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감상이 치과치료시 경험하는 불안과 통증감소에 미치는 효과

        전영신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probable effect of music listening on anxiety and pain reduction of dental treatment. Eighty subject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and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ty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or forty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mong patients who attended the A dental clinic in Gyung-gi do and B dental clinic in Busan city. Prior to treatment, all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pielbergers State-Trate Anxiety Inventory Form.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listened their preferred music from the beginning of waiting for the care at a treatment chair to the end of treatment, and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were received dental treatment without music. After treatment, all subjects were again asked to complete the Spielbergers State-Trate Anxiety Inventory Form and the Pain Perception scale with the Visual Analog Scale regarding experienced pain during treatment.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nxiety scores after treat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p=.05)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 pain perceptio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sic can effectively be applied to the patients who are afraid of treatment due to anxiety and fear regarding dental care. 본 연구는 음악감상이 치과치료에서 경험하는 불안과 통증감소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2003년 10월 6일부터 11월 15일까지 경기도 소재 A치과, 부산시 소재 B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에서 실험조건에 부합되게 선별된 실험군 40명, 통제군 40명, 총 80명이었다. 연구자는 치과치료를 받기위해 대기중인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치료전 상태불안 질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이어 실험군에 속한 대상자는 치료의자에서 대기할 때부터 치료가 끝날 때까지 선호하는 장르의 음악을 감상하도록 하였으며, 대조군은 음악없이 치료를 받도록 하였다. 치료가 끝난 직후 두 군 모두에게 상태불안 측정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치료시에 경험한 통증에 대해 통증지각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음악감상을 시행한 실험군은 통제군보다 치료후 상태불안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23). 둘째, 음악감상을 시행한 실험군은 통제군보다 치료후 통증지각점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는 치과치료에 대한 불안, 공포감으로 치료를 두려워하는 환자들에게 음악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 하겠다.

      • 실물옵션을 이용한 발전차액모형 개발 및 신재생에너지 인증서 가중치에의 적용

        전영신 아주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a Feed-in Tariff pricing model is developed using real option. The Black-Scholes formula is conversed with real option, because the structure of Feed-in Tariff(FIT) is European put option. This pricing methodology may be new approach for FIT pricing under electricity price risk, but levelized generation cost method don't consider this risk premium. From the result, FIT of the project whose critical price (x*) is high such as photovoltaic is more dependent on risk free rate than risk adjusted discount rate. As x* is decreased, FIT is more dependent on risk adjusted discount rate. This is because FIT is European put option, so the payoff is paid present at the price of discounted with risk free rate. Most of all, it is interesting that FIT increases as monthly weighted average System Marginal Price(from now on we call it SMPm) grows higher, and FIT decreases after certain SMPm. The reason of FIT increase is that (FIT-SMPm) decreases as SMPm grow higher. The reason of FIT decrease is that profit grow as SMPm increase. Therefore it is the structure of compromise between increasing factor(put option from FIT) and decreasing factor(profit from SMPm) This is very fascinating result comparing with levelized cost approach. In the case of levelized cost this compromise can't be considered because it calculates only cost except benefit which behave like a stochastic process. If fixed electricity price is subsided, levelized cost approach may be reasonable. But there is value of SMPm derivatives like put option in stock market when SMP-FIT is subsided if SMPm fall below FIT. If there is volatility, put option has some value. This value can be priced theoretically using Black-Scholes formula. Thus the Feed-in Tariff is originally good measure, because it derives the value of risk which is cost-free. But if this value is not priced, renewable energy power producer takes all of this risk premium value but consumer can not take this advantage. In addition, the renewable energy source which took the most premium was photovoltaic. Therefore, this underestimate made unequal distribu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 development such as