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용담검무의 내재적 가치와 현대적 활용

        장효선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63

        This study purposed to Based on a literature survey and historical background research about Donggyeongdaejeon and Yongdamyusa,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intrinsic values of the Yongdamkummoo. The Yongdamkummoo, which Teacher Su-un performed as part of his religious ritual, share the spirit with the sword dancing in the earliest age in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tradition of the Korean sword dancing. That is to say, the Yongdamkummoo is a kind of dancing that was reconstructed by Teacher Su-un with the ritual and martial-art aspects of the Korean sword unchanged once changed and lost due to flow of history. The Yongdamkummoo as such contains the will of Hucheon Gaebyeok as its philosophical backgound, which Donghak tries to open. That is to say, the Yongdamkummoo is the kind of sword dancing that has been performed at the religious rituals of Donghak, which is based on the traditional Korean thoughts, and that internally contains the stage of the unification of Heaven and mankind which one can reach via the rituals and the aspiration for opening a new world via the unification of Heaven and mankind. The Yongdamkummoo was reconstructed and bequeathed on the basis of the Han nation’s inherent sword dancing by Teacher Su-un Choe Je-woo, who had founded Donghak in 1860, but was lost later. However, Jang Hyo-seon restored it based on various historical data, oral traditions and testimonies along with his sword dancing training for 30 years. Yongdam is the name of the very place where Teacher Su-un had founded Donghak and the Yongdamkummoo was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The Yongdamkummoo consists of diverse kinds of dancing concentrated on the long sword dancing which integrates the force, the sword, the art, the skill, the elaboration, and the heart of the Korean nation. Especially, a number of historical data obviously proves that the human body and soul receive the force of the universe to be engaged in the Yongdamkummoo for Dongguiilche, and that the Yongdamkummoo has the characters of the theosophical dance as songs are accompanied by the dancing. The Yongdamkummoo is the inward and outward expression of the force of the universe via a wooden sword under the human body and soul harmonized with the force of the universe. The Yongdamkummoo means a sword dancing in which the martialism and strong force comes out via the sword along with beautiful dancing forms. The present sword dance doesn’t have the martialism and martial properties, and the kind of sword dancing in the form of entertaining performance is generally known. From this perspective, the Yongdamkummoo can be said to have values as mind training and physical exercise along with its martialist values. Also, as for the efficacy of the Yongdamkummoo as part of life sports, people at a wide range of ages can participate in the Yongdamkummoo as they training themselves with the motion in state and that in movement as well as with physical balance training in spinning and the left-right symmetric motions. In the light of the historical and characteristics of the Yongdamkummoo as seen from this study, it has a high utility as a life sport along with its values as martial art and as a traditional art. 본 연구는 동경대전과 용담유사의 문헌조사와 함께 역사적 배경연구를 기본으로 하여 용담검무(龍潭劍舞)를 현상학(phenomenology)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용담검무(龍潭劍舞)의 특성과 내재적인 가치를 알아보았다. 수운(水雲)최제우(崔濟愚)선생(1824~1864)이 종교적 의식의 하나로 추었던 용담검무(龍潭劍舞)는 우리나라의 검무가 걸어온 역사적 전통에 견주어볼 때 가장 윗 시대에 해당되는 검무와 그 정신적인 맥을 같이하는 검무이다. 즉 우리나라의 검무가 역사적 흐름에 따라 변천되면서 잃어버린 제의적(祭儀的)인 면과 무예적(武藝的)인 면을 그대로 간직한 채 수운(水雲) 선생에 의하여 다시 재현된 검무이다. 이와 같은 용담검무는 그 사상적 배경으로는 동학이 열어나가고자 하는 후천개벽에의 의지를 담고 있다. 