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새로운 거대고리 아자-크라운 에테르 화합물에 관한 연구

        전인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7년 C. J. Pedersen 에 의한 크라운 에테르의 합성은 유기화학, 생화학, 그리 고 의약화학 분야에서 새로운 장을 열어주었다. 크라운 화합물들과 아자-크라운 화합물, 크립턴드(cryptand) 화합물, 광학활성을 갖는 크라운 화합물들과 래리앳(lariat) 화합물들과 같은 크라운 유사 화합물들은 “host-guest” 착 화합물, 키랄 인식, 그리고 키랄 촉매등과 연계되어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키랄 14-고리 아자-크라운 에테르 화합물 33 의 합성에 관한 것이다. 화합물 33 은 크로만(chroman) 구조에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를 보유한 화합물 26 과 29 를 주요 중간체로 합성되었다. 이 화합물들은 묽은 용액상태가 아님에도 분자내 고리반응에 의해 높은 수율로 얻어졌다. 화합물 33 을 THF 용액에서 보란으로 처리하여 새로운 아자-크라운 에테르 42 를 얻었고, 화합물 42 로부터 전자 주게가 있는 곁 사슬을 포함한 14-거대고리 아자-크라운 에테르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즉, 화합물 33 과 42 의 합성은 거대고리 수용체로써 뿐만 아니라 양이온 결합성질을 증가 시킨 크립턴드 화합물들과 래리앳 화합물들의 중간물질로써 아주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Arndt-Eistert 반응과 Wittig 반응 등을 이용하여 탄소 길이를 늘림으로써, 아자-크라운 에테르의 고리 크기(cavity)를 가진 아자-크라운 에테르계 화합물을 합성 할 수 있다. The study about crown ether compounds in 1967 by C. J. Pedersen opened new horizons in organic, biological, and medicinal chemistry. Applications of crown compounds and their analogues, including azacrown compounds, cryptands, optically active crown compounds, and lariat crown ethers, have been focused in areas such as host-guest complexation chemistry, chiral recognition and chiral catalysts. We synthesized racemic and chiral 14-membered cyclic 33 with two chroman rings by the macrolactonization of chroman compounds bear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These have prepared in good yields without the use of a high dilution. Reduction of 33 with borane in THF produces a new azacrown ether 42. There is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complexation chemistry of 14-membered macrocyclic azacrown ethers with a side chain containing donor atoms. So, the preparation of new chiral and racemic 14-membered cyclic 33 and 42 is very important in using as macrocyclic molecular receptors as well as valuable intermediates for the synthesis of lariat ethers and cryptands that enhance cationbinding properties. Also, because we can control the cavity of azacrown ethers through the extension of a carbon chain by the Arndt-Eistert synthesis and Wittig reaction, we predict that azacrown ethers behave as good selective receptors.