photovoltaic bias. To make things worse, FIT of photovoltaic was the highest, so it made big burden to "Fund for Electric Power Infrastructure". The problem was not the Feed-in Tariff measure, but pricing of FIT using levelized cost approach. The measures can be improved by developed real option model in this thesi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RPS) measure is supposed to replace Feed-in Tariff measure in Korea. In this case, unequal distribution may take place as before if Renewable Energy Certificate(REC) weight is calculated using levelized cost approach. This unequal distribution is not the purpose of renewable energy promotion measures. So, reasonable calculation methodology is needed to tackle this problem. The developed real option model can be used to calculate REC weight, because there must be volatility of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price. From the result of REC weight calculation using real option, the weight varies according to SMPm. To avoid the unequal distribu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 changing REC weight according to SMPm is better than Fixed REC weight. Although REC trading is different market with SMPm market, it is deeply related with each other. When SMPm exceed the critical price of respective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business, subsidy such as REC is not necessary because this business arrived at grid parity which is the eventual purpose of renewable energy promotion. In this case, the business can be competitive with conventional fossil fuel generator and nuclear generator and so on. Consequently, Opt-in, Opt-out measure - If SMPm exceed critical price, the business can't take REC (Opt-out), otherwise SMPm is below critical price, the business can participate in REC market (Opt-in) - can improve RPS measure. The public are required to pay their own such as "Fund for Electricity Power Infrastructure" or "tax", under both Feed-in Tariff and RPS measures. Because these are social cost, reasonable FIT pricing or reasonable REC weight calculation using real option model are the way of achievement of social welfare maximiz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s response to depleting resources. Therefore, government should calculate reasonable FIT or REC weight considering that there is risk in power generation business. The developed real option model can be good method to calculate reasonable pricing. 현재 인류가 사용하는 에너지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저렴한 연료인 우라늄, 석유, 석탄 및 천연가스는 고갈성 자원이다. 따라서 시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언젠가는 고갈될 것이며, 고갈되기 이전에 수요와 공급이 맞지 않아 가격 폭등 및 수급불안정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궁극에너지기술(Backstop Technology)이 필요하지만 현재 현실적인 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 등을 사용하여 에너지자원 고갈의 시간을 늘리면서 궁극에너지원을 찾아가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는 개념적으로 자연으로부터 무료로 얻기 때문에 화석연료의 가격 급등에 대한 공분산이 0이 되어 에너지가격 리스크에 대한 헤징 능력이 매우 높다. 따라서 전 세계는 화석에너지자원보다 월등히 비싼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2년부터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시행해오고 있으며, 2012년에는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PS)로 전환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운영된 발전차액지원제도 하에서 태양광사업에 편중되는 현상에 대한 원인이 발전차액기준금액 산정에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균등화발전원가에서 간과하였던 전력가격의 변동을 고려할 수 있는 실물옵션 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기옵션에 대한 기본모델에 발전차액지원제도가 가지고 있는 유럽피언 풋옵션을 결합하여, 연기옵션을 보유하지 않고 당장 사업을 시작하도록 하는 발전차액기준가격(FIT)을 계산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에 국내 자료를 대입해본 결과 흥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모형의 특성 상 태양광사업같이 임계가격이 높은 사업은 FIT가 무위험이자율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임계가격이 낮아짐에 따라 차츰 할인율에 영향을 받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발전차액이 유럽식 풋옵션이므로 만기에 대해 무위험이자율로 할인된 가격을 현재에 받는 구조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사실은 월 가중평균 계통한계가격(SMP)이 증가함에 따라 FIT가 어느 정도 상승하다가 다시 하락한다는 점이다. 상승하는 이유는 발전차액이 풋옵션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월 가중평균 SMP가 증가하면 FIT-SMP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더 높은 FIT를 요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다시 하락하는 이유는 월 가중평균 SMP가 증가하면서 이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승요인과 하락요인이 월 가중평균 SMP에 따라서 절충되는 구조이다. 이는 매우 흥미로운 현상으로 비용 면에서 접근한 균등화발전원가방식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즉, 전력가격이 어떻게 변화하든지 상관없이 일정한 금액을 지급해주는 방식이면 균등화발전원가방식에 따른 원가방식이 타당하겠지만, 전력가격이 얼마 이하로 떨어지면 기준가격을 보전해 주는 방식은 주식시장에서의 풋옵션 개념으로서 기초자산의 변동성이 존재하면 파생되어 발생하는 가치가 존재한다. 