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감정어휘와 스트레스의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장현희 대구가톨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est play activities on children 's emotional vocabulary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stress. The study design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o analyze the research papers related to forest play and present research direction and basic data. In the second stage, we examined the effects of forest play activities on children's emotional vocabulary. In the third stage,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st play activities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at the same time, the salivary cortisol level wa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change of the stress. A total of 174 papers were set as research subjects among forest play papers for children from 2009 to 2018. Looking at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year, the total number of papers related to children are 1 in 2009, 3 in 2010, 8 in 2011, 7 in 2012, 29 in 2013, 22 in 2014, 26 in 2015, 26 in 2016, 22 in 2017, 24 in 2018. The thesis for only children were published 1 in 2009, 1 in 2010, 4 in 2011, 13 in 2012, 19 in 2013, 13 in 2014, 19 in 2015, 18 in 2016, 13 in 2017, 19 in 2018. Looking at the research method of forest play papers for children, the total number of experimental papers was 55.17% for 96 papers, 9.77% for observation papers, 17.82% for research papers, 5.75% for case studies, 6.32% for literature reviews and 5.17% for other papers. Looking at trends by target age, in the case of the papers which studied on the single age, the number of papers researching on age 2 was 4 articles (3.51%), 3 articles (2.63%) for the 3 years old, 11 articles (9.65%) for the 4 years old and 41 articles (35.96%) for the 5 years old. A total of 46 articles (40.36%) consisted of children aged between 2 and 5 years. A total of 9 articles (7.89%) were published for infants and children with infancy. The following is a review of the research trends of 114 papers which classified children development into six stages of physic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emotional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and self concept development. The number of theses that studied emotional development accounted for 35 articles (30.7%), social development was 29 articles (25.44%), cognitive development was 19 articles (16.67%), self concept development was 16 articles (14.04%), physical development was 7 articles (6.14%), language development was 4 articles (3.51%) and other development was 4 articles (3.51%).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it was necessary to study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forest play. The purpose of second stag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rest play activities on children 's emotional vocabulary change. Forest play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498 children aged 4 to 5 years old who visited the environmental training in G city for forest play activity for 1 hour. The design of the forest play activity program was implemented by recon figuring one, two, thre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ertification No. 2014-119), an environmental program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first step forest observation, the second step forest sounding, the third step water ecology observation, the fourth step natural observation, the fifth step wooden piece puzzle making and the sixth step were put a pine cone at the target. As a result, positive vocabulary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0.95 pre forest play to 1.15 post forest play (p=.003) and negative vocabular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27 to 0.41 (p=.000). The results of emotional vocabulary change according to sex, positive vocabulary of male children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0.96 to 1.36 (p=.000), in the case of negative vocabulary, it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42 to 0.55 (p=.000). In the case of female children, negative vocabular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12 to 0.26 (p=.000), but the positive vocabulary increase was not significant (p=.851). As a result of age, for a 4-year-old children, positive vocabular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forest play (p=.471), and negative vocabular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04 pre forest play to 0.41 post forest play (p=.000). For a 5-year-old children, positive vocabular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0.96 to 1.23 (p=.001) and negative vocabulary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41 to 0.41 (p=.000).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lay activities using various natural objects in the forest were directly related to nature, resulting in positive vocabulary increase and negative vocabulary decrease. The purpose of third stag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est play activities on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the stress and emotional vocabulary of children. A total of 36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kindergarten aged 4~5 years old, 17 in the control group and 19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est play activities consisted of 6 stag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kindergarten students, and the program was carried out at G City Environmental Training Center.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emotional vocabulary evaluation site was self - measured and the salivary cortisol was analyzed to evaluate changes in the body 's stress hormones. As a result, in the control group, the positive vocabular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0.14 to 1.53 (p=.003), but the negative vocabulary decrease was not significant (p=.059).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ositive voca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0.47 pre forest play to 2.84 post forest play (p=.000). Negative vocabular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94 to 0.00 before forest play (p=.000). In the analysis of salivary cortisol, the change in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 (p=.667) in the control group, from 0.179 μg·d-1 to 0.161 μg·dl–1.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0.202 μg·d-1 pre forest play to 0.161 μg·d-1 post forest play (p=.049).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est play activities may be helpful in improving the vocabulary ability and stress reduction of children because of the positive vocabulary increase, negative vocabulary decrease and saliva cortisol concentration decrease.

