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부기관 정보시스템의 장애관리를 통한 장애 발생유형 및 최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은희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정부는 자연재해 및 재난에 대비한 범정부적인 재해복구 환경을 갖추고 미래 정보 환경에 적합한 통합전산센터를 대전과 광주에 구축하고 중앙정부기관의 정보시스템을 이전 통합하였다. 광주정부통합전산센터는 2006년 12월 종합이전계획을 수립하고 2007년 24개 기관의 4,838대의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게 이전 완료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이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이중화 구성 등 많은 방법이 있지만 발생된 장애에 대하여 신속한 조치와 장애 재발 방지를 위하여 근본적인 원인 해결과 사전 예방활동이 중요하다. 센터에서는 발생된 장애와 근본 원인이 해결되지 않은 미해결 장애에 대해 장애관리와 문제관리 회의를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원인분석과 조치방법 등을 논의하고 공유하여 해결점을 찾음으로써 장애 재발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센터인 광주정부통합전산센터에서 운영중인 20개 정부기관(2008년 3월 정부조직개편 이후)의 정보시스템 장애에 대해 장애관리를 통해서 수집된 데이터 중 2008년 1월에서 8월까지 발생되었던 장애에 대하여 발생 유형별로 구분하고 발생원인, 조치방법, 장애처리 지연 원인 등을 분석하고 설명하였다. 또한 장애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사전에 장애 취약점을 점검하고 제거하는 장애 예방 및 시스템 성능개선 활동과 장애 발생을 최소화하고 장애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장애대비 모의훈련과 IT 구조진단, 6시그마 방안을 제시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이론적 절차, 범위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 The Korean Government integrated all the information systems of the central government administration to build pan-governmental rehabilitation against national disasters and calamities. The integrated system was established in Gwangju and Deajeon and envisioned to be a vital source of information in the future regarding counteracting risk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nd calamities. The National Computing Information Agency in Gwangju made the comprehensive relocation plan before December, 2006. In 2007, the comprehensive relocation which involved 4,838 information systems from 24 agencies had been safely completed and had been in an efficient and stable operation.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system is very important. A system duplication was done to guarantee these qualities. its.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find and solve fundamental causes for prompt and proper treatment and to practice prevention activities against recurrences. The NCIA had been holding regular Incident Management and Problem Management meetings to discuss and share opinions,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causes of the failures and methods of treatments. Through thorough and sensible discussion during these meetings,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on how to minimize recurrence of failures were shared and analyzed This research paper aimed to analyze and explain the causes of occurrences, management processes and causes of delayed management by categorizing the failures observed from January to August, 2008. The data was collected from Incident Management of information system failure of 20 government administrations (after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setups in March 2008) operated by NCIA in Gwangju. This research paper dealt also on the simulation test against failure and analysis of IT structure and 6 sigma processes. This were done to minimize the processing time with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ability, as well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ailure through inspection and eradication of weakness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performance. Moreover, the theoretical process and the limitation of application in practical business- were likewise systematically described in the paper.

      • 12주간의 미니볼(Mini Ball)을 이용한 필라테스 운동이 노인의 건강체력과 정·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은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건강수명을 중시하는 현재, 고령자의 건강 증진 차원에서 미니볼을 이용한 필라테스 운동이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 체력 및 정·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노인의 건강체력 증진과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한 운동방법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구 경산 거주 65세 이상의 노인을 2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군(n=10)은 12주간 미니볼을 이용한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을, 대조군(n=10)은 미니볼 없이 12주간 매트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로 노인건강체력(SFT) 및 정·동적 균형능력을 측정하고 12주간 적용 후,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하였으며, 정규성 검증은 샤피로-윌크(Shapiro-Wilk), 콜모고르프-스미르노프(Kolmogorov- Smirnova)를 사용하였고, 각 그룹의 실험 전후 동질성 비교를 위하여 만-위트니 유(Mann-Whitney U)를 사용하였다. 그룹 내 실험 전후 차이 비교를 위하여 윌콕슨(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사용하고 그룹 간 비교를 위해 만-위트니 유(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중재 후, 노인건강체력 검사 중 ‘몸 앞으로 굽히기’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왔다. 두 그룹 다 12주간 필라테스를 수행한 상태이므로 두 그룹 다 전체적으로 체력이나 정·동적 균형능력이 증가하여 그룹간에서 유의한 변화는 찾기 어려웠지만, 각 그룹 내에서 운동 전후를 비교해 보면 미니볼을 이용한 12주간의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이 노인건강체력 검사(SFT)와 동적 균형능력에는 더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lates exercise using mini-ball on the health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of the elderly over 65 to confirm whether it is an exercise program applicable to the elderly's health and balance ability.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living in Gyeongsan, Daegu,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e experimental group (n=10) conducted a Pilates exercise program using mini balls for 12 weeks, and the control group (n=10) conducted a mat Pilates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without mini balls. The Senior Fitness Test (SFT) and static/dynamic balance ability were measured as a pre-test, and post-test was performed in the same way after 12 weeks of application, and normality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Shapiro-Wilk and Kolmogorv-Smirnova, and before and after each group's experimental homogeneity-test comparison. Wilcoxon code ranking test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experiments within the group, and Mann-Whitney U test was performed for comparison between groups.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nding in front of the body" category during the Senior fitness test. Since both groups performed Pilates for 12 weeks, it was difficult to find significant changes between groups due to increased physical strength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capabilities, but compa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within each group, the 12-week Pilates exercise program using mini-ball was more effective in Senior fitness test (SFT) and dynamic balance capabilities.

