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첩발목보조기가 경직성 뇌성마비아동의 보행시작 시 동적 균형조절에 미치는 영향

        장혜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본 연구에서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시작 시 동적 균형 조절을 평가하고, 경첩발목보조기가 경직성 뇌성마비아동의 보행시작 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독립적인 걷기가 가능한 하지마비 아동 8명, 편마비 아동 3명 )과 정상발달 아동을 각각 11명씩, 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경첩 발목보조기는 성북구 길음동 J재활의학과에서 처방을 받은 후 의료기기 회사에서 맞춤 주문 제작되었다. 아동은 2회의 연습 후 선 자세에서 편한 속도로 편한 다리를 사용하여 보행을 시작하였다. 6개의 VICON카메라와 AccuSwayPLUS Balance Platform 을 동시간에 사용하여, 신체질량중심과 압력중심점을 측정하고, 신체질량중심과 압력중심점의 거리를 계산하였다. 편마비 아동, 하지마비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의 차이를 비교하고, 뇌성마비 아동의 경첩발목보조기 착용 전과 후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repeated measures ANOVAs)을 사용하였다. 다중비교를 위해 사후 검정으로 Dunnett T3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편마비 아동과 하지마비 아동은 정상아동보다 전방으로의 COM전위와 COM-COP의 전방 거리는 감소되고, 내∙외측의 COM과 COP의 전위와 COM-COP의 거리는 증가되었다. 그러나 편마비 아동은 경첩 발목보조기 착용 후 유각기 발의 발끝 떼기에서 유각기 발의 발뒤꿈치 닿기(phase Ⅱ)와 유각기 발의 발뒤꿈치 닿기에서 입각기 발의 발끝떼기(phase Ⅲ)에서 내∙외측의 COM 전위는 감소하고 COM-COP거리는 증가하였다. 하지마비 아동은 발목보조기 착용 후 phase 3에서 전방으로의 COM전위, COP 전위와 COM-COP 거리가 증가하고, 내∙외측의 COM-COP의 거리 간격은 모든 구간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보행시작 시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의 COM과 COP의 전위 뿐만 아니라 COM-COP의 거리 차이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동적 자세 조절의 부족을 의미한다. 게다가 경첩 발목보조기 착용 후 COM-COP거리의 모멘트 생산을 증가시키고, 동적 불안정성을 견딜 수 있는 능동적인 자세 조절을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경첩 발목보조기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서 있는 자세와 일정한 속도로 걷는 보행뿐만 아니라 보행 시작과 같이 자세가 변화하는 시기나 동적인 움직임을 수행할 때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경쟁상태불안이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장혜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프로 및 아마추어 남녀 댄스스포츠선수들의 경쟁불안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2003년 4월 27일 제 3회 동아일보사 사장배 전국 댄스스포츠 선수권대회와 7월 13일 제 5회 에메랄드 볼 선수권대회에 참가한 프로 및 아마추어 남 · 여 댄스스포츠선수 232명을 대상으로 연구절차와 자료 분석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 얻었다. 1. 경쟁상태불안 요인 중 인지불안 정도는 프로선수보다는 아마추어선수가, 여자선수보다는 남자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능수준간(프로, 아마추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2. 신체불안은 역시 인지불안 요인과 마찬가지로 프로 댄스스포츠 선수보다는 아마추어 댄스스포츠 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불안 요인과는 반대로 남자보다는 여자 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불안에서도 기능수준간(프로, 아마추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3. 자신감 요인에서는 프로선수가 아마추어선수보다 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보다는 남자 선수가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수준(프로, 아마추어)과 성별에 따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4. 댄스스포츠선수들의 경력에 따른 경쟁상태불안 요인(인지불안, 신체불안, 자신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 중 인지불안과 신체불안 요인은 운동 경력이 낮을수록 인지불안과 신체불안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감 요인에서는 경력이 많을수록 자신감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etitive anxiety factors of both amateur and professional male/ female dance sport player's competitive anxiety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32 amateur, professional male/female dance sport players participating in the 3rd National Dance Sport Championship for the President's Medal of Dong-A Ilbo held in Apr 27, 2003 and the 5th Emerald Ball Championship Contest held in Apr 27, 2003. Based on the research procedure and data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1.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cognitive anxiety,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factors, was higher for amateur players and male players than it was for professional players and female player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functions (professional and amateur)(p<.05). 2.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physical anxiety, like the cognitive anxiety factor, was higher for amateur dance sport players than it was for professional dance sport players. Unlike the cognitive anxiety factor,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physical anxiety was higher for female players than it was for male play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anxiety between the levels of functions(p<.05) 3.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self-confidence was higher for professional dance sport players than it was for amateur dance sport players. A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self-confidence was higher for male players than it was for female play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anxiety according to the level of functions and gender(p<.05). 4.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factors(cognitive anxiety, physical anxiety and self-confidence) according to dance sport players' career(p<.05). Among other things,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ir career of sports was,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ve anxiety and physical anxiety was and the more career they had, the higher level of self-confidence they had.