즉 용담검무(龍潭劍舞)는 우리의 전통적 사상을 그 바탕으로 하고 있는 동학(東學)이라는 종교의 의식에서 거행되었으며, 또 이러한 의식을 통하여 도달하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경지와 이 천인합일을 통하여 새로운 세계를 열어가고자 하는 열망을 그 내면에 담고 있는 검무이다. 용담검무(龍潭劍舞)는 한민족 고유의 검무를 바탕으로 하여 1860년 동학을 창도한 수운(水雲) 최제우 최제우(崔濟愚)선생에 의해 부흥되어 비전(秘傳)되다가 단절되었으나 장효선(張孝善)이 30여년의 검무 수련을 바탕으로 하여 각종사료와 구전, 증언을 토대로 복원한 검무이다. 용담(龍潭)이란 이름은 수운 선생이 동학을 창도한 바로 그 자리의 이름이며 용담검무가 처음 추어진 곳이 바로 그 곳이다. 용담검무(龍潭劍舞)는 우리민족 고유의 기(氣), 검(劍), 예(藝), 술(術), 공(功), 심(心)을 종합한 장검무(長劍舞)를 중심으로 다양한 검무의 동작과 의미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우주의 기운을 받아 사람의 몸(體)과 마음(心)이 천지(天地)의 기운과 동귀일체(同歸一體)하는 의미의 칼춤과, 가사(검결)가 있는 노래와 함께 검무를 추게 되는데 ,검무의 특징으로는 긴(長)목검(木劍)으로 검무를 추며, 강신무(강령)의 성격을 띠고 있음이 각종 역사 사료를 통해 명확하게 고증되고 있다. 용담검무(龍潭劍舞)는 사람의 몸(體)과 마음(心)을 우주의 기운과 조화를 이루게 하여 그 기운을 목검(木劍)을 통해 안(內)과 밖(外)으로 표출하는 것이다. 용담검무(龍潭劍舞)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기운이 긴(長) 목검(木劍)을 통하여 표출 되어 천지우주(天地宇宙)와 자연의 이치를 표현하고 나타내어 아름다운 춤의 모습과 함께 무예(武藝)의 상무성(尙武性)과 강한 기(氣)가 검출되는 칼춤을 말한다. 현재의 검무는 상무성과 무예적 특징이 없이 연희 형태로 추는 칼춤만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용담검무(龍潭劍舞)는 무예적 가치와 함께 정신수양과 신체단련으로서의 가치도 함께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용담검무(龍潭劍舞)가 가지고 있는 생활체육의 한 부분으로서의 효용가치는 회전과 좌우(左右) 대칭의 동작으로 신체 균형적 수련과 함께 정(靜)의 동작, 동(動)의 동작을 함께 수련할 수 있어 폭 넓은 연령층의 참여가 가능하다. 용담검무(龍潭劍舞)의 복원의 의미는 민족정기의 회복과 상생의 새 문화 창조에 있다. 변화와 혁신, 안녕과 평화를 동시에 기대하는 오늘 우리 사회의 혼란스러운 분위기는 옳은 것, 바른 것을 상실한 데서부터 비롯되었으며, 그른 것, 뒤틀린 것을 보고도, 알고도 그것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기운이 없기 때문이다. 민족정기란 민족 공동체뿐만이 아니라, 그 민족 구성원인 우리 한 사람 한사람의 기운을 뜻하며, 지치고 힘든 삶을 훨훨 털고 밝고 힘차게 내일, 새 날을 향해 갈 기운을 회복하는 것이다.

      • 오복녀 창 서도잡가 시김새 연구 : 초로인생을 중심으로

        장효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gimsae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focusing on ‘Choroinsaeng. For this, the author looked into the significance and lyrical contents of Seodo Jabga and then analyzed the sigimsae of Seodo Jabga dividing it into a vocal sigimsae and a decorative sigimsae, focusing on the melody of Choroinsaeng.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Choroinsaeng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used total 109 jangdans and they consisted of 2 & 3-beat semachi jangdans, 4-beat jajinmori jangdans and 5-beat composite jangdans, and its Susimgajo was based on 6-beat jangdans and 3, 4 and 5-beat jangdans were compositely used according to the phrase of lyrics. Lyrics consisted of total 24 phrases and expressed the futility of life as fleeting as the dew on the grass (choro), such as yearning for endless life, lamentation of flying time, frailty of life, vanity of life, and admonitions of doing what one wants to do while he is still alive. Choroinsaeng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used total 10 vocal sigimsaes. Regarding a ddeneun mok (vibrat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ddeneun moks as one interval intensive ddeneun moks, minor 3rd interval or major 3rd interval descended ddeneun moks, or major 2nd interval, perfect 4th interval or minor 3rd interval ascended ddeneun moks. Regarding a ggeokneun mok (bend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ggeokneun moks as perfect 4th interval, major 2nd interval or increasing 4th interval descended melodic progresses. Regarding a batchineun mok (supporting vocal chords) (Y), it was used at the end of madi, just before entering sigimsaes, and at the first sound of melodic progress. Regarding an oreunaerineun mok (ascending and descending vocal chords) (Z), it used major 2nd interval, major 3rd interval, minor 2nd interval, or minor 3rd interval ascending/descending melodic progresses. Regarding a naerineun mok (descend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melodic progresses which using the sound below major 2nd interval, major 3rd interval, minor 2nd interval, or minor 3rd interval. And regarding an ollineun mok (ascend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melodic progresses which using the sound above major 2nd interval, minor 3rd interval, major 3rd interval, or perfect 5th interval. Regarding a delicately ddeoneun mok (vibrat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delicately ddeoneunmoks of which melodies were progressing ascendingly by one interval, perfect 5th interval, major 2nd interval, perfect 5th interval, or major 3rd interval. Regarding a mileoollineun mok (pushing-up vocal chords) (?), it used such mileoollineun moks of which melodies were progressing ascendingly by minor 2nd interval or major 2nd interval. Regarding a pyeong mok (flat vocal chords) (?), it used such sounds as G (mi), E♭ (do), A♭ (fa), C (la), D (si), F (re) as continuant sounds, or such melodic progresses which ascending/descending by major 3rd interval, major 2nd interval, or perfect 4th interval. Regarding a heulleonaerineun mok (sliding-down vocal chords) (?), it used such melodies which descending by minor 3rd interval or major 2nd interval. Choroinsaeng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used total 5 decorative sigimsaes. Regarding a ggineun mok (getting jammed vocal chords) (┳), it used a ggineun mok even before ascending/descending perfect 5th interval and perfect 4th interval. Regarding a middle ggineun mok (┏), it used a ggineun mok in one interval without melodic progress as well as in ascending/descending melodic progresses. Regarding a chineun mok (hitting vocal chords) (?), it used a chineun mok when melodies were progressing ascendingly by one interval, major 3rd interval, minor 3rd interval, perfect 5th interval, or perfect 4th interval, or descendingly by minor 3rd interval or major 2nd interval. A slightly chineun mok (hitting vocal chords) (D) was weaker in sound than a chineun mok. A jjireuneun mok (poking vocal chords) was presented in one interval and used in the last melody and in the portion of melodic connec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Sedo Jabga’s melody-oriented application of sigimsaes, focusing on the lyrical contents and sigimsae kinds of Choroinsaeng of Sedo Jabga, sung by master singer O Bok-nyeo. This study was initiated because not many studies on Seodo Sori or Seodo Jabga had been carried out. The author hopes many following-up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eodo Jabga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focusing on its melody-oriented sigimsaes, and its lyrics and jangdans. 본 논문은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 대한 시김새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은 서도잡가의 일반적 의의와 사설내용 분석, 서도잡가에서 사용되는 시김새 분석을 위해 창법적 시김새 와 장식적 시김새로 구분하여 초로인생 선율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의 사용 장단은 총109장단으로 구분하였으며 2박, 3박계열 세마치장단, 4박계열 자진모리장단, 혼합박 으로 된 5박 장단, 수심가조는 6박을 기준으로 3박, 4박, 5박을 가사 구절에 맞게 장단을 바꿔가면서 장단을 친다. 사설은 총24단락으로 구분하였으며 사설내용은 무한 인생에 대한 성찰, 세월이 가는 것에 대한 한탄, 인생 무상함을 엮고 있는 내용, 인생의 부질없음, 살아생전에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잘살아야 한다는 내용으로 초로와 같은 인생의 허무함을 표현하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서 창법적 시김새의 종류는 총 10개의 시김새를 사용하였다. 떠는 목(?)은 한 음정을 중심적으로 떠는 목, 단3도, 장3도 하행해서 떠는 목과 장2도, 완전4도, 단3도 상행에서 떠는 목을 사용하며, 꺾는 목(=)은 완전4도, 장2도, 증4도 하행 선율 진행 되는 목을 사용하며, 받치는 목(Y)은 마디 끝 부분, 시김새 들어가기 전, 선율이 진행되는 첫 음을 한 음에서 사용 된다. 오르내리는 목(Z)은 장2도, 장3도, 단2도, 단3도 상,하행 선율 진행한다, 내리는 목(┓)은 장2도, 장3도, 단2도, 단3도 아래 음을 사용하는 선율진행이 사용되며. 올리는 목(┚)은 장2도, 단3도, 장3도, 완전5도 위에 음을 사용하는 선율로 진행 된다. 잘게 떠는 목(?)은 한 음정, 완전5도, 장2도, 완전5도, 장3도 상행으로 선율이 진행되면서 잘게 떠는 목이 사용되며. 밀어 올리는 목(?)은 단3도, 장2도, 상행으로 선율이 진행되면서 밀어 올리는 목이 사용된다. 평 목(?)은 G(미), E♭(도), A♭(파), C(라), D(시), F(레) 음을 지속음으로 사용하거나 장3도, 장2도, 완전4도 상,하행 선율을 사용한다. 흘러내리는 목(?)은 단3도, 장2도 하행 선율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서 장식적 시김새의 종류는 총5개의 시김새를 사용한다. 끼는 목(┳)은 완전5도, 완전4도 상,하행 전에도 끼는 목을 사용하며, 중간 끼는 목(┏) 은 선율진행 없이 한 음정에서만 사용되며, 상,하행 진행되는 선율에도 사용한다. 치는 목(?)은 한 음정, 장3도, 단3도, 완전5도, 완전4도 상행으로 단3도, 장2도 하행으로 진행 선율이 진행되면서 치는 목을 사용한다. 살짝 치는 목(D)은 치는 목 보다 약하게 내는 소리, 찌르는 목(?)은 한 음정에서 표현되어 지며 마지막 선율, 선율이 이어지는 부분에 찌르는 목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서도잡가 중 오복녀 명창의 초로인생 잡가에 대한 사설내용과 시김새 종류에 중점을 두고 서도잡가의 선율에 따른 시김새의 적용을 분석하였다. 서도소리 및 서도잡가의 시김새 와 관련된 연구가 미흡한 이유로 본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이후 서도소리 발전과 서도잡가의 선율에 따른 시김새, 사설연구, 장단연구 발전을 위하여 후속 연구들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바란다.

