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골반 저근 운동이 여성의 질 내압과 질 수축 지속시간 및 성기능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전미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골반저근 강화 운동을 통해 여성들의 삶의 질을 높이며, 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12주간의 운동 Program 적용 후 최정점 질 내압, 평균 질 내압, 질 수축 지속시간에 대한 효과, 성생활에서의 만족도에 대한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최대 질 내압과 평균 질 내압의 변화 최대 질 내압은 운동군이 운동전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 질 내압은 운동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질 수축 지속 시간의 변화 운동군이 운동전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욕구, 흥분, 분비액의 비교 욕구와 흥분은 운동군이 운동전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분비액은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대조군에서 운동 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 오르가즘, 만족감, 통증의 비교 운동군에서 운동후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골반 저근 강화 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들의 질 수축력과 질 수축 지속시간 그리고 성생활에서의 만족도에 효과적인 운동법임을 입증하였으나, 좀 더 많은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female life and to present the basic source through pelvic floor muscles exercise. Followings are the changes of vaginal internal pressure in climax, average vaginal internal pressure, vaginal contraction duration and satisfaction of sexual life after applying 12 weeks' exercise program. First, exercise group showed that the maximum vaginal internal pressu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exercise, but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average vaginal internal pressur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the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Third, exercise group showed that the vaginal pressure duration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before exercise, but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exercise group showed that the desi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exercise, but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ifth, exercise group showed that the arousal was significantly high after exercise, but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Sixth, as for the lubrication, exercise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control group showed it significantly high after exercise. Seventh, exercise group showed that the orgasm was significantly high after exercise, but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Eighth, exercise group showed that the arousal was significantly high after exercise, but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Lastly, exercise group showed that the pain was significantly high after exercise, but control group and the result of post-test between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bove results proved that the pelvic floor muscles exercise has an effect on the female vaginal pressure, vaginal contraction duration and satisfaction of sexual function, but additional researches might be necessary with more subjects.

      •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한국 고등학생의 영작문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미정 건국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작문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영작문 지도를 위한 교사의 피드백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영작문 피드백 유형은 형식 중심의 피드백(form-based feedback), 의미 중심의 피드백(meaning-based feedback), 통합적인 피드백(integrative feedback)으로 분류된다. 영작문의 실력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피드백 유형이 의미 중심의 피드백임을 제시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현재 교사들은 여러 교실 환경의 제약으로 인해 형식 중심의 피드백을 주로 사용해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인 영작문 지도를 위하여 가장 효과적인 피드백 유형을 모색하고 영작문 지도 시 고려해야 할 여러 제안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연구 질문 1: 교사의 피드백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작문 실력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가? 연구 질문 2: 교사의 피드백 중 어떠한 유형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작문 실력 향상에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는가? 연구 질문 3: 각 피드백 유형이 학생들의 실험 전 영작문 능력차에 따라 어떻게 다른 효과를 보이는가? 연구 질문 4: 피드백의 효과가 있다면 각 피드백 유형에 따라 작문의 세부영역인 내용, 구성, 문법, 어휘, 기계적 측면에 각각 어떻게 다른 효과를 보이는가? 본 실험을 위하여 서울에 위치한 두 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우선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은 통제 집단과 피드백 유형에 따라 형식 중심의 피드백 집단, 의미 중심의 피드백 집단, 통합적인 피드백 집단 총 4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영작문 실험을 위해 5회에 걸쳐 작문 과제를 제시하고 집단별로 각각 다른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5주 후 학생들의 영작문 실력 향상을 피드백 유형별로 알아보기 위하여 제출된 첫 번째 작문의 결과와 마지막 작문의 결과를 분석적 평가방법(analytic assessment)을 통해 평가한 후 점수의 증가량을 공분산 분석(ANCOVA)을 통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실험 결과, 피드백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첫 번째 작문 점수와 마지막 작문 점수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 원인을 집단 내 학생들의 실험 전 영작문 실력에 따른 능력별 요인과 각 영작문 평가 시 적용된 작문의 세부영역에 따른 점수의 차이에서 요인을 찾을 수 있었다. 집단 내 상․중․하 능력별 학생 분류에 따른 점수의 증가량은 의미 중심의 피드백을 받은 집단 중 하위 집단의 학생들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의미 중심 피드백 집단의 하위 집단의 학생들이 가장 크게 점수가 향상 되었으며 상위 집단의 학생들에게 적은 증가량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작문 세부 영역에 따른 점수의 증가는 내용 영역은 피드백 유형과 관계없이 하위집단 학생 위주로 점수 향상을 보였으나 구성 영역과 기계적 영역에서는 의미 중심의 피드백을 받은 집단이 긍정적으로 반응하여 큰 점수의 증가량을 보였다. 