      • 온라인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이 한국대학생의 영어표현능력과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장혜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T) industry, the Internet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of our lives. It is now possible to learn foreign languages by communicating with a native speaker through the Internet, as well as get information about that language and culture. Therefore the Internet fills in for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learning materials. Learning a language not only includes expressing opinions or thoughts, but also building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If online chatting can be used to learn a language and develop a social presence in order to have relationships with others, it will supplant the lack of opportunity of using the target language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set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act of synchronous text-based chatting on English writing and speaking skills, social presence, and students' attitud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nline chatting, the researcher carried out experiments on nine university students for six week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 online chatting and essay writing group, an online chatting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The two experimental groups had chatted on the given topics once a week. All three groups of students took part in classroom lessons held by a native English teacher. Since the classroom lessons were related to the given topics, the students also had an opportunity to practice their speaking skills on the subjec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earcher tested all of the students' proficiencies in speaking and writing, and conducted survey questionnaires.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First, online chatting and essay writ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earners'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abilities. There was an improvement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s in speaking and writing for both of the experimental group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peaking test showed groups who completed chatting activities had increased utterance and elaboration of their thought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writing test showed learners in the online chatting and essay writing group were more logical in writing their essays. Both experimental groups showed more spoken language in their writing. Second, there were affective responses, interactive responses, and cohesive responses of social presence in the online chats. Students interacted with others using emoticons or were able to express agreement even though there were no visual factors that showed their facial expressions or gestur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chatting scripts was that affective responses and interactive responses were present in high frequency, and increased intimacy in the classroom betwee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hatting as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Third, after performing online chatting, students started to incorporate ideas developed while chatting into their essays. They utilized the chatting activities to form background knowledge and ideas about the topic and applied them to their essays. Fourth, online chatting and writing essay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English. Both experimental groups, the online chatting and writing essay group and the online chatting group, increased their interests and motivations. However, learners of the online chatting and writing essay group slightly increased their confidence in English while the online chatting group displayed no difference in confidence between the pre and post-surveys. In conclusion, online chatting and writing essays positively influenced the students'writing and speaking skills, social presence, and affective attitudes. However chatting has the limitation of allowing imperfect sentences and grammatically incorrect expressions. Therefore, the use of a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 tool should be properly considered for the lesson. Further studies should explore online chatting and perform follow up tasks providing various task activities and feedback to develop different interactive skills. 현대사회는 IT산업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터넷이 일상 생활의 한 부분이 되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인터넷의 사용은 일과 학습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이고 유용한 도구이다. 외국어 학습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원어민과 대화를 할 수 있고, 목표 언어와 문화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학습교재의 한계점을 보안해 줄 수 있다. 