      • 스케일링, 임플란트, 틀니의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인식과 관련 요인

        장현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19년 1월 2일부터 2019년 2월 28일까지 대구지역 5개 치과병⋅의원에 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만 19세 이상 진료 환자 303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본인이 동의한 경우 참여 동의서를 얻어 진행하였으며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3부를 제외한 30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 대상자 300명 중 치과 건강보험 급여화를 인식하고 있는 대상자는 예방적 스케일링 87.7%, 임플란트 70%, 틀니 59%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케일링 급여화 인식 요인은 연령, 결혼 여부, 최종 학력, 직업, 월 가구 소득, 잇솔질 횟수, 홍보 교육 경험이었으며,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최종 학력, 잇솔질, 홍보 교육 경험이 관련 요인이었다. 예방적 스케일링 급여화 인식에 대한 교차비는 최종 학력이 중졸인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고졸인 경우 7.50(95% CI=2.09-26.86), 대학교 재학⋅졸업이상인 경우 9.78(95% CI=2.18-43.97)이었고, 잇솔질 횟수를 1-2회 인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3-4회 이상인 경우 3.24(95% CI=1.36-7.71)이었다. 그리고, 예방적 스케일링 급여화에 대한 홍보 교육 경험이 없는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홍보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4.33(95% CI=1.60-11.72)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플란트 급여화 인식 요인은 결혼 여부, 최종 학력, 직업, 월 가구 소득, 음주, 홍보 교육 경험이었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연령, 홍보 교육 경험이 관련 요인이었다. 임플란트 급여화 인식에 대한 교차비는 연령을 20대를 기준으로 할 때 30대인 경우 2.71(95% CI=1.02-7.19), 40대인 경우 2.45 (95%CI=1.05-5.72) 50대 이상인 경우 5.19(CI=1.95-13.79), 60대 이상인 경우 14.61(CI=3.65-58.50)이었고, 임플란트 급여화에 대한 홍보 교육 경험이 없는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홍보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12.29(95% CI=6.32-23.90)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틀니 급여화 인식 요인은 연령, 결혼 여부, 최종 학력, 홍보 교육 경험이며,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연령과 홍보 교육 경험이 관련 요인이었다. 연령은 20대를 기준으로 할 때 40대인 경우 2.34(95% CI=1.07-5.10), 50대인 경우 4.31(95% CI=1.86-9.99), 60대 이상인 경우 20.88(95% CI=6.22-70.03)이었고, 홍보 교육 경험이 없는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홍보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3.81(95% CI=2.07-6.70)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예방적 스케일링, 임플란트, 틀니의 치과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인식는 높은 편이었으나 세부 항목에서의 인식은 낮았으며,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예방적 스케일링, 임플란트, 틀니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에 한해 분석한 결론인 만큼 보다 신뢰성 있는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추후 대표성을 갖는 전국단위 조사 및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상세항목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및 교육을 통해 치과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인식을 높여 향후 국민 구강건강의 개선과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강 관련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ntal health insurance benefit by grasping the cognition level and related factors of preventive teeth scaling, implant, and dentures, which were the non-insured dental services.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ognition of dental health insurance benefits, this survey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oral health care, dental health insurance, such as prophylactic teeth scaling, implant, and denture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s and paths has been conducted. The cognition of health insurance benefits of preventive teeth scaling, implants, and dentures was highly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currently undergoing dental treatment, but the cognition of detailed information was low.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Public Health in June 2019 Among the 300 participants, the perceived level of preventive teeth scaling was 87.7 percent, the perceived level of implants was 70 percent, and the perceived level of dentures was 59 percent about dental health insurance benefits. The perceived level of health insurance benefits of preventive teeth scaling had a significantly meaningful difference in age (p<0.001), marital status (p=0.027), final education (p<0.001), occupation (p=0.025), monthly household income( p=0.006), number of brushing (p=0.001), and experience in public relations education (p=0.012). The odds ratio for the cognition of preventive scaling benefits was 7.50 (95% CI=2.09-26.86) for a high school graduate and 9.78 (95% CI=2.18-43.97) for over a college student or graduate. When based on a group of toothbrushing once or twice a day, the odds ratio for the cognition of a group of brushing over three times a day was 3.24 (95% CI=1.36-7.71). In addition, when based on a group of having a lack of promotional training experience in preventive teeth scaling, the odds ratio for the cognition of a group of having promotional training experiences was 4.33 (95% CI=1.60-11.72). In the case of cognition of the health insurance benefits of implants, age(p<0.001), marital status (p=0.023), final education (p=0.001),occupation (p=0.002) monthly household income (p=0.001), drinking (p=0.009), and experience in public relations education (p<0.001) were significantly meaningful. As the results of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ge and the