, the child showed a lower perception of others emotion ability, the more the mother expressed unconditional respect during conversations, it was found that the child's emotion facilitation of thinking ability was high. In addition, the more genuine the mother's attitude, the higher the child's employing emotional knowledge and expression of emotion ability, and the more specific the mother's terminology, it was found that the child's emotion facilitation of thinking ability was high. Third, as perception of one's emotion ability was higher, sociability, social participation and leadership was found to be higher, while as perception of others emotion ability was higher, sociability, interpersonal adjustment, social participation, leadership, and popularity was found to be higher. When empathy ability was high, interpersonal adjustment ability was high, while regulation of emotion ability was high, sociability, interpersonal adjustment ability, social participation, leadership, popularity were all found to be high. It was also found that interpersonal adjustment ability and popularity was high when emotion facilitation of thinking ability was high. Forth, by studying which variable best explains a child's a child's social competence among a moth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and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the primary factor of social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regulation of emotion had the most effect on a child's sociability, followed by perception of one's emotion, concreteness, genuineness, perception of one's emotion, expression of emotion in their respective orders. As for a child's interpersonal adjustment, regulation of emotion had the most influence, followed by unconditional respect, empathy, perception of others emotion ability, emotion facilitation of thinking, and self disclosure in their respective orders. For social participation, perception of one's emotion had the most impact, followed by regulation of emotion, concreteness, and perception of one's emotion in their respective orders. And for the child's popularity, perception of others emotion had the most effect, followed by regulation of emotion . Fifth, in observing the path analysis between a moth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and the child's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 child's social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genuineness developed by perception of one's emo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had the most impact on sociability. Unconditional respect was found to be developed by regulation of emotion and emotion facilitation of thinking to have an effect on interpersonal adjustment. Moreover, unconditional respect was found to be developed by perception of others emotion , regulation of emotion and emotion facilitation of thinking to have an influence on popularity. And lastly, concreteness was found to be developed by emotion facilitation of thinking to effect popularity. 본 연구는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자녀의 정서지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자녀와의 대화에서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초등학교 2곳의 5, 6학년 아동 474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Carkhuff(1967)의 상담자의 촉진적 의사소통 척도를 기초로 하여 마정건(1988)이 제작하고 정세용(1994)이 초등학생에 맞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정서지능 검사는 Salovey와 Mayer(1990)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하여 문용린(1996)이 제작한 정서지능검사로 초등학교 고학년용(초등학교 3-6학년)을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금옥(1998)이 개발한 사회적 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무조건적 존중을 표현하며 대화할수록 아동은 사교적이며 대인관계에서 적응성과 인기도가 높았다. 또한 어머니가 순수한 마음으로 대화할수록 아동의 사회참여도가 높으며, 어머니가 구체적인 용어를 사용하면서 대화할수록 아이의 주도성이 높았다. 둘째,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은 자녀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쳤다. 즉, 자녀와 대화를 할 때 어머니가 공감을 많이 할수록 아동의 타인정서인식 능력은 낮으며, 어머니가 무조건적 존중을 표현하며 대화할수록 자녀의 정서조절과 정서활용 능력이 높았다. 또한 어머니가 순수한 마음으로 대화할수록 아동 자신에 대한 정서인식과 정서표현 능력은 높았으며, 어머니가 구체적으로 대화할수록 아동의 정서활용 능력은 높았다. 셋째, 아동의 정서지능은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쳤다. 즉, 자기 정서인식 능력이 높을수록 사교성, 사회참여도, 주도성이 높고 타인 정서인식 능력이 높을수록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 모두 높았다. 그리고 정서표현을 잘하는 아동일수록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이 높았으며, 감정이입 능력이 높을수록 대인적응성이 높으며, 정서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 모두 높았다. 또한 정서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대인적응성과 인기도가 높았다. 넷째,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자녀의 정서지능 두 변인 중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변인을 알아본 결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요인 중 사교성에는 정서조절이 강력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타인정서인식, 구체성, 순수성, 자기정서인식, 정서표현이 큰 영향력을 보였다. 아동의 대인적응성에는 정서조절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조건적 존중, 감정이입, 타인정서인식, 정서활용, 자아개방이 큰 영향력을 보였다. 사회참여도에는 정서조절이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타인정서인식, 정서표현, 자기정서인식이 큰 영향력을 보였다. 주도성에는 타인정서인식이 강력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정서조절, 구체성, 자기정서인식이 큰 영향력을 보였다. 아동의 인기도에는 타인정서인식이 강력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정서조절이 큰 영향력을 보였다. 다섯째,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자녀의 정서지능, 사회적 유능성 간의 경로를 살펴보면, 순수성이 자기정서인식과 정서표현에 의해 매개되어 사교성에 영향을 미쳤다. 무조건적 존중이 정서조절, 정서활용에 의해 매개되어 대인적응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무조건적 존중은 타인정서인식, 정서조절, 정서활용에 의해 매개되어 인기도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구체성이 정서활용에 의해 매개되어 인기도에 영향을 미쳤다.