기초 자산에 파생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추가로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발전차액지원제도는 리스크에 기반을 두고서 가치를 창출하는 금융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비용부담을 낮출 수 있는 우수한 제도인데, 이러한 가치를 계산하지 않고 기준가격을 계산하면 신재생에너지사업자는 더 많은 이윤을 얻는 반면에 수요자인 국민은 파생상품으로 인해 발생한 프리미엄을 고스란히 사업자에게 넘겨주는 상황이 된다. 여기서 문제는 이러한 프리미엄이 발생하는 사업이 태양광사업이라는 것이다. 즉, 발전차액이 가장 큰 사업에 프리미엄까지 추가로 지불해 주어서 태양광사업에 편중되어 지원금액의 급증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이는 발전차액지원제도의 문제가 아니라 발전차액을 균등화발전원가로 계산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는 본 논문에게 개발된 실물옵션 모델을 적용하면 많은 개선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발전차액지원제도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도출하였으나 우리나라는 RPS제도로 이행 중이다. RPS제도에서도 각 발전원별 불균등은 해결해야 할 문제이며, 본 연구에서 바라보는 관점인 실물옵션 접근법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왜냐하면 RPS제도에서도 신재생에너지인증서(REC) 거래라는 시장에 맡기기 때문에 변동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REC에 가중치를 주어서 사업 별로 비용차이에 대한 보정을 해주는데 여기서도 균등화발전원가를 사용하면, 발전차액지원제도에서처럼 어느 한 사업에 쏠림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신재생에너지 지원의 목적에 위배되는 일이다. 실물옵션접근법으로 REC가중치를 계산한 결과 SMP의 가격에 따라 가중치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정 발전원에 편중되지 않기 위해서는 고정된 REC 가중치보다 SMP에 따라 변동하는 가중치를 주어야 한다는 결론이다. REC 시장의 구조는 개념적으로 SMP와 연관될 필요 없이 신재생에너지 할당기업의 구매의사에 따른 가격이겠지만 전력산업의 구조 상 SMP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는 SMP가 어떠한 사업의 임계가격 이상일 경우에는 그 사업은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에 도달한 사업이므로 REC를 주지 않고 LNG복합화력과 같은 기존의 전력계통과 경쟁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신재생에너지 지원의 궁극적인 목표인 그리드 패리티에 도달한 사업에 대해서는 지원이 더 이상 필요 없다는 생각에서 이와 같이 제안한 것이다. 특정 사업에 대한 편중을 없애기 위해서 이와 같은 옵트인-옵트아웃 제도를 적용하여야 한다는 것이 본 논문에서 개발된 실물옵션 모델의 결론이다. FIT제도나 RPS제도 모두 결국에는 국민이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되기 때문에, 전력요금에 포함된 전력산업기반기금에서 지급 되거나 전력요금이 부족하여 손실금액을 세금으로부터 보전 해주거나 결국에는 사회적으로 지불되는 비용이므로, 정확한 FIT를 계산하여 균형을 달성하는 것, REC의 가중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당장의 비용최소화는 이루지 못하더라도 앞서 언급한 고갈자원에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회적 후생을 극대화 하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정부는 리스크가 있는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발전차액기준가격 또는 REC 가중치를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 간호사 업무수행에 대한 다면평가 연구

        전영신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업무수행에 대한 다면평가로 상사평가, 동료평가 및 자가평가를 실시하여 그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다면평가제도의 도입을 위한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수간호사 13명과 일반간호사 122명이며, 연구도구로는 병원간호사(2006)에서 개발한 간호사 인사고과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7년 5월 4일부터 5월 8일까지 일반간호사 122명에 대해 수간호사, 동료간호사, 자기 자신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업무수행평가제도 인식에서, 적절한 평가횟수로 수간호사는 년 1회가 100.0%, 일반간호사는 년 1회가 67.4%와 년 2회가 34.4%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업무수행평가를 위한 적합한 평가자로는 ‘상사, 자신, 동료’가 가장 높았으며, 평가자별 참여비율에 있어서 동료평가와 자가평가의 비율은 수간호사에 비해 일반간호사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p<.05). 평가결과의 공개여부에 대해서는 공개해야 한다는 수간호사 69.2%, 일반간호사 58.8%였으며, 그이유로는 ‘능력개발에 대한 동기부여를 위해’가 각각 57.1%와 75.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승진요소별 반영비율은 수간호사의 경우 업무수행평가 성적, 경력, 잠재능력, 학력 및 교육정도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일반간호사의 경우 잠재능력, 경력, 업무수행평가 성적, 학력 및 교육정도의 순이었다. 승진 시 업무수행평가 성적의 반영비율은 수간호사가 일반간호사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p<.01). 2) 간호사 업무수행에 대한 상사평가와 동료평가 점수는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729, p=.000). 또한 자가평가 점수는 상사평가 및 동료평가와 중간정도의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483 ; .465, p=.000). 업무수행평가의 네 영역 중 태도영역에 대한 상사평가 점수는 자가평가나 동료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F=6.471, p=.002),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상사평가, 동료평가, 자가평가의 점수의 차이를 분석에서, 상사평가는 연령, 학력, 근무연한, 현 병동의 근무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동료평가는 연령, 근무연한, 현 병동의 근무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자가평가는 연령, 학력, 근무연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간호사 업무수행에 대한 동료평가는 상사평가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상사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다면평가의 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간호사의 업무수행평가에 대한 객관성과 공정성의 확보, 간호사의 신뢰성과 수용성 향상을 통한 자기개발 노력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동료평가를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간호사의 능력개발과 동기부여를 위해 업무수행평가 결과를 공개하고 승진 시 경력의 비중을 낮추고 업무수행평가 성적과 잠재능력의 반영 비율을 높이는 업무수행평가제도의 개선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ssential resources on employing of various evaluation strategies by identifying relationships between supervisor-evaluation,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of nurses performance in a general hospital. Method: The subjects were 13 head nurses and 122 staff nurses. An amended personal appraisal for nurses developed by hospital nurses(2006) was used as a study tool.