특히, 한국과 같은 EFL 상황에서는 외국어를 접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적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보다 많은 연습의 기회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의 영어학습자들은 표현능력인 말하기와 쓰기에 취약점을 드러내는데 이는 이해 중심의 읽기와 듣기의 입시위주수업에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그 결과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여전히 영어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고 있다. 언어를 습득하는 것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컴퓨터 매개의사소통(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이 실제 면대면 대화를 하는 것과 비슷한 환경을 제공하고, 채팅언어의 특징이 구두언어와 문자언어 모두 가지고 있다면 영어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언어습득의 또 다른 기능인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문자채팅을 통해서 가능하다면, 온라인 채팅이 외국어 학습의 보충활동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채팅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표현능력 및 채팅에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형성과 친밀도을 높이는 사회적 실재감(Social presenc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온라인 채팅이 학습자의 정의적인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6주 동안 한국 여대생 9명을 3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집단, 채팅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을 구성하고, 통제집단을 제외한 두 집단만 일주일에 1회 채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집단은 채팅을 수행하고 쓰기 후행활동으로 채팅과 동일한 주제에 대해 에세이 쓰기를 하였다. 모든 집단은 채팅 후 원어민 교사의 교실수업에 참석하였다. 교실수업은 채팅이 실제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채팅과 동일한 주제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사전 및 사후 말하기, 쓰기 평가와 채팅내용과 에세이를 질적 분석하고,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정의적인 측면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표현 능력인 말하기와 쓰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영어말하기 능력에 관해 살펴볼 때,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집단과 채팅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 말하기 능력의 평균점수가 향상되었다. 또한 학습자의 말하기 평가를 질적 분석한 결과에서도 두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은 발화량이 증가하였고, 사전 평가 때보다 자신의 말을 논리적으로 구조화하여 표현하였다. 한편, 영어 쓰기측면에서도 사전 및 사후평가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채팅에 참여한 두 실험집단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쓰기평가의 자유작문을 질적 분석한 결과에서는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집단과 채팅집단의 학습자들의 온라인 채팅의 영향으로 산출량이 증가하였고, 쓰기후행활동으로 에세이를 수행한 경우 글을 논리적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온라인 채팅 활동을 수행한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언어전환 현상이나 구두언어와 문자언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현상이 관찰됨으로써, 온라인 채팅이 영어쓰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면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채팅 담화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을 보여주는 정의적 반응, 상호작용적 반응 그리고 결합적 반응이 나타났다. 온라인 상의 채팅은 실제 대화에서처럼 상대방의 표정이나 몸짓과 같은 시각적 단서가 없는데.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은 이모티콘의 사용이나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는 등의 행동을 보이며 대화를 유지시켜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채팅 스크립트를 분석한 결과 정의적 반응과 상호작용적 반응의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학습자들이 채팅 후 교실수업에서 통제 집단의 학습자들보다 높은 친밀도를 형성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실제 교실수업의 관찰에서 온라인 채팅을 수행한 두 집단의 학습자들은 소그룹 토론에서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 하고, 활발한 의견교환이 있었지만, 통제집단의 경우 토론 질문에 해당하는 대답만을 하여 토론이 다른 두 집단보다 일찍 끝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채팅이 학습자간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집단의 학습자들은 쓰기후행활동인 에세이 쓰기를 할 때, 온라인 채팅에서 자신들이 사용하였던 표현들을 어휘수준에서부터 문장수준에 이르기까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채팅이 영어쓰기활동의 사전 활동으로서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거나 브레인스토밍의 한 방법으로 서로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학습 활동으로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온라인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은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은 제외한 두 실험집단, 즉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집단과 채팅집단은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에서 영어말하기 및 쓰기 학습과 영어채팅에 대한 흥미와 동기가 실험 후 증가하였다. 사후 심화 설문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온라인 채팅이 실제 영어로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것 보다 덜 부담스럽다고 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김연진, 2007; Kim, 2002; Chang, 2003; Lee & Chang, 2001)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한국의 EFL상황에서 온라인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을 영어학습에 활용한 것으로 앞으로 온라인 채팅이 영어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인 언어학습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만 5세 유아를 위한 소집단 토의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장혜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a plan for running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effectively for five-year-old children and examine the changes it brought to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through action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a plan for running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effectively for five-year-old children? 