      •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탄력성과의 관계

        전은희 숙명여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The followings are the questions of the study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First, how is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based on mother-child interaction? Second, What is the influence of mother-child interaction on th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1 young children between the ages four and five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Kyungki-do, and their mothers. In order to measure mother-child interaction, the researcher in this study translated and revised the Parent-Child Early Relational Assessment(PCERA) developed by Clark(1985). The revised version was verified of its validity, performed factor analysis after a pilot survey, and then adjusted its items before it was used for the survey. Meanwhile, in order to measure th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er translated and revised the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DECA) developed by LeBuffe and Naglieri(1999). The revised version was verified of reliability through a pilot survey before it was used for the survey. I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PSS Win 14.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Cronbach α an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ized major study results. First, as for the general tendencies of mother-child intera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maternal negative affect and behavior observed in mother-child interaction were shown to be higher in female than male children. Among the child component observed in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 positive affect, communicative and social skills, and child quality of play, interest, and attention skills were also shown to be higher in females, while child dysregulation and irritability were lower. The dyadic reciprocity was also shown to be higher in females. Second, as for the general tendencies of resilience according in initiative, self-control, attachment, and total protective factors were shown to be higher in female than male children. And behavioral concerns was shown to be higher in males. third, when mother-child interaction was divided into an upper-class group and lower-class group to investigate th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of each group, young children who were in a higher level in maternal positive affective involvement sensitivity and scaffolding had higher levels of initiative, self-control, attachment, and total protective factors, but young children who were in a higher level in maternal negative affect and behavior had lower level of attachment among resilience. Also, young children who had a higher level of the child positive affect communicative and social skills observed in mother-child interaction showed higher attachment and total protective factors. The higher the child quality of play interest, attentional skills were, the higher level the total protective factors of young children was. Finally, the higher dyadic reciprocity observed in mother-child interaction, the higher the levels of initiative, self-control, attachment, and total protective factors among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were. Fourth,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static correlations were shown in initiative, self-control, attachment, total protective factors, the maternal positive affective involvement sensitivity and scaffolding, the child positive affect, communicative and social skills, child quality of play, interest, attentional skills, and the dyadic reciprocity. However, the maternal negative affect and behavior and the child dysregulation and irritabili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Behavioral concerns of young children had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ternal negative affect and behavior, and the child dysregulation and irritability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maternal positive affective involvement sensitivity and scaffolding, the child positive affect communicative and social skills, and child quality of play, interest, attentional sills, and dyadic reciprocity. Fifth, as for the influence of variants including mothers, young children and the dyadic reciprocity in a mother-child interaction on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initiative, self-control, attachment, total protective factors, and behavioral concerns were all influenced. In particular, the maternal positive affective involvement sensitivity and scaffolding, the child positive affect communicative and social skills, and dyadic reciprocity were shown to be variants by which th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could be predict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or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is as follows.