      • SOA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서비스 도출 방법론

        장효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SOA는 기업의 생산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IT 전략으로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그에 따라 새로운 SOA 방법론들이 제안 되었지만 대부분의 방법론들은 서비스를 정의하고 식별하는데 구체적인 절차를 제시하지 않고 있어 실제 개발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SOA 구축에 가장 핵심 부분인 서비스 도출을 위해 서비스 식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정의 및 식별 과정에서 적절한 서비스를 도출하기 위한 서비스 도출 방법론인 SOMO를 제안한다. SOMO는 SOA에서의 서비스 정의와 특징을 고려하여 서비스 온톨로지를 정의한다. 서비스 도출 프로세스는 이해당사자들과 시스템의 요구사항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요구사항 분석 단계, 도메인 분석과 서비스를 식별하는 서비스 식별 단계, 식별된 서비스를 검증하고, 검증된 서비스들의 흐름을 정의하고 기능과 서비스를 맵핑시키는 서비스 정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SOMO는 서비스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식별 및 정의함으로써 서비스 정의와 검색을 용이하게 해주고 재사용성을 높여줄 것이라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명확한 서비스 식별 및 정의가 가능하게 한다. 기존의 SOA 방법론과 비교 평가한 결과 SOMO가 전체적으로 기존의 SOA 방법론보다 좋게 평가되었다. 이는 SOMO가 서비스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절차를 제시함으로써 높은 가중치를 갖는 평가 기준들을 만족스럽게 충족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SOMO는 서비스의 품질 개선과 유지보수성 개선은 물론 SOA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시간을 단축시키고 SOA 개발 방법론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has been recognized as a new IT strategy that can maximize a company's productivity and pliability. Even though several methodologies for SOA have been proposed, in practical aspects most of them have some problems since they fail to propose specific policies in definition and identification of a serv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service drawing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SOA construction. This paper proposes a service modeling methodology, SOMO(Service Oriented Modeling using Ontology), which draws proper services in the process of defining and identifying service. SOMO defines the service ontology based on servic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in SOA. the service drawing process consists of 3 steps: requirement analysis, service identification, and service definition. In requirement analysis, requirements of both system and stakeholder are systematically analyzed. In service identification, services are identified by analysis of the domain. The last step verifies the identified services, defines the flows of verified services, and maps the service and the functions of the system. SOMO is expected to increase the degree of reuse and facilitates the definition and search of services by using service ontology. In addition, it clearly allows the definition and identification of service, satisfying the user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lative comparison with previous SOA methodologies, SOMO gets a better evaluation than others. This means that SOMO satisfactorily meets with the evaluation measures with high weight of importance. This comes from the fact that SOMO proposes specific policies, using the service ontology.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SOMO can improve the service quality and the maintainability and can decrease development time of the SOA-based software. In addition, we expect SOMO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OA development methodology.