2. How does running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effectively for five-year-old children change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Eighteen children and one teacher in Saemmul Class for five-year-olds at Himang Kindergarten, which is a public one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isting teaching plans for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and to present a direc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problems with the objective of developing a plan for running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effectively for five-year-old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November 7, 2017. Awareness of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status for five-year-old children and its problems was followed by development of solutions to the problems, the first action and evaluation,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plan, the second action and evaluation, and evaluation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action plans. The researcher personally ran the teaching activity, recorded it, and analyzed the transcripts of the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the outcome of the discussion activity, observations of the children, and the researcher’s journal. On this basis, the effective plan for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and the changes it brought to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were summarized.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rimary action plan, which involved experiencing a small group,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s of discussion and making a promise, selecting a theme and having a discussion, creating an environment for discussion activity, and fulfilling a teacher’s duty, was implemented to identify problems of the existing discussion activity and solve these problems in pursuit of a plan for running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effectively for five-year-old children. The secondary action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need to allow children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process, reconstruct a small group by reflecting children’s opinions, secure play time for children, run discussion activity connected with a living theme, and give continuous guidance for attitudes towar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activity and for communication methods. The secondary action plan focused specifically on dividing roles among the members of the small group to induce their participation, on reconstructing a small group by reflecting their opinions, on changing time for small-group discussion to secure play time for children, and on giving them continuous guidance for attitudes towar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activity and for communication methods. Second, as for the changes the plan for running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effectively for five-year-old children brought to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the children coul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nd concepts of discussion as discussion activity was repeated, feel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belonging through role division, and gradually become accustomed to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They also cooperated with one another within a group and used discussion to solve any problem in a classroom or make a decision. The teacher got a better understanding of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improved her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research and considerations of discussion activity, and ultimately improved her teaching efficacy. She got a new understanding of a teacher’s good roles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and became flexible in reflecting children’s opinions more positively in routines. On the basis of the changes the plan for running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brought to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the teaching plan for small-group discussion for five-year-old children, which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through the primary and secondary actions, was eff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연구를 통해 만 5세 유아들의 소집단 토의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운영 방안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를 위한 소집단 토의활동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2. 