experience in public relations education were the related factors. When based on a group in their 20s, The odds ratio for the cognition of a group in their 30s was 2.71 (95% CI = 1.02-7.19). And each ratio was 2.45 (95% CI=1.05-5.72) for those in their 40s, 5.19(95% CI= 1.95-13.79) for those in their 50s and 14.61(95% CI= 3.65-58.50) for those in their 60s and older. In addition, when based on a group of having a lack of promotional training experience in dental health insurance for implants, the odds ratio for the cognition of a group of having promotional training experiences was 12.29 (95% CI= 6.32-23.90). In the case of cognition of the health insurance benefits of dentures, marital status (p<0.001), final education (p<0.001), experience in public relation education (p<0.001) where significantly meaningful. As the results of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ge and the experience in public relations education were the related factors. When based on a group in their 20s, The odds ratio for the cognition of a group in their 40s was 2.34(95% CI=1.07-5.10). And each ratio was 4.31 (95% CI=1.86-9.99) for those in their 50s and 20.88 (95% CI=6.22-70.03) for those in their 60s and older. In addition, when based on a group of having a lack of promotional training experience in dental health insurance for dentures, the odds ratio for the cognition of a group of having promotional training experiences was 3.81 (95% CI=2.07-6.70). The experience of public relations education among the factors for the cognition of dental health insurance benefits for the preventive teeth scaling, implants, and dentures, public relations education was a common related factor, which means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ublicity and education. Conclusionally, the perceived level of dental health insurance benefits was high but the cognition of detailed information was low.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gnition we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according to scaling, implants, and dentures. The oral health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to be able to make an effect and improvement of dental health benefits by raising the perceived level of dental health benefit through active education and promotion of detailed items.

      • 음란물 매체에 노출된 고등학교 청소년의 성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 생태체계적 관점

        장현희 울산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청소년이라면 90% 이상이 스마트폰을 갖고 있어, 어느 시기보다 디지털 문화의 영향력을 받고 있는 시점이다. 무차별적 정보의 홍수 중에 성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 특히 음란물 매체에 원하든 원치 않든 노출된 상황이다. 이에 음란물에 노출된 고등학생들의 성행동과 음란물 노출 현상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하고, 그들의 생태체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최근에 이루어지는 성교육이나 성상담 등에 어떤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담론과 패러다임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하게 되었다. 특히 고등학교 시기는 청소년의 성적 성숙과 발달이 신체적으로는 완성되고, 이성교제도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들의 성행동 수준, 음란물 매체물의 접근에 따른 성의식, 그리고 학생을 둘러싼 생태체계들의 현상을 분석하여, 과거의 청소년기의 성 또는 음란물 관련 연구에서 제기한 결과들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 수 있다. 이에 앞으로 성상담 및 성교육을 담당하는 부모나, 교사, 상담가들이 음란물 매체에 노출된 성에 대한 객관적 자료들을 제공할 목적을 갖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와 연구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은 U시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남·여 20명이었다. 인터뷰는 2018년 10월부터 2개월 과정으로, 학생당 1시간 정도 진행되었다. 인터뷰는 학교 상담사의 도움을 받아 wee 클래스에서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과정은 크게 3부로 나누어 실행하였다. 제1부와 2부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고등학생의 음란물 노출 경험을 분석하고, 음란물 매체에 노출된 고등학생의 성행동을 분석하였다. 제3부는 음란물 매체에 노출된 고등학교 청소년의 생태체계 관점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청소년의 음란물 매체 노출 경험은 2개의 범주와 6개의 주제와 23개 주제군으로 나타났으며 2개의 의미 있는 범주는 ‘성욕구 해결 창구’, ‘성지식과 성경험에 만족함’으로 나타났다. 6개의 주제들은 ‘비의도적인 접근’, ‘의도적인 반복 접근’, ‘자위를 위한 도구’, ‘당당해진 성행동’, ‘성문제 해결은 자신’, ‘성교육의 필요성’ 등으로 나타났다. 즉 음란물 매체 접촉이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중학교까지 접촉을 하면서, 이성교제 시에 오히려 도움이 되었다거나, 자위를 위한 도구로 남학생들은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저학년에 비의도적으로 접촉된 학생의 경우는 어렸을 적부터 음란물과 관련한 성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둘째, 음란물 매체에 노출된 청소년의 성행동은 3개의 범주와 6개의 주제와 20개의 의미를 가진 주제군으로 나타났다. 3개의 의미 있는 범주는 ‘달라지는 성행동’, ‘성적 자기결정권’, ‘허술하지만 있어야 하는’으로 나타났다. 6개의 주제들은 ‘금지에서 허용으로’, ‘남자니까 여자라서’, ‘허락은 구하는 것’, ‘배려 또는 무책임한 행동’, ‘문제가 있지만 문제는 없는’, ‘언제나 시작은 가정’ 등으로 나타났다. 즉 이성교제 시에 성적 접촉을 하지 않은 학생은 10% 정도이며, 대다수 성 접촉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성적 자기결정권이나, 이성교제 시, 실제 성관계에서도, 성 고정관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그럼 에도 어렸을 적부터 가정에서 성과 관련한 규제나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었다. 셋째, 음란물 매체에 노출된 고등학교 청소년의 생태체계에서 연계성 있는 변인으로는 유기체의 ‘자기조절력’이 공통적으로 중요함을 제시했다. 미시체계에서는 친구와 음란물 매체, ‘노출 시기와 장소’, ‘처음 본 음란 매체‘, 가족 내의 ‘부부관계’, 학교 내의 ‘친구와의 의사소통’ 등의 중요성을 지지했다. 중간체계에서는 ‘성행동에 따른 부모의 조치’ 외체계에서는 ‘성행동이 자유로운 장소’, ‘음란물 접촉 경로’, 거시체계의 ‘음란물 규제와 단속’ 등에 대하여 체계의 요인들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중학교 등 연령의 다양화를 통해 음란물 매체에 노출된 청소년의 성행동에 대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음란물 매체의 유형과 심각성 정도에 따라 그들의 성행동이 어떠한지를 알 수 있는 선별 척도의 보완이 필요함을 인식하였으며 추후 척도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음란물 매체에 노출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상담 요구도를 조사하여 맞춤형 성상담과 음란물 컨텐츠 경험 수위, 과도한 노출로 인한 트라우마 치유 상담도 필요함을 제언한다. 이를 위해 부모, 학교 교사, 성 전문가, 상담가들이 급변하는 청소년의 음란물 매체의 노출에 대한 공론화와 책임지는 성과 건강한 성문화를 위한 정보화 교육과 성상담이 필요한 시기임을 제언한다.