      •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모임 장소에 관한 연구

        전인철 장로회신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4세기 초 콘스탄티누스에 의해 로마가 사실상 기독교 국가가 되고, 바실리카 양식의 건축물이 일반적인 모임 장소로 인식되기 전,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모임 장소는 종교 건물이 아니었을 것이다. 1980년대부터 시작된 ‘가정교회(House church)’에 대한 연구들은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거의 ‘집’에서 모임을 가졌을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집’ 이외에 다양한 장소에서 모임이 이뤄졌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그 장소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된다. 1장은 연구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절차를 다루고 있다. 2장은 바울 서신에 나타난 모임 장소들을 제시한다. 장소를 찾기 위한 첫 번째 증거로 ‘가정교회 형식구’(h` katV oi=kon + 인칭대명사 evkklhsi,a|)를 검토한다. ‘oi=koj’가 ‘집’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거주지’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그 장소들을 기존 연구들과 다르게 제시한다. 두 번째로 고린도전서 14장 23절을 토대로, 고린도 교회 내에 존재하였을 ‘소집단 모임’과 ‘온 교회 모임’의 장소를 제시한다. 세 번째는 로마서 16장 10-15절에서 바울이 문안할 것을 권하는 사람들의 목록을 통해, 그들의 모임 장소를 추정하였다. 3장은 사도행전에 나타난 장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사도행전은 모임 장소로서의 ‘집’ 배경을 가장 많이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그렇기 때문에 분명한 본문들, 다소 논란이 있는 본문들, 그리고 추측에 근거한 본문들로 나누어 사도행전의 각 구절들에 나타난 모임 장소들을 제시한다. 4장은 교부 문서에 나타난 장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각 문서들의 내용을 소개하는 방법으로 ‘집’, ‘상점과 작업장’, ‘헛간’, ‘호텔과 여관’, ‘식당’, ‘목욕탕’, ‘정원’, ‘물 가’, ‘장지’ 등의 장소를 모임 장소로 소개한다. 5장은 로마 시대의 일반적인 모임 장소들을 살펴보고 있다. 특히 각 장소들이 종교 활동에 있어 대중적인 장소였음을 증명하고, 로마 사회의 일원이었던 그리스도인들에게도 그 장소가 충분히 사용 가능한 장소였음을 증명한다. 그 장소들을 크게 세 영역으로 나누었는데, 첫 번째는 소매상, 헛간, 창고이고, 두 번째는 상업적 환대와 여가의 장소이며, 세 번째는 야외 공간이다. 마지막 장은 앞서 살펴보았던 장소들을 종합하여 정리한 후, 본 연구가 지니는 신학적, 실천적 함의를 밝히고 있다.

      • ER stress에 의해 유발된 C6 glial cells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龍腦의 보호효과

        전인철 圓光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는 단백질의 합성, 조합, 그리고 분비와 막단백질의 적절한 역할 등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ER stress는 소 포체 내에 잘못 조합된 단백질(unfolded proteins)의 축적을 보이며 지속적인 ER stress는 세포사멸을 야기하게 된다. 최근에는 Alzheimer's disease를 비롯 한 신경계 퇴행성질환들, 당뇨병 등에서의 ER stress의 역할과 질병유발 기전 에 대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龍腦가 중추신경계 세포 손상으로 인한 질병에 보호약재 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C6 glial cells에 대한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6 glial cells에 thapsigargin에 의한 ER stress를 유도하여 세포사멸을 유발 시킨 후 LDH 방출 변화, 세포내 Ca++농도의 변화, ROS 생성, 그리고 ER stress에 관련된 Grp78, Grp94, CHOP, caspase 12, XBPl, ATF4의 발현 변 화를 관찰하고, 龍腦의 전처리가 ER stress에 의한 C6 glial cells 손상에 미치 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백서로부터 분리한 astrocytes에도 ER stress를 유발 시켜 龍腦의 보호효과 알아보았다. 그 결과 龍腦는 C6 glial cells에 대해 50 ug/ml에서 높은 생존율(107%)을 보 였으며, DNA ladder와 LDH 방출양과 양상을 통해서도 thapsigargin에 의한 C6 glial cells의 세포고사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龍腦의 전처리는 thapsigargin에 의한 Ca++의 세포내 축적과 활성산소 생성, Grp78, Grp94, XBP1, AFT4, CHOP, caspase 12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백서로부터 분리한 astrocytes에도 ER stress를 유발시켜 龍腦의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龍腦는 ER stress에 의해 유발된 C6 glial cells의 산화적 손상을 보호 함을 확인 하였다.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 is an important genomic response to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The ER response is characterized by changes in specific proteins, induction of ER chaperones and degradation of misfolded proteins. Also, the pathogenesis of several diseases like Alzheimer's disease, neuronal degenerative diseases, and diabetes reveal the role of ER stress as one of the causative mechanisms. Borneolum has been used for neuronal disease in oriental medicine. In the present study, the protective effect of borneolum on thapsigargin-induced apoptosis in rat C6 glial cells. Treatment with C6 glial cells with 5 uM thapsigargin caused the loss of cell viability, and morphological change,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 level, the increase in Grp78 and CHOP and cleavage of pro-caspase 12. Furthermore, thapsigargin induced Grp98, XBP1, and ATF4 protein expression in C6 glial cells. Borneolum reduced thapsigargin-induced apoptosis through endoplasmin reticulum (ER) pathways. In the ER pathway, borneolum attenuated thapsigargin-induced elevations in Grp78, CHOP, ATF4, and XBP1 as well as reductions in pro-caspase 12 levels. Also, our data showed that borneolum protected thapsigargin-induced cytotoxicity in astrocytes from rat (P3) brain. Taken together, our data suggest that borneolum is neuroprotective against thapsigargin-induced ER stress in C6 glial cells and astrocytes. Accordingly, borneolum may be therapeutically useful for the treatment of thapsigargin-induced apoptosis in central nervous system.

