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구 데이터 재이용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 리파지토리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전리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학계에서는 한 연구에 이용된 데이터를 다른 연구에서도 재이용하고자 하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연구 데이터를 학술 자원의 하나로서 저장하고 관리해야 할 필요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연구 데이터의 공유 및 재이용은 활발하지 않다. 지금까지는 연구 데이터 공유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나 연구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는 실제 이용자의 연구 데이터 이용 과정에 대한 이해가 어려우며, 이용자의 연구 데이터 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 리파지토리 환경 요소 또한 추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관리 환경 중 하나인 데이터 리파지토리 내 연구 데이터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해 이용자의 연구 데이터 재이용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 리파지토리 환경 요인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분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데이터 리파지토리 이용자의 정보 추구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보 추구 탐색 과정의 확인은 이용자가 데이터 리파지토리를 어떻게 이용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공유된 연구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리파지토리 환경 구성에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실험 결과 데이터 리파지토리 이용자 정보 추구 과정은 이용자가 카테고리 등을 통해 데이터 출력 범위를 줄이고, 관심이 있는 데이터의 이용 가치를 살펴보는 것부터 시작되었다. 이 후 이용자는 데이터의 간략 소개를 통해 해당 데이터가 관심 분야에 적합한지를 확인하였으며, 해당 데이터를 클릭해 상세 설명 페이지를 살펴보면서 해당 데이터가 자신의 관심 분야에 적합한지 재확인하고 해당 데이터가 신뢰성이 있는지 판단하고자 하였다. 데이터를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고자 하는 이용자들도 있었으나, 대부분은 해당 데이터를 바로 다운로드 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데이터 인용할 때 이용자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것을 중요시 하였으며, 관심이 있는 데이터의 경우 해당 데이터의 업데이트 상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과 선행 연구를 통해 추출된 데이터 리파지토리 환경 요소는 연구 데이터 재이용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한 설문지를 구성하는데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또한 인문·사회 과학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 문항은‘연구 데이터 특성’, ‘시스템의 특성’, ‘웹 환경 특성’, ‘서비스 특성’에 속하는 데이터 리파지토리 환경 요인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공유된 연구 데이터 이용 시 얻을 수 있는 이용자 혜택에 대한 인식도 측정할 수 있도록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독립표본 t-검정 등과 같은 통계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공유된 연구 데이터 이용에 동기를 부여하는 요인은 ‘검색 품질’, ‘이용 가능 데이터’, ‘기존 연구’로 나타났다. 검색 품질의 경우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는 도구이기 때문에 동기 요인으로 도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용 가능 데이터는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가 제공되는지, 기존 연구 정보는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는지,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요인이기 때문에 동기 요인으로 도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데이터 리파지토리가 이용자의 불만족을 발생시키기 않기 위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위생 요인으로 ‘데이터 속성’, ‘데이터 완전성’, ‘데이터 명성’, ‘세부 파일 정보’가 도출되었고, 이는 연구 데이터에 대한 기본적인 특성으로 데이터 리파지토리에서 제공되지 않으면 이용자의 불만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시스템 품질이나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리파지토리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판단되며 연구 데이터 공유자의 권리 행사가 어려워지면 이용자의 불만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출된 동기-위생 요인은 연구 데이터 재이용 경험이 있는 이용자들과 경험이 없는 이용자들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도출되어 데이터 리파지토리의 환경은 연구 데이터 재이용 경험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필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연구 데이터 재이용 연구 의향은 동기 요인이 위생 요인보다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동기 요인의 본질이 이용자가 공유된 연구 데이터를 사용할 동기를 부여하는 요인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분석 결과를 종합했을 때 이용자의 불만족을 유발하는 위생 요인의 충족도 중요하지만 이용자의 공유된 연구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동기 요인의 충족이 요구된다. 특히, 동기요인인 이용 가능 데이터 요인은 실험에서 이용자가 데이터 리파지토리에 접속 후 이용자가 원하는 연구 데이터가 포함되었는지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중요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이용 가능 데이터 요인은 이용자가 검색이나 카테고리를 통한 검색 결과 확인 시 충족되어야 이용자의 공유된 연구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가져올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또 다른 동기 요인인 기존 연구 정보는 실험에서 이용자가 특정 연구 데이터를 선택하는데 있어 중요시되었으며, 이용자들은 기존 연구 정보를 통해 주로 해당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데이터의 상세 설명 페이지에서 데이터의 기존 연구 정보를 살펴볼 수 있어야 이용자의 공유된 연구 데이터 이용 활성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데이터 리파지토리의 환경 구성이 이용자의 연구 데이터 재이용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용자의 데이터 리파지토리 내 정보 추구 행태와 추출된 동기-위생 요인의 절충을 통해 어떤 환경에서 어떤 요인의 강화가 필요한지에 대해 제안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Recognition of reusimg research data is getting increased which needs to be managed as one of science information resource. Nevertheless the recognition, sharing or reusing research data has a low utilization rate. Previous studies about sharing or reusing research data are mostly concentrated on vitalizing data sharing, and studying systemic aspects of data repository. However, it is hard to understand how users use data repository and extract environmental factors, by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reusing shared research data.