      • 주택재건축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현희 강남대학교 부동산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onstruction policy, in a word, refers to the policy to destroy antiquated or malfunctioning houses (which include ordinary houses, flats, and apartments). To be more precise, reconstruction policy takes place in such a way that the owner of an existing house independently forms a local housing cooperative and makes a partnership with a registered contractor in order to demolish the house and build a new one. Thus, reconstruction policy aims to provide new houses,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facilitate the investment in real estate. The apartment buildings, which had begun to be supplied since the late 1960s, became antiquated in terms of function and facilities in the course of subsequent 20 years, generating serious inconveniences to the residents. For this reason, reconstruction policy was implemented during the mid 1980s and stimulated public desire for replacing old houses with new ones, which, in turn, facilitated house reconstructions in urban areas. In the process, the government instituted the regulations regarding the standard of collective housing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housing cooperative, which were needed to conduct reconstruction on the basis of the urban redevelopment law and the law on the development of housing construction. These legal measures served to establish a foothold on which the owners of antiquated or malfunctioning houses might improve their residential condition with recourse to reconstruction. Afterwards, the residential atmosphere preservation law established in July, 2002, came to replace and abolish the urban redevelopment law. This new law was intended to secure the public interests of housing reconstruction by enlarging the scope of the policy and making the process transparent. However, the rise of the market price of the apartments in the capital area, which was actualized after the year 2002, made more stringent the regulations of housing reconstruction: as a result, what is called the reconstruction facilitation law operated to rather suppress the activities for reconstruction. Real estate recession operated as a determining factor to the regime change in 2008, and the new government is expected to spur reconstruction policy as a way to stimulate the national economy. The present housing reconstruction policy as a way of boosting the national economy has other positive effects such as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housing supply, the efficient use of land, and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s. On the other hand, however, some members of housing cooperatives have set about indiscriminate reconstruction ventures for personal profits, which prompted speculations in real estate. Furthermore, the over-construction of urban intra facilities and the destruction of local environment have come out as undesirable side effects of reconstruction. Recently, the government carried out the deregulation of housing reconstruction for two times: the deregulatory measures are called the August 21 and the November 3 measure, respectively. The ethos of the two deregulation policies lies in the slogan "the faster, higher, and more construction of apartments." The temporary prohibition of the transference of the membership in housing cooperative was also dissolved. In addition, the deregulation abolished the requirement of building compact flat and apartments for rent. However, it is undeniable that such a sweeping deregulation may regenerate the profits of reconstruction under a range of conditions. Moreover, problems are prone to arise in the processes of instituting and facilitating the reconstruction policy, and in the compatibility of housing reconstruc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desired for the government to seek changes in the reconstruction policy which fundamentally aims to improve housing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by demolishing the old and bad housing. The reconstruction policy from now on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harmony with environment, rather than focusing on profitability and the supply of housing. Moreover, although reconstruction differs from redevelopment in terms of the goal, what most affects the reconstruction seems to be housing market conditions. So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recession and economic downturn across the society make adverse effects on the reconstruction policy even when the policy itself is well under progress. Lastly, it is needed to employ the measure to control the market condition of housing reconstruction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housing market.

