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식소비자의 비건식품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유경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response to the new trend of conscious consumption, the ethical consumption market is growing in the food market, where people purchase various daily necessities such as food and cosmetics that are free from animal ingredients and animal testing in consideration of animal welfare. As a result, individual lifestyles, especially the younger generation, are growing. As awareness of style, animal right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creases, interest in vegan foods is growing. Grandview Research, a global consulting firm, predicted that the global vegan food market size will grow by an average of 9.6% every year since 2018, reaching $24.06 billion (approximately KRW 29.717 trillion) in 2025. Accordingly,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vegan food selection attributes on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of restaurant consumers. Although the domestic vegan food market and consumption is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research on fashion is the main focus, and research on vegan beauty has only been studied in conjunction with fashion, and research on vegan food itself is minimal. Accordingly, research is conducted on precedent. Based on the study, we aim to analyze the impact of restaurant consumers' selection of vegan food on purchase intention based on perceived value, which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ers' vegan food research and provide data on vegan food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I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vegan food, and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urvey was explained to consumers who have used vegan food or are interested in vegan food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With the cooperation of respondent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nd Google Questionnaire (Social Network Services/Sites, SNS) were used as sample data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mong the collected data, the final 30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statistical program.Firs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Seco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lection attributes,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scale of vegan food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calculate Cronbach's value. . Thir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of vegan foods.Fourth,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vegan food on selection attributes,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presented in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Hypothesis 1,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ub-factors that make up the vegan food selection attributes of restaurant consumers, nutrition and pric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environmental value. appear On the other hand, taste and quality appeared to have no effect on environmental value factors. Therefore, Hypothesis 1-1 was partially accepted. Second, as a result of Hypothesis 2, among the sub-factors that constitute the perceived value of restaurant consumers, the perceived value of vegan food in that order of environment, function, and health was significantly positive for purchase intention. It was found to have a (+) effect. Therefore, Hypothesis 2 was all accepted, and thirdly, the results of Hypothesis 3 showed that among the sub-factors that constitute vegan food selection attributes of restaurant consumers, nutri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aste and pri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Quality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actors. Therefore, Hypothesis 3 was partially accept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as a new bu siness development program for restaurant companies,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vegan food, including alternative foods, sought a path that could lead to consumer diversification and new indicators of corporate management. Second, we presented a study that would contribute to the generalization of vegan food and improvement of its public image by pursuing ease of consumer access to vegan food through various marketing methods. Third, we helped improve a healthy food culture by providing a broad understanding of vegan food and a practical theory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future-oriented eating habits for an eco-friendly society.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vegan food selection attributes of restaurant consumers in existing research. The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was analyzed empirically. However, it shows some limitations 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so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First, th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consumers who had used vegan food or were interested in vegan food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but due to regional limitations, the research design, sample collec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not detailed and accurate. Secon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w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a survey method in which respondents responded by considering their past