      •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중학교 통합학급의 음악수업 연구

        장효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특수교육대상자의 통합교육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그 실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통합교육은 음악교과의 교육적 환경 및 교과의 특성에 따라 타 교과에 비해 수월하다고 인식되어 일반적으로 많이 이루어진다. 특히 음악교과의 기악합주 수업은 특수교육대상자가 음악을 직접 연주하고, 일반학생들과 조화를 이루며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악합주 수업에서 기초음악과 그룹별 활동 등을 강조한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분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지적장애학생과 자폐성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통합학급의 음악과 기악합주 수업에서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교수적 수정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통합학급의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기악합주 수업의 교수적 수정방안을 모색하여, 실제 지적장애학생과 자폐성 장애학생이 속한 통합학급에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은 수업 전반에 걸쳐 대체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교적 연주가 용이한 리듬막대에 대한 높은 흥미를 보였다. 또한 말리듬 학습 시간에는 보다 적극적인 태도로 참여하였다. 특히 리코더 합주 시, 보다 쉽고 간단한 운지법을 통해 지적장애학생의 수업 참여도를 고취시켰다. 둘째, 자폐성 장애학생은 수업에 대한 흥미나 환경 등에 따라 다른 변화를 보였다. 자폐성 장애학생의 큰 교육적 변화 중 하나는 리코더에 대한 흥미이다. 이는 특수교사의 도움이 더해져 악기 연주 기능의 향상으로 이어졌다. 한편, 3차시 수업에서는 어수선한 수업 환경의 영향으로 수업에 전반적으로 집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평가 시에는 학습한 리코더 운지법을 소화하며 진지하게 임하였다. 셋째, 통합학급에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수업은 효과적인 통합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의 수치 변화는 미세하지만, 이는 3차시라는 짧은 교육시간을 고려한다면 매우 긍정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통합학급의 음악수업에서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교수적 수정방안이 보다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교수적 수정방안을 위해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성 및 환경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이는 양적연구로의 발전은 어려움이 따름으로 다방면으로 변화가 가능한 질적 연구를 통해 이루어지기를 제언하는 바이다.

      • 장소 내러티브를 활용한 '관계 맺음'과 '소통'의 지리 수업 연구

        장효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왕따’를 비롯한 학교 내 문제들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지리 교사로서 가지는 첫 시간 수업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왕따’에 대한 논의들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학교 내 문제들의 중심에는 잘못 형성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교실은 학교 내 문제들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공간이며, 학기 초는 아직 교실 내 관계가 명확히 자리 잡기 전임을 감안하여, ‘관계 맺음’과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첫 시간 지리 수업 연구를 시작하였다. ‘관계 맺음’과 ‘소통’을 위한 첫 시간 지리 수업에서는 두 가지의 고민이 요구되었다. 하나는 수업의 방법에 관한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수업의 내용에 관한 것이었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토대로 인식의 도구이자 소통의 도구로서 기능하는 ‘내러티브’를 수업의 방법으로, 지리학의 핵심 개념이자 지리 내용의 기본 요소이면서 지리적 존재인 인간을 이해하게 할 ‘장소’를 수업의 내용으로 활용하기로 하였으며, 연구자는 이를 ‘장소 내러티브를 활용한 관계 맺음과 소통의 지리 수업’이라 명명하였다. 수업을 구체화하기에 앞서 부버의 ‘만남’ 철학을 토대로 ‘관계 맺음’과 ‘소통’을 정의하였고, 교실을 소통의 장으로서 바라볼 것을 주장하였으며, 소통의 방법으로서의 ‘내러티브’의 기능과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내러티브의 소재로 활용될 ‘경험으로서의 장소’ 개념과 그것의 지리교육적 의의를 살피고, 소통의 매개로서의 ‘장소 내러티브’의 기능과 그것의 교육적 가치를 정리하면서 연구 수업이 학생들에게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교육적 가치를 논의하였다. 태펀과 브라운이 제시한 이야기하기 방법을 변형하여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연구 수업은 ‘나의 장소 찾기’, ‘친구 찾아 인터뷰하기’, ‘장소 소개하기’, ‘나의 장소에 대한 글쓰기’의 과정으로 구체화되었다. 연구 수업은 군산의 J고교 1학년 6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수업의 결과 분석은 ‘수업 장면 분석’과 ‘활동 결과물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수업 장면 및 활동지 분석을 통해 수업의 의미를 유추한 다음, 수업 소감문 및 평가 설문지, 개별 면담 내용의 분석을 거쳐 ‘관계 맺음’과 ‘소통’으로서의 수업의 의미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수업의 결과 분석 및 해석이 진행되었다. 수업의 결과 분석 및 해석을 통해 본 연구 수업이 ‘관계 맺음과 소통의 지리 수업’으로서의 의미는 물론이거니와 학생들의 개인지리를 활용하여 그들의 지리적 상상력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장소 학습으로서의 의미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우리가 지리적 존재임을 인식해갔고, 장소 개념에 접근함으로써 장소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키워갔으며, 연구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는 지리 수업 자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장소 내러티브’를 매개로 학생들에게 만남과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 본 수업 연구는 ‘관계 맺음’과 ‘소통’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지리 수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할 수 있으며, 수업을 통해 얻은 장소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배려의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도 학생들은 배려적 관계 맺음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다.