      • 어휘 교육을 위한 초등 국어사전의 편찬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장현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 국어사전에 대한 비판적 연구로 현용 초등 국어사전이 어휘 교재로서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파악하고, 초등학생의 어휘 교육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국어사전의 편찬 및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를 진행하였다.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내용 및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가 가진 한계점을 도출하고 이를 보완 및 해결하는 방향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설정하였다.2장에서는 어휘력과 어휘 교육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이를 통해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휘 교재로서 국어사전이 갖는 역할을 제시하였다. 어휘력이란 단지 어휘에 담긴 뜻을 이해하는 수동적인 능력이 아니라, 어휘의 정확하고 적절한 구사능력까지 포함하는 능동적이고도 총체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어사전은 어휘력의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의 성장을 모두 도모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 및 편찬되어 이해 어휘 뿐 아니라 표현 어휘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러한 어휘 교육의 관점에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어휘 교육의 변화 내용을 고찰하여 초등 국어사전의 편찬에 반영되어야 할 항목으로 사용자 영역의 변화, 품사 정보의 수록, 뜻풀이에 있어서 언어사전으로서의 정체성 확립, ‘일러두기’ 항목의 상세화, ‘한글 맞춤법 규정’과 ‘표준 발음법’에 의거한 표기와 발음 표시 등을 들 수 있었다.3장에서는 현재 출간되어 있는 초등 국어사전 10종을 선별하여 현용 초등 국어사전의 전반적인 편찬 실태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연구 대상으로 「연세초등국어사전(두산동아, 2002)」,「으뜸국어사전(민중서림, 2007),「푸르넷 초등 국어사전(금성출판사, 2005), 「초등학생학습국어사전(교학사, 1997) 의 4종의 사전을 선정하여 사전 편찬의 원리를 바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초등 국어사전의 사용자 집단인 초등학교 4학년생을 중심으로 1, 2차에 걸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국어사전의 사용 실태 및 사전 편찬과 관련한 구체적인 사전 사용자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초등 국어사전의 편찬과 활용에 대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첫째, 표제어 선정 기준의 객관화를 위하여 초등 국어사전은 초등학교 전 학년, 전 과목에 수록된 모든 어휘를 포함한 말뭉치로부터 추출된 낱말 빈도를 근거로 표제어를 선정해야 한다. 또한 조사, 어미, 접사의 문법형태소의 경우는 초등학생의 학습 능력과 교육적인 요구를 반영하여 객관적 기준에 의해 표제어로 선정하고 이형태에 대해서 일관성 있게 수록하여야 한다. 표제어 배열의 합리적 기준 설정을 위해서 ‘한글 맞춤법’을 기준으로 자모의 배열 순서를 세우고, 동형어의 배열은 사용 빈도를 근거로 많이 쓰이는 표제어가 먼저 오도록 배열해야 한다. 표제어의 표기는 ‘한글 맞춤법 규정’을 기본으로 하되 교과서의 표기를 우선으로 따라야 한다. 그리고 이상의 내용은 ‘일러두기’를 통해 명확하고 알기 쉽게 제공되어야 한다.둘째, 백과사전적 정보를 나열하는 데에 지면을 할애하는 뜻풀이를 피하고, 짧고 명료한 뜻풀이와 함께 삽화를 실어 대상의 의미를 명확히 파악하는 데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셋째, 빈약하고 부적절한 용례 정보를 보완하기 위하여 고유명사, 동물명, 식물명을 제외한 모든 표제어에 제공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용례 역시 말뭉치를 통해 선별하여 출처가 분명하고 교육적인 문장으로 제시해야 한다.넷째, 발음 표시 기준의 불분명 및 일관성 결여를 해결하기 위해 발음 정보는 ‘표준어 규정’의 발음법을 따르고 있음을 명시하며, 발음 기호를 통해 명확히 발음기호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표기와 발음이 다른 표제어, 체언과 조사의 결합 시에 발음이 달라지는 체언, 활용 시에 발음이 달라지는 용언에 대한 발음 정보 표기는 각각 음운학적 측면에서 체계적인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다섯째, 부정확하고 부적절한 문법 정보는 개정 교육과정에 품사에 대한 기초 개념이 새롭게 포함된 것을 반영하되, 초등학생의 학습 수준에 적합한 문법적 특징과 역할을 선별하여 격틀과 괄호를 통해 적절히 제시함으로써 개선해야 한다.사전 활용의 측면에서는 첫째, 초등 국어사전의 활용을 유도할 것과 ‘일러두기’의 내용을 잘 학습하고 사전 활용의 범위를 넓힐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사전의 뜻풀이 외에 용례, 문형, 발음, 한자, 유의어 및 반의어 정보들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이와 같이 이 연구는 현용 초등 국어사전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어휘 교육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전 사용자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초등학생의 어휘 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국어사전의 편찬과 활용에 관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a critical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for elementary students, is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current ones as vocabulary reference materials and to offer concrete proposals for the compilation and application of dictionaries which are practically helpful to elementary-level vocabulary education.To this end,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The Chapter 1, which is an introduction, presents the necessity, the purpose, the contents, and the method of the research. It also set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owards addressing the limitations that previous researches had and complementing and coming up with solutions to them.The Chapter 2 redefines vocabulary and vocabulary education, and through this, it presents the role of dictionaries as references for enhancing vocabulary. Vocabulary not only means the passive ability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 word, but also includes the active and comprehensive ability to use them in an accurate and adequate way. Accordingly, Korean language dictionary should