      • 한국 물류기업의 효율적인 중국진출에 관한 연구

        전인철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로 인해 세계 각국의 많은 기업들이 사업 지역의 확대와 더불어 사업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자국의 영역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성장가능성을 중심으로 많은 기업들이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경제 블록화 현상으로 인해 국가간 무역규모에 많은 차이가 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북아가 중국을 중심으로 급격히 성장해 나감으로써 세계의 중심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중국은 WTO가입과 함께 시장을 개방해 나감에 따라 다국적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재는 중국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세계 제조업의 흐름이 중국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처럼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중국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동북아를 구성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에도 큰 파급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동북아를 한국, 중국, 일본의 3국으로 보면 한국은 중국, 중국은 일본, 일본은 한국에 무역흑자를 내고 있는 삼각구조의 무역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동북아 내에서 한국의 무역이 중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중국 시장이 수출입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교역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만큼 물동량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한국의 물류기업들이 중국 진출을 서두르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중국의 물류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큰 시장으로 세계적인 물류기업들이 진출을 시도하여 시장 잠재력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 한국의 물류기업 역시 동북아의 중심인 중국에 상당부분 투자를 비롯한 진출을 모색하고 있고, 또한 많은 기업들이 진출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기존에 진출한 한국 물류기업들이 실패를 비롯한 어려움을 겪는 것도 현실이다. 중국은 한 나라라고 보기에는 너무 방대한 규모의 시장을 갖고 있고, 뿐만 아니라 시장 진입이 좀처럼 쉽지 않다. 같은 유교문화권과 동양적 정서를 공유하고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라는 가깝고도 먼 나라에 대한 시각차이도 엄연히 존재한다. 이처럼 중국의 물류시장은 한국 물류기업에 가장 큰 성공의 가능성과 동시에 위험요소를 안겨줄 수 있는 곳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 물류기업의 장점과 단점을 살펴보고, 나아가 위험요소를 최소화 하면서 효율적인 중국 진출의 길을 열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국내에서 조차도 영세한 물류기업의 현실을 감안할 때, 충분한 인력과 자금력 및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대기업들이 전략적으로 중국 물류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 진출한 외국계 다국적 물류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대형화를 통해 물류네트워크 확보와 종합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물류기업들이 진출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위해서는 국내의 현대, 삼성, LG등 대기업 그룹들이 물류회사를 설립하여 중국에 진출하고 있는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 제조업체들의 제2자물류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중국 시장을 겨냥한 제3자물류로 그 범위를 확장시켜 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효율적인 중국 물류업계 진출의 방안으로는 첫번째로 중국 현지에 적응할 수 있는 시장조사가 필요하다. 현지 물류 현황과 사정을 숙지하고 이에 맞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이것은 수많은 위험요소를 회피하고, 향후 성공과 발전을 담보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소이다. 두번째로 전략적 제휴 또는 합병을 고려해야 한다. 중국에는 세계적인 다국적 물류기업들이 진출해 있고, 한국 물류기업은 그들과 경쟁해야 한다. 중국의 물류시장도 네트워크 구축과 경쟁우위 확보를 위하여 전략적 제휴와 인수합병, 합작투자와 같은 방식으로 외국 물류기업들이 대형화되고, 전문화되고 있다. 세번째로 네트워크 확보를 통한 대형화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야 한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 물류기업 중 영세한 한국 물류기업은 포워딩, 수송, 창고 등의 대형화를 추진하여 그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략적인 글로벌 네트워크 확보전략이 가시화 될 경우 보다 안정적인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네번째로 우리의 장점인 IT를 기반으로 폭넓은 물류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중국의 물류기업들도 다양하고 전문화된 정보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지만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중국에 진출하는 한국 물류기업의 강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다양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번째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활발한 물류활동과 더불어 불필요한 한국 물류기업끼리의 경쟁을 줄여나갈 수 있는 제도적인 지원이 정부 또는 관련기관 및 협회단체 등으로 부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번째로 중국의 정책 및 제도를 충분히 숙지해야 한다. 