      • 용담검무(龍潭劍舞)의 춤사위와 검결(劍訣)의 문화적 가치에 관한 연구

        장효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용담검무(龍潭劍舞)는 한민족 고유의 검무를 바탕으로 하여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 1824~1864)가 창안하여 직접 수련하고 완성한 음악과 함께 검결(劍訣)의 가사(歌詞)를 부르며 목검(木劒)을 들고 추던 칼춤이다. 본 연구는 용담검무의 춤사위와 검결(劍訣)에 나타난 움직임을 분석하여, 검무의 무예적 동작과 예술적 형식의 원리와 방법을 밝히고 내재적 가치를 찾아내어 문화적 정체성을 정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담검무의 역사성 용담검무는 1860년에 수운 최제우 선생이 검결(劍訣)이라는 가사를 지어 노래를 부르며 칼춤을 추기 시작한 것에서 그 시작을 찾을 수 있다. 용담검무가 본격적으로 추어진 시기는 1861년 동학을 본격적으로 펴기 시작한 동학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용담검무의 특성 1) 용담검무는 긴 칼(長劍-105cm)인 목검(木劒)을 사용하므로 일반검무와 차별성을 갖고 있으며, 2) 용담검무는 춤이 갖는 예술적인 면보다 칼의 본질인 상무(尙武) 정신을 더 강조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3) 용담검무는 벽사진경(辟邪進慶)의 정신을 바탕으로 당시 조선말기의 거대한 물결로 다가오는 서양의 물질문화를 물리치고 인본주의 인간평등을 회복하려는 정신이 담겨져 있음이 확인된다. 4) 용담검무는 검결(劍訣)의 가사(歌詞)와 함께 부르며 그 검결의 의미를 음미하며 추는 검무(劍舞)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셋째, 용담검무의 검결과 함께 추는 춤사위 용담검무는 21자의 동학 주문(呪文)을 17개의 동작으로 이루어진 기본동작과 146자로 이루어진 검결(劍訣)의 가사(歌詞)를 41개의 동작으로 구분하여 음악과 함께 추는 춤사위로 이루어져 있다. 17개의 기본동작은 용담검무의 준비운동의 의미와 함께 검결 춤사위 동작의 기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다년간 수련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17개의 기본동작과 검결 춤사위 41개 동작에 대하여 체험연구의 방법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1) 검결에 의한 용담검무의 춤사위는 무예적인 바탕에서 바라보면 무술의 공격과 방어의 체계를 갖춘 투로(套路)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긴 칼을 들고 추기 때문에 칼의 목이 돌아가는 작은 소도구를 갖고 추는 일반 검무와는 격이 다르고 무예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검결의 가사를 부르며 추는 춤사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학의 정신인 나쁜 것을 물리치고 새로운 후천세상을 열어 기쁨을 노래하는 벽사진경(辟邪進慶)의 정신이 춤사위 전체를 주도하고 있다. 동작들도 막고 베는 공격과 방어를 상징하는 무예적 동작들로 이루어져 있다. 2) 검결의 춤사위에서 동작의 크고 부드럽게 원(圓)을 그리며 호흡과 함께 완만하게 하는 춤사위를 통하여 우아미(優雅美)가 나타나고, 검을 베고, 찌르고 멈추고 가르며, 회전하는 무예적인 절제미(節制美)가 나타나며 춤사위 전체에서 정중동(靜 中動)의 예술성(藝術性)이 나타난다. 3) 기본 동작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뛰어난 건강성(健康性)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용담검무를 추고 수련함으로 건강의 증진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넷째, 용담검무의 문화적 가치는 1) 용담검무의 검결(劍訣)은 구습(舊習)과 사악(邪惡)한 세력을 몰아내고 만민평등의 후천개벽(後天開闢)으로 벽사진경(辟邪進慶)의 정신을 함축적, 반복적 방법을 사용한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2) 용담검무는 긴 칼을 통하여 악(惡)을 물리치려는 일전(一戰)의 정신적 의지와 크고, 빠르고, 부드럽고 강한, 찌르고, 베고, 막는 무술(武術)의 투로(套路)로 무예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3) 용담검무는 긴 칼로 움직임과 방향, 그리고 공력의 강약이 조화를 이루는 절제미(節制美), 우아미(優雅美), 조화미(調和美)가 나타나고, 나가고 멈추고 돌아가는 정중동(靜中動)의 동양의 미(美)가 나타나는 예술적(藝術的) 가치를 지니고 있다. 4) 용담검무는 여기(女妓) 검무에 비해 무거운 긴 칼을 사용하고, 모든 동작이 생명현상인 호흡과 함께 이루어지고, 크고 부드럽고, 강하고 약하게 등의 원운동이 주를 이루고 강한 정신력과 함께 수련함으로 심신의 건강이 증진되는 건강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5) 용담검무는 동학의 정신과 종교적 목표를 이루려는 의지를 담고 있으며, 종교적 의식(儀式)으로 사용하는 종교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종합하여 판단하건데 용담검무의 기본동작과 검결 춤사위는 무예성과 예술성을 함께 갖고 있으며, 수련을 통하여 신체의 조성과 기능이 향상되고 특히 심장의 박동과 함께 생명현상의 하나인 호흡의 질이 높아져 근원적인 생명력이 향상된다. 검결에 내재된 강한 정신력도 함께 수련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종교적, 무예적, 예술적, 건강적인 문화가치가 골고루 나타난다, 널리 펼쳐 국민적 건강증진의 방법론으로 생활체육의 한 분야를 담당할 수 있으며, 우리의 전통문화로서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Yongdamgummoo(龍潭劍舞) is a sword dance which used to dance with a wooden sword, singing the lyrics of gumgyeol, along with the music which was created, directly trained, and completed by Suwoon Choi, jewoo(1824~1864) based on Korean traditional gummoo.