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 : 자기불일치와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전영아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초기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18세에서 만 39세 사이의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성인초기 남녀 총 535명의 연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의 통계 분석을 위해 IBM SPSS 28.0을 통해 각 변인의 기술통계량과 변인 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AMOS 26.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아지면 사회불안의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불일치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아지면 자기불일치의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셋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적극적 대처방식은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소극적 대처방식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아지면 적극적 대처방식의 수준은 낮아지고, 소극적 대처방식의 수준은 높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불일치 수준을 낮추는 것이 사회불안을 낮출 수 있는 개입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섯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은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소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극적 대처방식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사회불안을 낮추는 개입이 될 수 있으나, 소극적 대처방식의 수준은 사회불안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성인초기를 대상으로 하여 사회불안에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았다는 점에 있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불일치와 적극적 대처방식을 매개로 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초기 내담자들이 처해진 취약환경을 이해하고, 그들의 안정된 자기개념과 적응적인 대처전략 습득을 위한 교육적, 상담적 자료의 제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discrepancy and copying style in relation to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in the early adulthood.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aterials of 535 men and women aged 18 to 39 in their early adulthood living in Korea were used for analysis. For statistical analysis of survey results, the technical statistics amount of each variable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IBM SPSS 28.0, and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26.0.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if the level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creases, the level of social anxiety increases too. Secondl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discrepan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if the level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creases, the level of self-discrepancy increases too. Thirdl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tive copying styl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u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passive copying styl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if the level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creases, the level of positive copying style decreases, but the level of negative copying style increases. Fourthly,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discrepancy were confirmed in relation to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decreasing the level of self-discrepancy can be an intervention to decreases social anxiety. Fifthly, active copying style shows the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but the mediation effects of passive copying style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This means that increasing the level of positive copying style can be an intervention to decrease social anxiety, but the level of negative copying style does not affect the level of social anxie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variables affecting social anxiety in the early adulthood. It was confirmed that whil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can directly affect social anxiety, it affects social anxiety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discrepancy and positive copying styl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to understand the vulnerable environment in which clients in the early adulthood are placed, and to provide educational, therapeutic, and counseling materials for the acquisition of stable self-concept and adaptive coping strategies.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경험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전영아 대구가톨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depression of adolescents, and in that process, it aimed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Up to this point, I have analyzed a survey which asked 199 students (102 male, 97 female) who are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s in Daegu abou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epression and depressive experience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regardi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epressive experience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ale students are higher i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female students are higher in depressive experiences. Second, it appeared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the depressive experiences of male students, but does not affect the depressive experiences of female students.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the nega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of male students, but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t appeared that only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the nega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ir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t appeared that self-blame, catastrophizing, blaming others, rumination, affect depressive experiences. However,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it appeared that only self-blame and catastrophizing affect their depressive experiences. Fourth, nega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depressive experiences of male students. Whereas it showed to be the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depressive experiences of female students. There were no mediating roles with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Fro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can tell the effect of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differ by gender in children. In particular, we can tell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depression in teenagers throug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rather than it does directly. This illustrates that a different understanding and approach is needed for depression in male and female students of middle school.