어휘와 문법영역에 있어서는 두드러진 점수의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단기간의 영작문 피드백을 통해 그 효과를 증명하기는 어려웠던 것으로 추측된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은 영작문 지도 시 의미 중심의 피드백을 지향하여 글쓰기의 목적인 의사전달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며 학생들의 영작문 실력과 지도하고자 하는 작문의 세부영역을 고려하여 목적에 맞는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주요어: 형식 중심 피드백, 의미 중심 피드백, 통합적 피드백 영문초록: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English writi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o search for the effective feedback for English wiring instruction. In general, English writing feedback is categorized into form-based feedback, meaning-based feedback, and integrative feedback. Even though there have been plenty of studies which state the meaning-based feedback is the most effective way, many current teachers mainly rely on the form-based feedback; influenced by the certain limits of classroom atmosphere. Thus, to enhance English writing instruction and to discover the most effective type of feedback while proposing various suggestions to be considered in English wiring instruction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 1: Does teachers' English writing feedback effectively work on English writing skill of the High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 2: Which type of writing feedback influences most effectively on English writing skill? Research question 3: What differences of the effect does each feedback type reveal, according to students' English writing proficiency? Research question 4: If it shows the positive feedback influence, how does each feedback give an effect on detail writing areas such as content, organization, grammar, vocabulary, and mechanics? This study was implemented with 82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those students were redistributed into groups of 4: control group given no feedback, form-based feedback group, meaning-based feedback group, and integrative feedback group. Each group were assigned with a different writing homework every week for a period of 5 weeks. Each group was provided with a different type of writing feedback. At the end of the period, each group's first and last submitted writing compositions were evaluated with analytic assessment method, and took statistics on the improved score by ANCOVA.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st and last composition score in accordance with feedback types. Such results were discovered examining students' in-group level differences and the difference of scored portion according to writing assessment area, which is applied for analytic assessment. The results represent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mostly in meaning-based feedback group, in which the lower level students showed the largest improvementand the high level students drew a small score increase. In addition, the scoreimprovement by the writing assessment area revealed significantly on the area of organization and mechanics within the group of meaning-focused group. It was difficult to prove the effects on the area of vocabulary and grammar in a short experimental period. To sum up, this study proposes that teachers should instruct English writing by using meaning-focused feedback to help students perform communicative conveys. Also, teachers should use a purposeful feedback consideringthe students' level and a writing area to be instructed. For the further study,concrete feedback strategies like suggestions, comments, critics, praise etc. should be executed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English writing feedback

      • 한국 현대시의 에로티시즘 연구 : 서정주, 오장환, 송욱, 전봉건의 詩를 중심으로

        전미정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에로티시즘은 인간이 삶과 죽음을 대하는 태도 속에 내재된 인간의 근원적 정신이다. 그러나, 그동안 에로스를 소재로 삼은 작품들에 대해 지나친 편견이 가해져 왔다. 성적표현이나 성적인 뉘앙스를 지니는 모든 작품을 성적인 문제에만 국한시켜 재단함으로써, 에로티시즘에 토대를 둔 작품까지도 그러한 대상에 포함시켜 폄하시켜 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절감하는 데서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에로스의 상상력을 통하여 에로티시즘이 인간의 근원적이고 보편적인 원형 의식임을 밝히려고 하는 작업이다. 에로티시즘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세계는 낙원과 같은 원초적 질서의 세계이다. 이것은 에로티시즘이 모태회귀 본능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에로티시즘의 시세계에서 고향은 상실된 자아와 상실된 육체성과 상실된 생명을 회복하는 원초적 질서를 지닌 곳으로 표상되어 있다. 이러한 고향의 상징성을 통하여, 에로티시즘이 근본적으로 자아 상실과 회복, 육체성 상실과 회복, 생명 상실과 회복에 관심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세 개의 의미 층위는 에로티시즘에서 상호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 관계성은 인간이 탄생 순간에 경험하는 다양한 심리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첫째, 모태 회귀는 생명 회복을 상징한다. 인간은 누구나 태어나는 순간, 즉 어머니 몸에서 분리되는 순간 죽음을 체험하게 된다. 따라서, 어머니 몸과의 통합은 생명을 의미하게 된다. 인간은 죽음에 직면하게 되면 에로스의 본능이 우세해진다. 그러한 본능을 표출하고 있는 에로티시즘의 정점에서 고향이나 어머니가 중요한 모티프로 등장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둘째, 모태 회귀는 자아 회복을 상징한다. 어머니와 분리의 순간에 자아는 처음으로 상실감을 느끼게 된다. 즉 최초의 타자인 어머니의 몸과 통합되어 있을 때 자아는 가장 완전한 상태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타자와의 분리는 자아에게는 상실의 지표가 되는 것이다. 바따이유에 따르면, 자아는 고립감에 비례하여 발생한다. 자아의 결핍 심리를 조장하는 소외감이나 고립감은 타자의 부재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은 끊임없이 최초의 타자인 어머니를 대신할 다른 타자를 갈망하는 것이다. 