중국은 각 성과 시등 지방 행정 기관마다 상이한 정책과 제도를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를 사전에 검토하여 진출 지역과 방법을 선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처럼 중국 진출을 했거나 앞으로 하려고하는 한국 물류기업은 많은 위험요소를 줄이고 수익률 확보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며, 정부와 관계기관, 협회단체 등은 이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의 제도적,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world economy globalization causes around the world, many of the companies in this business area enlargement and with the business area of the dovetailing of. And did not stop its growth potential in the area around the market, many companies are expanding. Artifact due to the economy to international trade breaks out many differences, and the Northeast have recently focused on rapidly growing Chinese artifacts is establishing itself as the center of the world. With WTO membership, China opened the market that as they entered China and the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now with China's economic growth and global manufacturing center of China, the reorganization of the flow is no exaggeration to say. Thus China's role as the center of the world economy is expanding gradually, which are configured in Northeast Asia, Korea and Japan also are bringing a big ripple effect. Northeast Asia, Korea, China, Japan, Korea is another country of the three Chinese, China, Japan, Japan's trade surplus with South Korea's trade pattern indicates the structure is triangular. This is in Northeast Asia, Korea's trade has seen the rise of China and China account for a large part of export markets can be said, increased trade and traffic volume is increasing as a means. The logistics of Korea are rushing into China and is one of the reasons why. China's logistics market is more likely that the growth of a global logistics company attempting to break into the market has the potential to take advantage. Korea's logistics hub in Northeast Asia, too much investment in China, including seeking to enter, and also because many companies compound is also. But recently, the failure of the existing logistics, including South Korea entered the difficulties it is a reality. China is a country view, the market has a very large scale, and only rarely is not easy to market. Share the same Confucian culture and the oriental atmosphere and the close and distant lands, even if China, for a distinctly different perspective exists. Thus, China's logistics market in South Korea's largest logistics companies with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strikes at the same time to place risks. In this paper, the Chinese presence in Korea and examin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ogistics, while further minimizing the risks in China in an efficient way is to find ways to open. To do this, first of all, not even in Korea, given the reality of spiritual detailed logistics, adequate manpower and funding, and has a network of strategic enterprises in the Chinese logistics market is expected to be desirable to advance. Chinese market, with foreign multi-national logistics companies to win the competition with a larger distribution network to provide secure and comprehensive logistics services, the ability of the logistics should be advanced. To achieve this, the country's Hyundai, Samsung, LG and established logistics companies with large groups are expanding in China, Hyundai Motor, Samsung Electronics, LG Electronics of South Korea-based manufacturer of 2 by party logistics market in China aimed at the future with 3rd Party Logistics to expand its scope would need to go out. Effective ways of entering the Chinese logistics as our first market research in China to adapt to local needs. Familiar with the local logistics status and circumstances and therefore, must build a strategy. This is to avoid the numerous risk factors, you can ensure the future success and development is a basic element. Second, you should consider strategic alliances or mergers. In China, the compound is a global multi-national logistics companies, logistics companies they compete with South Korea should be. China's logistics market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building networks and strategic alliances to mergers and acquisitions, joint ventures and foreign logistics companies in the same way they are larger, are specialized. To secure the network through a third larger economies of scale should be realized. Our small Chinese market of South Korea, South Korea logistics forwarding logistics, transportation, storage and the ability to promote larger, it is important to secure. This global network of strategic security strategy will be visible if you will be more stable expansion. The fourth merit of our wide range of IT-based logistics services should be provided. China, too diverse and specialized logistics companies expanded their investment in information systems, but is still insufficient. South Korea to China to advance the power of logistics in order to ensure a professional, systematic should be able to provide various logistics services.