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in the component of mothers, young children, and the dyadic in mother-child interaction. In particular, the variants related to mothers, children, and dyadic positive affect expressed in mutual context, or in other words, the maternal positive affective involvement sensitivity and scaffolding, the child positive affect communicative and social skills, and the dyadic reciprocity were proved to be variants for predicting th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탄력성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 따른 유아의 탄력성은 어떠한가? 2.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이 유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의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5세 유아 111명과 그들의 어머니 11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Clark(1985)이 개발한 Parent-Child Early Relational Assessment(PCERA)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타당도를 검증받고 예비조사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하였으며, 이를 본 조사에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eBuffe와 Naglieri(1999)가 개발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DECA)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구하여 본 조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Cronbach α를 산출하고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서 관찰된 어머니의 부정적인 정서와 행동은 남아에게 보다 여아에게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서 관찰된 자녀 변인 중 긍정적인 정서와 의사소통 및 사회적 기술, 그리고 놀이, 관심, 주의집중의 기술 역시 여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자녀의 조절곤란과 과민성은 낮게 나타났다. 양자의 상호호혜성의 경우에도 여아가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탄력성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주도성과 자기통제, 애착, 전체 보호요인의 경우에는 여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우려되는 행동의 경우에는 남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수준을 상, 하 두 집단으로 나누고, 집단별 유아의 탄력성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적 개입에서의 민감성과 비계설정의 수준이 높은 유아가 주도성, 자기통제, 애착, 전체 보호요인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부정적 인 정서와 행동 수준이 높은 유아는 탄력성 가운데 애착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서 관찰된 자녀의 긍정적 인 정서와 의사소통 및 사회적 기술 수준이 높은 유아가 애착과 전체 보호요인도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의 놀이, 관심, 주의집중 기술이 높을수록 유아의 전체 보호요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서 관찰된 양자의 상호호혜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탄력성 가운데 주도성, 애착, 전체 보호요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탄력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주도성, 자기통제, 애착, 전체 보호요인의 경우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적 개입에서의 민감성과 비계설정, 자녀의 긍정적인 정서와 의사소통 및 사회적 기술, 그리고 놀이, 관심, 주의집중의 기술, 양자의 상호호혜성과는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의 부정적인 정서와 행동, 자녀의 조절곤란과 과민성과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유아의 우려되는 행동은 어머니의 부정적인 정서와 행동, 자녀의 조절곤란과 과민성과는 정적상관관계가,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적 개입에서의 민감성과 비계설정, 자녀의 긍정적인 정서와 의사소통 및 사회적 기술, 그리고 놀이, 관심, 주의집중의 기술, 양자의 상호호혜성과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의 어머니, 자녀, 양자 변인이 유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주도성, 자아통제, 애착, 전체 보호요인, 우려되는 행동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 중에서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적 개입에서의 민감성과 비계설정, 자녀의 긍정적인 정서와 의사소통 및 사회적 기술, 양자의 상호호혜성이 유아 탄력성을 예측해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탄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던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서의 어머니, 자녀, 양자 변인, 즉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적 개입에서의 민감성과 비계설정, 부정적인 정서와 행동, 자녀의 긍정적인 정서와 의사소통 및 사회적 기술 그리고 놀이, 관심, 주의집중의 기술, 조절곤란과 과민성, 양자의 상호호혜성은 유아의 탄력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어머니와 자녀, 그리고 양자 간의 상호적 맥락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정서와 관련된 변인들, 즉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적 개입에서의 민감성과 비계설정, 자녀의 긍정적인 정서와 의사소통 및 사회적 기술, 그리고 양자의 상호호혜성은 유아의 탄력성을 예측해 주는 변인임이 증명되었다.

      • 떡에 대한 인식, 구매동기 및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전은희 경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s a study on recognition, motivation of purchase and selection attribution of tteok, is aimed to formulate concept of purchasing motivation and selective attribution of tteok and to build marketing basic data about those subject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with literal consideration of tteok. Through the marketing basic data about the purchasing motivation and selective attribution which would be derived from this study, this research inte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teok industry.