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principle and method of martial arts movement and artistic form of gummoo by analyzing the movements in Yongdamgummoo dancing steps and movements in gumgyeol, and establishing cultural identity by searching for the intrinsic valu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storicity of Yongdamgummoo Yongdamgummoo can be said to begin by dancing with a sword singing the lyrics, called gumgyeol, which the scholar Suwoon created in 1860. The period when Yongdamgummo began to be regularly danced appeared to have had, the same context with the history of Donghak, which was regularly developed since 1861. Second, characteristics of Yongdamgummoo 1) Yongdamgummoo has differentiation from general sword dance, since it uses a long wooden sword (length of long sword(105cm), 2) Yongdamgummoo has a character to more emphasize sangmu(尙武) spirit, which is the essence of sword, rather than the artistic aspect of dance. 3) Yongdamgummoo is confirmed to contain the spirit to recover humanism human equality by beating out the western material culture which approached with a huge wave in the late Joseon of that time, based on the spirit of byuksajingyung(辟邪進慶). 4) Yongdamgummoo seems to have the characteristic of sword dance, a dance with enjoying the meaning of gumgyeol while singing the lyrics of gumgyeol. Third, dancing steps along with Yongdamgummoo gumgyeol Yongdamgummoo is composed of dancing steps along with music by dividing 21-character donghak spell(jumun,呪文) into the basic movements of 17 movements and the lyrics of gumgyeol made of 146 characters into 41 movements. 17 basic movements are the basis of gumgyeol dancing steps movements along with the meaning of warming up of Yongdamgummoo. This research intended to analyze 17 basic movements and 41 movements of gumgyeol dancing steps based on the experience research method. 1) Yongdamgummoo dancing steps by gumgyeol can be said to be tooro(套路) which has the system of offense and defense of martial arts from the viewpoint of martial arts. Particularly, since it dances with a long sword, it has different class from the general sword dance which uses a small tool, i.e. the neck of sword is turning, also, it has strong martial arts characteristic. Since it is made of dancing steps along with singing the lyrics of gumgyeol, the spirit of byuksajingyung(辟邪進慶), singing the joy by opening the new post-heaven world by beating out bad things, which is equal to the spirit of donghak, leads the whole dancing steps. Also, the movements are composed of martial arts movements which symbolize offense and defense, e.g. blocking, cutting, etc. 2) In gumgyeol dancing steps, elegant beauty appears through the gentle dancing steps along with breath by drawing a large and soft circleb, restrained beauty of martial arts, which cuts, stink, stops, divides, and rotates the sword, and artistry of movement-in-stillness on the whole dancing steps. 3) One of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basic movements can be said to be the excellent healthiness. In other words, health is increased through dancing and training through Yongdamgummoo. Fourth, cultural value of Yongdamgummoo 1) Yongdamgummoo gumgyeol has the cultural value which used the spirit of byuksajingyung with post-heaven civilization of equality for all by beating out old customs and evil force, with the implicative and repeatable method. 