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to fifth. Logistics activities and logistics company with an active competition between South Korea and may reduce unnecessary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government or related agencies and associations will be needed from organizations such as. As the sixth of China's policies and institutions should be familiar enough. China, each and every city and local government agencies with different policies and systems to run it because it must be reviewed prior to the entry area and is also important to select. We are trying this in China or Korea and logistics companies to reduce risk factors that yield a lot of variety to ensure you will not spare any effort, government agencies, associations, organizations, etc. to support them in various institutional and policy effort will.

      • 우리나라 지방분권의 효과적인 추진방향

        전인철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sirable precondition for a democratic local autonomy includes transferring the legitimate powers of a central government to its local governments. Because it will be very helpful to the realization of participatory democracy by providing administrative services that the residents in local governments demand. Along with the beginning of a local autonomy in Korea, the demands of decentralization have been perceived one of the main issues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a local autonomy. Korean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many policies to transfer central government's powers to local governments, includ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powers and so on. Performance of these decentralization policies, however, is general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purposed goals of these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ive ways to implement the decentralization policy through evaluating performance of the policies. Firstly this study executes the performance evaluations of the decentralization policies that the former Administrations including Lee Myeong-Bak implemen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se policies. Secondly the study finds the problems of the decentralization policies to suggest special plans for the new Administration. Finally the study does the case study about the decentralization policies of foreign countries including United Kingdom, France, Japan, and Germany to finds the implications for korean decentralization policy. The problems of the decentralization policies especially in the Administration Lee Myeong-Bak which are foun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ision and the policy goals for a local decentralization are unclear and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local decentralization policy of the former Administration Roh Moo-Hyun. Second, the performance of the main decentralization subjects like re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powers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legitimate actions for strengthening local governments' financial capacity. Third, there is the lack of laws that can enhance the ability of self-government. Forth, the Administration Lee does not strongly implement the decentralization policy because it still adheres a centralization of power. Fifth, the Administration Lee fails to expand the climate for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local decentralization to public. Based on the problems of decentralization policy in the Administration Lee Myeong-Bak,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decentralization policy in the new administr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revision of constitution for strengthening the right of self-government or the creation of special organization that can accomplishes the local decentralization systematically and synthetically like a standing special decentralization committee. Furthermore the study shows the specific plans for the effective local decentralization including transferring special local administration agencies to local governments and expanding autonomous finances for strengthening self-government. In conclusion, Lee Myeong-Bak government has an indomitable will about decentralization. Therefore this time is an important turning point of decentralization in Korea.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decentralization, the local governments in Korea would enhance their ability of self-government and increase their own autonomy.