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environmental factors of data repository, affecting the intention of reusing shared research data.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wo ways. In the qualitative analysis with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graduated students, who are the potential users of data repository.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t data repository have been explored and the practicability of this study has been discussed. Exploring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is important to optimize environment composition of data repository. As a result of experiment, at the starting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researchers reduced output of the data through specifying the category. As well as they examined the data whether it is useful or not. After that researchers scanned a brief description to confirm that the data is suited for the user's main interest field. When they clicked the data to browse detailed description, they confirmed the field of data again and determined reliability of data. In later steps, some researchers examined the data in more detail, but most of them wanted to download data immediately. To cite the data, researchers highly regarded the reliability of data. If researchers find interesting data, they wanted to keep informed of updat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and previous studie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on vitalizing research data reuse. As a result, the questionnair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data repository environment factors of 'research data', 'system', 'web environment', and 'service'. Recognition of users benefit when using shared research data was also collected by the surve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graduated students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independent t-test.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extracted motivation factors were 'the quality of retrieval system', 'the number of available data', and 'information of related research'. The quality of retrieval system was extracted because it is a typical navigation tool to search data efficiently. The number of available data is related to how many research data are provided, and information of related research is related to the reliability of data and potential for utilization in research. Hygiene factors were 'attribution of data', 'integrity of data', 'reputation of data', 'information of downloading files', 'the quality of system', 'interface', and 'privacy/security'. Researchers considered that the information of data should be concerned in data repository. The quality of system and interface are related to how researchers use data repository seamlessly. In case of privacy/security, even though researchers only use shared research data, they considered the right of sharers should be guaranteed. The motivation and hygiene factor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searchers who experienced reusing research data and who untried. Therefore, it is unnecessary to serve functions differently by the experience of the data reuse. Lastly, motivation factor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n intention to reuse shared research data than hygiene factors. Based on theses results, to vitalize the usage of shared research data, it is required to satisfy motivation factor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available data are concerned when researchers access to data repository, and recognize the data repository containing data which they want. It means the number of available data should be satisfied when researchers retrieve information or specify a category. Another motivation factor, information of related research, was concerned when researchers identify specific data, and researchers ensure the reliability of research data. Therefore, information of related research should be inform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data.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factors to vitalize the usage of shared research data in data repository with a compromise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extracted motivation and hygiene factors. It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improve reusage of researh data by reorganizing data repository environment.