만 5세 유아를 위한 소집단 토의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에 따른 유아,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공립병설유치원인 희망유치원 만 5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만 5세 샘물반의 유아 18명과 교사 1명이다. 만 5세 유아들의 효과적인 소집단 토의활동 운영 방안을 수립하고자 기존의 소집단 토의활동의 교육계획을 점검하고 문제인식에 따른 방향 모색을 위한 문헌연구를 실시했다. 연구 기간은 2017년 8월 1일부터 2017년 11월 7일까지 이다.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소집단 토의활동의 현황 및 문제점 인식,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및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및 평가, 1,2차 실행방안에 대한 평가 순으로 실시되었다. 교육활동은 연구자가 직접 실시했으며 이를 녹화 후 소집단 토의활동 전사, 토의활동 결과물, 유아의 관찰기록, 연구자 저널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소집단 토의활동의 효과적인 방안과 이로 인한 유아 및 교사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의 소집단 토의활동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위해서 기존 토의활동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1차 실행 방안으로 소집단 경험하기, 토의의 기초적인 개념 이해 및 약속 정하기, 주제 선정하여 토의하기, 토의활동을 위한 환경 조성 및 교사의 역할 실천하기를 실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1차 실행과정에서 유아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 유아의 의견을 반영한 소집단 재구성, 유아의 놀이시간 보장 및 생활주제와 연계된 토의활동, 토의활동 참여 태도와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어 2차 실행을 실시했다. 구체적인 2차 실행 방안으로는 유아의 참여를 이끌기 위한 소집단 구성원들의 역할 분담 및 유아의 의견을 반영한 소집단 재구성, 유아의 놀이시간 보장을 위한 소집단 토의시간 변경, 유아의 토의활동 참여태도 및 의사소통 방법의 지속적인 지도 등에 초점을 맞추어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했다. 둘째, 만 5세 유아의 소집단 토의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변화를 살펴보면, 유아는 토의활동이 거듭되면서 토의 방법과 토의 개념에 대한 이해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으며 역할분담을 통해 책임감과 소속감을 느끼며 점점 소집단 토의활동에 익숙해지는 모습이었다. 또한 모둠 안에서 함께 협력하고 교실의 문제 상황이나 의사결정 시 토의를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교사는 소집단 토의활동에 대한 이해력 신장과 함께 토의활동에 대한 연구와 고찰을 통해 교수 방법이 향상됨으로써 교수 효능감이 신장되었다. 또한 소집단 토의활동에서 적절한 교사 역할 및 유아의 참여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일상에서 좀 더 유아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융통성과 유연한 사고를 가지게 되었다. 소집단 토의활동 운영 방안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변화는 1,2차 실행을 통해 계획하고 실행한 만 5세 유아를 위한 소집단 토의수업방안이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목회자의 생활습관과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장혜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목회자들의 생활습관과 스트레스 상태를 알아보고, 생활 습관 및 스트레스가 목회자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에 참가한 목회자들은 총 142명으로 평균 연령은 46세였다. 이 중 30대 24.6%, 40대 39.4%, 50대 21.8%, 60세 이상 12%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습관이 좋지 않은 경우는 90%였고, 운동부족 또는 운동 안함은 83%였다. 불규칙한 생활을 하고 있는 경우는 21%, 수면 시간이 부족한 경우는 40%였다. 또한, 휴식이나 취미 생활을 할 수 있는 자유시간이 부족하다고 답한 경우는 37%였다. 2. 스트레스 증상이 많은 편으로 나타난 사람은 26.5%였고, 스트레스를 받는 성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난 사람도 26.5%였으며, 일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은 경우는 23%, 가정에서의 스트레스가 많은 경우는 27%였다. 특히 가정에서의 스트레스로는 재정문제가 가장 영향을 많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3. 조사 대상자 전체의 평균 이상체중백분율(PIBW : percent ideal body weight)는 115%였으며, 연령별로는 50대가 120%로 가장 높았다. 전체 조사 대상자 중 과체중은 33%, 비만은 36%로 나타났다. 4. 건강 검진 결과, 전체 대상자 중 지방간은 47%, 간기능 이상은 21.8%, 고혈압은 16.6%, 고콜레스테롤혈증은 12%, 고중성지방혈증은 10.6%로 나타났다. 5. 식습관은 불규칙한 생활을 하고 스트레스 증상과 가정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나빴으며, 나쁜 식습관이 간기능에도 영향을 주었다. 운동은 불규칙한 생활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6. 비만도는 운동 부족과 매우 밀접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혈압,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총 콜레스테롤, 혈중 중성지방 등과의 상관분석에서도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7. AST, ALT, ALP(alkaline phosphatase)는 식습관, 운동, 가정에서의 스트레스와 뚜렷한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8. 지방간 군은 정상군에 비해 식습관이 유의적으로 나빴고, 운동도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목회자들의 질병 유형은 30년 전 신경통과 코병에서 성인병으로 바뀌고 있으며 그 유병율도 매우 높은 편이다. 그러나 목회자들은 이러한 자신의 건강 상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는 이들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영양교육, 운동처방, 올바른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과 그 실천 방법 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astors’ life style and stress as well as the effect of their life style and stress on their health condition. One hundred forty two pastors as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average age was 46 years old. The age distribution was 24.6%, 39.4%, 21.8%, and 12% in 30, 40, 50, and over 60 years old,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follows: 1. Subjects with bad eating habit were 90%, and either insufficient or no exercise group was 83%. Subjects with irregular life style and insufficient sleep were 21% and 40%, respectively. Subjects with insufficient free time were 37%. 2. Subjects with a variety of symptoms from stress were 26.5%. 23% of the subjects corresponded that they had much stress from job. However, 27% of subjects responded that stress from home was much, and it was from the financial problem. 