      • CAT 툴 활용을 통한 기계 번역 결과물 품질 향상에 관한 연구

        전정미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빠르게 발전하는 시대에 인간 번역사가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번역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우리는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 인간 번역사와 인공지능 기계 번역의 번역 대결을 통해 승패를 떠나 기술의 발전을 여실히 느낄 수 있었다. 인간과 기계를 이분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며 미래에 보존되거나 사라지는 직업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는 대신, 발전하는 기술을 인간이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번역 산업인 로컬라이제이션 번역 환경에서 인간 번역사가 번역 보조 도구인 CAT 툴과 신경망 기계 번역을 함께 활용하여 여러 개의 유사한 텍스트를 번역할 때 번역의 품질이 향상되는지 알아본다. 우선 CAT 툴의 핵심 기능인 세그먼트, 번역 메모리 및 기타 기능을 살펴보고 기계 번역의 역사와 유형, 기계 번역 품질 평가에 대해 살펴본다. 번역 공급망의 80%가 사용하는 SDL Trados Studio에서 신경망 기계 번역의 선두주자인 Google 기계 번역을 활용하여 데이터 수집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전체 공개된 웹사이트를 패션, 여행, 화장품 3가지 분야에서 각 5개씩 선정하여 해당 웹사이트에서 추출한 텍스트의 기계 번역 결과를 분석한다. CAT 툴에서 신경망 기계 번역과 번역 메모리를 동시에 활용하여 동일한 분야의 유사한 텍스트를 순차적으로 번역할 경우 오류 비율이 낮아져 품질이 향상되는지 알아본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CAT 툴에서 신경망 기계 번역을 활용하여 유사한 텍스트를 순차적으로 번역하는 경우 번역 메모리의 활용도는 일반적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에 따른 오류 비율은 일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 분석 결과를 통해 CAT 툴과 기계 번역을 함께 사용하여 유사한 텍스트를 계속해서 번역하는 경우 번역 메모리의 활용도가 높고 번역 메모리로 인해 오류가 감소하여 번역 품질이 향상되므로 인간 번역사가 더 빠르고 정확하게 번역하며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특정 분야의 웹사이트 텍스트, SDL Trados Studio, Google 번역만을 대상으로 한정된 범위 내에서 진행되었으나 CAT 툴과 신경망 기계 번역을 함께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했으며 향후 이 분야에서의 더 정교하고 발전된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thesis is a study to find a way for human translators to translate efficiently using technology in a rapidly developing era.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a way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by positively utilizing developing technology instead of worrying about which professions are preserved or vanished in the future. As a result, this thesis looks for if the quality of machine translation improves when human translators translate gradually multiple similar texts using a computer aided translation tool and neural machine translation. This study goes through the main features of CAT tool including segment and translation memory, history and types of machine translation, and quality assessment for machine translation. It analyzes fashion, travel, and cosmetic websites texts using Google neural machine translation and SDL Trados Studio which is the most popular CAT tool in the localization translation industry. The followings 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f a human translator translates certain types of website texts using the neural machine translation in the CAT tool, the percentage of translation memory utilization typically increases as the memory accumulates. Second, the percentage of machine translation errors generally decreases as the translation memory accumulates. Through the findings, this thesis shows that using CAT tool and neural machine translation simultaneously for translating certain types of website texts is helpful for human translators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efficiency. Although this thesis is a limited study for the utility of translation memory and the quality of machine translation, based on this study, we could look into more about CAT tool, machine translation, or localization translation in the future.

      •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유병노인의 심리적 경험연구

        전정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duct an in-depth inquiry into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the elderly with a disease at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investigate them in a phenomenological way.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sub-research questions: what psychological experiences do the elderly with a disease have in the process of making a decision to use a long-term care facility?; and what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changes do they undergo in the adjustment process at the facility? Total nine senior citizens had an in-depth interview as they were in their seventies or older, had a disease, received Long-Term Care Grade 2 or 3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got admitted to a long-term care facility called ○○○, and scored 24 points or more on the MMSE-K scale. One of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techniques, the Colaizzi analysis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data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elderly with a disease had the following psychological experiences at a long-term care facility: "being in a painful situation of not being able to take care of my own sick body, having the sadness of being driven to the tip of a cliff by my children's poor treatment of me, feeling helpless as a burden to my family, considering the idea of using a long-term care facility after getting advice from people around me, feeling shameful to receive a Goryeojang treatment from my children, having a sense of isolation with myself kept from the outside, feeling anxious in a strange environment at the care facility, feeling suffocated in a controlled life, being in despair with doubt about my life and denial of my existence, feeling that my heart is collapsing due to sad parting, having a feeling of relief at a new residence, having compromise with and accepting the reality with no alternatives, starting to find positive meanings beyond negative ones, feeling confident thanks to my new roles, and reorganizing my life with a new family."