experiences and feelings, and it may also have temporary characteristics as it was measured over a short period of time. Accordingly,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can be generalized through continuous measurement by expanding the sample size of the research subject. hird, this study set the research topic on vegan foods, which are not yet popular in Korea. First, future research should help respondents understand the types of vegan foods through various examples, and seek to diversify the survey through survey methods using experts or panel interviews of various occupations. Second, through this study, the biggest reason why people in their 40s to 60s do not choose vegan food is because consumers do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alizing ethical values such as protecting animals and the environment, and they do not recognize their surroundings, think it is expensive, or where to buy it. The need for and promotion of vegan food appears to be an essential task. Third, since most of the research on veganism and vegetarianism in Korea has focused on awareness of veganism or whether it is possible to consume sufficient nutrients through vegan foo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understand consumers' value toward veganism. I think so. 최근 착한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맞이하여 식품시장에서도 동물복지를 고려해 동물성 재료와 동물실험을 하지 않는식품과 화장품등 각종 생활용품을 구입하는 윤리적인 소비시장이 커지고 있다. 그에 따라 MZ세대를 중심으로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과 동물권, 환경보호 인식에 대한 생각이 높아지면서 비건 (vegan) 식품에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그랜드뷰리서치는 전 세계 비건푸드 시장규모가 2018년 이후 매년 평균 9.6%씩 성장하여 2025년에는 240억 600만 달러(약 29조 7,17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외식 소비자들의 비건식품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국내 비건 푸드 시장과 소비가 점점 주목받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패션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비건 뷰티에 관한 연구는 패션과 더불어 연구되었을 뿐, 비건 식품 자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외식소비자의 비건식품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에 따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관련 연구자들의 비건식품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되고 비건식품 개발 및 마케팅전략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에서는 비건식품 관련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 하였고,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 비건식품을 이용한 경험이 있거나, 비건식품에 관심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 하였고 이에 대한 협조를 얻어 설문자들이 직접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과 구글 설문지를 표본자료로 사용하였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가운데 최종 308부의 설문지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Frequency analysis) 실시 하였다. 둘째, 비건식품의 선택속성, 지각된 가치, 구매의도 척도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여 Cronbach‘s 값을 산출하였다. 셋째, 비건식품의 선택속성, 지각된 가치, 구매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행하였다. 넷째, 비건식품의 선택속성, 지각된 가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R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가설 검증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첫째, 가설1의 결과 외식소비자의 비건식품 선택속성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 영양, 가격순으로 환경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맛, 품질은 환경적 가치 요인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1은 부분 채택 되었으며, 둘째, 가설2의 결과 외식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 환경, 기능, 건강, 순으로 비건식품의 지각된 가치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2는 모두 채택되었으며, 셋째,가설 3의 결과 외식소비자의 비건식품 선택속성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중 영양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맛,가격,품질은 구매의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3은 부분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기업들의 신사업개발 프로그램으로 대체식품을 비롯한 비건식의 개발과 보급이 소비자 다각화와 기업경영의 새 지표를 선도할 수 있는 진로를 모색하였다. 둘째, 다양한 마케팅을 통하여 비건식품에 대한 소비자 접근의 용이성을 추구함으로써 비건식의 일반화와 대중적 이미지 개선에 일조하는 연구를 제시하였다. 셋째, 비건식품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친환경 사회를 위한 미래지향적 식습관 개선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실용적인 이론을 제시함으로써 건강한 식문화 개선에 조력하였다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외식소비자의 비건식품 선택속성을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론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에서 몇 가지 한계점을 보이고 있어 향후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첫째, 표본 추출을 서울·경기지역의 비건식품을 이용해봤거나 비건식품에 관심있는 소비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지역적 한계로 연구 설계, 표본수집, 통계분석이 세밀하고 정확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응답자가 과거의 경험과 감정을 고려하여 응답하는 조사 방법을 기반으로 한다. 단면 연구를 실시하고 단시간 측정을 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음으로서 일시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보다 정확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표본수를 확대하였고 광범위한 조사 결과를 통해 일반화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아직 대중적이지 않은 비건식품에 대해 연구의 주제로 설정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첫째, 비건식품의 종류에 대해 다양한 예시를 통해 응답자의 이해를 도와야 할 것이며 전문가를 통한 조사법이나 다양한 직군의 패널면접법 등을 통하여 조사의 다각화를 모색하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40대~60대가 비건식품을 선택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소비자들이 동물과 환경보호 등 윤리적 가치실현에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데 기인하며 주변을 인식하거나 비쌀 것 같다, 또는 구매처를 모른다 등 비건식품에 대한 필요성과 홍보는 필수적인 과제로 보인다. 셋째, 국내의 비건 및 채식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비건에 대한 인식 또는 비건식을 통해 충분한 영양성분 섭취가 가능한지와 같은 연구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비건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를 파악하는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고 생각된다.