따라서, 타자와의 결합은 상실된 자아의 회복을 상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에로티시즘에서 타자가 지니는 의미는 특별하다. 타자는 자아의 낭만적 환상을 이루어 주는 존재가 되기 때문이다. 에로티시즘 속에서의 타자와의 결합은, 그것이 육체적인 것이든 정서적인 것이든 그 어느것이든지 언제나 자아회복의 기제가 되는 것임에 틀림없다. 셋째, 모태 회귀는 육체성 회복을 상징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자아 상실감을 느끼고 태어난다. 그런데, 에로티시즘에서 자아 상실을 고지하는 곳은 몸이다. 인간이 모태와 분리되는 순간 느끼는 자아 상실감은 몸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모태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것은 몸이다. 따라서, 몸은 자아상실을 고지하는 상징적 자리가 된다. 따라서 자아상실감은 몸의 결핍을 유도한다. 그래서, 자아는 완전한 몸을 욕망하게 된다. 몸의 욕망은 성적 욕망으로 표출되어 나온다. 따라서, 에로티시즘에서 타자와의 성적 결합은 상실한 육체성의 회복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에로티시즘이 단편적인 의식의 한 양상이 아니라, 복합적인 구도로 짜여진 보다 다층적인 정신 세계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인간의 근원적 의식은 언제나 여러가지 의미망을 통해 파생되어 나가는 것이 특징이다. 그 의미 생성과 전개의 양상에 따라 에로티시즘은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 양상은 <욕망의 기호로서의 몸과 규범에의 반항>이다. 이 유형에서 몸은 욕망과 반항의 장소가 된다. 식민지와 전쟁이라는 질곡의 상황은 그 상황 자체만으로도 자아를 억압하고 구속하는 시기이다. 자아 상실감은 억압의 심리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몸은 이러한 억압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장소이다. 현실이 자아를 억압하는 규범으로 작용할 때, 자유에 대한 갈망은 그 어떤 때보다도 증대하게 된다. 몸의 구속감에서 유발된 욕망은 몸을 자기 욕망의 통로로 삼게 된다. 따라서, 성적 욕망은 금기에 대한 반항으로서 에고이즘을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기제가 된다. 두 번째 양상은 <위반의 기호로서의 몸과 제의의 기제>이다. 이 유형에서 몸은 위반과 제의의 장소가 된다. 타나토스의 현실과 반대 극점에 있는 에로스의 세계를 추구하는 태도가 반항이라면, 반면 위반은 타나토스를 극복하기 위하여 타나토스에 도리어 참여함으로써 생명을 획득하는 제의의 양식을 취하게 된다. 제의적 기제를 통해 타나토스와 에로스는 단선적이기보다 복합적인 관계망을 형성하게 된다. 한계선이라는 형상을 지닌 죽음을 염두에 두는 데서 형성되는 에로티시즘은 주로 죽음을 의식하는 것을 피하려 하고, 우리가 당장 죽지 않는다는 것을 가정하려고 한다. 이러한 죽음에 대한 반응에서 제의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의는 죽음을 초월적 사건으로 제시하고, 죽음을 생명의 원리로 수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죽음을 저지르는 최고의 위반은 생명을 구가하는 역설적 행위가 되는 것이다. 에로티시즘은 종교적 색채를 강하게 드러내게 되는 것도 제의성 때문이다. 한편, 이 장에서 죽음은 善/惡 聖/俗, 혼돈/무질서, 도덕/비도덕의 가치 개념을 동반하게 된다. 이러한 가치 개념들은 인간이 삶과 죽음을 해석하는 인간의 근원적 의식을 함축하는 것이다. 세 번째 양상은 <연속의 기호로서의 몸과 우주와의 합일>이다. 이 유형에서의 몸은 연속성과 우주(질서)의 장소가 된다. 이 시편들은 에로티시즘의 궁극적 세계라고도 할 수 있는 우주와 합일을 실현하게 된다. 여기서 우주란 조화와 질서를 지니고 있는 원초적 세계이다. 원초적, 연속적 세계란 죽음과 생명이 더이상 경계를 지니지 않는 곳이다. 이는 그 공간이 오로지 생명의 기호만을 지니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고향과 어머니, 그리고 우주가 원초적 세계의 상징이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현상은, 몸의 결핍을 인식하면서 출발한 에로티시즘의 시적 정신이 죄총적으로 귀결되는 곳이 몸으로서의 고향이라는 점이다. 그 고향은 최초의 원초적인 몸의 원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모체의 상징적 공간이다. 이 고향의 회귀를 통하여 상실된 자아와 육체, 그리고 생명을 완전히 회복하게 된다. 이것은 세계와 분열되었던 자아가 세계와 조화로운 관계로 돌아섰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양상은 결국 같은 궤도를 밟고 있는 의식이다. 규범에의 반항은 제의성을 함축하고 있고, 제의 기제는 우주와의 합일을 고지하게 된다. 이 우주와의 합일이 에로티시즘이 추구하는 궁극적 세계이다. 제의성을 보이는 Ⅲ장은 타나토스성이 상대적으로 더 강한 Ⅱ장과 에로스성이 절대적으로 지배하는 Ⅳ장의 양극 사이에서 걸쳐져 있다. Ⅲ장은 하강 곡선인 타나토스와 상승 곡선인 에로스를 지니는 포물선의 꼭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그 전환의 지점인 포물선의 꼭지점에서 에로스와 타나토스는 첨예한 긴장의 관계를 노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Ⅲ장은 Ⅱ장의 타나토스가 Ⅳ장의 에로스로 전환되려는 역학적 운동을 생생하게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세 가지 양상을 통해 서정주, 오장환, 송욱, 전봉건의 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욕망의 기호로서의 몸과 규범에의 반항>의 詩篇 서정주와 오장환의 시에서 '이브'와 매음녀'는 부정적인 현실의 지형도로서의 몸이다. 그런데, 시적 자아는 부정적 현실을 상징하는 존재들인 이브와 매음녀를 타자로 삼음으로써 현실에 대해 극단적으로 반항하고 있다. 병든 현실에 의도적으로 함몰된 결과 몸은 消盡되고 병들게 된다. 이렇게 몸이 부정적인 의미 자질로 변질되는 것은 원죄 의식이 개입되었기 때문이다. 이 두 시인의 에로스의 상상력 속에서 실낙원 의식은 언제나 의미 생성의 중심축이 되고 있다. 에로스의 분출을 통한 반항 심리의 틈새를 이용해 죄의식이 고개를 내미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현실을 실낙원으로 인식한 배경 위에서 전개된 반항은 죄의식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러한 데카당적 면모는 그 외양적인 퇴폐성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 그 반대 지점을 향해 있다. 가장 자유롭고 건강한 세계가 그것이다. 이처럼 이들의 시에서 나타나는 반항으로서의 위악성은 병든 현실을 탈피하여 자유로운 몸으로 건강한 세계를 획득하려는 역설적인 몸짓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송욱과 전봉건의 시에서 현실의 지형도로서의 몸은 속박 받고 있는 '로미오'와 감옥에 유폐되어 있는 '춘향'이에 비유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은 앞의 두 시인과 달리, 비극적인 그 몸에 함몰하지 않는다. 그들은 원시적인 알몸의 '춤'이나 잉태의 '꽃'을 지향하게 된다. 이것은 현실의 무거운 몸을 탈출하여 수직적으로 상승하는 몸을 회복하고자 하는 욕망의 표현이다. 이러한 규범에의 반항은, 서정주와 오장환과 달리, 긍정적인 결과는 낳게 된다. 한편, 이들의 시에서 규범에의 반항은 시적 수사법에서도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언어 표현 방식들은 현실에 대한 한계 인식에서 나온 욕망의 언어, 에로티시즘의 언어들이다. 한계는 일상적 논리의 일탈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상적 언어의 일탈은 자유의 한 표출 방식이 되는 것이다. 송욱의 시에서는 일탈이 주로 메타포의 불균형이나 언어 유희를 통해, 전봉건에게서는 주로 자동기술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2) <위반의 기호로서의 몸과 제의의 기제>의 詩篇 서정주와 오장환의 시에서 제의를 형성하게 되는 계기는 죄성이다. 그래서, 그들의 시에서 속죄 제의와 재생 제의는 겹쳐져 있다. 이들의 시적 자아는 세속의 位相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죄성과 불결의 몸을 정화하여 신성함을 획득한다는 것은 결국 생명을 회복하는 일이 되는 것이다. 세속성은 죽음의 징표를, 신성성은 생명의 징표를 함축하기 때문이다. 그 세속적 위상은 '카인'과 '매음녀'의 몸에 반영되어 있다. 서정주의 시에서 '카인'의 죄는 '막달레에나'를 죽이는 범죄를 통해 속죄를 얻게 된다. 그리고, 오장환의 시에서 '매음녀'의 불결은 聖女 '마리아'를 모독하고 타락시킴으로써 그 순결함을 회복하게 된다. 이것은 죄를 죄로써, 불결을 타락으로써 맞대응하는 위반적 행위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위반을 통해서 죄와 순결함의 의미는 더 극대화되는 것이다. 위반은 이처럼 모순된 행위를 통하여 욕망을 극대화시키는 현실 대응의 한 방식인 것이다. 송욱과 전봉건의 시에서 제의가 형성되는 계기는 생명의 유한성이다. 이들의 시적 자아는 有限의 位相을 드러낸다. 송욱의 시에서는 그 위상이 '장미 가시'의 살기성에, 전봉건의 시에서는 전쟁을 상징하는 '총'의 거세성에 투사되어 있다. 그 유한한 생명을 영속화시키기 위해 재생 제의의 모형이 제시된 것이다. 