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with a disease had the following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making a decision to use a long-term care facility: having the pain of not being able to take care of my sick body, feeling sad to receive poor treatment from my children, feeling incompetent as a burden to my family, and considering the idea of using a care facility after getting advice from people around me. Having a sick body, the participants felt gloomy, unbearable, miserable, upset, hurt, disappointed, weary, suppressed by hardship, and tired and helpless inside. As their children turned their back on them, they felt painful, sad, disgusted and miserable, and grief-stricken. As their children made a unilateral decision to have them admitted to a long-term care facility, they were anxious, resentful, betrayed, frustrated, disappointed, and in despair. As they felt like a burden to their families and thus felt helpless, they were sorry about the circumstances, were worried, and felt some pressure. And 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ir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the adjustment process at a long-term care facility, as well. In the early days at the facility, they felt they were abandoned and thus had negative feelings such as embarrassed, lost, depressed, resentful, shameful, alienated, anxious, pressured, desperate, and afraid. As they gradually accepted the long-term care facility as their new residence, however, they experienced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s such as a feeling of relief, peace of mind, rewarding,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hope, wish, and love. That is, their negative prejudices were replaced with their positive meanings as they gradually adjusted to their life at the long-term care facility. Going through such psychological changes, they had a compromise with their reality. They were no longer shameful about their place at the care facility since it was not a Goryeojang treatment from their children. They granted new meanings to their current place as part of the government's benefits for the elderly. They got to learn that medical care expenses were their natural right, experiencing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s. In addition, they also had ambivalent emotions between negative and positive ones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in three aspects: first, it excluded any prejudice of the elderly with a disease admitted to a long-term care facility and examined their psychological experiences with a focus on their psychological phenomena and changes instead of general experiences. Its findings will thus serve as data for counseling studies, offering practical assistance to the elderly with a disease that have difficulties at a care facility. Secondly, the study shed phenomenological light on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process of getting admitted to a long-term care facility and their adjustment process at the facility, making a profound inquiry into their psychological phenomena due to their family relations. Its findings hold their value and significance as useful ground data to help the families of the elderly with a disease understand their old parents in the middle of contemplation and conflicts over their support. The findings will also help the elderly with a disease and their families heal their wounds and support and assist each other. Finally, the study provided ground data for program development. That is, the elderly with a disease get admitted to a care facility and have their respec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us demanding individualized custom service and requiring various programs. Its findings are value and significant as ground data to develop all kinds of programs to protect the elderly with a disease and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in conjunction with their families at home care centers and care hospitals as well as long-term care fac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유병노인의 심리적인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현상학적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하위 연구 문제는 유병노인의 입소 결정 과정에서의 심리적 경험은 무엇인가? 시설 적응과정에서의 심리적 경험과 변화는 무엇인가? 이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장기요양 2,3등급을 인정받은 후 ○○○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70세 이상의 유병 노인 중 MMSE-K 척도 24점 이상인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 중 Colaizzi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유병노인의 심리적 경험은 ‘병든 몸을 돌볼 수 없는 고통스러운 상황, 자식들의 홀대로 벼랑 끝으로 몰리는 비애, 가족에게 짐 되는 자신이 무력해짐, 주변의 조언으로 입소 고려, 고려장 당한 것 같아 수치스러움, 외부와의 단절로 인한 소외감, 낯선 요양원 환경으로 인한 불안함, 통제된 생활에 숨이 막힘, 삶의 회의와 나의 존재 부정으로 절망함, 가슴 아픈 이별로 인해 마음이 무너짐, 새로운 주거지에서 안도감, 대안 없는 현실과의 타협과 수용, 부정적 사고를 넘어 긍정적 의미부여가 시작됨, 새로운 역할로 인해 자신감이 생김, 새로운 가족과의 삶을 재구성’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첫째, 유병노인의 입소 결정 과정에서의 심리적 경험은 병든 몸을 돌볼 수 없는 고통, 자식들의 홀대로 인한 비애, 가족에게 짐 되는 자신의 무능함, 주변의 조언으로 입소 고려로 나타났다. 참가자들의 심리 내면엔 병든 몸으로 인해 암담함, 난감함, 참혹함, 속상함, 서운함, 낙심함, 고달픔, 힘겨워 짓눌림, 지쳐서 무기력해짐 등의 감정들이 작용했다. 자식들의 외면에는 가슴 아픔, 서글픔, 정떨어지고 참혹함, ⅲ 애통함이 있었고 자식들의 일방적인 입소결정에는 속을 끓임, 원망, 배신감, 좌절감, 낙담, 절망감이었고 가족에게 짐이 되는 자신의 무능감에는 자식 신세에 대한 미안함, 염려, 부담감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병노인의 장기요양시설 적응과정에서의 심리적 경험은 입소 초기엔 버림당했다고 생각하며 당황, 상실, 우울, 원망, 수치심, 소외감, 불안감, 압박감, 절망감, 두려움 등의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들은 차츰 장기요양시설을 새로운 주거지로 받아드리면서 안도감, 마음의 평화, 보람됨, 이해와 수용, 희망, 소망, 사랑 등의 긍정적인 심리적 변화를 경험한다. 즉 부정적인 편견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장기요양시설 생활에 적응해 가며 스스로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심리적 변화가 오고 현실을 타협해 나가는 것이다. 이들은 자신이 요양시설에 온 것은 자식들에 의해 고려장 당해 수치스러운 것이 아니라 국가가 노인들에게 주는 혜택이며, 요양급여는 당연히 받아야 할 권리라고 의미를 새롭게 부여하고 긍정적인 심리 변화를 경험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은 부정적인 감정과 긍정적인 감정이 공존하는 양가감정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 대한 의의는 첫째,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유병노인들에 대한 편견을 배제하고, 일반적인 경험이 아닌 심리적 현상과 심리 변화를 중심으로 그들의 심리적인 경험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입소로 인해 고충을 겪는 유병노인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상담학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유병노인의 장기요양시설 입소 과정에서와 적응과정에서의 심리적인 고충을 현상학적으로 밝혀냄으로써 그들의 가족관계로 인한 심리현상도 깊이 탐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유병노인의 부양문제로 고민하고 갈등하는 가족들이 유병노인을 이해하고 유병노인과 가족들의 상처가 치유되고 서로를 지지하며 도울 수 있는 유익한 근거 자료로서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 ⅳ 셋째,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 시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다. 즉 입소 유병노인들은 제각기 다른 심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개별화된 맞춤형 서비스가 요구되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은 물론 유병노인들을 돌보는 재가요양센터, 요양병원 등이 가족과 함께 유병노인들을 보호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개발 시 근거 자료로서의 의의와 가치를 지닌다.