      • 흥미영역의 통합이 성별에 따른 유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을 중심으로

        전영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실내 흥미영역 간의 통합이 성별에 따른 유아의 놀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 사이의 장애물을 제거한 물리적 통합 환경과 분리시킨 물리적 환경에서 유아들의 놀이행동을 통하여 놀이유형, 또래와의 상호작용, 놀이감 사용을 성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또래와의 관계적 놀이를 향상시키고 성 고정관념을 갖지 않게 하는 물리적 환경 구성에 시사점을 주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의 통합이 성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놀이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의 통합이 성별에 따른 유아의 인지적 놀이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의 통합이 성별에 따른 또래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의 통합이 성별에 따른 유아의 놀이감 사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D광역시에 소재한 H대학교 부속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2학급에서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의 공간을 통합한 실험집단(전체 25명, 남아: 13, 여아: 12) 1학급,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의 공간을 분리한 통제집단(전체 25명, 남아: 12, 여아: 13) 1학급 총 50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관찰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6월 4일부터 7월 26일까지 총 8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4가지 주제로 이루어졌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통점은 주제에 따른 소품과 역할놀이 영역 환경을 동일하게 변화시켰다. 차이점은 실험집단의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 사이에 있던 교구장을 수평으로 제시하였고 수평으로 제시한 교구장에는 소품과 블록을 함께 놓아주었으며, 통제집단은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 사이를 교구장으로 분리시켜 두 집단의 물리적 환경에 차이를 두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관찰도구는 유아들의 집단 간 놀이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인지적 놀이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회‧인지적 놀이 척도는 Rubin과 그의 동료들(1976)이 고안한 것을 기초로 하였으며 전남련, 권경미, 김덕일(2005), 이효림(2005)이 수정한 관찰척도를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보고자하는 또래 상호작용과 놀이감을 첨가하여 유아교육 전문가 2인에게 관찰도구의 타당도를 검증 받은 후 연구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의 통합과 분리 상황에서 사회‧인지적 놀이행동, 또래 상호작용, 놀이감 사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하위 영역별 빈도를 산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고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정을 통해 집단 간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남녀에 따른 놀이유형, 또래 상호작용, 놀이감 사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집단에 속한 남녀의 각 하위 영역별 빈도를 산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한 뒤 t검정을 통해 남녀의 놀이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집단 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놀이유형에서 집단놀이는 실험집단이 높았으며 비놀이는 통제집단이 높게 나타나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남녀의 놀이를 살펴볼 때 실험집단에서 남아는 혼자놀이와 병행놀이, 여아는 집단놀이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에서 남아는 병행놀이, 여아는 집단놀이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집단의 남아들이 통제집단의 남아들 보다 집단놀이를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나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 사이의 장애물을 제거한 물리적 환경이 남아의 사회적 놀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인지적 놀이유형에서 실험집단은 역할놀이 행동이 많이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은 기능놀이가 높게 나타나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남녀의 놀이를 살펴볼 때 두 집단 모두에서 남아는 구성놀이, 여아는 역할놀이의 빈도가 높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남아들이 통제집단의 남아들 보다 역할놀이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통합된 물리적 환경이 남아의 역할놀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또래 유아와의 상호작용은 실험집단에서 또래 상호작용이 더 활발히 나타나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녀의 차이를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남아보다 여아가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놀이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또한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이성과의 상호작용이 더 활발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통합된 물리적 환경이 유아의 혼성놀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놀이감 사용은 실험집단에서 다양한 놀이감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남녀의 차이를 살펴볼 때 두 집단 모두 남아보다

      • 자동차 대리점의 효과적인 판매시스템 구축방안