      •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논증과정 변화에 주는 영향

        전리나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영재 학생들의 논증과정 평가 결과와 증거 수준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거점 영재학급의 학생 20명을 실험집단으로, 비슷한 교육환경을 가진 광역시 소재 교육청 영재학급의 학생 2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총 10차시의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영재수업을 진행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에 과학글쓰기 학습지를 각각 5장 사용하였다. 학생들이 학습지에 쓴 텍스트를 주장, 근거, 결론 등으로 나누어 과학적 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과 증거 수준의 위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을 한 실험집단의 영재학생들의 논증과정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형식 범주보다는 내용, 태도 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증거 수준의 변화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알 수 없었으나, 실험 집단의 경우 사전․ 사후 검사 간의 차이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은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적 논증과정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증거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과학영재교육에서 영재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과학적 논증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논증과정의 형식적 측면, 내용적 측면, 태도적 측면을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올바른 방법으로 논증과정을 진행하도록 이끌어 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사들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argument and the level of evidence used in argumentation after apply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teaching method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mprised of 20 students at the 6th grade level, who were selected from the Center of Science Gifted Education' at Y elementary school,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comprised of 20 students at the 6th grade level, who were selected from the Center of Science Gifted Education at the S office of Education. The SWH teaching method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ten times, while the traditional science teaching methods for gifted were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For both groups, the preliminary and the post test consisted each of 5 sheets. Data was analyzed using Yang et al's Rubrics in three parts(the form, content and attitude) and Perella's the level of evidence. As a result, the SWH had positive effects to promote the level of argument in the statistics. Particularly, the SWH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in content and attitude than in form. The SWH did not show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level of evidence used in argument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used the higher level of evidence after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teaching was applied.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s that SWH programs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skill of argumentation in form, content and attitude for the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Teacher's training programs that includes scientific argumentation, would also be of value.

      • 학교 조직풍토가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미치는 영향

        전리나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학교 조직풍토가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 조직풍토가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세가지 설정하고 가설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로 대구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120명에게 노종희(1990)의 OCDQ-KOR 설문지를 수정한 것과 이경진(2020)의 통합교과 운영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들의 개인변인 및 학교 배경변인이 학교 조직풍토와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주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교 배경변인 중 일부만이 학교 조직풍토에 영향을 줄 뿐 교사의 개인변인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학교 조직풍토 중 교사의 행동이 교장의 행동에 비해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조직풍토의 개방성 지수는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를 통해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동질성이 높은 교사들의 내적 의지를 높일 수 있는 헌신적 행동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교사간 서로 성장과 배움이 일어날 수 있는 학교 조직풍토를 만들어 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 한국 중년의 대사증후군에 따른 혈액성상과 영양소섭취 상태 :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제 6기)