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y 4 2007 to May 8 2007 from head nurses, co-workers and nurses themselves. Results: The correlation levels showed between supervisor-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was high(r=.729, p=.000) and self-evaluation and supervisor-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were mid ranged(r=.483; 465, p=.000). The score differences between supervisor-evaluation,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for nurses ability in nursing care, nursing support system, communication and personal relationship were not significant(p>.05). The score of supervisor-evalu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 of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in nurses attitude(p<.05). The scores of supervisor-evaluation,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age, education, years of working experiences, duration of working in the present clinical settings, and duty are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p<.05). Between supervisors and staff nurses perception on nurses performance evaluation in number of regular evaluation, ratio of application of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ratio of application in promo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Peer-evaluation can be used for an alternative plan for supervisor-evaluation, for a positive correlation showed between peer-evaluation and supervisor-evaluation in nurses job performances.

      • 망간단괴와 그 침출잔사의 폐수 중 카드뮴 이온 흡착 거동

        전영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망간단괴는 전세계의 해저에 광범위하게 많은 양이 분포하고 있으며 육상에서 비교적 소량으로 부존 하는 망간, 철, 니켈, 동, 코발트 등의 40여종의 원소가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의 형태로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미래의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망간단괴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이 단괴 내 유가금속을 효과적으로 추출해내기 위한 방법이며 통상의 산침출로 유가금속을 침 출한 경우, 그 무게의 약 80%에 이르는 침츨잔사 (Leacded sludge)가 생성된다. 그러므로 망간단괴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서는 다량으로 발생하는 침출잔사에 대한 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망간단괴는 육상의 다른 광물들과는 달리 기공 율과 비표면적이 대단히 크며 망간단괴 내에 중금속 흡착능력이 우수한 철산 화물과 망간산화물 등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으므로 중금속 흡착제로서의 그 효과가 탁월할 것이며 또한 산침출에 의해 망간단괴로부터 유가금속을 추출하고 남은 침출잔사 역시 높은 비표면적을 지니며, 중금속 흡착능력이 뛰어난 금속이 망간단괴의 골격을 이루고 있으므로 침 출 후에도 철산 화물 또는 망간산화물이 어느 정도 침출잔사에 잔존하여 중금속에 대한 흡착제거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이들의 흡착제로의 재활용을 도모하면서 잔 사의 효율적 이용과 그 효과를 최적화 하기 위해 침출과정을 거치지 않은 망간단괴와 혼합하여 흡착제로 이용하는 방안을 생각하였으며, 이는 대량 발생 가능한 침출잔사의 처리 뿐 아니라 카드뮴을 배출하는 산업의 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에도 효과적 일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용액 낸 카드뮴 이온의 흡착제로 망간단괴와 그의 침출잔사를 이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기존에 쓰이고 있는 활성탄과 함께 새로 흡착제로 제시하고자 하는 망간단괴와 침출잔사를 여러 조건 하에서 실험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흡착실험결과 잔 사와 망간단괴의 혼합비를 달리한 경우를 통해 침출잔사의 흡착 능은 50ppm의 카드뮴 폐수에 대해 25∼27 % 정도인 반면에 생 단괴의 흡착 능은 100%로 뛰어난 흡착 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량 발생하는 침출잔사의 재활용을 위해 침출잔사에 생 단괴를 혼합하였을 때, 침출잔사에 생 단괴를 25%만 섞어도 그 효율이 70% 정도로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반응시간에 따른 흡착을 통해 흡착평형시간이 32시간이라는 사실과 본 흡착계의 반응이 1차 반응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카드뮴 이온의 농도를 달리한 조건에서 흡착실험을 한 경우 흡착질의 초기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흡착량의 증가하였으며, 흡착성은 점차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의 실험결과를 Freundlich, Langmuir, Temkin 등혼홉착식에 적용한 결과 Freundlich, Langmuir식에서 직선성을 얻었다. 또한 온도의 변화에 따른 흡착성의 변화는 잔사, 생단괴, 잔사-생단괴 혼합 시료의 경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 능이 다소나마 증가하는 반면에 활성탄의 경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성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생단괴와 잔사-생단괴 혼합은 pH의 증가에 따라 그 흡착 능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활성탄의 경우 이에 비해 넓은 범위에 걸쳐 흡착이 증가하였다. 생단괴와 침출잔사의 중금속 흡착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전기영동 법으로 측정한 결과, 생 단괴, 침출잔사, 활성탄의 PZC값이 4.73, 5.00, 3.25로 측정되었다. 