      • 치과위생사의 주사바늘 찔림 사고 실태와 예방 대책

        전정미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주사바늘 찔림 사고의 위험성을 알리고 주사바늘 찔림 사고 예방 감염관리지침(안)을 제안함으로써 주사바늘 찔림 사고를 예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5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주사바늘 찔림 사고 실태를 조사하였고, 국내 및 국외의 감염관리지침을 비교 분석하였고, 국내 시판 중인 주사바늘 찔림 사고 예방 안전기구와 장비를 조사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근 1년간 주사바늘 찔림 사고 경험은 연구대상자 253명 중 150명(59.3%)이며 평균 1.28회인 것으로 나타났고 주사바늘 찔림 사고 시 대부분이 진료 후에 사용한 마취용 주사기 주사바늘에 뚜껑을 닫을 때 110명(46.0%)으로 나타났다. 2. 주사바늘 처리방법에 따른 주사바늘 찔림 사고 경험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주사바늘 뚜껑을 씌우고 버리는 경우(p<0.01)와 맨손으로 주사바늘 처리 할 때(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3. 국내 및 국외의 감염관리지침을 비교분석한 결과 주사바늘의 뚜껑을 다시 씌우지 않는 것을 권장하나 주사바늘 뚜껑을 다시 끼울 시에는 한 손 기법을 사용하거나 바늘 뚜껑을 잡도록 고안된 안전기구 및 장비를 사용한다, 공학적으로 안전하게 고안된 기구를 매년 분류하고 평가하고 선택한다는 주요 규정이 조사되었다. 4. 현재 시판 중인 주사바늘 찔림 예방 안전기구와 장비를 조사한 결과 주사바늘 자동분리기 Medical needle safe disposer(YLC-1004S)와 Dental needle remover가 있었고, 주사바늘 고정기로는 Captor deluxe needle handler, 바늘 없는 무통주사기로는 INJEX와 Comfort-in이 있었다. 5. 주사바늘 찔림 사고 예방 감염관리지침(안)을 일반사항과 진료과정별 권장사항으로 구성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치과위생사에게 주사바늘 찔림 사고가 주사바늘 뚜껑을 닫을 때에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고 주사바늘 찔림 사고로부터 예방하기 위한 안전기구와 장비를 알 수 있다. 치과 진료실 내에 예방 자료로 주사바늘 찔림 사고 예방 감염관리지침(안)을 제안함으로써 치과위생사의 안전한 진료환경을 기대할 수 있다. 중심단어: 치과위생사, 지침, 감염관리, 주사바늘 찔림 사고, 예방안전기구와 장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danger of needlestick injuries in dental hygienists and to propose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This study surveyed the actual state of needlestick injuries through a self-administered survey of 253 dental hygienists. The domestic and foreign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were compared, and the safety devices for the needlestick in the Korean market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ut of the 253 subjects (59.3%), 150 experienced needlestick injuries an average of 1.28 times each in the last year. Of these 150 subjects, 110 (46.0%) experienced needlestick injuries when they were returning the cap of a syringe used for anesthesia. 2. The survey of the experience of needlestick injuries according to the needle handling metho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ases of ‘returning the needle cap’(p<0.01) and ‘removing the cap with my hand’(p<0.01). 3. The comparison of the domestic and foreign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showed that not returning the needle cap is recommended, but there were key regulations such as the use of the one-hand closing technique when returning the needle cap, the use of the device designed to grab the needle cap, or the classification,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e engineering-designed devices each year. 4. The survey of the safety devices for the needlestick in the Korean market revealed an automatic needle separator and safe medical needle disposer(YLC-1004S), and a dental needle remover. For the needle cap holder, there was the Captor deluxe needle holder and for the needle-free and painless syringes, INJEX and Comfort-in. 5. The inj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needlestick injuries were proposed by composing them into general precautions and recommendations per treat­ ment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common occurrence of needlestick injuries among dental hygienists when they are returning the cap of a needlestick, and the needlestick safety devices. Safe medical treatment can be expected with the use of the proposed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needlestick injuries at dental offices. Key words: Dental hygienist, Guideline, Infection control, Needlestick injuries, Safety devices.

      • 교회도서관 자원봉사 운영 개선 방안 연구

        전정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Church libraries vary in their nature depending on the ministry policy of the church pastor, but they basically offer important data for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ies to individuals, small groups and church members as well as pastors. In addition, they to provide the local residents with spaces for meeting, rest, performing arts and culture. It is practically not possible for the librarian to perform all the roles of the church library alone due to the personnel and budget limitations. Thus, though it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and nature of the church, one to dozens of volunteers are organized to compensate this limitation. In spite of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the role of volunteers in church libraries, research on the church libraries has been performed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provisions, operational studies and revitalization, and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volunteering activities for the church librari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volunteer operation and management of domestic church libraries, through literature study, foreign case studies, and domestic survey.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following study method. First, a literature research was done to investigate the definition, function, need and organization of a church library. In addition, the function of church volunteering and the management of library volunteering were examin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Second, foreign cases and domestic status were examined to see how the library volunteering is operated and managed. Third, the literature study, foreign case studies and domestic survey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problems i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church library volunteering and to propose improvements. The plan for improvement of volunteer operation of the church library volunteering was proposed in two: operations and management factors improvement, and various environmental improvements. The improvement plan i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include the improvements in the volunteer recruiting promotion, volunteer work placement and training, evaluation systems, and other operations. First, volunteer recruitment and public