        전리나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사회문화의 발달과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생활양식의 자동화가 많이 이루어져 생활수준은 높아지고 편해 졌으나, 현대인들은 바쁜 생활로 인해 불규칙적인 생활 과 그에 따른 소극적인 신체활동이 영양섭취의 불균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되면서 심혈관계와 연관성이 있는 여러 질환의 발병률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른 만성질환의 발병률과 그에 따른 사망률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국가에서 실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한국의학연구소의 검진센터 자료 등 에서 보유한 검진자료를 이용하여 NCEP-ATPIII 진단 기준을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의 발병률 비교와 외부적 환경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률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의 2013년 조사된 제 5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설문지에 성실하게 답한 한국에 거주중인 30~50대의 중년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표준화된 설문지와 생화학검사, 신체계측을 통하여 대상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생화학적 검사로 공복혈당,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총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으며 신체계측 검사로 복부둘레, 수축기 혈압, 이완기혈압 등을 측정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NCEP-ATP의 기준에 WHO아시아-복부비만 적용하여 남성 90cm이상 여성 80cm이상 일 때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을 포함하여 분석하였고,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영양소 섭취기준이 설정되어있는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섬유소, 칼슘, 인, 철, 나트륨,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 니아신, 비타민C)이용하여 1인 1일 평균영양소섭취량을 산출하였으며 각 영양소권장량에 대한 섭취비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인영양섭취기준(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를 이용하여 권장량에 대한 섭취 비율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판단기준에 성실하게 응답한 30~50대 중년남성과 여성 3,049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사증후군 발병률을 봤을 때 중년 남성(43.5%), 중년 여성(56.5%)로 중년여성의 발병률이 더 높았으며 특히 연령대 30대(17.9%), 40대(23.9%), 50대(49.1%)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발병률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는데 특히 50대에 급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력이 낮을수록 대사증후군의 발병률이 높았으며 주관적인 건강상태 여부를 물었을 때 대사증후군에서 건강이 “나쁘다”라고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고 식품 속 영양함량을 나타내는 식품영양성분표시 사용여부를 확인하였을 때 정상인에 비해 대사증후군 에서 낮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었다. 남성과 여성 에서 나이와 체중, 체질량지수 (BMI), 총 콜레스테롤, 공복혈당, 허리둘레,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혈압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영양소 섭취 비율의 권장량에 대한 조사 에서는 칼슘과 섬유소를 제외하고 모든 영양소는 기준치이상의 양을 섭취하고 있었지만 중년남성의 영양소 섭취에서 대사증후군과는 특별하게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중년여성 경우 섬유소, 칼슘, 인, 철,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율을 봤을 때 연령이 증가할수록 탄수화물의 섭취는 높아지나 단백질의 섭취와 지방의 섭취가 낮아져 전반적인 식사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것을 나타냈다. 혈액성상의 상관관계를 봤을 때 남성의 경우 복부둘레와 관련된 것으로 HDL-cholesterol, BMI와는 TG(triglycerides) HDL-cholesterol이 연관성이 있었으며 여성의 경우 복부둘레와 BMI, TG(triglycerides), 공복혈당이 연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대사증후군이란 질환은 오랜 기간에 걸쳐 발병되는 질환으로써 평소 식생활 관리와 생활습관이 매우 중요하다 여겨지지만 중년남성과 여성의 경우 부족한 운동습관과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율이 적절히 분포되어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봤을 때 규칙적인 운동습관과 심혈관 질환과 연관성 있는 복부둘레 또한 함께 관리가 필요할 것이며 영양소가 골고루 분포된 식사가 이루어져야 되고 특히 섬유소와 칼슘의 섭취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될 것이다. 또한 적절한 시기에 적합한 식이섭취 및 생활요령과 관련된 예방지침서가 개발될 필요가 있고 그 예방지침서가 생활화 되어야 된다고 사료된다.

      •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정서와 감사,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전리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23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정서와 감사,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심리치료전공 전 리 라 지도교수 정 문 경 본 연구는 여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에 여성 독거노인의 정서와 감사, 삶의 의미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00시 소재의 지역복지관의 만 65세 이상의 여성 독거노인들 중에서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에 참여를 동의하는 18명으로, 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을 주 1회, 90분간, 총 12회기 처치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측정 도구로 한국 노인의 정서 척도와 한국판 감사성향 척도, 한국 노인의 삶의 의미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 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정서에 대한 효과 분석 결과,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긍정적 정서가 통제집단의 긍정적 정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긍정정서는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부정정서는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낮아져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긍정정서는 높이고, 부정정서는 낮추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감사에 대한 효과 분석 결과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감사는 프로그램 실시 이후 통제집단의 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감사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여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감사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삶의 의미에 대한 효과 분석 결과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삶의 의미는 프로그램 실시 이후 통제집단의 삶의 의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삶의 의미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여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삶의 의미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긍정심리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긍정정서, 감사, 삶의 의미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 여성 독거노인뿐만 아니라 노년의 여러 가지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반 노인들에게도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이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북한 핵실험과 중국-북한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

