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어 부가사와 문형에 관한 연구

        장호혁 공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문용(2007)은 Quirk et al.(1985,p. 503)을 인용하여 부가사(adjunct)를 부사어 한 종류로 보고 있으며 술어동사 또는 술부를 수식하는 부사라고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가사는 이처럼 부사의 한 범주 정도로 간주되어져 왔으며 중, 고등학교의 영어교육 환경에서는 부가사에 대한 용어 자체가 언급이 되지 않고 있기에 학교문법에서는 부가사에 대한 문법적 안내가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전통적인 학교문법에서는 영어의 문형을 5문형으로 구분하고 있지만 사실상 5문형으로 설명되지 못하는 다양한 형태의 단어, 구 및 문장을 만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리가 만나는 모든 영어문장을 기존의 5문형으로 명확히 다 설명할 수 없는 이유는 2형식과 5형식 상에서 보어를 이루는 구성 성분을 명사와 형용사로만 규정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보어자리에 등장하는 전치사구를 포함한 모든 부사구의 형태는 보어가 아닌 단지 의미를 부가해주는 것으로 간주하거나 또한 부가사의 출현이 필수가 아닌 수의적인 것으로 간주할 때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이러한 접근은 학습자의 입장에서 품사 중 부사(구)나 전치사구와 같은 부가사는 필수가 아닌 수의적인 구성 성분으로 간주하여 문장 상에서 출현여부와 관계없이 문법적인 문장을 구성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게 된다. 즉 부사라는 품사 자체는 학습자에게는 명사, 형용사, 동사에 비해 중요성이 낮은 품사로서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이며 전치사구 역시 부사구의 범주에 포함되어 수의적인 성분 정도로만 보여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더불어 지금 초, 중, 고 학교 현장의 영어교육의 기본 방향은『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조에 따라서 학습자의 의사소통 역량을 핵심역량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는 동시에 과거의 영어교육 상에서는 강조되었던 문법적 지도에 대한 강조는 크게 축소되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영어 문형을 포함한 문법적 지도에 대한 가이드는 교육과정 내용체계에서 거의 담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영어문형의 재정립에 대한 관심을 이끌기에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위와 같이 문법적 세부사항에 대한 문제 제기와 함께 국가적인 영어교육의 접근에 대한 제고를 주장하며, 구체적으로는 부가사와 영어 문형에 대한 분석을 전제로 하여 실제 영어교육 현장의 문법 교육에서 새롭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를 촉발해보고자 한다. 또한 부사를 포함한 부가사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문장의 형식에 있어 명사, 동사, 형용사 및 부사 그리고 부가사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재정립을 통해 부가사의 문법적 지위를 재정립을 해보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adjunct in general English learning including school grammar and to ultimately propose a new approach to school grammar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Citing Quirk et al.(1985,p. 503), Moon yong(2007) viewed adjunct as a type of adverb and defined it as an adverb that modifies predicate verb. In other words, adjunct has been considered as a category of adverbs so far, and the term ‘adjunct’ has not been even mentioned in the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s. Therefore, there is no grammatical guidance on adjunct in school grammar. At the same time, traditional school grammar divides English sentences into five types(forms), but in fact, various forms of sentences we meet cannot always be explained with the five types of sentences. Specifically, the reason why all English sentences cannot be clearly explained in the existing five types of sentences is that the components of the complement in Form 2 and Form 5 are prescribed only by nouns and adjectives. In other words, all forms of adverbial phrases including prepositional phrases have been considered just as optional rather than mandatory in terms of appearance in that position and therefore, have not been able to be a complement. However, based on the opinions of many scholars, this researcher insists that in certain cases, adverbial or prepositional phrases also be the components of complements in Form 2 and 5. In order to prove this, this study confirmed the followings. Firstly, in addition to the five forms by Onions(1904),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common theory of English sentence structure, in fact,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scholars’ opinions about English sentences structure. Scholars such as Hornby(1975), Stageberg(1981), Quirk et al.(1985) and Downing & Locke(1992) considered prepositional and adverbial phrases as complements in some cases and presented as independent type of sentences when including them. Secondly, Jeon Eun-kyung(2010), Lee Hee-gu(2003) and Jeong Tae-gu(2014) divided adverbial or prepositional phrases into adjuncts and complements rather than simply considering them all as just adjuncts. According to them, adjuncts like adverbial and prepositional phrases can be divided into adjuncts itself or complements depending on various criteria. For example, Eun-kyung Jeon(2010) classified adjunct and complement based on three criteria: Relative order, Iterability, and One replacement. In addition, Hee-geun Lee(2003) categorized two of them based on three criteria: Category criterion, Essentiality criterion, and Iterability criterion. In case of Radford(1998), he categorized it by word order criterion. Thirdly, as proposed by Cho Nam-ho(2014), Kim Sang-hyuk(2016), and Quirk et al.(1985), when it comes to marking components of each form with alphabet letters, adjuncts used as a complement can be marked as ‘A’ or any initial letter like A, which then can be regarded as an independent and essential component in a sentence. In particular, Cho Nam-ho(2014) insisted that, except for Onions(1910), most scholars view adverbs and prepositional phrases as part of a complement in many cases. At the same time, quoting Quirk et al.(1985), he mentioned that a new attempt was made to classify the structure of English sentences into 7 types by adding ‘SVA’ and ‘SVOA’ types to. Finally, all the contents about adjuncts studied by many scholars at earlier need to be reflected i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In particular, reorganizing the previous approach of English sentence structure(5 forms) should be needed, and this will be able to give English learners a new guidance about English language forms including a new understanding of adjuncts. In conclusion, this researcher intends to propose a new approach to the current school grammar with a different point of view for adjuncts and English structure of sentenc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only consisted of 5 form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o strengthening communication competencies, it is believed that, at the level of national English curriculum, discussion about how the guidance on the English language forms including grammar should be delivered to learners is also needed.