        전영아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자동차 대리점은 외국의 딜러들과 상당한 차이가 있지만 딜러의 역사가 짧고 자동차산업이 급성장한 가운데 나타난 우리나라 대리점들은 우리의 실정에 맞게 정착하고 발전해가고 있으며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진적인 유통채널인 대리점의 유통구조와 경영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자동차 대리점의 효과적인 판매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우리나라 대표적 자동차 메이커인 K사와 H사에 나타난 대리점들의 문제점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자체 판매시스템 구축에 소홀했다는 것이다. 둘째, 특히 K사의 경우 대리점 대표가 영업관리자의 역할과 영업사원의 역할을 동시에 해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셋째, 대리점들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영업사원의 채용 및 관리 문제이다. 넷째, 채용된 인원이 잘 정착할 수 있는 관리 및 교육 프로그램의 부재이다. 다섯째, 실적이 높은 영업사원 위주의 경영으로 경영에 일관성과 추진력이 떨어진다. 여섯째, 매월 실적에 치중하다보니 고객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대리점의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판매시스템 구축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대리점 대표의 역할을 확실히 정립하고 경영 마인드로 무장하며 자기계발에 힘쓴다. 둘째, 영업사원의 영업활동을 매뉴얼화하여 과학적인 영업활동이 될 수 있도록 표준화ㆍ시스템화 한다. 셋째, 마케팅 활동은 지속적ㆍ반복적으로 메이커에서 제공하는 것 외에 대리점 자체적으로 시행한다. 넷째, 강력한 조직체계를 갖추도록 경영자의 비전과 핵심가치를 전 직원이 공유하며 실천한다. 다섯째, 영업사원 선발 시 적성검사나 개인 성향을 파악하여 역량이 높은 사원을 채용한다. 이는 사후교육에 우선시되어야 하며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도 병행한다. 여섯째, 상품교육, 자동차 정비교육, CS교육 등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전 직원이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일곱째, 신규고객 창출과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고객관리를 철저히 한다. 이상의 자동차 대리점의 효과적인 판매시스템 구축방안들은 메이커와의 협력적 관계 속에서 대리점들의 자체적인 노력이 필요한 바 대리점들은 경영에 있어서 좀 더 발전적이고 성공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수학 교수-학습에서의 테셀레이션 활용 가능성 탐색 : '도형'과 '규칙성과 함수'영역을 중심으로

        전영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제까지 초등 수학의 기하학습은 기하학의 역동성이 무시되고 정적이며 형식적인 수준이 강조되어 왔으며, 특히 기하학적 사고의 중요한 기초가 되는 변환과 대칭의 학습은 그 활동적인 요소가 축소되어 결과적인 측면에서 지도되어 왔다. 이러한 시점에서, 수학 학습에 있어서 테셀레이션이 가지는 수학적 의미는 단순히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 이상이다. 이미 우리 나라를 제외한 여러 나라에서 테셀레이션이 가지는 수학적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교육과정에 도입하여 기하 영역 등의 학습에서 지도해 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테셀레이션이 가지는 수학적 의미를 분석하고,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 학습의 내용을 고찰하여, 우리 나라 수학 교육과정에서 데셀레이션을 도입하고, 이를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마련하는데 있다. 우리 나라 학교 현장에서도 일부 교사들에 의해 테셀레이션에 대한 관심이 점차 표면화되고 있으며, 특별활동 시간을 통해 학생들에게 소개되거나 역동적인 기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테세레이션을 제작하는 것에 흥미를 느끼는 반면, 데셀레이션이 교육과정에 도입되어 제시되거나 여타 다른 문헌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되고 기술된 바가 없어, 피상적이고 소극적인 수준에서 테셀레이션이 이해되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테셀레이션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나라 수학 교육과정에 이를 도입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 연구라고 하겠다. 본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다음의 네 가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테셀레이션의 정의를 알아보고 그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에셔(M. C. Escher)의 작품에서 찾을 수 있는 수학적 개념을 고찰하고, 에셔의 작품을 수학적 개념에 비추어 분류하여 분석한다. 셋째, 수학 교육에서 테셀레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학습 내용을 설정하고 특히, 수학 학습 활동으로 테셀레이션을 구현(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넷째, 우리 나라 초등 수학 교육에서 테셀레이션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활용 예시를 제작한다. 위의 연구 내용을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 문헌 연구의 방법으로 하였다. 첫째, 먼저 여러 가지 문헌에서 소개되고 있는 테셀레이션의 정의와 다양한 데셀레이션의 종류를 분석하여 Ⅱ장에 제시하였고, 둘째, 에셔의 여러 작품들을 수학적 개념의 틀에 기초하여 6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그 예를 Ⅲ장에서 제시하였다. 셋째, 수학 학습에서 테셀레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학습 내용을 크게 6가지로 나누어 Ⅳ장에 분석하였는데, 우리 나라의 수학 교육과정에 테셀레이션이 도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의 교육과정(6차와 7차 교육과정까지 포함)의 틀에 국한하지 않고, 수학적 개념이나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춰 테셀레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고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본문의 Ⅳ장에서 제시하고 있는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 학습의 내용은 현재의 교육과정에 비추어 볼 때 초등학교 수준을 벗어나는 부분도 있는데, 이는 테셀레이션의 활용 내용을 초등 수학의 수준으로 제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Ⅳ장에서 분석한 내용 중에 테크놀로지의 활용 부분은 초등 뿐만 아니라 중등 수학의 교육과정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넷째, 앞에서 분석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하여 학교 수학에서 테셀레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의 초등학교 7차 교육과정의 '도형'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에 국한하였으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활용 예시를 하나씩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내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면, 첫째, 테셀레이션은 이차원이나 삼차원 공간을 빈틈없이, 포개어지지 않게 덮는 패턴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테셀레이션의 종류는 정다각형을 이용한 정다각형 테셀레이션, 준다각형 테셀레이션, 반정다각형 테셀레이션과 여러 가지 다각형의 테셀레이션이 가능하며, 그밖에 몇 개의 정다각형의 조합을 기본 모양으로 하는 특별한 도형의 테셀레이션과 모서리가 일치하지 않는 테셀리이션, 펜로즈 타일과 같은 비주기적인 방식의 평면 테셀레이션이 있으며, 삼차원의 테셀레이션도 생각할 수 있다. 