송욱의 시에서 사회의 혼돈은 죽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 위반은 혼돈을 더 혼돈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카니발리즘이 그 제의의 기제이다. 한편, 카니발리즘은 에로스를 표출하는 한 방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전봉건의 시에서 죽음은 실제로 물리적인 죽음을 재현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 위반의 양식은 거세와 관능성의 중첩화이다. 이러한 중층적 묘사를 통해 죽음은 거꾸로 강렬한 생명성을 환기하게 되는 것이다. 거세가 부활과 재생의 모티프가 되는 것이다. 이 제의의 시편들에서 전봉건의 시는 이목을 끌게 된다. 그것은 제의적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도 그렇지만, 그 형상화 면에서 탁월한 상상력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편들은 과히 그의 걸작들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다. (3) <연속의 기호로서의 몸과 우주와의 합일>의 詩篇 서정주와 오장환에게서 고향 회귀는 실제로 존재하는 고향과 어머니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서정주에게는 고향인 '질마재'가, 오장환에게는 고향에 계신 '어머니'가 그런 존재이다. '질마재'는 자기 존재의 근원을 반사시켜 줌으로써 원초적인 몸을 회생시켜주는 곳이며, 질마재의 '여인'은 시적 자아의 병들고 상한 몸을 치유해 주는 인물이다. 오장환의 '어머니'는 가족으로부터 소외되고 행려병에 걸린 몸을 품어주는 고향의 상징적 존재이다. 그는 자기와 같은 처지에 놓인 어머니와의 정서적 교감을 통하여 신생의 몸으로 거듭나게 된다. '질마재'와 '어머니'는 떠나온 고향으로 회귀하게 하는 곳으로서, 삶의 의욕, 즉 생명욕을 고무시키는 에로스적 대상으로 원용되고 있는 것이다. 송욱과 전봉건의 고향은 잃어버린 고향을 상징적으로 재구성하여 회복하게 된다. 이러한 고향은 생명이 잉태되거나 생성되는 모태로서의 공간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징적 공간은 불멸성을 보여 주는 전형적인 모형이 되는 것이다. 송욱의 경우는 창세기적인 우주(universe)의 몸이, 전봉건의 경우는 항아리의 몸이 그것이다. 태고적 창생의 몸인 우주는 모든 만물을 잉태하는 모습으로 형상화됨으로써 상당히 역동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 우주는 모든 만물과 시공간을 하나의 유기적인 질서로 통합해 주는 모체로서의 몸을 상징하는 대상이다. 송욱의 후기시는 또한 모든 생명의 원천을 육체에 두고 있는 독특한 육체의 詩論詩를 쓰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된다. '항아리'는 북의 고향을 허구화시킨 상징체이다. 이 항아리는 죽음의 질료인 어둠을 밀어내고 생명의 질료인 밝음을 생성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항아리는 음양의 합일을 통해 생명을 잉태하는 자궁의 상징체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에로스의 상상력을 창작적 모체로 삼고 있는 서정주, 오장환, 송욱, 전봉건 등의 네 시인의 시를 대상으로 삼아 에로티시즘을 세 가지 양상으로 구분하여 살펴 보았다. 이 세 가지 양상은 비단 이 네 시인의 작품에만 적용되는 제한된 해석적 틀이 아니라, 에로티시즘의 세계에 근거하고 있는 다른 시들을 분석하는 데에도 유용한 준거적 모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에로티시즘의 세계에서 에로스와 타나토스는 다층적인 의미 층위를 형성하는 시적 소재이며, 서로에게 의미 磁場을 형성해 주는 상보적 관계에 위치해 있다는 중요한 특질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현대시 연구에서 성적 소재나 표현에 대한 단편적인 논의는 있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소재가 내재하고 있는 에로티시즘의 정신 세계에 대해서는 정작 본격적인 논의가 전개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에서 이 연구는 에로티시즘의 정확한 개념 규정은 물론, 개별 작품의 정밀한 분석을 토대로 그 전형적 유형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에로티시즘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개척 분야인 만큼 이 논의만으로 그와 관련된 모든 문제를 다 해결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은 많은 과제를 남긴 셈이다. 앞으로 여기서 도출해 낸 에로티시즘의 다양한 특질을 토대로 하여 에로스의 상상력에 대한 보다 심화된 논의들을 개진해 나가려고 한다. Eroticism is fundamental spirit indwelling in the men's attitude on living and death. A study on the Eroticsm in the literature is, however, insufficient because of much prejudice on the matter of sex. This study comes into question such situation. And I want to investigate that Eroticism is one of the men's fundamental and common archetype through the imagination expressed in Korean modern poems in this thesi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spiritual characteristics of Eroticism, and to make clear the value of Eros as a subject of Korean literature. Eroticism pursues such primitive orderly world as paradise. It appears that Eroticism is one of the recursive instincts toward antenatal situation (the mother's womb), The native place in the poetic world of Eroticism is symbolic space of mother's womb and it represents the original recursive place which can revive the lost self, body, and lost life. Through the such characteristics as the symbolic image of native place, Eroticism is interested in the lost self and self- restoration, the lost body and the restoration of it, and the lost life and regaind life. Thus the three classified meaning of Eroticism has mutual realti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ree meanings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various consciousness experienced in the birth moment. Firstly, the recursion toward mother's womb symbolizes the restoration of life. Man experiences death at the point of separation from mother's body. So the union of mother's body means life. Man confronting death shows strong erotic instinct. Accordingly on the peak of Eroticism, native place or mother appears as an important motif. Secondly, the restoration toward antenatal situation symbolizes self-restoration. The self feels the lost emotion on the point of separation from mother's body. The self exsists most complete situation on the moment of union of mother's body. So the separation from mother's body means the loss. According to the opinion of Battaill the self develops in proportion to the feelings of isolation. The sense of alienation and the isolation which cause the sense of self-deficiency are made by the absence of other people. For this reason, the self longs for the other people which can substitute for mother. The union of other people symbolizes the restoration of the lost self. The other people in the Eroticism has very special meaning. The meaning of other people makes an important role to give the self a romatic illusion. Thirdly, the restoration toward antenatal situation symbolizes bodily restoration. Man feels the sense of self-loss when he is born. Man's body informs