흡착질의 이온강도를 달리하여 이온강도가 망간단괴, 잔 사, 그리고 활성탄의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이온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성이 점차로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흡착제로 이용한 생 단괴와 침츨잔사를 증류수와 0.001M의 HCl에서는 활성탄>생단괴>잔사-생단괴 혼합>잔사 순으로 카드뮴이온의 탈착성이 증가하였고 0.1M HCl에서는 생 단괴>활성탄>잔 사-생 단괴 혼합>잔 사 순으로, 1M의 HCl에서는 생 단괴>잔 사-생 단괴 혼합>활성탄>잔 사 순으로 그 경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금속 흡착제로 사용 후 효과적인 재활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The manganese nodule is widely distributed in seabed throughout the world in abundance, and about 40 elements such as manganese, iron, nickel, copper, cobalt which exist in small amount on land are contained as a form of oxides and hydroxides, thus its importance as a future resource is highly is highly being raised. However, existing studies on manganese nodule deal mostly with methods in effectively extracting valuable metal within the nodule, and in case of extracting valuable metal is produced as leached sludge. Therefore, for other suitable utilization of manganese nodule, countermeasures are needed for the leached sludg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other minerals of the earth, the manganese nodule has much greater porosity and specific surface area, and since the major components are iron oxides and manganese oxides which are superior in adsorption, it is highly effective as a heavy metal adsorbent. The left over leached sludge from extracting valuable metal from the manganese nodule also has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since such heavy metal with high adsorption ability is composing the manganese nodule frame, it was through that even after the leaching iron oxides or manganese oxides residing in the leached sludge will show some adsorption removal effect. Therefore as well as there recycle as adsorbents and in order to optimize the effective use of leached sludge, I thought of a method where manganese nodule without leaching process was combined and used as and adsorbent. This could be very effective not only in treating vast amount of leached sludge but also industrial waste treatment and recycling, which emit cadmium. Thereupon, basic study was done in order to make use of the manganese nodule and its leached sludge as an adsorbent of cadmium ion in solution. Thus, previously used activated carbon as sell as the manganese nodule and leached sludge were experimented and compared under several conditions. As a result of adsorption test, by varying the leached sludge and manganese nodule mixing ratio, adsorption percentage of leached sludge in 50ppm cadmium wastewater was about 25~27%, whereas adsorption percentage of raw nodule was 100% showing outstanding adsorption percentage. Through this in mixing only 25% of raw nodule to sludge for leached sludge, the efficiency sharply increased to about 70%. Through adsorption according to reaction time, it was known that adsorption equilibrium time was 32 hours and that the adsorption system reaction is a first order reaction. Next, in case of adsorption experiment under conditions where cadmium ion and concentration was varied, as the initial adsorption percentage gradually decreas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experiment results to the Freundlich, Langmuir, Temkin, isotherm, linearity was obtained in Freundlich, Langmuir equations. Also in the case of adsorption percentage change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in mixture sample of leached sludge, raw manganese nodule, leached sludge-raw manganese nodule mixing, adsorption percentag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whereas for activated carbon, the adsorption de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Also, the combination of raw nodule and leached sludge-raw manganese nodule mixing showed increasing adsorption as the pH increased, and comparatively in case of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increased over a wide range. In order to estimate the adsorption behavior of raw manganese nodule, leached sludge, and activated carbon in heavy metals we used electrophoresis method, which the PZC value was each estimated as 4.73, 5.00, and 3.25. The ionic strength of adsorb ate was varied to observe its effect on adsorption of manganese nodule, leached sludge, and activated carbon, and the result was that adsorption gradually decreased as the ionic strength increased. Finally, although no cadmium adsorption occurred when reacting the raw manganese nodule and leached sludge used as adsorbent with distilled water and 0.001M의 HCl, as the HCl concentration increased difference in adsorption behavior was observed. Thus in the 0.01M HCl concentration, adsorption of cadmium ion increased in according to activated carbon>raw manganese nodule>leached sludge-raw manganese nodule mixing>leached sludge, in 0.1M HCl raw manganese nodule>activated carbon>leached sludge-raw manganese nodule>leached sludge, and in 1M HCl raw manganese nodule>leached sludge-raw manganese nodule>activated carbon>leached sludge order, such that different tendencies were shown.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recycle after being used as heavy metal adsorbent.