둘째, 에셔의 작품을 본 논문에서는 크게 테셀레이션, 거울의 상, 변환, 무한, 불가능한 건축, 뫼비우스의 띠 등의 여섯 가지로 대별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 학습의 내용으로는 도형의 각과 모양을 탐구할 수 있고, 대칭과 변환에 대한 학습, 패턴을 인지하고 학습하게 하며, 무한의 탐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새로운 테셀레이션을 창안할 수 있으며, 구체적 조작물, 종이와 가위, 점종이 등의 도구를 이용해서 테셀레이션을 제작할 수 있게 하며, 특히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이용해서 테셀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넷째, 제 7차 교육과정의 '도형' 영역과 '규칙성 함수' 영역에서 테셀레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테셀레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내용 영역을 '도형'과 '규칙성과 함수'의 영역을 국한하고, 7차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고찰하여, 각 학습내용에 대해 본 논문의 Ⅳ장에서 분석한 테셀레이션의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테셀레이션의 활용 내용에 대한 학습 방안을 예시로 구체화하였다. 수학 학습에서 테셀레이션이 가지는 수학적 의미는 첫째, 평면 도형의 각과 모양 등의 성질을 탐구하게 하고, 둘째, 기하학습의 기초가 되는 네 가지 대칭변화(평행이동, 회전이동, 반사, 미끄러짐 반사)의 개념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게 할 수 있고, 셋째, 반복되는 모양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부분과 전체를 파악하여 패턴을 인지할 수 있게 하며, 넷째, 무한에 대한 탐구를 위한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도구를 이용하여 테셀레이션을 제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여러 가지 개념과 함께 무한한 수학적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으며, 구현된 테셀레이션을 통해 수학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한편, 수학적 연결성에 있어서도, 테셀레이션은 수학적 개념은 물론, 수학과 미술, 수학과 일상 생활과의 연결성을 논의하고 확인하는 데 흥미로운 주제가 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수학 교육과정에 테셀레이션이 소개되거나 도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수학 교수-학습에 있어서 테셀레이션의 활용에 관한 연구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오는 2000년부터 단계적으로 실시되는 제 7차 교육과정의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영역에 테셀레이션을 활용하여 지도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수학 학습 환경의 진일보를 위해 계속적으로 테셀레이션의 효과적인 활용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 Learning geometry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has ignored geometrical dynamics, but instead focused on static and formal aspects. In particular, teaching of transformation and symmetry, which are crucial in geometrical thinking, has minimized their dynamics and been outcome focused. At this stage, values of tessellation in mathematics loaming may go beyond merely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s. Tessellation has already been recognized and applied to mathematics curriculum in many other countries.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mathematical values of tessellation, investigating learning contents of tessellation applied mathematics, introducing tessellation to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and planning effective tessellation applied teaching guidelines. As an attempt to realize these purposes,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 1. What is the definition of tessellation and what kinds of tessellation exist? 2. What is the mathematical concept presented in M. C. Escher's works and what are the values of Escher's tessellation in mathematics learning? 3. What are the learning contents in tessellation applied mathematics and the ways of realizing tessellation in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4. How can tessellation be applied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s of 'Geometry' and 'Regularity and Function' areas in our school mathematics? Tessellation can be used for mathematics learning in various ways: 1)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a plane diagram such as angles and shapes; 2) to learn the concepts of four symmetric transformations (translation, rotation, reflection, glide reflection) effectively, which are all the backbone of geometry loaming; 3) to find out regularity from repetitious shapes and recognize