the self of the lost self. Man's body has a relation with the sense of self-loss because body is separated from the mother's womb. So the sense of self-loss induces the deficiency of body and it induces the self to make complete body. The desire of body is expressed as a sexual instinct. So the sexual intercourse of other people in the Eroticism means the restoration of body. Eroticism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gene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t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meaning. The first aspect appears as a body which plays a code of desire and a resistance of the norm in the world. In this class, body is the place of desire and resistance. The sense of the self-loss develops in the state of oppressive mind as such. When the reality plays a norm which oppresses the self, the desire for freedom increases above all situations. The second type expresses body as a code of transgrassion and ritual mechanics. In this type, the body is the place of trasgrassion and ritual service. Man confronting death wants to escape the consciousness of death and to assume that we don't die promptly. This is the model of ritual. Ritual ceremony accepts death as a principle of life by presenting death as a transcendental event. Thus the transgrassion which causes death is paradoxical deed longing for life. The third type appears as a body which plays a code of continuance and the union of cosmos. In this type, body is the place of continuance and cosmos. The poetic spirit of Eroticism generated by the deficiency of body returns to the body as a men's native place. Just Eroticism relates with the loss of body and restoration of it, so the native place relates with primitive body which can be unified with the self. As the native place is the space instincts with generation and the power of life, the lost self can be revived completely in this place. Three types of Eroticism above mentioned has the same consciousnes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poems written by Sujungjoo, Ohchangwhan, Songwook, and Chunbongkun through the method of hermeneutics is as follows: (1) Body as a code of desire and resistance of norm In the poems of Sujungjoo and Ohjangwhan, the body of Eve and prostitute symbolizes negative reality. As poetic self, however, adopts them which represent negative reality as an object, he resists on the reality ultimately. In spite of such decadent aspects, this poems represents free and healthy world in the long run. In the poems of Songwook and Chunbongkun, body is compared to a figure of Romeo and Chunhyangii confined in the prison. And the poetic self in this poems expresses resistant consciousness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primitive nude dance and most healthy polliniferous flower in their poems. So the resistance generates the language of desire, and the deviation of ordinary logic is often expressed. (2) Body as a code of transfrassion and the mechanics of ritual service In the poems of Sujungjoo and Ohjangwhan, ritual for rebirth is held for the purpose of cleaning of sinful mind. To restore sacredness by sanctifying the sinful and impure body is to restore life. In the poem of Sujungjoo, the sin of Cain is purified by killing Macdalaine, and in the case of Ohjangwhan the impurity of prostitute is purified by profaning or corrupting the saint Maria. Through such transgrassion, the meaning of sacredness and purity is paradoxically carried to extream. In the poems of Songwook and Chunbongkun, ritual for rebirth is motived by the limited life. The bloodthirstiness of a thorn in Songwook's poem and the emasculator of gun which symbolizes war in Chunbongkun's poem represents the limitation of life. In Songwook's poem, he wants to restore cosmos by means of making chaos which symbolizes death. Carnivalism is used for poetic mechanics. In Chunbongkun's poems, death revived real death. Emascualtion becomes the motif of resurrection and rebirth. (3) Body as a code of contiuation and the union of cosmos In the poems of Sujungjoo and Ohjangwhan, the return to native place is made by the image of real hometown and mother. Jilmage, Sujongjoo's hometown, and the mother who lives in hometown in Ohjangwhan's poem is the symbolic images. As for Sojungjoo, Jilmage is the place that restores the primitive body by means of reflecting the origin of self-existance and the woman in Jilmage is a figure to cure the sick and tired body of poetic self. Mother in the poems of Ohjangwhan means symbolic beings of hometown to revive isolated body from family and sick body on the road. The hometown in the poems of Songwook and Chunbongkun reconstructs lost hometown in the symbolic formation. The 'universe' in songwook's poem symbolizes motherly body which can unify everything with time and space in organic cosmos. The 'jar'(hangari) symbolizes the mother's womb to describe the hometown in North province. The jar is the place to make harmony of the male and female principles. The three types of Eroticism investigated in this thesis can be used to explain the other poems based on the imagination of Eros. On the basis of this thesis, I want to study on the imagination of Eros in Korean modern poems more profoundly.