        전리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23

        이 논문은 중국-북한관계가 왜 변화하였는지 분석하되 북한 핵문제 대두 전부터 제3차 핵실험 및 현재까지의 중국-북한관계를 설명하였다. 북한과 중국은 1948/49년 각각 정부 수립후부터 2012년 3차 핵실험 이전까지 우호적인 동맹관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제3차 핵실험 이후 중국은 북한에게 양국은 이제 동맹관계가 아니라 일반국가 관계라고 강조하였다. 중국은 북한에 대해 3차 핵실험 이전과 달리 북한의 핵보유를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였고 안보리의 결의안에 대해서도 엄격히 집행할 것을 주장,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를 강조하였다. 그럼에도 불구 북한은 계속 핵실험을 강행하고 있다. 이는 북한이 중국의 영향권을 벗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 양국은 냉각기이다. 이와 같이 중국이 對북한 태도를 근본적으로 변경한 이유는 3 가지다. 그것은, 북한이 중국의 안전에 부담이 된다는 점, 중국의 정치적 부담이 된다는 점, 중국내 북한 비판 여론이 높다는 점이다. 북한은 중국에게 지정학적으로 전략지역이지만 자국의 발전과 안전면에서 그 중요성이 점차 약해지고 있다. 중국은 북핵문제 때문에 난민과 전쟁문제 등 안전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한편 북한은 중국의 대북정책에 대해 매우 불만스럽게 받아들이고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이미지를 손상시켰다. 21세기의 중국은 新型大國을 목표로 대외정책을 다시 잘 생각해야 한다. 특히 중국은 북핵문제관련 미국과의 관계 유지가 매우 중요해졌다. 현재 중국과 한국 간에 왕래가 빈번하다. 2014년 7월,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취임 후 이례적으로 북한보다 한국을 먼저 찾음으로써 한-중 관계가 새로운 단계로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중국과 한국은 경제적 이해관계가 있고 미국의 對 중 견제도 완화할 수 있다. 게다가 중국 국민들의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경고들이 쏟아졌다. 중국정부는 북한에 대한 외교정책을 결정할 때 어쩔 수 없이 민원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 반면 북한은 국제사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핵실험을 지속적으로 강행하므로써 중국과 북한관계는 계속적으로 악화될 수밖에 없다. 앞으로 중국의 북한에 대한 정책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은 자국 발전을 위해서 북한문제에 대해 핵실험 반대 태도를 명확히 견지해야 한다. 둘째, 한국-미국과 협력을 강조하면서 미국과 북한의 충돌을 완화시켜야 한다. The thesis explain the reason of Chinese and North Korean(DPRK) relations change、the third nuclear test of North Korea and the Chinese-North Korean relationship so far. North Korea and China maintained a friendly alliance relationship from 1948/49 when they established their governments respectively to 2012 when North Korea conducted the third nuclear test, however, after which China emphasizes korean and china do not have an alliance relationship but have a common one between nations. Unlike the attitude toward North Korea before the third nuclear test, China raised its voice to oppose the DPRK's nuclear test, insisting on the implementation of Security Council of UN resolution, emphasizing on imposing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Even so, North Korea has forcibly conducted the nuclear test all the time, which means that North Korea begins to get rid of the influence of China,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goes sour. There are three reasons for the change of China's attitude toward North Korea: North Korea's threat to China's security, the threat to China's political, the raised voice of domestic public criticism for North Korea in China. Although North Korea is the geopolitical strategic region of China, the development and security of itself has become less important, China confronts the security issues such as refugee and warfare due to the Korean nuclear issue. In addition, North Korea has a dissatisfaction about China’s policy of the North, denigrating the image of Chin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21st century, to become a new great nation, China needs to review its foreign policy, especially i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China's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are more important. Now the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have become more and more frequent. After taking office in July 2014, Chairman Xi Jinping exceptionally first visited South Korea prior to the North, which become a opportunity for the China-South Korea relations to enter a new stage. There are economic stak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e American effort to contain China can also be eased. In addition, chinese people have a serious dissatisfaction with North Korea, the Chinese government will consider the demands of the people when deciding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North Korea defi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continued to conduct the nuclear test, China-DPRK relations continued to deteriorate. China's future policy toward North Korea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for its own development, China needs to adhere to the attitude against North Korea nuclear test; Second, strengthen the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and America, ease the conflict between America and North Korea.