relations plan meeting the condition of each church library should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Second, volunteers who meet the nature of the church library should be selected and work placement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ir talents, interests and abilities. Third, work instructions related with volunteering activities should be prepared, and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the work skills of volunteers are needed. Fourth, training is required for volunteering administrato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skills because they enhance the involvement of volunteers, provide the volunteers with appropriate jobs, and serve the roles to motivate the volunteers continuously. Fifth, efforts should be made to run a variety of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because the church library serves the role of a hub that offers various materials and programs to the pastors and church members. Sixth, volunteer evaluation should be made and visiting services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should be made by the church library in order to take best advantage of the volunteers. Seventh, the library staffs should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e volunteers and prepare the compensation standards, which the volunteers need, in their point of view. Eighth, ongoing motivation and proper work placement for the volunteers are needed for the volunteering activities. Ninth, with respect to the barriers of using volunteers, a volunteer recruitment plan should be prepared, a department in charge of volunteering should be established, and administrators should be assigned in order to activate the volunteering activities. Tenth, church library staff should endeavor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nd specialized jobs and tasks for the use of current volunteering activities also in the donating the talents of volunteers. The plan for improvement in the various environments is focused on the improvements in the church library operational personnel, human resource development, change of pastors' recognition, and budget expansion plans. First, a library committee should be organized to create policies to set the direction of the ministry of the library and to supervise the operation of the library. Second, the church library should make efforts to organize the volunteers team 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books and church members, and to secure the volunteers with fine talents and professional skills. Third, the current employment form of unpaid staff should be switched to paid staff and an appropriate number of professionally trained librarians must be hired in order for the activation and normal operation of the church libraries. Fourth, staffs should be hired who are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church library. According to the survey on nature of libraries, children's library and regular church library account for the most. Fifth, the pastors need to change their recognition to admit that church libraries require professional librarians holding librarian certificates. Sixth, the church library should consider plans to secure funds through external human resources by organizing support groups, such as Friends of Library, in addition to the budget sponsored by the church. As above, the present study has investigated the operating status of church library volunteering and analyzed the problems, followed by suggestions to improve the volunteer operation in church libraries based on those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in the future for the library staff to prepare plans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library volunteering and for the activation of the church libraries. 교회도서관은 소속교회의 목회자의 방침에 따라 각 도서관의 성격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목회자뿐만 아니라 개인, 소그룹, 교인들이 신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또한, 지역주민들의 모임, 휴식공간, 더 나아가 예술공연, 문화공간을 제공해주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교회도서관은 인원, 예산상의 한계로 인해 담당자 한 명이 모든 역할을 수행하기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교회 규모나 성격에 따라 상이하지만, 한 명에서 수십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조직되어 운영 중이다. 교회도서관에서의 자원봉사자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의 연구는 교회도서관의 규정개발, 운영 연구와 활성화 방안에 중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교회도서관 자원봉사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교회도서관 자원봉사 운영 및 관리에 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문헌연구, 국외 사례 연구 및 국내 현황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교회도서관의 정의와 기능,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교회도서관의 조직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교회자원봉사의 기능과 도서관 자원봉사의 관리에 대하여 조사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둘째, 국외 사례 및 국내 현황 조사를 통해 교회도서관 자원봉사 운영 및 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문헌연구, 국외 사례 조사 및 국내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교회도서관 자원봉사 운영 및 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교회도서관 자원봉사 운영 개선 방안은 운영 및 관리요소 개선과 제반 환경 개선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먼저, 운영 및 관리요소 개선에서는 자원봉사자 모집 홍보 개선, 자원봉사자 업무 배치와 교육 개선, 평가 체계 개선, 기타 운영 개선 방안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첫째, 각 교회도서관 상황에 맞는 자원봉사 모집과 홍보 방안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둘째, 교회도서관 성격에 맞는 자원봉사자를 선발하고, 자원봉사자의 재능이나 관심, 능력을 고려한 업무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자원봉사활동에 관련된 업무지침을 마련하고, 자원봉사자의 업무능력 개선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자원봉사 관리자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관리자는 자원봉사자의 참여를 높이고, 자원봉사자에게 적합한 업무를 제공하며, 지속적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관리자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회도서관은 목회자와 교인들에게 여러 다양한 자료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허브역할을 감당해야하기 때문에, 다양한 교육 및 문화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여섯째, 교회도서관에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찾아가는 서비스를 실시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해야 한다. 일곱째, 담당자는 자원봉사 보상 방법에 있어서 자원봉사자와의 차이를 인식한 후, 자원봉사자 입장에서 자원봉사자들이 필요로 하는 보상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여덟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자원봉사자를 위한 지속적인 동기부여와 함께 적절한 업무배치가 필요하다. 