      • 인공와우 아동과 정상아동 음성의 음향학적 특성 비교

        전미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25 cochlear implanted children and 25 normal control children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a/, /i/ and /u/, using Praat 4.2.04. The age of the subjects ranged from 4:6 to 6:6 in both groups. The Acoustic data were collected on fundamental frequency (Fo), jitter, shimmer, intensity and HN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Fo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u/. In addition, cochlear implanted group's Fo value of /u/ was the lowest among the 3 vowels and was lower than normal group's /u/.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Fo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a/ and /i/.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intensity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u/. That is, cochlear implanted group's intensity value was lower than normal group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u/.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intensity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a/ and /i/. Thir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jitter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a/. That is, cochlear implanted group's jitter value was higher than normal group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a/.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jitter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i/ and /u/. Fourth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shimmer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u/. That is, cochlear implanted group's shimmer value was higher than normal group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u/.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shimmer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a/ and /i/.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HNR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a/ and /u/. That is, cochlear implanted group's HNR value was higher than normal group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a/ and /u/.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HNR during a sustained phonation of /i/. 본 연구는 정상아동과 인공와우 이식아동들 각각 25명을 대상으로 /아/, /이/, /우/ 연장발성 시 음성의 음향학적 특성을 비교 하였다. 연구대상은 4;6~6;6세로 하였으며, Praat 4.2.04를 통해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음향학적 매개변수는 기본주파수, 강도, 주파수변동률, 진폭변동률, 배음 대 소음비로 하였다. 이 연구는 두 집단 간 /아/, /이/, /우/ 모음 연장발성 시 5가지 매개변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주파수에서는 /우/ 모음 발성 시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공와우 이식아동 집단은 세 모음 중 /우/ 모음 발성 시 가장 낮은 음도로 발성했으며, 범위도 가장 넓고, 불안정한 발성을 보였다. 둘째, 강도에서는 /우/ 모음 발성 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공와우 이식아동 집단은 정상아동 집단에 비해 강도 값이 더 낮았으며, 특히, /우/ 모음 에서는 정상아동들에 비해 더 낮은 강도로 발성하였다. 셋째, 주파수변동률에서는 /아/ 모음 발성 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공와우 이식아동 집단은 /아/ 모음 발성 시 성대 조절 능력에 어려움을 느끼며, 불안정한 발성을 보였다. 넷째, 진폭변동률에서는 /우/ 모음 발성 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공와우 이식아동 집단은 정상아동 집단에 비해 진폭변동률이 세 모음 모두 더 높았으며, 불안정한 발성을 보였다. 다섯째, 배음 대 소음 비에서는 /아/, /우/ 모음 발성 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공와우 이식아동 집단은 정상아동 집단에 비해 더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으로 정상아동과 비교해 볼 때, 인공와우 이식아동 집단은 /이/ 모음에서는 안정된 발성을 보였으며, /아/ 모음에서는 주파수변동률, 배음 대 소음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우/ 모음에서는 기본주파수, 진폭변동률, 강도, 배음 대 소음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세 모음 중 가장 불안정한 발성을 하였다.

      • 차이코프스키(Peter I. Tchaikovsky)의 『호두까기인형(The Nutcracker Suite)』피아노 편곡판 비교연구 -에시포프와 플레트뇨프의 편곡을 중심으로-

        전미정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차이코프스키의 관현악곡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을 독주 피아노 작품으로 편곡한 작품들 중 에시포프와 플레트뇨프의 작품을 선택하고, 각각의 작품이 갖는 음악적 차이들을 다시 한 번 차이코프스키의 원작과 비교하고 있다. 독일의 작가 호프만이 1816년에 발표한 『호두까기 인형과 대왕 쥐(The Nutcracker and the Mouse King)』를 줄거리로 삼아 안무와 함께 연주된 발레음악 『호두까기 인형』은 초연된 이후 작곡가 자신에 의해 모음곡 형식으로 재편집 되었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에시포프와 플레트뇨프의 작품들을 통해 차이코프스키의 원작이 가지는 음악적 개성과 특징을 어떻게 개별화하고 재창조 하고 있는 가를 피아니스트의 입장에서 조망하였다. 결과적으로 에시포프의 작품은 원작자의 기본적 지침을 보다 충실하게 이행하며 반영한다는 점에서 좀 더 직설적이다. 하지만 원안을 편곡작품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그는 이 작품을 완전히 독립된 작품으로 만들어내기 보다는 피아노를 위한 리덕션(Reduction)으로 만들어 내었다. 반면 플레트뇨프는 에시포프의 편곡에서보다 한결 변형된, 상상력이 더욱 가미된 편곡을 이끌어 내며, 피아노가 보일 수 있는 모든 거장적 기교성이나 표현력을 추구함으로써 피아노 기술상의 확대를 선보이고 있다. 하지만 차이코프스키의 원작 입장에서 볼 때 다소 원안과는 별리(別離)된 실험적 성향의 제3의 작품으로 되어버린 경향이 없지 않으나 플레트뇨프는 피아노가 갖는 모든 이용 가능한 기술적 모티브, 구조적 상상력, 그리고 음역상의 사용을 이채롭게 선보이는 등 이 작품을 철저히 원작과는 구별된 독립적인 결과물로 창조해 내고 있다.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comparison 『the Nutcracker-Suite』by Tchaikovsky between two different versions for piano arrangement by Esipoff and Pletnev and compare again to the original product from Tchaikovsky. The Nutcracker Ballet is based on the book called "The Nutcracker and the Mouse King" written by E.T.A. Hoffman in 1816. In 1891, the renowned choreographer Marius Petipa commissioned Tchaikovsky to write the music for the Nutcracker Ballet. After the first performance, Tchaikovsky re-organized the original ballet music to the individual concert piece. Especially, the entire research shows that the different musical results from the each piece and reveals how to approach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ties from Tchaikovsky's through Esipoff and Pletnev. As a result, Esipoff's adaptations are more direct to express and obey from the original descriptions than the Pletnev's. For example, Esipoff attempts to produce a pure piano reduction piece than a character concert piece. On the other hand, the pianist and conductor Pletnev modified some of the music into a virtuosic concert suite for piano solo. On the Pletnev's adaptations, he has exceptional feeling for Tchaikovsky, revealing depths that are hidden to most interpreters. He grips one from first note to last, not only formally but also stylistically in the entire piece. This alternative two different editions stretch to rich achievement based on the same original piece. Yet the Esipoff's arranging has sort of some direct interpretation, indeed Pletnev's approaching has an idiomatic pianistic coloring and great intensity of feeling, and aided by the virtuosi technique as pianist.