      • 클래스 올덴버그(Clases Oldenburg)의 작품연구

        전영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미술을 볼 때, 팝아트 이후 미술의 경향은 이전의 특권층을 위한 미술에서 벗어나 대중을 주제로 그들의 삶과 사회를 반영하면서 그들과의 소통을 위한 미술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작가들의 의도와는 달리, 대중은 미술의 주제가 그들의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또다른 소외감을 느끼게 되었고, 이로 인해 대중과의 소통의 거리는 더 멀어지고 있음이 주지의 사실이다. 이 즈음에서 진정한 대중과의 소통을 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팝아트 작가로 클래스 올덴버그를 들 수 있다. 그의 1960년 초부터 2002년 최근까지의 작품 분석을 통해 그의 의도 즉, 대중과의 의사소통과 이를 위한 여러 다양한 방법을 알아보고, 이로 인해 조소 영역을 확장시킨 현대 조각에서의 그의 작품의 의의를 파악하며, 그의 영향을 받은 작가들까지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대중과 소원해진 현대미술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 Ⅱ장에서는 클래스 올덴버그의 작품의 배경을 조사했다. 우선 현대 미국 미술의 전반적인 흐름과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이전의 미술이 특권층을 위한 미술이었다면, 현대 미국 미술은 교육을 받은 다수의 대중을 위한 공공미술의 대두와 젊은 미술가들의 전위적인 미술의 특징이 두들어진다. 이러한 미국 미술의 전반적인 특징을 알아본 후, 본격적으로 올덴버그 작품에서 보여지는 여러 미술경향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그의 전반적인 미술의 정신을 반영한 팝아트와 해프닝, 소프트 조각, 환경 미술 등으로 대표되는 현대 미술 경향의 개념과 특징, 대표 작가들을 알아본 뒤, 올덴버그 작품과의 유사점,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올덴버그의 작품시기를 1960년대 해프닝, 소프트 조각시기, 1970년대 이후부터 2002년 최근까지 전개되고 있는 확대된 오브제시기로 전체를 세 시기로 구분하여 그의 작품을 전개하였다. 1960년대 전반의 해프닝 작업은 크게 <거리(The Street)>과 <레이 건 연극(Ray Gun Theater)>로 나눌 수 있다. <거리>는 미국의 실제 거리에서 펼쳐진 작품으로, 도시인의 이상과 폭력을 실제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맨하탄 남쪽의 빈민가에서 찾아낸 오래된 마분지, 즈크천, 로우프 등을 재료로 이용하였다. 환경미술 작품 <거리>를 배경으로 1960년 첫 해프닝인 <도시의 스냅 사진>이 공연되었다. 1960년 후반에 그의 스튜디오에서 <상점>을 선보였고, 그곳에서 <레이 건 연극>이라는 해프닝을 공연했다. 이 작품에서는 미국의 역사와 미국인의 의식을 표현하였다. 1960년대 초의 해프닝 작업에서 보여주었던 오브제 작품의 다양한 시도는 이후 1960년대 후반의 소프트 조각으로 이어진다. 천, 비닐, 고무, 솜 등으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조각 작품은 중력에 따라 움직이기도 하고 전시마다 다른 형태를 보여주었다. 소재 역시 일상용품을 작품화하여, 그의 작품 소재는 <거리>, <상점> 등 해프닝시기에서 시작해 소프트 조각시기 그리고 후의 확대된 오브제시기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연관성을 띠고 있다. 그의 친근한 소재에서 이전의 조각 작품과 다른 유동적인 재료의 사용은 감상자들로 하여금 또다른 낯선 경험을 제공하였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확대된 오브제 작업은 그의 이전의 작품과 동일한 연장선에서 재료와 크기, 장소성 등을 고려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올덴버그의 확대된 오브제 작품은 건축적 규모에 친근한 소재와 함께 작품이 놓여지는 장소성을 고려하여 일반대중이 공감할 수 있는 대규모 환경 조각의 성공적 사례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Ⅳ장에서는 현대 조각사에 올덴버그 작품의 의의를 팝아트에서 대중과의 소통, 조각 영역의 확장, 그리고 다른 작가들에게 미친 영향 등으로 구분하여 그의 작품의 의의와 현대 조각의 새로운 대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우선, 그는 이전의 전통조각의 소재로부터 자유로워져 일상의 오브제를 확대하여 장소성을 고려한 환경조각 작품을 제시함으로써 공공조각으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소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소재뿐만 아닌, 새로운 재료의 시도를 통하여 이전의 견고했던 조각의 재료에서 벗어나 조각에 우연성, 살아있는 듯한 촉감 등을 보여주어 조각의 영역을 확장시켰다. 이와 함께 그의 다양한 시도들은 동시대 작가들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건축적 규모에서는 리차드 세라, 장소성의 측면에서는 대지 미술 작가들, 부드러운 조각은 리차드 가드윈 등을 들 수 있다. 올덴버그는 소재, 재료, 크기, 장소 등의 끊임없는 실험적 시도를 통해 대중을 위한 미술과 환경미술을 이해하는 절대적 가치를 현대의 작가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After the Pop Art, the trend of modern art has shifted its spotlight from the privileged class to the life and society of the public. In other words, art is playing a part of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public. However, despite many artist's intentions, the public felt another gap between them and art, making it difficult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sides. Nevertheless, there is a pop artist who has expressed the need of understanding of the public to art effectively. He is Claes Oldenburg. By studying this artist's works from the early 1960s to recent 2002, we will learn about his methods of expressing himself. Moreover, we'll also be looking at the significance of his works in modern sculpture, and those who were greatly influenced by him. With these in mind, I also plan to find an alternative plan to bring the public and art close.