3. Mean PIBW(percent ideal body weight) of the subjects was 115%, and the PIBW showed the highest (120%) in 50-59 aged subjects. 33% of the subjects revealed overweight and 36% obesity. 4. The results of health examination showed that 47% of the subjects had fatty liver, 21.8% hepatic malfunction, 16.6% hypertension, 12% hypercholesterolemia, and 10.6% hypertriglyceridemia. 5. Eating habi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irregular life style, stress symptoms, and stress from home. Also, bad eating habit affected to hepatic function. The lack of exercise was due to irregular life style. 6. PIBW ha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ack of exercises.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blood pressure, AST, ALT, total cholesterol, and TG as well. 7. AST, ALT, and ALP had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eating habit, exercise and stress. 8. The subjects with fatty liver had a bad eating habit and less exercise than the subjects had no fatty liver. In conclusion, pastors’ disease pattern has been changing from neuralgia and nose disease to adult disease along with high incidence rate. However, they have not had cope with this fact actively.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suitable education programs for enhancing pastors’ health conditions such as nutrition and exercise education, and proper method to control stress etc as well as further studies.

      • 고등학생들 간 국제이해에 대한 인식차이 조사 연구 : 외국어고등학교 및 국제고등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장혜은 성신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적 전문 분야로 진출할 학생들을 조기에 선발하여 장차 국제전문가로 활동할 인력 육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외국어고등학교 및 국제고등학교의 학생들과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국제이해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국제이해와 관련된 교육과 각종 교육프로그램의 개선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외국어고등학교 및 국제고등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국제이해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고, 학생들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서도 그 정도를 살펴보았다. 서울, 경기 지역의 외국어고등학교 및 국제고등학교 각 2곳의 학생 197명과 일반계고등학교 4곳의 학생 213명, 총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어고등학교 및 국제고등학교 학생들과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국제이해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비교한 결과, 전 영역에서 외국어고등학교 및 국제고등학교 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어고등학교 및 국제고등학교 학생들과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국제이해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서로 달랐다. 외국어고등학교 및 국제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대학입학 시 희망학과, 사회점수, 성적,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국제이해에 대한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대학입학 시 국제계열을 희망하는 학생의 국제이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반면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모든 독립변수(성별, 외국 경험의 유무, 성적, 사회점수, 부모의 교육수준, 대학입학 시 희망학과)가 국제이해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국제이해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국에 다녀온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성적 및 사회점수가 높을수록,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입학 시 국제계열을 선택한 학생이 대체로 국제이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학생들의 개인적인 특성이 국제이해에 대한 인식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Docosahexaenoic acid induces M2 macrophage polarization through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activation

        장혜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mpaired resolution of acute inflammation leads to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asthma and arthritis. For complete resolution of inflammation, clearance of apoptotic neutrophils by macrophage phagocytosis, called efferocytosis, is critical. During resolution of inflammation, macrophages, especially alternatively activated or M2, play a key role in efferocytosis. In the process of macrophage differentiation,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activation promotes M2 polarization. In the present study, I found that docosahexaenoic acid (DHA) polarized murine macrophage-like RAW264.7 cells toward M2 by upregulating PPARγ expression. DHA-induced M2 activation resulted in enhancement of efferocytosis. However, knockdown of PPARγ abolished the effect of DHA on M2 polarization and efferocytosis.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DHA, suggesting that DHA alters the macrophage phenotype in favor of M2 while suppressing M1 polarization. Moreover, addition of DHA restored the efferocytic ability of LPS-treated RAW264.7 cells, suggesting that M2 macrophages are more effective for engulfing apoptotic cells than M1. In conclusion, DHA can promote resolution of inflammation by facilitating efferocytosis driven by M2 macrophage polar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