      • 여성의 에어로빅 스텝박스 운동 시 에너지 소비량에 의한 회귀방정식 추정

        전미정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female in twenties∼forties trainees in P city Bukgu A aerobic center, who , in the fifty each 3 group(20th, 30th, 40th), didn't have medical symptoms of disease. This experiment was a program of aerobic step box exercise for assumption recurrence equation by energy consumption on female's step box exercise using Polar. On this increasingly music tempo is 100∼120beat/min(10 min) warming up, 130∼140 beat/min(15 min) low degree of strength main exercise, 140∼150 beat/min(15 min) middle degree of strength main exercise, 150∼160 beat/min(15 min) high degree of strength main exercise, 100∼120 beat/min(10 min) cool down. The results are following 1. energy consumption 1) warming up Energy consumption for warming up are 14.461.03kcal/min in twenties 15.471.11kcal/min in thirties and 15.951.14kcal/min in forties. In thirties and forties have more energy expenditure than in twenties. There is statistically noticeable for each group.(p< .05) 2) low degree of strength early Energy consumption or low degree of strength early are 18.270.04kcal/min in twenties 19.550.43kcal/min in thirties and 20.160.44kcal/min in forties. In forties have more energy expenditure than in thirties and twenties. There is statistically noticeable for each group.(p< .05) 3) middle degree of strength middle Energy consumption for middle degree of strength middle are 19.640.40kcal/min in twenties 21.010.42kcal/min in thirties and 21.660.44kcal/min in forties. In forties have more energy expenditure than in thirties and twenties. There is statistically noticeable for each group.(p< .05) 4) high degree of strength later Energy consumption for high degree of strength later are 21.000.40kcal/min in twenties 22.470.42kcal/min in thirties and 23.170.44kcal/min in forties. In forties have more energy expenditure than in thirties and twenties and in thirties have more energy expenditure than in twenties. There is statistically noticeable for each group.(p< .05) 5) cool down Energy consumption for cool down are 14.460.40kcal/min in twenties 15.461.11kcal/min in thirties and 15.951.14kcal/min in forties. In forties have more energy expenditure than in thirties and twenties. There is statistically noticeable for each group.(p< .05) 6) total energy consumption Energy consumption for total energy consumption are 18.042.66kcal/min in twenties 19.302.85kcal/min in thirties and 19.902.94kcal/min in forties. In forties have more energy expenditure than in thirties and twenties. There is statistically noticeable for each group.(p< .05) 2. assumption recurrence equation 1) assumption recurrence equation by energy consumption Energy consumption in twenties women : Y=0.0714HR+9.274 Energy consumption in thirties women : Y=0.077HR+10.289 Energy consumption in forties women : Y=0.089HR+9.946 Energy consumption in whole women : Y=0.058HR+12.61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에어로빅의 스텝박스운동 시 에너지 소비량을 추정하기 위해, P광역시 북구소재의 A 에어로빅센터의 여성 수강생중 45명을 대상으로, 각각 20, 30, 40대 15명씩을 3그룹으로 나누어 polar를 이용한 점진적인 운동강도에 따른 심박수를 측정하여 에너지소비량 및 에너지 소비량의 회귀방정식을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에너지 소비량 1) 준비운동 준비운동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은 20대 14.46±1.03kcal/min, 30대 15.47±1.11kcal/min, 40대 15.95±1.14kcal/min으로 나타났으며, 30대와 40대가 20대 보다 높은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었다.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 .05) 차이가 나타났다. 2) 초기 저 강도 초기 저 강도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은 20대 18.27±0.40kcal/min, 30대 19.55±0.43kcal/min, 40대 20.16±0.44kcal/min으로 나타났으며, 40대가 30대와 20대 보다 높은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었고, 30대가 20대 보다 높은 에너지소비량을 나타내었다.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 .05) 차이가 나타났다. 3) 중기 중 강도 중기 중 강도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은 20대 19.64±0.40 kcal/min, 30대 21.01±0.42kcal/min, 40대 21.66±0.44kcal/min으로 나타났으며, 40대가 30대와 20대 보다 높은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었다.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 .05) 차이가 나타났다. 4) 후기 고 강도 후기 고 강도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은 20대 21.00±0.40 kcal/min로, 30대 22.47±0.42kcal/min, 40대 23.17±0.44kcal/min으로 나타났으며, 40대가 30대와 20대 보다 높은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었고, 30대가 20대 보다 높은 에너지소비량을 나타내었다.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 .05) 차이가 나타났다. 5) 정리운동 정리운동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은 20대가 14.46±1.03 kcal/min, 30대 15.46±1.11kcal/min, 40대 15.95±1.14kcal/min으로 나타났으며, 40대가 30대와 20대 보다 높은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었다.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 .05) 차이가 나타났다. 6) 총 에너지 소비량 총 에너지 소비량은 20대 18.04±2.66kcal/min, 30대 19.30±2.85kcal/min, 40대 19.90±2.94kcal/min으로 나타났으며, 40대가 30대와 20대 보다 높은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었다.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 .05) 차이가 나타났다. 2. 회귀 방정식 점진적인 운동강도에 따른 에어로빅 운동 시 심박수를 이용한 여성 20, 30, 40대의 에너지 소비량 추정에 대한 회귀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20대 여성의 에너지 소비량 : Y = 0.071(심박수) + 9.274 2) 30대 여성의 에너지 소비량 : Y = 0.077(심박수) + 10.289 3) 40대 여성의 에너지 소비량 : Y = 0.089(심박수) + 9.946 4) 전체 여성의 에너지 소비량 : Y = 0.058(심박수) + 12.61