      • Bluestar를 이용한 페인트 색상에 따른 혈흔 은폐력 비교 연구

        전유경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범인들은 자신의 범죄행위와 증거물이 발각되지 않도록 범죄현장을 은폐하려는 시도를 한다. 범죄를 은폐하는 행위들로 인하여 증거물이 오염 및 훼손되거나 멸실 상태가 되면 사건은 미궁 속으로 빠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범인이 범죄현장에 있는 혈흔을 은폐할 목적으로 페인트를 도포하였을 때, 도포한 페인트의 색상이 혈흔 은폐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페인트가 칠해진 석고보드 위에 일정량의 혈흔을 유류시킨 후 다시 동일한 색상의 페인트를 도포하여 혈흔을 은폐하였다. 페인트는 흰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빨간색, 검정색, 총 여섯 가지 색상의 페인트를 사용하였다. 각 색상의 페인트를 최대 여섯 겹까지 반복하여 도포한 후 Bluestar 를 분무한 후 그 때 나타나는 화학발광을 관찰하였다. 페인트를 도포하는 방법을 페인트를 충분히 건조시키며 도포하는 방법과, 건조시키지 않고 도포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흰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빨간색, 검정색 페인트 중 검정색과 빨간색의 페인트가 혈흔을 잘 은폐하였다. 즉, 페인트의 색상이 어두울수록 혈흔을 잘 은폐하였으며, Bluestar 의 화학발광에 의해 방출되는 밝은 청색의 빛과 보색관계에 있는 색상의 페인트는 혈흔을 잘 은폐하였다. 페인트를 한 겹 바른 후 건조 후 다음 겹을 도포하거나 건조과정 없이 다음 겹을 도포하여도 은폐력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 다문화가정과 한국가정 모-자 상호작용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 상담실에 의뢰된 아동을 중심으로

        전유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유로운 놀이상황과 구조화된 문제해결 상황에서 다문화가정 모-자 상호작용 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모-자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구광역시 H읍에 소재한 다문화가정지원센터의 모-자 12쌍, D대학교 놀이치료실 한국가정 모-자 9쌍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다문화가정 모-자와 한국가정 모-자의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다문화가정 모-자의 상호작용에 질적인 특성이 있는가 이다. 연구 방법은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송영혜, 김현희, 2002)를 사용하여 어머니 행동평정 척도(MBRS), 아동 행동 평정척도(CBRS)기준에 맞춰 평가하였다.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Mann-Whitney Test를 통해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Hill (2005)의 방법에 따라 질적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모-자와 한국가정 모-자의 전체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모의 전체 행동(MBRS), 반응 성 요인과 그 하위 요인인 민감성, 적절성, 독창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녀행동(CBRS) 및 그 하위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다문화 가정 모-자는 함께 놀이와 각자의 놀이로 개인차가 존재하였다. 공통적인 특성으로는 모의 지나친 주도 성, 학습적 태도, 질문, 의견제시가 가장 많았고 수용과 칭찬은 적게 사용하였다. 자녀는 자신의 의사를 적절하게 표현하기가 어렵고, 부정적인 반응(싫어, 안 해), 회피행동이 많았다. 본 연구는 표 집 수가 많지 않은 점, 카메라 앞에서 행동들이 부자연스러울 수 있는 점, 모-자 상호작용의 특성만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모의 문화적응과 스트레스 수준, 양육태도, 애착 유형 등) 고려하지 않았지만, 이후 다문화 가정 아동발달과 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고, 모자간의 상호작용 장단점을 파악하여 이후 다문화 가정의 모자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구성, 다문화 가정 모 상담 및 교육, 자녀의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in mother-child inter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 under free play situation and structured problem solving situation. The subjects were 12 pairs of mother-child dyad groups who referred to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H-Eup, and 9 pairs of mother-child dyad groups who referred to play therapy center in D university. The study question was, first, does the mother-child interaction show a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and Korean family? Second, does the mother-child inter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 hav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Parent-child interaction assessment was us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MBRS) and Child Behavior Rating Scale(CBRS). Mann-Whitney Test in SPSS 12.0 program was conducted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Hill(2005)'s method was conducte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on between multicultural and Korean family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mother's whole behavior (MBRS), reactivity factors, and sub-factors such as sensitivity, appropriateness, origina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child's whole behavior (CBRS) and sub-factors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ndividual difference was showed in inter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ch as inclusive play and separated play. However, commonly, mother’s initiation, question, order, and academic attitude were used frequently, and acceptance, praise were used less. Child in multicultural family commonly showed an avoidance and negative response (No, I won’t do that) rather express their opinion. Despite of some limitation such as, lacks of number of sample, artificial behavior casued by camera recoding, and disregard of interaction factors such as mother's adaption to culture, stress, naturing attitude, and attachment type, this study could have a value as base information for prediction in child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and also could used as base data for organization mother-child dyad interaction program, parental education and consulting for multicultural family,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child in multicultural family.