be researched and compiled in a way that promot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vocabulary and play a role to expand productive vocabulary as well as receptive vocabulary. And examining revisions of the 2007 curriculums in terms of vocabulary education draw the conclusion that several requisites such as user-variety revision, part of speechinformation, identity establishment in definitions as a language dictionary, detailed explanatory notes, transcription based on the 'The Proposal for Unified Korean Orthography' and 'Standard Pronunciation Method' should be included in the compilation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dictionaries.The Chapter 3 analyzed the overall compilation trend and features of 10 elementary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selected among those currently available on the market are analyzed. And among them, 「Yonsei Elementary Korean Language Dictionary(Dusandonga, 2002)」, 「Euhtum Korean Language Dictionary(Minjungseorim, 2007)」, 「Purnet Elementary Korean Language Dictionary (Kumsung Publishing Co., 2005)」, and 「Korean Language Dictiona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Kyohaksa, 1997)」a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dictionary compilation. In addition to that, two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user group -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y use and specific needs. Based on the research and survey results, plans for compilation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dictionary have been suggested as follows:First, the entries for elementary Korean language dictionary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 frequency in use of all vocabulary including corpuses in the all grade and subject textbooks. Also, the morphemes of prepositions, words' endings, and affix should be selected as vocabulary entries based on the objective standards, and allomorph should be collected with consistency. A syllabic order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Proposal for Unified Korean Orthography' to set a reasonable standard, and as for the homographic order, the frequency in use of a word should be a priority. The transcription should reston 'The Proposal for Unified Korean Orthography', but transcription in the textbooks should remain the first to consider. And any additional contents should be provided clearly and simply through explanatory notes.Second, listing encyclopedic information should be avoided, and comprehending the meaning of the entries clearly through Short and clear definition with illustrations should be stressed.Third, in order to complement weak and inadequate information on usage, usages also should be selected from corpus and presented with educational sentences from authentic source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y are provided for all vocabulary entries except for proper nouns, zoological names, or botanical namesForth, it should be stated that pronunciation information follows the pronunciation rules of 'The Proposal for Unified Korean Orthography' to resolve the issues regarding the obscurity of pronunciation transcription and the lack of inconsistency through phonetic transcriptions. In addition, the systematic standards for the pronunciation transcriptions of the vocabulary entries with different transcription and pronunciation, the substantives which change when combined with prepositions, declinable words which change pronunciation in conjugated forms should be set. Fifth, inaccurate and inadequate information on grammar should reflect the inclusion of the rudimentary concepts of part of speech to the revised curriculum, but improved by providing selecte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and roles with parentheses. As for the application of dictionaries, the followings should be instructed: Firstly, promoting the use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dictionary, learning the explanatory notes, expanding the application range of dictionaries, using the examples, sentence patterns, pronunciations, Chinese characters, synonyms and antonyms as well as definitions effectively.As stated abov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elementary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in terms of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practically helpful directions about the application and compilation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by reflecting the survey results of dictionary users.