      • 한국과 독일의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및 활동책 비교분석

        장호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독일의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및 활동책을 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통하여 향 후 한국의 교과서에 적용할 수 있는 의미있는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이다. 분석의 방법은 같은 교육과정상에서 집필된 한국의 영어교과서를 서로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여 한국교과서와 그리고 한국과 같은 EFL환경 중에서 영어교육의 선진국으로 평가받는 독일의 영어교과서를 선택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활동책도 아울러 함께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의 내용은 선행연구, 교과서 이론 그리고 본 연구자의 관심분야에 의거하여 총 일곱 개 항목-구성체제, 의사소통기능과 대화문의 길이, 언어형식, 언어활동(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소재, 삽화, 어휘-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교과서는 각 단원이 모두 일정한 패턴 하에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 학습에 대한 예측이 용이하나 그러한 단조로움으로 인해 학습의욕을 저하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반면, 독일의 교과서는 단원의 내용에 따라 알맞은 활동을 실시하는 형태이므로 특정 활동에 치중되는 경우에는 언어의 네 4기능을 고루 연습하기에 균형을 잃을 수 있지만 그 다양성은 학습의 호기심을 불어넣어준다. 둘째, 대화문을 통한 의사소통기능분석의 결과 한국은 가상의 상황에 맞춘 인위적인 대화문이 많으나, 독일은 단원의 소재와 관련한 실제 라디오프로그램 인터뷰나 잡지 등에서 대화문을 인용하여 제시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셋째, 언어형식은 한국의 경우는 문법용어의 사용을 배제하고 자연스럽게 규칙을 얻도록 하는 귀납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독일은 연역적으로 가르칠 내용을 제시한 후 다양한 연습을 통해 반복학습을 유도하고 있다. 넷째, 언어의 4기능에 대한 활동에서도 양국은 크고 작은 차이를 보여주었는데, 특히 언어의 4기능의 통합 활동과 말하고 쓰는 활동들이 독일의 교과서에서 더 많은 비중을 보여주고 있었다. 다섯째, 삽화의 유형은 양국 모두 단원의 소재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고 삽화의 개수를 통해서 삽화의 비중을 판단해볼 때 삽화는 학습을 돕기 위한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되었다. 여섯째, 소재 분석에서는 한국은 특정 소재에 국한되기 보다는 개인문제에서 사회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를 담고 있었으나 독일은 인종차별, 민주시민의식, 인권 등의 소재를 통해서 진지하게 사회문제를 고민해보는 수준으로 학습을 의도하고 있었다. 일곱 번째, 어휘는 한국은 매 단원마다 새로운 어휘를 본문의 지문아래에 제시하는 형태이나 독일은 새로운 어휘를 제시하기보다는 단원의 소재나 내용과 관련 있는 어휘들을 그룹지어서 서로 연상지어서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양국의 교과서 비교분석을 통해서 얻은 차이점을 통해서 양국의 영어교육의 중점과 방향을 확인 할 수가 있었다. 교과서의 다양한 구성, 실제상화의 대화문을 통한 의사소통기능학습, 언어형식의 중시, 언어의 4기능의 자연스러운 통합 활동, 사회문제를 다루는 진지한 소재의 선택, 어휘 군을 통한 어휘학습 등의 내용들은 향 후 우리나라 영어교과서의 집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내용들이라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