      • 사이토카인 발현과 상피간엽이행을 통한 톨-유사 수용체4의 장 섬유화 조절

        전유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Intestinal fibrosis induced by chronic and recurrent colitis, which is exacerbated by bowel stenosis, stricture, and obstruction, is challenging to treat. A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murine fibrosis model was the most convenient and popular experimental model but the duration and frequency of DSS administration were not well known. We established an experimental protocol for DSS-induced murine fibrosis model. We compared the severity of fibrosis between one and three cycles of 6-day-DSS treatment. A cycle of DSS sufficiently provoked colonic fibrosis. Toll-like receptor 4 (TLR4) stimulates innate and acquired immunity in response to specific microbial components, but the role of TLR4 in intestinal fibrosis is largely unknown. We investigated its role in intestinal fibrosis using not only a murine fibrosis model but also human myofibroblasts and intestinal epithelial cells. Colon fibrosis was induced in TLR4-deficient (TLR4-/-) mice and its wild-type counterparts with 3% dextran sulfate sodium. Absence of TLR4 gene attenuated chronic inflammation and colonic macrophages infiltration; intestinal fibrosis and collagen deposition were suppressed. Also, the produc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12p40 was reduced in TLR4-deficient peritoneal macrophages. TLR4 was silenced in CCD-18Co cells by small interfering RNA (siRNA),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and collagen α1 expression was evaluated. Role of TLR4 in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was evaluated in HCT116 cells. Suppression of TLR4 transcription by siRNAs affected myofibroblasts activity, collagen synthesis, and EMT in the human cancer cell line. Thus, we suggest that TLR4 can be an essential mediator in intestinal chronic inflammation and fibrosis, indicating that TLR4 signaling is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for intestinal fibrosis. And our protocol of DSS administration can help other scientists to provoke intestinal fibrosis by DSS treatment effectively. 장 섬유화는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장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협착과 폐쇄를 유발할 수 있으나 그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톨-유사 수용체 4 (TLR4)는 특정 미생물의 구성성분에 반응하여 선천 및 획득면역을 자극할 수 있지만 장 섬유화에서 TLR4의 기능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우리는 마우스 섬유화 모델과 인간 근섬유아세포, 장 상피세포를 이용하여 장 섬유화에서 TLR4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TLR4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DSS-유도 마우스 장 섬유화 모델에 대한 연구부터 하였다. 마우스를 이용한 장 섬유화 실험모델에서 DSS를 많이 사용하지만 DSS-유도 장 섬유화 모델에서 적절한 DSS의 처리 기간은 아직 잘 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그 결과 6일간의 3% DSS 투약만으로도 충분히 장 섬유화가 발생하였다. TLR4-결핍 (TLR4-/-) 마우스와 야생형 마우스에 3% dextran sodium sulfate를 처리하여 장 섬유화를 유발하였다. 야생형 마우스에 비해 TLR4-/- 마우스에서 만성 염증과 장으로의 대식세포 유입이 감소하였고 장 섬유화와 콜라겐 축적 또한 억제되었다. 또한 TLR4-/- 마우스의 복강 내 대식세포에서 종양 괴사 인자-α, 인터루킨-12p40, 형질전환 생장 인자-β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었다. 