아홉째, 자원봉사자 활용의 장애요인과 관련하여 자원봉사 활용을 위한 모집홍보 방안과 자원봉사 전담부서 설치 및 관리자 확보가 필요하다. 열째, 교회도서관 담당자들은 현재의 자원봉사 업무를 자원봉사자의 재능기부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적 업무 분야에 대한 개발에 힘써야 한다. 제반환경 개선에서는 교회도서관 운영인력 개선, 인적자원 개발, 목회자의 인식전환과 예산 확충 방안에 중점을 두고 제시하였다. 첫째, 도서관의 사역 방향을 설정하고 운영을 주관하기 위한 정책을 만드는 도서관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둘째, 교회도서관은 장서 수와 교인 수를 고려하여 자원봉사자를 구성하며, 재능과 전문능력을 보유한 자원봉사자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교회도서관의 활성화와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 무급봉사자로 근무하는 담당자의 고용형태를 유급직원으로 전환해야하며, 전문 교육을 받은 적정인원의 사서를 충원하여야 한다. 넷째, 교회도서관의 특성에 적합한 담당자를 채용할 필요가 있다. 교회도서관 성격에 대해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어린이도서관, 일반교회도서관이 가장 높게 파악되었다. 다섯째, 교회도서관은 사서자격증을 보유한 전문사서가 필요하다는 목회자의 인식전환이 요구된다. 여섯째, 교회도서관은 교회에서 책정되는 예산 외에 도서관친구들(Friends of Library)과 같은 후원그룹을 조직하여 외부인적 자원을 통해 재원마련을 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교회도서관 자원봉사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교회도서관에서 자원봉사자 운영에 관한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에 교회도서관 담당자들이 도서관의 자원봉사 운영 및 관리와 교회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는데'의 교수-학습 내용 체계화

        전정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aims to give help by organizing teaching-learning contents that enable Korean learners to use ‘-는데’ properly. As ‘-는데’ is interpreted in many ways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and subsequent clauses in real life, Korean learners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는데’ functions and usages. Chapter 2 looked at the syntactic features on subject, predicate, pre-ending, sentence type, and negative constraints. With semantics perspectives, it classified [explanation], [unexpected event], [suggestion], [contrast] and [contrary to expectation] according to the context between the antecedent and following clause and described their features and boundaries. Additionally, it suggested ‘-는데’ is perceived as figure-background theory depending on the size of space, time sequence, proper relevance and attention concentration. And then it revealed that among five meaning functions, [explanation] is the prototype meaning based on source domain and grammaticalization. Chapter 3 reviewed how to explain ‘-는데’ and the suitability of example sentences for meaning functions in 7 Korean textbooks in universities and 8 grammar reference book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First of all, it pointed out that Korean learners can understand in a detached way when [contrast] or [proposal] is provided first. Additionally it pointed out that the textbooks are required to provide various and proper examples because learners accept the meaning of the grammar through example sentences. Furthermore this paper reviewed Korean dictionaries and grammar book references critically in the point that Korean teachers are the most dependent on them. Urgently they need to make up of a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proper examples for ‘-는데’. Especially every books give different information on ‘-는데’ functions and alternative grammar items. These problems are revealed in interview with at least five years experienced teachers. Chapter 4 established a teaching-learning system that understanding grammar can lead to communication skills. To ensure effective learning it proposed prototype meaning, frequency and task or function in selecting hierarchy criteria. After five proposal in teaching-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principle in grammar education, it also designed ‘-는데’ teaching-learning model including the hierarchy and contents. Chapter 5 organized teaching-learning contents with a broader and deeper connection through prototype to extended meaning. Providing effective task or functions with grammar information depending on ‘-는데’ meaning functions can enable learners to use ‘-는데’ more like Korean natives. Furthermore, it explained the differences between ‘-는데’ and alternative grammar items by accepting the interviews of teachers. The significance of this dissertation is as follows. First it expla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antecedent and following clause of ‘-는데’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in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 meaning function for [unexpected event], which was not presented or noticed in previous studies, was newly illuminated. Additionally it suggested that ‘-는데도’ should be treated as [contrary to expectation] as an extended meaning of ‘-는데’ rather than as an independent meaning function. It is also meaningful to design ‘-는데’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prototype to extended meaning. Nevertheless, there are limitations to research the learners' survey and expected grammar, detailed class methods of how to apply this research performance and the results of the ‘-는데’ acquisition. These details, which have not been addressed, leave them as challenges ahead of time. 본 연구는 연결어미 ‘-는데’가 선행절과 후행절 관계에 따라 여러 의미로 해석되어 ‘-는데’ 교수-학습 시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다양한 의미를 가진 ‘-는데’가 실제 언어생활에서 자주 사용된다는 점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는데’를 원활 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내용을 체계화하여 한국어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는데’ 선행절과 후행절에 나타나는 주어, 서술어, 선어말어미 결합, 후행절 문장유형, 부정부사 공기제약 등의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어 후행절의 의미기능을 [설명], [뜻밖의 일], [제의], [대립], [기대 어긋남] 5가지로 나누어 그에 따른 특징과 경계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는데’ 선‧후행절이 공간의 크기, 시간의 전후, 적절한 관련성, 주의집 중에 따라 배경과 전경으로 인식됨을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근원영역의 위계와 문법화를 근거로 ‘-는데’의 중심의미는 [설명]임을 밝히고 [뜻밖의 일], [제의], [대립], [기대 어긋남] 순으로 확장의미가 됨을 주장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학습용 교재와 사전 및 문법서의 ‘-는데’ 제시 양상과 예문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학습용 교재의 경우 초급에서 후행절의 문장종류만으로 ‘-는데’ 의미기능 중 [대립]이나 [제안]을 먼저 제시하고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는데’의 의미를 단절적으로 받아들여 ‘-는데’를 제대로 이해 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다양한 예문을 통해 문법항목의 의미를 파악하는 경향이 있는데 의미기능별로 제시된 학습용 교재의 예문이 적절하지 않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한국어 사전 및 문법서는 한국어 교사가 수업을 위해 가장 의존하는 참고자료이다. 