      • 시각(視覺) 자극에 따른 시기능의 변화와 조절이완장치의 임상평가에 관한 연구

        전인철 을지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VDT 작업 및 다양한 시생활 환경에서 발생되는 시각(視覺)자극이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안정피로 개선을 위해 개발된 조절이완장치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각 환경에 대한 시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VDT 작업, ±2.00D 와 6△ 렌즈의 가입, 주시각도 및 조도 등 시각 환경이 다른 상태에서 시기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조절이완 장치 착용 전과 후의 시기능 검사 결과와 설문을 통한 임상평가를 실시하였다. VDT 작업 후 근시도가 증가하고(-0.15D) 내사위 방향으로 수평사위도도 증가하였으며(1.11△), 근거리 시력과 조절용이성은 감소하였다. 플러스렌즈와 마이너스렌즈를 이용한 경사 AC/A 비는 양안시기능이 정상인 그룹에서 플러스렌즈와 마이너스렌즈로 측정한 AC/A 비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양안시이상 그룹에서는 마이너스렌즈에 의한 AC/A 비가 더 컸다. 마이너스렌즈에 의한 조절반응과 경사 AC/A 비는 양의 상관성(r=0.58)을 보였고, 자극 AC/A 비보다 반응 AC/A 비가 더 높았다. 눈앞에 BI 프리즘을 가입하면 근시도가 감소하고, BO 프리즘을 가입하면 근시도가 증가하였으며, 그 양은 약 0.3D/MA로 나타났다. 상방주시에서는 조절력과 폭주력에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방주시에서 조절력은 증가하였고, 양성융합버전스와 음성융합버전스 및 수직융합버전스 모두 감소하였다. 10 Lux로부터 조도가 증가할수록 조절력도 함께 증가하다가 일정해지는 지수감소곡선을 보였으나, 폭주력은 조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일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이완장치 사용 전과 후 굴절이상도, 근거리 시력, 수평사위도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안 조절용이성은 VDT 작업 후 13.99cpm에서 12.81cpm으로 1.18cpm 감소하였으나, 조절이완장치를 사용한 경우 2차와 3차에서 각각 1.29cpm과 0.98cpm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조절이완장치 착용 전과 비교하여 눈의 피로도, 작업능률 등이 자각적으로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으나, 기기의 소음과 착용감 등의 불편한 사항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각적 환경과 자극에 따라 시기능이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근무 여건이나 검사환경에 따라 시기능 검사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최근 개발된 조절이완장치는 착용상의 불편사항을 개선한다면 조절이완장치의 착용이 근거리 작업과 관련한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근거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라 생각된다.

      • 國際 競爭力 强化를 위한 大學院 制度 改革에 대한 硏究

        전인철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 나라 대학의 대중화 현상은 양적인 측면에서 커다란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이와 함께 대학원 교육도 놀라울 만큼 양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대학 교육이 양적으로 팽창함에 따라 대학원 교육은 규모의 확대뿐만 아니라 그 기능에 있어서도 다양성이 요청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학원 교육의 양적 성장과 기능의 다양화와 함께 전문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 질적인 향상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고등교육제도의 구조와 운영체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선진외국의 주요 국가들의 교육제도와 교육개혁을 비교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원 제도개혁 방안을 마련하여 대학원의 위상을 재정립하려는데 본 연구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구체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연구의 목적과 내용 문제로는 1. 우리 나라 대학원 교육제도 발전 과정과 실상은 어떠한가 ? 2. 21세기를 맞이하여 대학원 교육개혁을 위한 동향과 새로운 요구는 무엇인가 ? 3. 대학원 교육개혁에 따른 요구에 부응하고 대학원 교육제도가 안고있는 구조적, 제도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 방향은 무엇인가 ? 4. 대학원 교육의 수월성 추구를 위한 정원 및 학사관리, 교육과정 및 교육여건의 개선은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그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인가?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행 대학원 교육제도상의 문제점을 제시해 보면 1. 대학원은 교육여건 면에서 별도의 시설, 설비, 교수 인력 등의 확보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대학에 부속된 과정으로 법령상 규정하고 있다. 2. 교육내용 면에서 지나치게 학문, 이론 중심에 치우쳐있으며, 3. 연구 중심보다는 강의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4. 