      •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말놀이가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미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말놀이가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말놀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유치원 현장에서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말놀이가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1.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말놀이가 유아의 표현어휘의 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2.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말놀이가 유아의 문장의 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3.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말놀이가 유아의 문장의 길이에 미치는 영향 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한 Y 유치원 만 5세 유아 16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고 D 유치원 만 5세 유아 16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남미(1996)가 개발하여 사용한 VQ 쓰기검사 도구를 바탕으로 이지연(1999)이 수정․제작한 검사 도구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10월 5일부터 12월 21일까지 총 12주에 걸쳐 총 16회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는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말놀이를, 비교집단의 유아들에게는 누리과정의 일반 언어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언어표현력 검사를 실시하고, 두 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의 수집된 자료에서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말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누리과정 일반적인 언어활동을 한 비교집단의 유아에 비해 어휘의 수, 문장의 수에서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말놀이는 언어표현력의 구성요소 중 문장의 길이를 제외한 어휘의 수, 문장의 수를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말놀이를 실시할 경우 유아의 언어표현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임상미술치료가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우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전미정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observes the effect of clinical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found among youth with smart phone addiction. The youth were subjected to clinical art therapy is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it has been conducted periodicall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students enrolled in Y middle school in Seoul.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to be at potential risk and high risk based on results from Internet K scale and Smart Phone S scale conducted on May, 2014. Total of 10 students were selected on a voluntary basis after consulting with homeroom teacher, counsellor, and parents who gave permission.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01, 2014 to December 20, 2014. Each session was held once a week for 90 minutes. Total session was held 12 times. As for measuring tools, objective test-Brain waves, Depression(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Aggression (BDHI: Buss & Durkee Hostility Inventory), projective test- KFD, KSD were used. And A DAS(Draw a stor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the subject's depression and aggression. The collected data of the study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SPSS WIN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use of clinical art therapy correlated with decrease of depression in youth with smart phone addiction. Second, the use of clinical art therapy correlated with curbing aggression in youth with smart phone addiction. Third, the use of clinical art therapy showed positive results at emotional effects, self-esteem, spacious uses through DAS inventory. Fourth, the use of clinical art therapy correlated with rise in CQ(Correlation Quotient), EQ(Emotional Quotient).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s that clinical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youth with smart phone addiction and suggests that clinical art therapy can be applied as effective treatment. 2009년 스마트폰이 국내에 보급된 이래 2014년 현재 우리나라 스마트폰 보급률은 세계 최고를 기록하고 있으며 전화, 문자, 정보, 음악 외에 늘어가고 있는 다기능 앱의 활용 및 SNS, 메신저의 사용 확산으로 스마트폰 사용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들에게도 이미 일상도구로써 상용화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편리와 유익함을 넘어서 과다사용으로 인해 중독 현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현상 중 우울과 공격성에 조명하여 인지과정과 행동변화를 도모하는 인지행동치료를 기반으로 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마련하였으며 회기별 실시를 통해 임상미술치료가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우울 및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Y 중학교 재학생이며 2014. 05 에 실시된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검사에서 잠재 위험군, 고 위험군으로 1차 선별된 학생 중 담임교사와 상담교사에 의해 의뢰되고 학부형의 동의하에 참여하게 된 총 10명의 학생이다. 주 1회 매회 90분씩 총 12회기의 임상미술치료 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 객관적 검사인 뇌파검사(Neuroharmony), Beck 우울 척도검사(BDI), 공격성검사(BDHI)를 실시하였고, 투사적 그림 검사로 KFD, KSD를 임상미술치료 시행 전 후에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정확성을 위해 우울과 공격성을 살펴볼 수 있는 이야기 그림검사(DAS)를 임상미술치료의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그림을 통한 정서내용, 자기보고, 공간사용 정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 수준(a)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미술치료는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들의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상미술치료는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들의 공격성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상미술치료는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들의 DAS 검사를 통한 정서, 자기보고, 공간사용 등의 내용에서 우울 및 공격성이 완화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넷째, 임상미술치료는 뇌파검사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좌 우뇌 균형지수와 정서지수에도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임상미술치료는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들의 우울및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인지행동치료를 기반으로 한 임상미술치료가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 완화에 효과적으로 활용되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