그러나 한국어 사전 및 문법서에서 제시된 ‘-는데’를 검토한 결과 체계 적인 분류와 그에 대한 예문의 보완이 시급해 보였다. 또한 ‘-는데’와 대치 가능한 문법 항목에 관한 것도 한국어 사전 및 문법서마다 달랐다. 이러한 기존 문법서의 문제는 한국어 교사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에서도 여실히 드러나 5년 이상의 경력교사들도 ‘-는데’에 대한 인식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4장에서는 문법에 대한 이해가 의사소통 능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교수-학습 체계를 마련하였다. 우선 ‘-는데’의 의미기능 위계화 선정기준으로 중심의미와 사용 빈도를 삼았다. 동시에 ‘-는데’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만큼 과제‧기능도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문법교육의 교수-학습 내용 원리를 바탕으로 ‘-는데’가 가진 중심의미에서 확장의미로 점점 폭넓고 깊이 있는 연계성을 가진 교수-학습 내용 모형을 설계하였다. 5장에서는 본고의 앞선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는데’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의미기능별 과제‧기능과 함께 통사, 의미, 담화 정보도 더불어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는데’와 대치 가능한 문법항목들의 차이를 제시하 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보다 더 한국어답게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고는 실제 언어생활에서 다양하게 해석되는 연결어미 ‘-는데’에 대해 문법적 특성을 면밀히 살펴 한국어 교육을 위해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으로 ‘-는데’ 선‧후행절 관 계를 설명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는 제시되지 않았거나 주목 받지 못한 [뜻밖의 일]에 대한 의미기능을 찾아 새롭게 조명하였다. 또한 ‘-는데도’가 독립된 의미기능이 아니라 ‘-는데’의 확장의미로 [기대 어긋남]으로 다루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를 포함한 ‘-는데’ 후행절의 5가지 의미기능을 위계화하여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는데’ 교수-학습 내용을 체계화한 데에 의의를 둔다. 향 후 이 연 구 가 ‘-니’, ‘-다가’, ‘-더니’, ‘-도록’과 같은 연결어미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는데’ 인식조사 및 기대문법, 구체적인 수업 방안과 ‘-는데’ 습득 결과를 살피지는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미처 다루지 못한 이러한 내용들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 영어 동반이동에 관한 최소주의 접근

        전정미 부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various syntactic characteristics about wh-movement and Pied-Piping and review various syntactic analyses to explain the Pied-Piping phenomenon proposed in the generative grammar. Wh-movement is driven in order to check [WH], [EPP] and [TNS] features carried by other constituents. Wh-movement must be subsumed under the Attract Closest Principle and Chain Uniformity Principle (Radford 1997) not to violate Subjacency Condition and it applies in successive cycles from bottom to top. Pied-Piping is common in NP or PP, but it impossible in CP and AP, which don't have [WH] feature. A relative pronoun occupying Spec-CP position in a relative clause is given a null spellout at PF optionally in a finite clause, obligatorily in a non-finite clause. The difference between Pied-piping and Preposition stranding is whether the sentence is formal style or not. In formal styles the preposition is Pied-Piping along with the wh-word, while informal styles the wh-word is preposed on its own, leaving the preposition. In the frame work of GB, Pied-piping is derived under Spec-Head relation proposed by Koopman(1996). His analysis has some empirical problems in relation to account of the Pied-Piping by adjuncts of DP between the possibility of binding. Chomsky's Convergence Principle under which the [WH] feature on C attracts the smallest constituent containing a wh-word is not without problems. Because there is languages like Polish his movement analysis is not universal and it is not clear how such data can be dealt with under the convergence account. Feature-Agreement advocated by Sag(1997) is an analysis underlying metaphorical claims that a wh-feature can percolate from a complement onto a preposition, or a preposition can inherit a wh-feature from its complement. However it is questionable that the proliferation of wh-features is morphologically motivated and how far a [WH] feature can percolate. In short, this paper discusses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analyses of Pied-piping on the key concepts of Minimalism Program and in coming years of work in syntactic theory I hope further study will be focused on what forces large-scale Pied-Piping.

      • 흔적이론을 통한 내적 심상의 추상성에 관한 연구 : 연구작 <Tree of life>연작을 中心으로

        전정미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더니즘 회화의 이론적 배경이 된 “모든 회화는 질료로 뒤덮인 하나의 표면이다.”라는 모리스 드니(Maurice Denis)의 선언처럼, 회화가 후경을 무시하고 전경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모더니즘 회화가 이룩한 거대한 혁신이자 새로운 추상의 시발점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선언에 귀 기울인 화가들이 새로운 추상의 경지에 근접하면서, 모더니즘 회화는 여러 유형의 가능성을 갖게 된다. 그것은 색면을 바탕으로 하거나 음영을 바탕으로 하는 추상에서 표현주의 추상과 앵포르멜 추상 등으로 이어진다. 그 과정에서 작가들은 자신의 표현방식을 새롭게 개척하여 하나의 기법을 자신의 특수한 개성으로 연결시키는 시도를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연구자도 물감과 한지를 이용한 전경을 활용하는 표현기법을 모색하면서, 두터운 물성의 표현을 연구하였고, 결국에는 추상화 과정에 이르게 되었다. 종교적인 이미지와 서정적인 표현방식을 통해서, 내면의 순수함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드러내고자 했으며, 자연과 사랑의 상징성을 묶어서 표현함으로써, 현대미술의 경직된 틀을 벗어나고자 하였다. 색채를 겹겹이 쌓아 화면 위에서 섞이게 하는 과정에서 몽환적 색채, 두터운 물성과 질감 표현이 되는 기법을 채택했으며, 색채에 있어서는 고유색이 아닌 추상적 색채의 면모가 엿보이는 조형세계를 구축하였다. 연구자 작품의 주제인 <생명나무>에서 ‘나무’는 실체적이라기보다 상징적이다. 무한한 정신세계에 반영된 자연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여 성서 속의 나무, 사랑과 은총, 자연과 생명력을 언어화시키고, 현대인들에게 희망적 메시지를 전하고자 하는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나아가서 상징성은 내면에서 영혼의 모티브로 더욱 심화되면서 화면에서 나무의 형상이 해체되고 결국 추상화된다. 나무의 부분을 확장하거나 부분을 지우고 해체하는 과정에서 흔적이 남는데, 지우기와 생성을 반복하면서 남겨진 흔적을 중요한 요소로 들었다. 추상을 기호학적으로 변환시켜 보다 진보적인 회화를 창출할 수 있었는데, 그것은 단순히 미적인 표현에서 개인의 사적인 이야기를 담아내는 방향으로도 전개될 수 있었다. 연구자의 연작으로 시작된 <Tree of Life> 시리즈는 이미지와 색상, 음영이 조화를 이루어 단순히 시각적인 미의 표출에 그치지 않고, 빠른 속도와 가상의 이미지들이 혼재하는, 오늘날 메말라 가는 사랑 혹은 자연에 대한 포용과 회복을 염원하는 의지가 작업 이면에 존재하고 있다. 예술은 정신의 표현이며, 개별적으로 보면 예술가 영혼의 감정이고, 시대적 관점에서 보면 시대정신이며, 예술가를 통해 지지되고 작품화된 새로운 가치의 표출이기도 하다. 개개인의 예술가들이 자신들만의 메시지를 표현하듯이 연구자도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감정들을 표현하고자 하였고, 그 표현을 통하여 다소 주관적인 종교적 성향을 구체화하고자 하였으며, 그것을 객관화하여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해 연구했다. 