교육 수요의 다양화 및 특수화에 부응하는 교과과정 체계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5. 모든 대학들이 가능하면 모든 분야에서 대학원 과정을 설치하고자 하고 있으며 6. 대학원 과정 입학 및 학위수여 등에 관한 학사관리 등의 질적 보장 장치가 미흡하고 이로 인한 교육수준의 질적 저하와 대학원간의 질적 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7. 연구, 장학 등 행정, 재정 지원 체제가 확립되어 있지 않는 많은 문제를 지니고 있다. 8. 전문 대학원의 경우 최소한의 교원 확보 요건만 요구, 현장과 면제된 실무보다는 학문이론 위주로 차별성 없는 교육실시 9. 대학원 대학의 경우 설립 요건이 지나치게 쉬워 당초의 도입취지와는 달리 신학대학원 위주로 설립되고 있다. (현 14개 대학원 대학중 10개) 10. 대학원간 차별화, 특성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고등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국제 교육력을 강화하고 미래 지향적인 대학원 교육제도의 바른 정착을 위하여 제1장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제시하고, 제2장 교육의 국제경쟁력과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고등교육의 구조개혁과 기능분화 연구하고, 제3장 선진제국의 대학원 교육제도와 현황을 통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아서, 제4장 교육제도의 구조와 운영체계를 분석하여 현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찾고, 제5장 대학원 교육개혁 정책과 평가를 통한 문헌연구에 주로 의존하였으며, 문헌연구의 한계를 극복, 보완하기 위하여 서울지역 (서울대학교외 11개교), 경기지역 (인천 대학교외 4개교), 강원지역 (강원대학교외 1개교), 충청지역 (충북대학교외 5개교), 전라지역 (전남대외 5개교), 경상지역 (경북대학교외 8개교) 총 40개 대학교 일반 대학원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경쟁력을 재고시킬 수 있고, 그리고 우리의 현실여건에 적합하고 바람직한 대학원 교육의 위상 정립을 위해서 내려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교육의 국제화, 개방화에 따른 우리 나라 대학원의 교육여건은 학문·연구 수준에서 볼 때 열악하기 그지없다. 이러한 교육여건을 회복하고 교육경쟁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대학원의 사회적 가치를 정립하고, 학·연·산간의 협동을 통하여 현장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훈련하는 교육환경을 조성하여야 하겠으며, 이를 위하여 교수·학생들에게 연구비를 지원하고 새로운 기술개발을 위한 교육재정이 확보되어야 하겠으며, 교수의 질적 관리와 대학원 교육내용의 질적 관리를 위하여 실질적인 평가를 실시하는 등 개혁과 기능변화를 위한 정책적 배려가 요구되고 있다. 2.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진외국의 대학원 교육개혁 동향이 학문연구의 욕구충족을 위한 학위 수여기능에서 산업 현장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전문 인력 양성기능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으므로 대학원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재정립하여 지식과 자질이 통합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원의 박사학위 과정 설치가 개방되어야 하겠으며 산업사회의 인력관리 구조 변화에 따른 특수대학원의 주간설치와 함께 산업현장, 연구소, 대학원간의 제도적 협의 체제를 구축하여 학점을 인정하고 수요자의 학문연구를 위한 교육의 장으로 조성되고 개방되어야 하겠다. 3. 대학원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현재 각 대학원의 학생선발방법은 학생들의 연구능력이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자질을 평가하는데 상당히 미흡하다. 따라서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대학원 선발과정에 학부성적, 적성을 고려한 면접, 외국어 구사능력, 컴퓨터 활용능력, 학위과정 연구계획서, 학위 후 연구계획서 등을 고려하여 입학생을 선발하는 제도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4. 국제화, 개방화에 따른 연구중심 대학원으로 개혁하기 위해서는 외국인을 포함한 타교출신의 우수교원 확보와 우수대학원생의 유치, 학부제의 확대 실시에 따른 교과과정의 개선, 교육·연구시설의 확장, 산·학·연을 통한 협동적 연구와 실습을 실천하는 교육목표 변화와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5. 대학원 중심대학의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현재 대학교육에 투자되는 국고보조금의 투자비율을 높여야 하겠으며 이를 위한 재정적 확보가 요구된다. 특히 대학원 교육을 국제 경쟁력 있는 전문인력 양성과 함께 특성화, 다양화하기 위해서는 지원되는 보조금 형태를 국책 대학원기금, 인문사회특성화 대학원 기금, 국제 전문인양성 대학원기금, 기초 과학대학원기금, 대학원 교수개발기금, 대학원 컨소시엄 지원금, 대학원 학생프로젝트기금, 대학원 프로그램개발기금, 대학원 복지기금 등 대학원 교육보조금 제도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6. 21세기를 맞이하여 세계화, 개방화, 전문화의 욕구 속에서 대학원 교육에 기대되는 욕구와 역할을 감안할 때 대학원 교육의 질적 관리를 위하여 대학원 평가 인정제 도입이 다각적으로 재검토되어 대학원 교육개혁의 계기가 되어야 하겠다. 외형적 지수에 의한 평가는 또 다시 형식적이거나 위장된 지표관리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실험시설, 설비 등 가식적인 준거에만 평가할 것이 아니라 교육내용·연구의 실제내용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대학원 중심대학원으로 육성되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7. 