      • 손양원 목사의 삶에 반영된 참 제자도의 모습

        전리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23

        Behind the quantitative growth of South Korean Churches in the 20th century, we can see many regrettable issues as well. 25%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are so called Christians, yet they cannot bring much influence over the Korean society. It is because many of them live as nominal Christians. If a church were to grow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it surely shall be able to bring the influence of the gospel. However, this notion has become almost unbearable, as it seems too far from the reality. Therefore, we must raise a question if there is any steppingstone where the S. Korean believers can grow to be responsible believers who are willing to carry the gospel in their everyday life. One major reason why S. Korean churches are growing so weak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many leaders lack in the understanding about what the life of a true disciple of Christ looks like. Today, within many churches, it is a common understanding that living the true life of discipleship, to wholly follow Jesus' footstep, is only for those few radical Christians, and that the majority of the Christians are okay in living the life of mediocrity. It may be a common understanding but a very wrong one. This indicates that so many churches already have deni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Word and have deviated from the authenticity. The Christianity that lacks true discipleship does not carry the capability to lead and change the world with the power of gospel, and it ends up getting assimilated into the world. This also means that the gospel of today have turned into many different shapes and flavors to please the palate of the people of the world. In the midst of it all, the real truth and power of the gospel have rather been decreased. This is because it has become so rare to find the true disciples that are willing to follow the footsteps of Jesus completely. Rev. Son Yang-Won (1902-1950) has lived a life of complete dependancy upon the Word of God. He is considered as the pioneer of faith of Korea as he threw his entire life in teaching and living the Word out, even upon martyrdom. In discussing true discipleship, I have chosen to research the life of Rev. Son because he lived the Word out, not only teaching the Word. The message of love that flows out of his life surely is more powerful and persuasive than any other good preaching or program. Rev. Son Yang-Won has been portrayed as a good shepherd, an apostle of love and a great martyr in the past. In this dissertation, he will be re-defined as a true disciple of Jesus, and the way of discipleship that he has walked upon will be suggested as a solution to help the weakening churches in South Korea. Rev. Son lived a life of integrity, of complete obedience to Christ even unto death in the dark period of early 1900s in Korea. He denied every comfort and easy way of life. Instead, he chose to live with Christ in every way possible with complete commitment to the Word. His life itself can be used as a lighthouse to those Korean churches of today that are left in thick darkness. The goal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establish the true life of Christianity within the South Korean churches by looking closely into the life of true discipleship reflected upon the life of Rev. Son. In doing so, the powerful life of Christianity, in which the Christian belief and actions in life are in complete agreement with each other, should be introduced and built up in the Korean churches. There are 5 chapters in this dissertation in discussing the true discipleship reflected in the life of Rev. Son Yang-Won.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goal of the dissertation, the method and the scope of research. In the second chapter, "the Life and Ministry of Rev. Son Yang-Won," the historic background of his life and his ministry are discussed, which will provide a foundation to discuss the discipleship revealed in his life. In the third chapter, "the True Discipleship Reflected in the letters of Apostle Paul," the true life of a disciple revealed in the letters of Apostle Paul, whose teachings are applied much in the life of Rev. Son. In the fourth chapter, "The True Discipleship Reflected in the life of Rev. Son Yang-Won," in-depth research on the life of Rev. Son as a true disciple of Jesus is discussed in details. Finally, in the fifth chapter, "Conclusion," how the life message of Rev. Son, which set up an example of a true discipleship, can be applied in the understanding of true discipleship in the churches in South Korea. In the life of Rev. Son Yang-Won, the message of love overflows. The fact that he refused to worship at the Japanese shrine, dared not to avoid the harsh life in jail and delighted in sharing his life with the leprosy patients appears to be more powerful to the believers of today because of the endless passion of love that led him to desire to follow Christ in every way possible. Based on his love for Christ, he gave his all in loving his country, his family and the isolated group of people. This life of love that Rev. Son lived provides a breakthrough for today's Korean churches that are tossed by the winds of the world and are losing even the trace of Christ within them. 본 연구는 손양원 목사의 참 제자도의 모습을 논하면서 손양원 목사의 제자도의 모습이 현대 한국교회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제자도의 진정한 삶을 산 손양원 목사의 삶을 표본으로 설정한 이유는 그가 어떤 목회자보다도 말씀대로 실천하는 삶을 살았으며, 그는 실제의 삶에서 사랑의 본을 보였기 때문이다. 손양원 목사 (1902-1950)는 자신의 온 삶을 던져 순교함으로써 하나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순종하는 삶을 살았다. 그의 삶 전체를 통해 흐르는 사랑의 메시지는 어떤 설교 혹은 어떤 프로그램보다 능력 있고 설득력이 있다. 이 논문에서 그는 예수의 진정한 제자로서 재조명 될 것이며, 그가 걸었던 제자도는 한국의 약해져 가는 교회에 큰 도전을 줄 것이다. 손양원 목사의 삶에 드러난 진정한 제자도를 논하는 이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장은 논문의 목적과 방법, 연구의 범위를 소개한다. 두 번째 장, “손 양원 목사 생애와 활동”에서는 그의 삶과 사역의 역사적인 배경이 자세히 소개되며, 그의 삶 전체에 드러난 제자도를 논하는 바탕이 되었다. 세 번째 장, “바울의 서신에 나타난 참 제자도”에서는 사도 바울의 삶과 손양원 목사의 삶 즉, 박해, 순교, 사랑 등에서 가장 공통점을 지니고 있기에 바울서신에 드러난 참 제자도의 모습을 논했다. 네 번째 장, “손양원 목사 삶의 참 제자도 모습”에서는 구체적으로 손양원 목사의 참 제자로서의 모습이 연구 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장에서는 진정한 제자도의 본보기로 제시된 손양원 목사의 삶이 주는 메시지가 한국교회의 제자도 이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까를 논 했다. 손양원 목사의 삶에서는 두 아들을 죽인 원수를 용서하여 양자로 삼기까지 실천한 진정한 사랑의 메시지가 흘러넘친다. 그는 일본 신사 참배를 거절함으로써 옥고를 치루었으며, 한센병 환자들과 고락을 함께 하기를 기뻐했다. 그리고 끝내는 순교함으로써 진정한 제자도의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주었다. 손양원 목사의 하나님 말씀대로 실천한 사랑의 삶은 세상의 풍파 속에서 흔들리고, 그리스도의 흔적을 잃어가고 있는 한국교회에게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 웨딩서비스업체가 제공하는 웨딩 서비스 상품에 대한 고객 지각이 고객만족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웨딩 산업을 중심으로