      • 정서인식 결함이 경계선 성격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장현희 성신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와 이들이 가지는 정서인식의 결함이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계선 성격 척도(PAI-BOR)의 점수에 근거하여 경계선 성격 성향군(n=25)과 정상통제군(n=24)을 선정하였다. 대인관계 문제는 한국판 대인관계 문제 검사 단축형(KIIP-SC)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정서인식 과제는 화면에 나타나는 얼굴 표정을 보고 다섯 가지 정서 단어(기쁨, 슬픔, 분노. 공포, 중립)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연구결과, 경계선 성격 성향군이 정상통제군보다 대인관계 문제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고 정서인식 과제에서는 정상통제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전체 반응 정확률을 보였다. 정서 유형에 따른 정확률의 집단 차를 분석한 결과, 경계선 성격 성향군이 정상통제군보다 기쁨, 슬픔, 분노에서 유의하게 낮은 정확률을 보였다. 또한 정서인식 과제의 전체 정확률과 대인관계 문제의 과관여 간의 유의한 부적 상관이 관찰되었다. 반면 경계선 성격 성향군의 정서인식이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인식이 대인관계 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경계선 성격 성향군이 대인관계 및 정서인식 결함을 가지고 있고 이 두 결함이 서로 관련되어 있으나, 정서인식 결함이 경계선 성격 성향군의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변인이 아닐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and deficits of emotional recogni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Based on the scores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 Borderline Features Scale (PAI-BOR), control (n=24) and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n=25) groups were selec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 (KIIP-SC) was used to examine interpersonal problems. The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was assessed using an emotional recognition task, in which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choose one word among five emotional words (happy, sadness, anger, fear, neutral) that was appropriate for the presented facial expressi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control group in KIIP-SC, which indicate that individual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have more interpersonal problems than normal controls. In terms of the emotional recognition task,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total accuracy rates than did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in happy, sadness and anger emotional conditions than control group. For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group, the performance of the emotional recognition task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problems, but deficits of emotional recognitions did not seem to mediate the interpersonal problems in this group.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college student with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have interpersonal problems and deficits of emotional recognition. But emotional recognition deficits are not the only variable affecting interpersonal problems in individual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 古文書를 통해 본 朝鮮後期 京畿地域 兩班 家門 硏究 : 龍仁 海州吳氏 楸灘公派를 중심으로