작은 간섭 리보핵산 (small interfering RNA, siRNA)을 처리하여 CCD-18Co 세포에서 TLR4의 발현을 억제한 후 기질 금속단백질 가수분해효소-1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금속단백 분해효소 조직억제제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 콜라겐 α1의 발현을 평가하였다. TLR4 siRNA가 처리된 경우 기질 금속단백질 MMP-1와 콜라겐 α1의 발현은 감소하고 TIMP의 발현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HCT 116 세포에 TLR4 siRNA를 처리하자 상피간엽이행이 억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TLR4가 장의 만성 염증과 섬유화에 필수적인 물질임을 밝혔으며 TLR4는 향후 장 섬유화에 대한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가 정립한 DSS-유도 마우스 장 섬유화 모델은 다른 연구에서 장 섬유화를 유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초등학생 갈등대화의 대화전략 교육 내용 연구 : 갈등대화의 유형을 중심으로

        전유경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습자들은 미숙한 대화 역량으로 인한 또래와의 말다툼, 즉 갈등대화를 빈번하게 경험한다. 조심스레 부탁해야 할 일을 당연하게 요구 또는 명령하는 경우, 혹은 의견 차이가 있을 때 자신의 주장만을 고집하는 경우, 상대를 공격․비난하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서 또래 간 갈등대화가 발생한다. 이같은 미성숙하고 부적절한 대화 양상은 초등학교 학습자의 자기 중심적 발달 단계, 경험 부족, 사회성의 미발달 등에 기인한다. 어린 시절의 부적절한 대화 양상은 학교, 직장 등의 집단 사회에서 여러 사람과 함께 생활하면서 다듬어진다. 그러나 부적절한 말하기로 인한 이웃 간 갈등, 범죄 등의 각종 사회 문제가 말해주듯 성인 사회에도 여전히 미성숙한 화자는 존재한다. 이는 모든 학습자가 자연적 사회화 과정을 통해 교양 있는 화자로 성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반증한다. 때문에 학교에서는 모든 학습자가 정규 교육과정, 즉 학교 교육을 통해 교양 있고 세련된 대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체계적인 대화 학습의 경험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 학습자에게 꼭 필요한 국어과 대화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갈등대화의 대화전략 교육 내용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본격적인 교육 내용 구성에 앞서 선행 연구와 대화 사례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학습자가 일상에서 자주 경험하는 갈등대화의 유형을 추출하였다. 이후 각 유형별로 활용 가능한 대화전략을 구성하여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이 때 레빈슨(Levinson)의 ‘비선호’ 개념을 바탕으로 갈등을 유발하는 화행을 설정한 후, 선행 연구에서 논한 해당 화행의 발화 전략을 재구성하여 본 연구의 대화전략으로 활용하였다. 다음으로는 위에서 구성한 대화 교육의 내용을 실제 교수․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대화 교육 내용의 적용 모형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교수․학습 단계, 활동, 교사의 발문, 교수․학습 예시안 차원에서 그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 내용의 적용 방안을 구성할 때에는 학습자가 충분한 대화 사례를 자주, 또 많이 탐색하도록 하였다. 그럼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언어 생활을 점검하는 한편 대화전략의 효용성을 깨닫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교육의 목표를 두었다. 본 연구는 첫째로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던 ‘갈등’과 ‘대화’, ‘대화 교육’, ‘대화전략’ 관련 선행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고, 분야 간 통합 및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갈등대화 교육 내용을 마련한 의의가 있다. 둘째로 대화분석 이론의 ‘비선호’ 개념에 주목하여 갈등대화 유형별 관련 화행을 설정하고 그를 바탕으로 대화전략을 구성함으로써 ‘대화분석론’과 ‘화행론’을 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시도를 전개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 현장에서 대화 교육을 할 때에, 혹은 교과서 등의 교재 개발 시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화 전략 목록과 교수․학습 활동 및 발문의 예시를 고안하여 제시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선행 연구 및 대화 사례를 분석하고 그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내용을 고안하는 이론적인 연구에만 머문 한계를 지니고 있다. 개발한 교육 내용과 적용 방안을 실제 교육 현장에 투입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적 측면의 연구가 이어진다면 본 연구의 타당성과 실효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입말 교육, 그 중에서도 특히 대화 교육 내용이 빈약한 우리 국어 교육 분야에 대화 교육 내용 요소와 교육 방안 개발에 관한 다각도의 모색과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지속적인 이론적, 실험적 논의로써, 모든 학습자가 학교 국어 교육을 통해 지혜롭게 말하고 관계 맺는 대화 역량을 체계적으로 기르게 될 날이 오기를 손꼽아 기다려 본다.