      • 지식표상이론을 활용한 공예교육에 관한 연구 : 칠보공예를 중심으로

        전은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빠르게 변화하는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한 급격한 경제성장, 국제간의 문화교류로 인간에 대한 삶의 끊임없는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21세기의 이러한 상황은 교육환경에도 변화를 가져오며 학생들이 정보화·국제화 사회에 대한 적응과 대응 능력을 함양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학교 교육의 새로운 과제로 등장하며 그에 대한 폭 넓은 연구가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서 공예의 분야는 미적 경험과 창조적인 활동을 즐기며 실생활을 개선하여 생활 속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학생 개개인의 미적 감각과 실용성을 갖춘 작품이 실생활에 쓰일 때의 즐거움을 느끼고, 손으로 하는 작업을 통해 그 성과를 보고 성취감을 느끼게 되며, 재료와 도구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통찰은 물론 창조적인 능력, 미적 조형 능력, 과학적 종합능력을 종합적으로 키워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공예의 교육적 가치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공예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자료를 통한 단순한 모방에서 비롯되는 표현이 아니라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창의적이고 다양한 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폭넓은 공예 분야를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그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학생들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개개인의 성향, 과거로부터 누적된 경험과 지식 등을 상징화하여 다양한 시각과 관점에서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나가게 되는 인지심리학의 지식표상이론을 공예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예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추상적인 개념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지식표상이론을 활용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수업 안에 초점을 두고 수업 현장에서 이를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교육을 위한 활용방안으로 지식표상이론에 대한 능동적 활용가치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첫째, 공예교육과 지식표상이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아이디어 발상교육에 있어서 창의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식표상이론의 활용방안 제시에 앞서 현재 중등 공예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현황과 실태조사를 통하여 아이디어 발상 교육의 중요성을 밝혔다. 셋째, 지식표상이론을 활용한 공예교육의 필요성 그에 대한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넷째, 지식표상이론을 활용한 공예교육 프로그램을 칠보공예의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단계별 학습 진행과정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의 다양하고 추상적인 개념의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경험에 의한 지적, 정서적 가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연구의 객관적인 검증을 위해 교사와 학생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검증과 평가를 통하여 지식표상이론 활용의 방법론적 연구 분석을 통하여 공예 수업에서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 방법 개발의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의 단계별 결과로써 지식표상이론을 활용한 공예교육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과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 준비 단계는 학습자의 특정한 주제에 대한 과거 경험과 지식을 연상과 상상의 과정을 통한 형용사적인 언어 나열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한 주제에 대한 확산적 사고를 유도하고, 특정 주제의 연상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2단계 예측단계는 학습자의 과거 경험과 지식 등 내제되어 있는 특정 주제에 대한 표상된 지식을 이용하여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학습 활동지를 통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현실화, 구체화 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통하여 학습자는 추상적 개념의 주제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과 응용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새로운 아이디어 발상 경험에 따른 흥미와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3단계 인식 및 숙고 단계에서는 새로운 창의적 사고의 경험으로 학습자 자신의 지식표상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4단계 응용표현단계는 앞에서의 실습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칠보공예에 직접적으로 반영하여 그 목적에 부합하는 이미지로 객관적인 시각과 판단을 가지고 표현하는 응용과정이다. 이 단계를 통하여 학습자의 창의성에 대한 응용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칠보공예를 통한 전통공예의 우수성을 알게 하고 공예에 대한 흥미도를 높일 수 있었다. 5단계 정리 및 평가단계는 4단계 응용 표현 단계의 결과물에 대해 공개적으로 평가하고 학습자의 주관적인 결과물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어떠한 평가가 이루어지는지 검증하고, 다양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계획에 따른 공예 작품의 감상을 통하여 공예교육에서의 창의적 발상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인식하고 지금까지의 과정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통하여 학습자는 다양한 작품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창의성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수업안은 학생들로 하여금 이해하기 쉽고 효과적으로 형태를 발상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이며 연상과정을 통하여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기존의 공예교육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보다 새롭고 참신한 아이디어 발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공예교육 과정에서의 중요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교육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중등 공예 교육에 있어서의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학습자가 다양한 사고와 시각으로 직접 경험하고 사고하는 학습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감 있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society of modern times is changing day by day through numerous cultural interchanges and the advancement of science. Under the circumstances of 21 century, it has brought the changes to the education environment and the students, the actual subjects of learning, is targeted to be educated to improve the adaptability to the informatization and globalization along with the responsive capability as the new task in school education. Within this social trend, industrial arts is performing its function as a medium to lead people to beauty in real life. In order to develop industrial arts, Not just copying but making creative teaching materials is more effective to attract students' attention and enhance their motivation. We can use various views and perspectives stemming from individual inclinations, knowledge and experience accumulated from the past, lifestyle background all together. This can be made more specific by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theory in cognitive psychology. Toward this goal,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proposal of a creative course in industrial arts utilizing the schema theory in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by proposing an efficient and systematic method of application to be adopted at the course location, the main purpose will be placed on study the positive utilization value of knowledge representation schema theory as an effective method for creative ide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firstly,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application which can develop creativity in creative ideation was proposed through a theoretical inquiry into the schema theory in knowledge representation. Secondly, the current situation of industrial art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was revealed through research of the current