이러한 접근들은 내면세계를 시각화하는 과정을 통해 시도되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추상적인 표현에 이르게 되어, 자유로운 창작활동으로 확대하여 나감과 동시에, 지속적인 분석과 보완을 통해, 향후 전개될 새로운 창작 활동을 구축해 나가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 놀이치료의 사례개념화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전정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list of case formulation components for play therapy, examine play therapists’components and investigate variables relating to the case formulation components. To elicit case formulation components for play therapy, a total of 34 play therapists were interviewed, and a content analysis of the interviews was conducted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the appropriacy was verified by play therapist specialists and child psychology professors three times in total. Then, final 32 components were chosen. To verify differences in the search of play therapists’components depending on the search level, disability categories and developmental stages using the final components, a total of 204 play therapists who had the experience of case formulation before were examin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test were conducted.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s: First, a total of 32 play therapy case formulation components were chosen through appropriacy verification. The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search for chief problems in child report, search for chief problems in parent and guardian (or teacher) report, body, propensity, language, emotion, relationship, coping ability, child’s strength and weakness, parent, family, environment, psychological assessment, assessment on parent-child relationship assessment, developmental assessment, sense assessment, segmentation of play activities, category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script description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sphere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affective components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cognitive components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narrative components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developmental components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adaptive and defensive strategies, child’s desire for the therapy, parent’s desire for the therapy, goal setting for play therapy, desire for parent counseling and goal setting for parent counseling. Second, in terms of the search level for play therapists’ components, the affective components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parent and guardian (or teacher) report of the search for chief problems. Meanwhile, a relatively low search level was found in sense assessment. Third, the search level of the play therapists’case formulation components varied depending on disability categories. Among a total 32 subcomponents, in other words, difference in the search level by disability categories was found in all components except for personal information, cognition, child’s strength and weakness, sense assessment, category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and cognitive components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Fourth, the search level of the play therapists’ case formulation components differed depending on developmental stages. Among a total 32 subcomponents, in other words, difference in the search level by developmental stages was found in search for chief problems in child report, propensity, cognition, emotion, coping ability, child’s strength and weakness, psychological assessment, parent-child relationship assessment, developmental assessment, script description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affective components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cognitive components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narrative components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developmental components of the play activity segment, adaptive and defensive strategies and child’s desire for the therapy. The study results unveiled the components of play therapy case formul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data. As a result, it appears that they would be helpful in making play therapists build expertise and understand client children in a planned and systematic manner, enhancing the effects of the play therap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y would be available in training and education for play therapists and promoting case formulation-related studies. 본 연구는 놀이치료의 사례개념화 구성요소 목록을 개발하고, 놀이치료자들의 구성요소에 대한 탐색정도, 그리고 놀이치료 사례개념화 구성요소와 관련된 변인들은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놀이치료 사례개념화 구성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예비연구에서 놀이치료자 34명을 대상으로 개인면접을 실시하여 면담내용을 내용분석했다. 한편 예비연구 결과의 유목화 및 명명화 문제로, 본 연구에서 놀이치료전문가 및 아동심리치료 전공 교수들에게 3차에 걸쳐 적절성 검증을 받아 최종적으로 32개의 요소를 선정했다. 최종 선정된 요소를 활용하여 놀이치료자들의 사례개념화 구성요소에 대한 탐색정도와 장애범주 및 발달단계에 따른 놀이치료자의 구성요소 탐색정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례개념화 경험이 있는 놀이치료자 204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조사했다. 또한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t-test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적절성 검증을 통해 총 32개의 놀이치료 사례개념화 구성요소가 최종 선정되었다. 이에는 인적사항, 아동보고에 의한 주호소 문제 탐색, 부모 및 양육자(혹은 교사) 보고에 의한 주호소 문제 탐색, 신체, 기질, 인지, 언어, 정서, 관계, 대처능력, 아동의 강점 및 약점, 부모 개인, 가족, 환경, 전반적심리평가, 부모자녀관계평가, 발달평가, 기질평가, 놀이 활동의 세분화, 놀이 활동의 범주, 놀이 활동에 대한 각본 기술하기, 놀이 활동 영역, 놀이 활동에서 관찰된 정서적 구성요소, 놀이 활동에서 관찰된 인지적 구성요소, 놀이 활동에서 관찰된 이야기 구성요소, 놀이 활동에서 관찰된 발달적 구성요소, 대처와 방어전략, 아동의 치료욕구, 부모의 치료욕구, 놀이치료 목표수립, 부모상담 욕구, 그리고 부모상담 목표수립이 포함되었다. 둘째, 놀이치료자들의 각 요소에 대한 탐색정도에서는 놀이평가의 놀이 활동에서 관찰된 정서적 구성요소가 가장 높은 탐색정도를 나타냈으며, 주호소 문제 탐색의 부모 및 양육자(혹은 교사) 보고는 두 번째로 높은 탐색정도를 보였다. 한편 사례개념화 구성요소 중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탐색정도를 나타낸 것은 기질평가였다. 셋째, 장애범주에 따라 놀이치료자의 사례개념화 구성요소 탐색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즉, 32개의 하위요소 중 인적사항, 인지, 아동의 강점 및 약점, 기질평가, 놀이 활동의 범주, 그리고 놀이 활동에서 관찰된 인지적 구성요소를 제외한 모든 요소의 탐색정도에서 장애범주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달단계에 따라 놀이치료자의 사례개념화 구성요소 탐색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즉, 32개의 사례개념화 구성요소 중 아동보고에 의한 주호소 문제 탐색, 기질, 인지, 정서, 대처능력, 아동의 강점 및 약점, 전반적심리평가, 부모자녀관계평가, 발달평가, 놀이 활동에 대한 각본 기술하기, 놀이 활동에서 관찰된 정서적 구성요소, 놀이 활동에서 관찰된 인지적 구성요소, 놀이 활동에서 관찰된 이야기 구성요소, 놀이 활동에서 관찰된 발달적 구성요소, 대처와 방어전략, 그리고 아동의 치료욕구에서 발달단계에 따른 탐색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문헌검토와 경험적 자료들을 통해 놀이치료 사례개념화의 구성요소를 밝힘으로써, 놀이치료자들에게 전문적 성숙을 촉진시켜 내담아동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놀이치료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가 놀이치료자 훈련 및 교육과정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또한 사례개념화 관련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