      • 사립유치원 원감의 직무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전유경 덕성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of job performance and job stress in accordance with background variables of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also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job performance and job stress. Through this, it aim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fficient operation/management of private kindergartens, by understanding what support would be needed for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to efficiently perform their job.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objective are like below.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job performance of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in accordance with background variable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job stress of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in accordance with background variables? Third, how are the relations between job performance and job stress of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Targeting 200 assistant directors with no charge in classes of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total 17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job performanc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used for this study were developed through the interview with focus group by the researcher, literature consideration, experts' advice, consultation with academic advisor, verification by the current teachers group, and verification by the group of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see differences of job performance and job stress in accordance with background variables of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the ANOVA, Scheff'e post-hoc 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job performance and job stress of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like following.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of job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assistant directors' academic background, assistant directors with high academic background performed more jobs in three areas like curriculum operation/management, social work management, and teachers/parents management, than assistant directors with lower academic backgrou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of job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assistant directors' career experience, assistant directors with career experience for seven years or up performed more jobs of curriculum operation/management than assistant directors with career experience for less than three year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of job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assistant directors' relative relationship with founders or directors, when assistant directors had relative relationship with founders or directors, they performed more jobs in the area of social work management and teachers/parents managemen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of job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matter of administrative staff,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without administrative staff performed more jobs of administrative/financial management and class operation/management than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with administrative staff while they performed less job of social work management.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job stress in accordance with assistant directors' age, assistant directs in their 40-49 had higher job stress than assistant directors in their 50 or up. Regarding job-relevant factors, organization-relevant factors, and parents relationship conflict factors, assistant directors in their 40-49 had higher job stress than assistant directors in their 50 or up. Also, regarding teachers relationship conflict factors, assistant directors in their 30-39 had higher job stress than assistant directors in their 50 or up.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of job stress in accordance with assistant directors' academic background, regarding the director relationship conflict factors, assistant directors with the graduation of four-year-course university had higher job stress than assistant directors with the enrollment of graduate school or up.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of job stress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ve relationship with founders in case when the directors of kindergartens were the hired directors, when the hired directors were the relatives of founders, assistant directors had high job stress in job-relevant factors. Thir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correlations between job performance and job stress of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the whole job stres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urriculum operation/management of job performance. When job stress was higher in director relationship conflict factors, parents relationship conflict factors, and teachers relationship conflict factors, they performed less job of curriculum operation/management. The whole job stres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work management. When job stress was higher in director relationship conflict factors, they performed less job of social work management. The whole job stres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lass operation/management. When job stress was higher in job-relevant factors and parents relationship conflict factors, they performed more jobs of class operation/management. Based on this study,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es could be made like following.