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thesis, there is a research on the background of Claes Oldenburg's works. I researched on the sequence of the trends of American art, and then researched more thoroughly on the trends that show in Oldenburg's works. From this chapter, one will be able to learn about the basic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art-Pop Art and Happening, Soft Sculpture, Environment Art, etc-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rend and Oldenburg's art. The third chapter is an analysis of the artist's works. In this chapter, I analyzed Oldenburg's works by dividing them to Happening in the 1960s, Soft Sculpture, and the Object that have been expanding from 1970s till now. With the basis of the third chapter, the fourth chapter goes on to show the significance of modern sculpture and Oldenburg, moreover finding an alternative plan by presenting three sides :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n Pop Art, the expansion of the field of sculpture and the influence other artists received.

      • Inhibitory effect of l-THP on Dopaminergic Neuron Activation via Glutamatergic Modulation

        전영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was recently reported that levo-tetrahydropalmatine (l&#8211;THP) purified from the Chinese herb Stephanie has a dopamine D1 and D2 antagonist action and appears to augment DA increacement. However the detail action mechanism for l-THP is not well know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THP on climbing behavior induced by stimulation of postsynaptic DA receptor and the effects on TH, DA synthesis rate limiting enzyme. l-THP inhibited apomorphine-induced climbing behavior in mice. This result suggests that l-THP can act as a post synaptic DA antagonist. Through western blot, apomorphine decrease TH expression while l-THP reversed the inhibitory effect of apomorphin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l-THP has a feed-back control on presynaptic DA receptors (i.e. autoreceptor). In addition, l-THP decreased glutamatergic-related proteins content such as NMDA subunits R1, the phosphorylated NMDA subunits, phospho-NMDAR1 (896), R2A, R2B and phospho-NMDAR2B (1303). In summary, l-THP may have effect on DA neuron activity through post and presynaptic DA receptor as well as via glutamatergic modulation on DA receptor. lev-tetrahydropalmatine (l-THP), 현호색으로써 도파민 (D1, D2) 안타고니스트로 코카인에의해 유도되는 도파민 증가를 늘이는 역할을 한다고 기록되었다. 그러나 l-THP 의 세부적 메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아 본 연구는 l-THP가 post synaptic DA receptor의 자극에 의하여 유도되는 climbing behavior를 조사하였고 mice의 striatum에서 rate limiting step dopamine synthesis의 glutamat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l-THP가 apomorphine이 유도하는 climbing behavior를 억제 한다는 것을 관찰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l-THP가 post synaptic dopamine receptor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western blot를 통하여 apomorphine이 tyrosine hydroxylase (TH) expressin을 감소시켰으며 반면 l-THP는 apomorphine에 의한 TH발현 감소를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l-THP가 presynaptic receptor (i.e. autoreceptor) 에 feedback 작용을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즉 l-THP는 striatum에서 glutamatergic protein을 감소시켰다. 즉NMDA R1, NMDA phosphoR1 (896), NMDA2A, NMDA2B 그리고 NMDA phosphoR2B (1303)의 protein은 l-THP 투여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요약하면, l-THP 는 DA receptor에 glutamatergic modulation 을 통해서 뿐 아니라 post 그리고 pre synaptic DA receptor를 통해서 DA neuron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 2015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기초 과학 탐구 기능 분석

        전영신 경인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을 가르치는 목적은 모든 학생이 과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 탐구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이다. 학생들은 과학을 공부할 때 과학 탐구 능력을 사용하여 의문을 제기하거나 실험 결과를 해석하고, 과학의 개념에 대한 이해도 발달시킨다. 따라서 과학 탐구 능력은 과학교육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과서에 제시된 기초 과학 탐구 기능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 경험하게 될 기초 과학 탐구 기능의 구체적인 유형과 학년별 및 영역별 분포를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다음 교과서를 개발할 때에 교과서 집필 방향에 대한 유의미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기초 과학 탐구 기능 분석틀을 선정하고 이에 따라 본 연구자 외 2인의 과학교육 전공자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6학년 과학교과서의 탐구 활동과 실험관찰의 지문을 분석하였다. 이때 탐구 단원은 제외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기초 과학 탐구 기능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그 수준이 높아지도록 구성되지 않았다. 