2) Yongdamgummoo has the martial arts value, as the tooro of mental will of a battle to beat out the evil through a long sword and martial arts, fast, soft, strong, stinking, cutting, blocking. 3) Yongdamgummoo shows restrained beauty, elegant beauty, and harmonious beauty, harmony of movements and direction, strength and weakness with a long sword, also, has the artistic value which shows oriental beauty of movement-in-stillness, e.g. going forward, stopping, going back. 4) Yongdamgummoo uses weighty and long sword compared to yeogi(女妓) gummoo, all movements are performed along with breath, the life phenomenon, mainly composed of circle movements, e.g. large, soft, strong, weak, etc., and has healthiness value to increase health of body and mind through training along with strong mental strength. 5) Yongdamgummoo has the will to achieve donghak spirit and religious aim, also, the religious cultural value to be used as the religious retual. In conclusion, basic movements of Yongdamgummoo and gumgyeol dancing steps have both martial arts property and artistry, also, composition and function of body is improved through training, particularly, fundamental life strength is improved, since the quality of breath is improved, one of the life phenomenon, along with heartbeat, and strong mental strength in gumgyeol can be trained, also, religious, martial arts, artistic, and healthy cultural value evenly appear. Therefore, it can take a role in a field of sports for all as the methodology of national health enhancement through the prevalence of it, also, it can be said to have a value to be preserved as our traditional culture. (Key words : Yongdamgummoo, gumgyeol, gummoo, martial arts property, artistry, health)

      • 중등학교 기록물의 보존기간책정에 관한 연구 : 서울A중학교의 단위업무 재설정을 중심으로

        장효선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9년 말에 제정된『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사용이 의무화된 분류기준표는 2004년 1월부터 공공기관에서 시행되었다. 현재 각 학교에서도 분류기준표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기록물을 등록하고 편철하도록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등학교 분류기준표에서 보존기간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규명해 보고자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서울 A 중학교의 보존기간책정을 위한 단위업무를 재설정하고 중등학교 보존기간별 단위업무(안)을 작성하였다. 2장에서는 중등학교 기록물의 특성과 보존기간체계에 대해 알아보고, 3장에서는 중등학교 기록물관리 현황을 근거로 보존기간책정에 따른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후, DIRKS-Manual의 A~C 단계를 적용하여 업무기능분석을 해보았다. 4장에서는 학교기록물의 보존기간 책정방안을 업무기능분석에 초점을 두고 분류기준표와 단위업무 기록물철 작성기준을 통해서 보존기간별 단위업무(안) 재구성해보았다. 중등학교에서 불필요한 단위업무와 보존기간을 삭제하고, 중복된 단위업무로 인해 보존기간이 중복되어 책정된 것을 재조정하는 등 보존기간을 재구성하였다. 현재의 분류기준표 작성시 발생한 문제점을 숙지하여 단위과제별 기록관리기준표를 만들 때에는 정확한 보존기간 책정으로 합리적인 기록관리가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보존기간의 합리적인 책정은 그 업무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중요 기록물의 보존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위과제별 보존기간 책정을 위해서는 기관의 업무에 대한 분석과 기록요건의 확인 및 해당 기록보유기간의 결정 등이 필요하다. 또한 각 시․도별 지역교육청에서는 기록물 정리 지침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기록물 정리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숙지하도록 하여 교사들에게도 학교 기록물 관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