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researches that could concretely and definitely establish the roles of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by researching/comparing the actual operation status of private kindergartens where assistant directors take in charge of classes or not. Second, it would be needed to have the qualitative analysis like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to understand job performance and job stress of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Third,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researches on the direct effects of job performance and job stress of assistan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o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원감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해보고, 직무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사립유치원 원감이 능률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파악하고, 사립유치원을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 원감의 직무수행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사립유치원 원감의 직무스트레스는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사립유치원 원감의 직무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학급을 담당하지 않는 원감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17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사립유치원 원감의 직무수행 척도와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연구자가 포커스그룹면담을 실시하고, 문헌고찰과 전문가 자문, 지도교수 협의, 현직교사집단 검증, 유아교육 전문가집단 검증을 거쳐 개발하였다. 사립유치원 원감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 분석, 사후검증 Scheff'e, t-검증을 실시하였고, 사립유치원 원감의 직무수행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감의 학력에 따른 직무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이 높은 원감이 학력이 낮은 원감에 비해 원감의 직무를 더 많이 수행하고, 교육과정운영관리, 사회적인업무관리, 교사 및 학부모관리 세 영역에서 학력이 높은 원감이 학력이 낮은 원감보다 직무를 더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감의 경력에 따른 직무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7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원감이 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원감보다 교육과정운영관리의 직무를 더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감이 설립자 또는 원장과의 친인척 관계에 따른 직무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인업무관리와 교사 및 학부모관리 영역에서 원감이 설립자 또는 원장과 친인척 관계일 때 직무를 더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직원 유무에 따른 직무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행정직원이 없는 사립유치원 원감은 행정직원이 있는 사립유치원 원감보다 행정 및 재정관리의 직무와 학급운영관리의 직무는 더 많이 수행하는 반면, 사회적인업무관리의 직무는 적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감의 연령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40세-49세의 원감이 50세 이상의 원감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으며, 직무관련요인, 조직관련요인, 학부모관계갈등요인에서 40세-49세의 원감이 50세 이상의 원감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원관계갈등요인에서는 30세-39세의 원감이 50세 이상의 원감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감의 학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원장과의 관계갈등요인에서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원감이 대학원 재학 이상의 원감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감의 기관변인 중 유치원의 원장이 고용원장인 경우 설립자와의 친인척 관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용원장이 설립자와 친인척 관계일 때 직무관련요인에서 원감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립유치원 원감의 직무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 전체는 직무수행의 교육과정운영관리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장과의 관계갈등요인, 학부모관계갈등요인, 교직원관계갈등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교육과정운영관리의 직무를 적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전체와 사회적인업무관리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장과의 관계갈등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회적인업무관리의 직무를 적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전체와 학급운영관리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관련요인, 학부모관계갈등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급운영관리의 직무를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원감과 학급을 담당하지 않는 원감의 사립유치원 운영 실태를 조사 비교해 봄으로써 사립유치원 원감의 역할을 보다 구체적이고 확실하게 정립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사립유치원 원감의 직무수행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등 질적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사립유치원 원감의 직무수행,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유아에게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이 의료이용량과 의료행태에 미치는 영향 : 건강보험 급여기준(치료재료) 중심으로

        전유경 고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 법정 급여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제도로 현재 추진 중인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과 환자본인부담 감면 차원에서 유사하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차등적 본인부담률을 적용한 ‘16.9.1. 고시 2016-147호 ‘건강보험 급여기준 외 선별급여 적용품목’ 을 분석하여 정책의 영향을 확인하고 향후 정책 결정과정의 기초자료로 의미를 두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 자료는 ’14.9.~‘18.9. 기준선별 검사·수술·치료재료가 포함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비 청구 자료로, ‘16년 9월 시행한 급여기준 외 선별급여 80%로 일괄 전환된 급여기준으로 행위 9항목, 치료재료 22항목을 대상으로 한다. 선별급여 도입 전·후 2개년 간을 환자의 특성, 의료기관의 특성 등을 비교하여 의료이용량의 변화와 진료행태 변화를 파악하였다. 결과 : 정책 시행 이후 기준선별 31개의 급여기준 중 행위 9항목은 15.4% 증가, 치료재료 22항목은 436.2% 증가를 보였고, 급여 증가율에 비해 전액본인부담 대비 선별급여 증가율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31개 기준선별 항목 중 선별급여 증가율이 높고 치료재료 특수성(치과 및 수술의 주재료)을 가진 5개 치료재료 기준을 2차 분석한 결과, 척추·관절 수술에 주로 사용하는 골대체제, 동종건, 흡수성 뼈 지혈제는 병원급 의료기관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정책 시행 전·후 청구건수와 총 사용량 등은 확연히 증가한 반면, 평균 내원일수, 건당 사용량은 5개 항목에서 모두 감소를 보여 실제 의료행태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모든 치료재료가 선별급여 정책 시행 이후 사용이 크게 증가되었으나 시행 1년 후과 시행 2년 후를 비교했을 때 증가률이 더 커지지 않는 것으로 보면 급여기준이 있는 치료재료는 치료에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로 오남용이 크게 우려되지 않았다. 결론 : 기준선별 정책 시행 이전에는 급여기준 외 전액본인부담과 (임의)비급여로 실시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없어 비급여 진료비의 상승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반면, 선별급여로 보험자 부담금을 20% 부담함으로 환자와 의료진이 필요한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필수적이고 효과적인 행위와 치료재료에 대한 임상근거가 늘어나게 되고 이를 검토하여 선별급여에서 필수급여로 확대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일부 치료재료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이유는 1) 선별급여 후 사용량의 폭증 예상, 2) 고가의 재료 사용으로 국민의 의료비 부담 증가, 3) 수술 시 사용하는 치료재료의 오남용 우려 때문이었으나 기준선별 치료재료는 이미 임상적 유용성을 가지고 있는 급여 재료로써 기준 확대에도 의료진이 무분별하게 사용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내원일수를 줄이고 건당 치료재료 사용량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아프리카 문화 속에서의 수학에 관한 연구

        전유경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was reference Claudia Zaslavsky <Africa counts: Number and pattern in African Cultures, 3rd>. First, the discovered relics confirmed that it has a number's system and multiplication table, prime number. Second, the use of number's system was verified in life. Division of number, using of the money(economic activity, commerce), to measure weight of length confirms that mathematical knowledge which has been used. Third, through the game activities(tic-tac-toe, drawing hanbut, array games, mancala) was confirmed that the form of a number in culture and various forms of Africa's mathematics was observed. There will be an opportunity for the study. The provision of data on African Mathematics from a cultural perspective. The formation of the African Mathematics means that the formation of the initial mathematical.