patterns from understanding of parts and the whole; 4) to be a good material for exploring the infinite; 5) to enhance students' mathematical concepts and their mathematical creativity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analysing tessellation; 6) to be an excellent tool for allowing students to feel mathematical beauty through a constructed tessellation; 7) to be an interesting subject for discussing and confirming the mathematical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s and arts and mathematics and daily life, as well as mathematical concepts. In our current context that tessellation has never been introduced, this paper may be the beginning of tessellation relevant studie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lso it may serve as groundwork of tessellation applied teaching guidelines in diagram and regularity and function areas for the 7th curriculum planning which starts in the years 2000. In order to improve our mathematics learning environment, studies on effective application of tessellation should be continuously followed.

      • 조각 감상 수업의 효과적인 방안 연구 : 중학생을 대상으로

        전영아 부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미술교육은 표현활동 뿐 만 아니라 감상활동의 중요성도 부각 되고 있다. 특히 자의식형성과 미적가치의 인식이 이루어지는 청소년기에 미술 감상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올바른 창조정신을 고취하고 미적심성을 갖는데 큰 도움을 주므로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미술 감상영역은 미술사와 비평이라는 특징을 바탕으로 회화, 조각, 동양화, 전통문화, 디자인, 공예 등으로 구분한다. 미술 감상영역 중 조각은 삼차원의 공간속에 입체로 표현하는 조형예술로써 이차원의 평면적인 회화나 서예와 달리 촉각적 감상을 통해 물성체험을 할 수 있고 작품 감상을 통해 공간 지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우리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들로 다른 감상영역보다 친근하게 느껴지고 학생들의 내부에 잠재 되어 있는 가능성과 창의성을 개발하는데 다른 2차원의 영역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각 감상교육이 현재 중학교 미술교육에서는 부족한 시수와 교육환경의 여건미비. 자료의 부족, 교사의 조각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 표현위주의 수업 등으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학교현장에서는 먼저 표현위주의 수업 못지않게 미술 감상교육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그 중에서도 조각 감상영역의 필요성을 느끼고 현실에 맞는 효과적인 조각 감상교육의 방법을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에 연구자는 현실에 맞는 효과적인 조각 감상수업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I장에서는 이론적 고찰로 조각의 개념과 특징, 미술감상, 조각감상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III장에서는 중학교 미술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7차 미술교육과정 개정 및 특징과 중학교 미술교과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중학교미술 교과서의 조각영역과 조각 감상영역을 분석하고 평가해보았다. IV장에서는 중학교 조각 감상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보았다. V장에서는 조각 감상영역 중 현대조각을 택하여 움직이는 조각을 주제로 조각 감상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움직이는 조각의 수업지도안을 바탕으로 실제수업을 적용해 본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업적용과 결과를 통해 감상-토론-표현이라는 일련의 과정들 속에 감상에 대한 개개인의 관점이 성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창의성과 미적 심성 향상이라는 감상의 본래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물론 수업결과가 소수의 임의집단에 의한 것이라 그 신뢰도를 확실하게 검증하기는 어렵다. 또한 1시간이라는 한정된 수업으로 표현에 있어서 그리기로 마무리 하여 조각의 특성을 더욱 잘 이해 할 수 있는 만들기를 해 보지 못한 점이 아쉬운 점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각 감상수업을 통한 효과를 살펴보자면 지금의 학교현장의 현실을 감안할 때 조각 감상수업에서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사용하고 감상- 토론-표현이라는 과정을 거치는 감상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조각 감상수업 방안의 하나라 생각한다. 이 논문을 토대로 그동안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온 조각 감상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효과적인 조각 감상지도 방법에 접근해 가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형태초점접근법 : 문법항목과 지도방법의 관계 및 문법추론력과 문법습득의 관계

        전영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form-focused instruction: relationships among grammar instruction, grammar complexity and grammatical inference ability. Participants were assessed for their grammatical inference ability through LLAMA F and pretested for prior grammar knowledge including the target structures. Then they completed four treatments followed by an immediate post-test and a delayed post-test conducted two weeks after the treatment. A pretest and two post-tests consisted of untimed grammaticality judgment, metalinguistic knowledge, and a written productive grammar test. To conduct this study, two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dependently exposed to explicit and implicit grammar instructions on the acquisition of two grammatical structures, the article and passive voice, classified by complexity. Performance on the pretest and post-tests was compared to establish if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for the instructions that accompanied the treatments and the LLAMA F scores indicating individual grammatical inference ability.