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생태영성과 생태공동체 연구

        전의찬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n Eco-Spirituality and Eco-Community to Overcome Environmental Crisis Jeon, Euyi-Chan Major in Culture and Spirituality,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Spirituality,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irector: Prof. Lee, Jae-Don> Earth, the "Our Common Home” of God's creation, was devastated to the point that Pope Francis described as "a wailing sister." Environmental crises such as the climate crisis, fine particulate matter pollution, and extinction of creatures are caused by human arrogance and greed. Without fundamental changes in human activity, the environmental crisis will become a deadly weapon and return to humans. In order for mankind to escape from the current environmental crisis, an "ecological awakening” to look back on the root cause of the problem must precede. Ecological spirituality, which is needed for ecological awakening, was found in the scriptures of the Bible and in Saint Francis’s teaching on nature. In addition, we looked for ecological spirituality to escape the present environmental crisis through the Spirit of Ecology of Father Thomas Berry, an ecological theologian and geologist, and ‘Holy See’ - Encyclical Letter ‘LAUDATO SI’ of the Holy Father Francis on Care for Our Common Home. The words Jesus said, "You shall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were practiced by Saint Francis as a personal encounter that regarded all creatures as brothers and sisters. Thomas Berry's spirituality, which calls for accepting, protecting and caring for the function of nature as it is, is the same as that of Saint Francis. Pope Francis proposed the ecological spirituality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crisis, announced by the ‘Holy See’. A survey of 1,650 Catholic priests, monks and common catholics was condu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eaders of ecological environmental activities. As a result, Catholic ecological environmental activities were rated less than "a moderate level” and fiv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Holy See’, but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not aware of it. Launched in 2017 with the announcement of "Lauda to Si’(Holy See)”, the common catholic organization “Sky․Land․Water․Friend” is only active in seven of the 232 local churches of the Roman Catholic of Seoul Diocese. This means that the direction of the Roman Vatican is not being followed by the local church. The Pope's ‘Holy See’, placed ecological environmental activities at the center of the social activities by Catholic Church, but ecological environmental activities of korea catholic church are still not important. Overall, it is time for a major shift in Catholic ecological environmental activities. Leaders of Catholic ecological environmental activities said that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the conserv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priests of local churches. For this purpose, he/she said that the comple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related subjects in the priest educational systems should be essential, and that education for priests of the local churches should be strengthened. It was emphasized that it was very important for the heads of all catholic dioceses in Korea to notify the importance of the ‘Holy See’.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the "ecological sensibility” of common catholics should be increased above all in order to revitalize the Catholic ecologic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fact that common catholics are passive in participating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e local church should actively hold the ‘Holy See’ course at the main hall level and the main hall should be the center of ecological environmental activities. In the Catholic ecological community, there are places with strong roots, such as the "The Village on the Mountain“, and places with strong popularity such as the "Philip the Apostle Ecological Village”. There are ecological communities based on the common catholics of the local churches as “Sky․Land․Water․Friend”, and also participatory ecological communities such as "Catholic Climate Action”. Through collaboration and solidarity activities of various ecological communities, Catholic ecological environmental activities can be promoted. By respecting all creatures, we must restore 'Peace' between mankind and creatures. Within that peace, there should be a "Order” in which all creatures play their role in their respective positions and a "Harmony” in which the creatures help each other. We must restore the creative order of God, and free from the abuse of resources and unlimited consumption culture, and restore the "creative order” that God looked at everything he had made, and he said “how good it was.”. That is the only way to ensure human sustainability. 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생태영성과 생태공동체 연구 전의찬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문화영성학전공 <지도교수: 이재돈> 하느님의 창조물로서 ‘찬미받던’ ‘공동의 집’ 지구는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울부짖고 있는 누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황폐화되었다. 기후위기, 미세먼지 오염, 생물의 멸종 등 환경위기는 인간의 오만과 탐욕으로 비롯된 것이다. 인간 활동에 근본적인 변화가 없다면, 환경위기는 치명적인 흉기가 되어 인간에게 되돌아 올 것이다. 인류가 현재 환경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문제의 근본 원인을 돌아보는 ‘생태적 각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생태학적 각성에 필요한 ‘생태 영성’을 성서의 가르침과 프란치스코 성인의 자연관에서 찾아보았다. 또, 생태신학자이자 지구학자인 토마스 베리 신부의 ‘생태대’ 영성과 프란치스교 교황 회칙 『찬미받으소서』를 통해 현대 환경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생태영성을 찾아보았다. 예수님께서 “네 이웃을 너 자신과 같이 사랑해야 한다.”하신 말씀을 프란치스코 성인은 모든 피조물을 ‘형제자매’로 여기는 인격적인 만남으로 실천하였다. 자연의 기능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보호하고 돌봐야 한다는 토마스 베리의 영성도 프란치스코 성인의 영성과 같은 것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회칙 『찬미받으소서』발표하면서, 현대 환경위기의 본질과 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영성을 제안하셨다. 천주교 성직자, 수도자, 평신도 1,6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생태환경 활동 리더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천주교 생태환경 활동은 ‘보통’에도 미치지 못하는 평가를 받았으며, 프란치스코 교활 회칙 『찬미받으소서』는 발표된 지 5년이 경과 하였으나, 응답자의 절반이 잘 모르고 있었다. 『찬미받으소서』 발표를 계기로 2017년 출범한 평신도 사도직 단체 ‘하늘땅물벗’은 서울대교구 232개 본당 중 7개 본당에서만 활동하고 있다. 이것은 보편교회의 사목 방향을 지역교회에서 좇아가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교황 회칙 『찬미받으소서』는 생태환경 활동을 사목 활동의 중심에 위치시켰으나, 교구 사목에서 생태환경 활동이 여전히 중심과 거리가 있다. 전반적으로 천주교 생태환경 활동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천주교 생태환경 활동 리더들은 무엇보다도 본당 사제들의 생태환경 보전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사제 양성과정에서 ‘생태환경’ 관련 과목의 이수가 필수화되어야 하며, 본당 사제들에 대한 교육도 강화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한국천주교 전 교구 차원에서 『찬미받으소서』의 중요성을 밝히고, 각 교구장이 이에 대한 이행방안을 밝히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 결과를 고려할 때, 천주교 생태환경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자들의 ‘생태 감성’을 높여야 한다. 신자들의 생태환경 활동 참여도가 소극적인 점을 고려하면, 『찬미받으소서』 강좌를 본당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개최하고, 본당이 생태환경 활동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천주교 생태공동체에는 ‘산위의 마을’과 같이 근원성이 강한 곳도 있고, ‘성필립보생태마을’과 같이 대중성이 강한 곳도 있다. ‘하늘땅물벗’과 같이 본당 평신도 중심의 생태공동체도 있고, ‘가톨릭기후행동’과 같은 참여형 생태공동체도 있다. 다양한 생태공동체의 협업과 연대 활동을 통하여, 천주교 생태환경 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피조물을 존중함으로 인류와 피조물 사이의 '평화'를 회복해야 한다. 그 평화 안에서, 모든 피조물이 각자의 위치에서 제 역할을 하는 '질서'와 피조물들이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조화'가 함께해야 한다. 우리는 하느님의 창조질서를 회복하여야 하며, 자원의 남용과 무제한적인 소비문화에서 벗어나 “하느님께서 '보시니 참 좋았던'” 그 '창조질서'를 다시 회복하여야 한다. 그것이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