      •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초ㆍ중ㆍ고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전유경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래의 인재를 양성하는 교사들의 직장과 가정간의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여 직무에 대한 몰입을 증가시켜보고자 하는 관심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직무특성과 가족역할 갈등이 직장-가정 갈등, 직무몰입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몰입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교사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2005년 3월 28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한 달간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서울, 경기 지역의 14개 초·중·고등학교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300부를 배포하였고, 실제로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220부로서 배포한 설문지의 73%만이 유용한 자료로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경험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 변수들 중에서 직무 과부하가 직장-가정 갈등과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에서 직무 과부하를 많이 경험하는 교사들일수록 직장-가정 갈등을 더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족역할 갈등의 변수들 중에서는 경제적 갈등이 직장-가정 갈등과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경제적 갈등을 많이 경험하는 교사들일수록 직장-가정 갈등을 더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직무특성 변수들 중에서 과업 특성과 직무 과부하가 직무몰입과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에서 과업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직무 과부하를 많이 경험하는 교사들일수록 직무에 대한 몰입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몰입과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직장-가정 갈등을 많이 경험하는 교사들일수록 직무에 대한 몰입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매개변수인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 과부하와 직무몰입 사이에서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교사들이 직무 과부하를 많이 경험할수록 직장-가정의 갈등 수준이 높아지고, 직장-가정 갈등을 많이 경험하는 교사들일수록 직무에 대한 몰입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직무 과부하로 인하여 직장-가정 갈등의 증가를 경험하는 교사일수록 자신의 시간과 노력이 직장과 가정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자신의 내적기준이나 사회적인 수용기준에서 마땅히 수행하여야 할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죄책감을 느끼게 되어서, 직무에 들이는 자신의 노력을 증가시켜서 디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고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교사직종의 경우에도 직무에 대한 재량권과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의 설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교사들의 직무환경을 개선해줌으로서 직장-가정 갈등을 줄이고 이로 인하여 더 나은 직무에의 몰입을 얻을 수 있다는 것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main cause of conflict between teachers' work, training their future competent person, and family and increase their job involvement. This study examined how to relate 'job characteristics' and ‘work-family conflict' and job involvement and also how to relate 'work-family conflict' with job involvement to the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The result of this experienced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variables of 'job characteristics', the job overload appeared that it is related to the 'work - family conflict'. In the variables of the 'family role conflict ', the economical conflict appears that it is related to 'work - family conflict' . Second, in the variables of 'job characteristics', 'task's characteristics' and job overload appear that those are related to the job involvement. Third, 'work - family conflict' appears that it is related to job involvement. Fourth, 'work - family conflict', parameter, is verified that it is to be a part of intermediation between the job overload and job involvement. Through the reason, we can find that discretion of job and job planning for efficiency job achievement are really important to the teaching job.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an improvement of teachers' working circumstance may give a reduction of 'work - family conflict' to them, therefore they will be immersed in doing better jo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