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the article acquisition, participants having the explicit instruction have shown the better accomplishment on a post-test and a delayed post-test than those having the implicit instruction, and that both the explicit and implicit instructions did have an immediate effect on the passive acquisition, not showing a long term effect. When it comes to the effect of the grammatical inference ability on two grammatical structures, the acquisition of the article, simple structure,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grammatical inference abilit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cquisition of passive voice, complex structure, and the grammatical inference ability. This study’s findings contribute towards our understanding of the efficacy of form-focused instruction on the acquisition of simple and complex grammatical featur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mmar instructions and grammatical inference ability. Consider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eachers need to be awar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ypes of instructions they give and the complexity of the target structures.

      • 호흡법을 이용한 이완술이 척추수술 환자의 동통에 미치는 효과

        전영아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laxation on pain following spinal surgery.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patients who had admitted to operate the spine in Orthopedic and Neuro Surgery of Ch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2th to May 27th 2003.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the relaxation techniques and the use of pain sensation scales the night before the operation. Then, they practiced the relaxation techniques. After surgery,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easured pain sensation by pain sensation scales after the relaxation practice each three times: postoperative 6hours, postoperative 24hours, postoperative 48hours. Two groups were tested the personality type and asked how had slept the night befo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ive pain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all stages. 2. The nonverbal expression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all stages. 3. The immobilization discomfor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postoperative 6 hours and 24 hours except postoperative 48 hours. 4. The analgesic injection frequency of experimental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all stages. 5. The experimental group slept well the second night than the control group except the night before the operation and the first night after surgery. 6.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had not statistical significant in postoperative 24hours's subjective pain scores, nonverbal expression scores and immobilization discomfort scores between the groups: age, sex, marital status, education, religion, occupation. 7. Operation and pain variables had not statistical significant in postoperative 24hours's subjective pain scores, nonverbal expression scores and immobilization discomfort scores between the groups except personality type variable: operation experience, duration of operation, pain threshold, pain tolerance, admission room. The personality type variable had statistical significant in point of postoperative 24hours's subjective pain scores and immobilization discomfort scores between the groups. The pain scores of personality type A were higher than those of personality type B. Conclusively, the researcher thinks that it is necessary that nurses should patients with relaxation technique to reduce postoperative pain, and to increase independence of nur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