        전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Study intended to discuss the effects of customer perception about wedding service agencies’ wedding produ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ollowings. First, customer perception about wedding service agencies’ wedding photo, wedding place, one-stop serv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perception about wedding service agencies’ wedding dress, onestop serv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ird, customer satisfaction for wedding produc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In conclusion, wedding service agencies’ wedding prod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is shows that, customers are satisfied with the products and services provided by the wedding service agencies. The better quality of wedding service, the more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Thus, expanding the scope of service or providing better product service can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 都市 在家老人의 餘暇活用 方案에 관한 硏究

        전리 全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1823

        Family structure characterize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modern society has been changed from large family to nuclear family. Medical development has prolonged human age and has been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the old aged of the whole population. These situations burden supporting the old aged to younger generations. Prestiges and rights of the old aged in the present have been decreased more than they had in the past. They feel more lonely psychologically causing by changing family patterns. The situations bring forth many social problems we have about the old aged. Therefore, the efficient welfare for the old-aged staying home in urban area require to be supported by the state or community. In the thesis, the writer is going to suggest the better policies on what they need and how the society support them, considering socio-cultural situations for the old aged in Korea. This study will emphasize on the leisure problems. That is, how they spend there leisure time? In chapter one, the writer suggested the goal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old's problems and leisure problems of use. In chapter two, the writer treated the characters of the old-aged’s society, the welfare of the old aged, and leisure for the old aged. I scrutinized economic stability, mental and physical health, education, the use of leisure programs, social circumstances, and etc. In chapter three, the writer searched the problems about economic unstability, socio-environmental problems, indifferent attitude of the community society to the old staying home in urban area. In chapter four, the writer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economic level, socio-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enlargement of recreational parts, the support of program development, and the positive will and practice of the community society to improve better policies for the problems raised in the chapter three. In conclusion, I described what is the best ways about development of socio-environmental level and encouragement of filial thought for the old a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