대학원 정책개발을 위한 대학원 원장들의 의견에서와 같이 일반대학원의 교육목표가 학자·교수 양성을 벗어나 독창적 학술연구와 함께 지도능력을 갖춘 고급전문 인력양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고 감독하는 교육부와는 별도로 새로운 기구설치의 희망함과 함께 대학원 교육내용도 전문기술 능력을 배양하는 목표와 함께 폭넓은 교양교육을 통하여 합리적 의사결정을 통하여 팀과 조직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지도자를 양성하는 교육내용으로 변화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is to design a reform strategy for Korean graduate school system through literature survey on advanced countries' education system and theoretical analysis on the organiaztion and operation of higher education system. For this, the following problems on current graduate education system are deliberated: 1) The definite criterion is not established on facility, educational materials, faculty and staffs, etc. 2) The system is heavily oriented to theoretical education. 3) The system is also overly oriented to class lectures rather than research works. 4) The curriculum is not flexible to social demands, especially those from industry circle. 5) Almost every university opens graduate school on every academic discipline 6) Quality control system on curriculum and degree is not provided, and thus its quality problem is serious and quality disparity between graduate schools is deteriorated. 7)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ing system on research and scholarship is not established.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First chapter describes the purpose and the need for this study, and second chapter, theoretical survey on structural reform and functional diversity of higher education for global competition of education. Third chapter draws implications by analysing the advanced countries' graduate system, and fourth chapter deals with current problems and necessary measures after studying educ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system of graduate schools. Fifth chapter employs empirical study on 40 graduate schools across the nation. Final chapter provides summary of the study and policy recommendation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quality control system on faculty and curriculum is to be established. For this, evaluation system and policy consideration are strongly needed. 2) It is desirable that the curriculum is should be oriented more to social needs. For this, we needs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system with professional doctorate degree program, and institutional cooperation system between industry, research institute, and graduate school. 3) It is desirable that the admission criterion is should be refined on interview, foreign language skill, computer skill, study plan, etc. 4) It is desirable that the research-oriented graduate school should employ well-qualified faculty from abroad. 5) The government financial subsidy must be diversified to promote the specialization strategy of graduate schools. 6) The evaluation system on graduate school should be oriented to curriculum and research outputs rather than quantity standards such as lab facility, buildings, etc. 7) The current graduate educational objective is must be more directed to produce professional leadership. For this, the curriculum should be refined, and a new institution is needed for supporting and supervising the leadership educa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