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험금청구권 소멸시효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전설안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mmercial Act §64 stipulates a five-year extinctive prescription for commercial claim and a three-year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for insurance claims. However, Commercial Act does not specifically mention the starting point to reckonin of extinctive prescrip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extinctive prescription for insurance claims, the right expires after three years from the date of the occurrence of an insurance accident. Thus, an insured or beneficiary of insurance cannot exercise an insurance claim.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gitimacy of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for insurance claims, which were defined as three years. The ruling of the Supreme Court in 2016 on an insurance dispute over "Terms for Accidental Suicide" sparked a debate over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insurance claims. While recognizing the validity of 'Terms for Accidental Suicide',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for insurance claims in related cases should be regarded as the time of occurrence of an insurance accident. In accordance with Article 662 of the old Commercial Act, insurance claims had expired after two years had elapsed since the occurrence of an insurance accident (suicide). After the aforementioned ruling of the Supreme Court was presented, legal and academic debates about the duration of insurance claims and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of extinctive prescription have been actively going on in Korean society. Article 662 of the Commercial Act amended in 2014 only extends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insurance claims from 2 years to 3 years but still does not clearly stipulate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for extinctive prescription.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of an extinctive prescription is "when the insurants can exercise his or her rights," according to Article 166, paragraph 1 of the Civil Act. Current Commercial Act stipulates that even if holders of insurance claims "could not have known about the occurrence of an insured event without negligence," they cannot receive insurance money after three years. Namely, its extinctive prescription regulations for insurance claims reveal limitations in protecting insurance consumers. In Commercial Act,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criticized for being legislated, assuming that the merchant is the holder of the right. According to Article 3 of the Commercial Act, it applies even if only one of the parties falls under a Commercial Act.. However, Article 46, Paragraph 17 stipulates insurance as a commercial activity. Thus, the 5-year extinctive prescription stipulated in Article 64 of the Commercial Act is being applied to commercial claims even for claims arising from acts corresponding to commercial activities by one party. Article 64 is a system established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transactions, such as mass, standardization, and expediting. However, if the transaction relationship is not formal and prompt processing is not required, a civil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of 10 years may be applied. Furthermore, the three-year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stipulated in Article 163 of the Civil Act did not stipulate insurance claims. Therefore,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many insurants can’t exercise their rights because they do not know the rights properly, showing that it is unfair to complete insurance claims due to disapproval of ownership claims with a short statute of limitations of 3 years instead of 10 years. Also, the current Commercial Act does not have any regulations regarding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insurance claims. Thus, the extinctive prescription proceeds from the time when the right can be exercised according to the general principles of Civil Act. However, if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for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insurance claims is interpreted as a general principle of Civil Act, disadvantages to the insurant or insurance beneficiary may occur. In this case, insurants are likely not to know that they have the right to their insurance claims within 3 years.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insurance should be when the insured becomes aware of the occurrence of their amount insured. In general, it will be helpful to protect household insurance policyholders unfamiliar with the extinctive prescription system and the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of insurance claims. This thesis finds the limits of the current legal protection for the general public, who is not familiar with insurance contracts and has difficulty expressing their intentions and confronting them. This thesis evaluates the problems of Article 662 of the Commercial Act, which stipulates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insurance claims, and concludes that the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of household insurance claims should be extended to 10 years. 상법은 상사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을 5년으로 규정하고 특히 보험금청구권에 대하여는 3년의 단기소멸시효규정을 두고, 소멸시효의 기산점에 대하여는 침묵하고 있다.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 기간이 보험사고가 발생한 날로부터 3년의 기간이 경과하면 권리가 소멸되어 피보험자 또는 보험수익자는 보험금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과연 보험금청구권이 3년의 단기시효로 소멸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이 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 2016년 ‘자살재해약관’을 둘러싼 보험 분쟁에서 대법원이 내린 판결은 보험금청구권소멸시효를 둘러싼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자살재해약관’의 유효성은 인정하면서도 관련 사건들의 보험금청구권 소멸시효 기산점은 보험사고 발생시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구 상법 제662조에 따라 보험사고(자살)가 발생한 때로부터 2년이 경과하여 보험금청구권은 소멸되었다고 판시하였다. 판결 이후 보험금청구권의 기간과 소멸시효의 기산점에 대해 법적, 학문적 논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14년 개정 된 상법 제662조는 보험금청구권의 시효를 종전 2년에서 3년으로 연장하고 있을 뿐, 소멸시효의 기산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규정하고 있지 않다. 결국 소멸시효의 기산점은 민법 제166조 제1항에 따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로 부터 진행된다. 보험금청구권자가 “과실 없이 보험사고의 발생을 알 수 없었던 경우”에도 3년이 지나면 보험금을 받을 수 없게 되는 현행상법의 보험금청구권 소멸시효규정이 보험소비자보호에 한계를 드러낸다. 상법상의 단기소멸시효의 규정은 상인이 권리자인 경우를 가정하여 입법된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당사자 쌍방의 상행위로 인한 채권뿐만 아니라 상법 제3조에서 당사자 중 그 1인의 행위가 상행위인 때에는 전원에 대하여 상행위로 적용하고 있는데, 상법 제46조 17호에서 보험을 상행위로 규정하고 있어, 일방 당사자의 상행위에 해당하는 행위로 인한 채권조차 상법 제64조의 5년의 소멸시효제도의 상사채권에 적용되고 있음을 다룬다. 상법 제64조는 대량·정형·신속이라는 상거래 특유의 성질에 기인하여 마련된 제도임을 근거로 하여 이것이 거래관계가 정형적이지 아니하며 신속한 처리가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10년의 민사소멸시효기간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근거로 하고 민법 제163조의 3년의 단기소멸시효에는 보험금청구권이 규정되지 아니하였음을 다룬다. 정형화된 대량의 동일한 채권이 아니며, 권리를 제대로 알지 못해 소유 채권의 불인지로 인해 권리를 행사할 수 없었을 일반 가계보험소비자의 보험금청구권이 10년이 아닌 3년의 단기소멸시효로 완성되는 것은 부당한 것임을 지적하였다. 또한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점에 대하여 상법은 어떠한 규정도 두고 있지 않다. 따라서 민법의 일반원칙에 따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로부터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을 민법의 일반원칙처럼 해석하는 경우 피보험자 또는 보험수익자에게 불이익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보험사고의 발생 사실을 알지 못하여 보험금청구권의 행사 사실도 모른 상태에서 소멸시효가 진행되고 3년의 단기간의 시효완성으로 보험금청구권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한 선행연구와 관련 판례의 태도를 분석하여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은 일반 가계보험소비자인 보험수익자 등이 근본적으로 피보험자 또는 보험수익자가 보험금청구권의 발생을 안 때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으로 소멸시효 제도와 보험금청구권의 단기소멸시효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는 가계 보험계약자들의 보호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보험계약에 대하여 잘 몰라 보험계약에 관한 의사표시와 대항을 하기 어려운 일반인에 대한 현행법적 보호의 한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를 규정한 상법 제662조의 문제점을 연구하여 가계보험의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을 10년으로 연장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