situation. Thirdl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ndustrial arts education utilizing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schema theory was proposed. Fourthly, this study was to apply the cloisonne work program, using the theory of knowledge representation. Also,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training program that could lead it in order to add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value by its own experience about the learners' various special subjects through the analysis of learning process by stage. Fifthly,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questionnaire for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obj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prove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creative ideation method through methodological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use of knowledge representation schema theory. As a result of by stage in this research, this study may be summed up as follows. As for the first stage, a preparation stage, it is a stage that leads the divergent thinking of special subject for the learners' past experience and knowledge about the special subject through the process of association and imagination, using the linguistic tabular form. Also, it is a stage of arousing interest in the association of special subject. At the second stage, a prediction stage, it can make its own feeling and thinking actualized and concreted by the use of represented knowledge about the inherent special subject like the learners' past experience and knowledge. Through this stage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learners could improve the creative ideation and application of special subject, and could add the interest and confide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new ideation. At the third stage, a recognition and meditation, it is a stage that the learners store the practice results on their own representation of knowledge by the experience of new creative thinking. At the fourth stage, an application and expression stage, it is a stage of reflecting various creative ideas on the field of cloisonne work directly on the basis of practice course above. Also, it is a process of application that expresses the objective viewpoint and judgement by the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use. Through this stage, the application for the learners' creativity and could be improved and the quality of traditional crafts could be widely known. At the fifth stage, a summary and evaluation, it is a stage of executing the public evaluation of results at the fourth stage, an application and expression stage, and verifying which evaluation is accomplished in the subjective results. In addition, it is a stage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reative ideation in the course of industrial arts through the appreciation of crafts according to the plan for various creative ideation, and it is one of arranging the course up to date. Through the stage, the learners could have various improved viewpoints of creativity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various works. And it became a course that could lead creative ideation more effectively and easily. Through the study course like above,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meaningful curriculum that could realize the most important value in the course of desig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existing industrial arts education and pursue the new and original ideation further. As to the main aim of this study, it made the learners use the confident and creative idea positively in the course of industrial arts education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that they could experience and think the creative education program directly with various thoughts and viewpoints in the secondary grade of industrial arts education.

      • Ionic Liquid-catalyzed Carbonylation and Carboxylation of Amines

        전은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Part 1. Oxidative Carbonylation of Aniline by Using Polymer-supported Methylselenite Polymer-supported methylselenites including poly(1-methyl-3-vinylimidazolium methylselenite) and poly(1-ethyl-3-vinylimidazolium methylselenite) were synthesized from the direct polymerization of 1-methyl-3-vinylimidazolium methylselenite and 1-ethyl-3-vinylimidazolium methylselenite. The results of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a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clearly showed that methylselenite is tightly immobilized on the imidazolium-based polymer. The catalyst recycle test showed that the supported catalyst can be reused at least up to five times with a moderate loss of activity. Part 2. Synthesis of Substituted Ureas from CO2 and Amines catalyzed by Ionic liquid Catalysts As a rule, ureas have been prepared by the reaction of amines with highly toxic phosgens. Alternatively, ureas can be synthesized by the oxidative carbonylation of amines. The synthesis of disubstituted ureas from amines and CO2 were carried out using a ionic liquid (imidazolium phosphate) as the catalyst. The effects of reaction time, amount of catalysts(ILs), reaction temperature, pressure, various amines, and solvent on yields of the products were investigated. 지나온 시간을 되돌아 보며 펜을 듭니다. 가장 먼저 세상에 뿌리를 내리고 자랄수 있게 많은 양분과 사랑을 주신 아버지, 어머니께 감사 드립니다. 주신 사랑에 항상 감사하며 살겠습니다. 화학이란 학문에 관심과 흥미를 느끼게 해주시고, 지적 능력과 인격을 갖춰 사회에 나가게 해주신 김훈식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리고 올바른 방향으로의 지도와 가르침을 주신 정민석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 가르침을 바탕으로 사회에 나가서도 최선을 다해 살겠습니다. 이 글을 쓰면서 되돌아 보니 소중하고 감사한 분들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항상 밝은 모습으로 많은 가르침을 주신, 김정안 교수님, 감사합니다. 그리고 학생들을 사랑으로 봐주신 이재열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리고 많은 지식과 관심을 주신 이현주 박사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지금은 미국에 계신 이제승 박사님과 나노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해주신 김기섭 박사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나의 사랑하는 친구 다현이 희정이 난희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상우오빠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그리고 나의 하나뿐인 동생 홍구, 많이 아껴주고 챙겨 주지 못해서 미안하고 많이 사랑한다. 그리고 나의 영원한 GCL 식구들 젤리오빠, 콴오빠, 진형언니, 선주언니, 희환오빠, 대원오빠, 정민이 제은이 스런 이 은수 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그리고 키스트에 있는 지희언니, 슬비에게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이미 졸업을 하신 나의 첫 사수, 청일 오빠와 현우 오빠, 보라 언니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저의 소중한 모은 분들이 항상 행복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감사합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