즉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과학 지식의 내용은 심화되었으나, 기초 과학 탐구 기능의 심화는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측정, 분류, 예상 탐구 기능이 영역별로 골고루 제시되지 않았다. 즉 측정 탐구 기능은 ‘운동과 에너지’ 영역에, 분류 탐구 기능은 ‘생명’ 영역에, 예상 탐구 기능은 ‘물질’ 영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교과서는 기초 과학 탐구 기능을 학년별 학생들의 과학적인 사고 발달 단계에 맞게 적절하게 제시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추가 연구를 통해 학년별 탐구 능력 수준을 세부적으로 마련하고, 이를 일관성 있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초 과학 탐구 기능을 영역별로 균형 있게 제시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추가 연구를 통해 영역별 탐구 기능의 적절한 제시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연계성 있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가 취약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영신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석 심리치료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취약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실증조사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문헌조사에서는 기존의 학술서적, 학술논문,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등을 살펴보면서 본 연구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대해 이론적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이런 이론적 논의의 결과를 토대로 해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증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의 취약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취약아동 5명과 지역아동센터의 취약아동 6명을 각각 아동집단으로 구성하여,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4년 5월~8월에 걸쳐서 각각 10주(1주에 2회기)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매 회기마다 보조 미술치료사 두 명의 도움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실험설계에 근거한 질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이전과 실시하기 이후에 미술적 분석도구인 HTP(집-나무-사람)검사와 비미술적 분석도구인 문장완성검사(SCT)를 대상 아동에게 실시하였다. 여기서 HTP검사는 자아의 무의식적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투사적 도구이고, 문장완성검사는 자아의 여러 영역과 관련된 자유연상을 보여주는 투사적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을 하지 않았고, 그 대신에 HTP검사와 문장완성검사를 통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의 변화를 질적 분석하여,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취약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증진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 각각이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작품, 행동 변화, 태도와 같은 비언어적 표현과 언어적 표현에 주목하면서, 조사대상자 각각이 자아존중감에서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조사대상자 아동의 행동이나 활동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조사대상자 각각의 자아가 더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방향으로 나가는 데 이바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취약아동의 총체적 자아존중감을 크게 증진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 각각이 그린 집그림, 나무그림, 남성그림, 여성그림을 통해 나타난 자아 관련 특성을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기 이전과 이후 각각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조사대상자 각각의 자아를 증진시킨다는 점이 각 그림의 변화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문장완성검사를 통해 나타난 자아 관련 특성을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기 이전과 이후 각각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조사대상자 각각의 자아존중감의 여러 하위요인에서 긍정적으로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여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취약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증진하는 데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여러 하위요인 중에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취약아동의 총체적 자아존중감을 증진하는 데 특히 이바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런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취약아동의 정신보건과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취약아동의 정신보건을 다루는 영역에서는 다른 프로그램과 더불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사회에서 취약아동의 정신보건에 관여하는 전문 인력이나 사회복지사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의 미술치료 전문가가 방과후학교와 지역아동센터를 비롯한 아동복지기관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유료나 자원봉사로 실시하는 것을 도와주는 공적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첫째,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더 넓은 범위에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점,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관련해 과도한 일반화의 위험이 있다는 점, 셋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