        장현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요지 본 논문은 古文書를 이용하여 朝鮮後期 京畿地域의 兩班 家門의 生活相과 存在 樣態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다. 古文書는 일상 생활의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生活史 연구에 적합한 자료이다. 생활사에는 대체로 개인의 일상 및 가정생활, 친족생활, 사회생활, 경제생활 등이 공통적으로 포함되고 있다. 그러나 이 분야의 연구는 고문서라는 자료의 한계, 즉 대부분 草書로 이루어진 자료 해독의 어려움과 함께 고문서 자료의 다양성과 산발성으로 인해 일관된 사료 해석의 어려움이 있어 자료 형태에 따라 개별적 연구 소재 중심으로 이루어져온 경향이 있다. 分財記 연구자는 분재기 중심의 연구를, 訴訟 연구자는 소송 중심의 연구를, 戶籍 연구자는 호적 중심의 연구를, 賣買文記 연구자는 매매문기 중심의 연구 등의 개별적 연구 경향이 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종합적인 생활사 연구를 목표로 龍仁 海州吳氏 楸灘公派 가문의 家藏 古文書 자료를 토대로 이 가문의 사회생활, 친족생활, 경제생활 등의 구명을 통해 조선후기 경기지역 양반 가문의 종합적인 생활상을 구현함을 목표로 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은 龍仁 海州吳氏 楸灘家門의 종합적인 생활상의 구명을 통해 京畿士族의 存在 樣態의 일환을 밝히고자 한다. 이 가문의 중심을 이루는 楸灘公派 宗孫은 서울에 主居하며 廣州, 竹山, 陽城, 龍仁 등의 近畿地域에 門中의 세거지를 두고, 문중 활동을 통해 서울과 근기지역을 오가며 종손의 영향력을 행사하며 族勢를 유지해왔다. 이러한 경기 사족의 존재 양태는 先祖의 祠堂과 遺物을 지키면서 세거지를 유지하며 宗孫을 중심으로 族的 결속을 강화해 가던 嶺南地域 士族과 대조를 이룬다. 龍仁 海州吳氏 楸灘公派 家門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海州吳氏는 高麗 때 軍器監을 지낸 吳仁裕를 始祖로 하는 가문이다. 고려말경 海州에서 竹山, 廣州, 陽城 등지로 이거해와 近畿地域을 중심으로 새로운 파를 형성하며 세거하여 왔다. 그러나 宗孫을 비롯한 현달한 인물들은 주로 서울에 살고 있었다. 이미 조선 중기 吳希文대 이전부터 해주오씨 추탄공파 종손들은 서울에 살고 있었다. 서울에 주거를 두면서도 경기지역의 세거지인 廣州나 竹山 등지에도 선영과 전답을 마련하여 서울과 경지지역을 오가며 존재해 왔다. 해주오씨와 용인과의 인연은 吳希文이 용인의 名閥인 延安李氏와 혼인을 하면서 이루어졌다. 男歸女家婚 및 朝鮮前期의 均分相續의 풍습에 따라 용인에 새로운 터전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 吳希文의 아들 吳允謙대 이후부터 용인에 先塋을 마련하고 田畓과 家舍를 둠으로써 용인에 새로운 세거지를 영위하게 되었다. 용인 해주오씨가 중앙에까지 명성을 알리게 된 것은 楸灘公派의 派祖인 吳允謙대 이후부터이다. 오윤겸 이전에 그의 아버지 오희문 및 선조대의 名族들과의 혼인으로 인해 가문의 사회적 지위를 획득할 수 있었고, 이는 오윤겸대에 와서 그의 가문이 흥기하는 바탕이 되었다. 오윤겸은 領議政에까지 오른 인물로, 그의 정치적 부상에는 그의 外家, 즉 당시 李廷龜․李貴로 대표되는 延安李氏와의 戚分 관계가 많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오윤겸은 당시 사림의 주도 문하인 成渾의 門人으로서 학계에서도 주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오윤겸의 영달은 이후 해주오씨 가문이 성장하는 기반으로 작용하여, 17세기에만도 많은 文科 합격자와 堂上官 이상의 관직자를 배출하였다. 아들 吳達天이 贈吏曹判書를, 손자 吳道一이 兵曹判書를, 玄孫인 吳命俊이 左參贊을, 吳命恒이 右議政을, 吳命新이 副提學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吳命恒의 경우는 少論으로서 李麟佐의 난을 진압하는데 큰 공을 세워 奮武功臣 1등에 책봉되기도 하였다. 吳允謙 후손이 중심이 된 海州吳氏 집안의 정치적 성향은 초기에는 西人이었으며, 이후 老․少論 붕당 후에는 少論으로 활동하였다. 이같이 少論의 중심세력으로 활동하던 海州吳氏 楸灘公派의 후손들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老論주도의 정국이 되는 것에 반비례하여 그들의 활동은 위축되어 갔다. 정계에서의 활동은 위축되어 갔지만 용인 해주오씨 추탄공파 가문은 龍仁 慕賢面 五山里 일대에 先塋을 조성하고 同族部落을 형성하며 족세를 꾸준히 유지하여 용인 내에서 명벌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海州吳氏 楸灘公派 宗家를 통해 본 경기사족의 존재 양태는 住居는 서울에 있으면서 인근의 京畿地域에 門中의 세거지를 두고 문중을 장악하며 영향력을 행사하여 왔다는 것이다. 해주오씨 추탄공파 宗家는 이미 조선중기의 吳希文 이전부터 서울에 살고 있었으며, 이후 19세기 楸灘派祖 吳允謙의 8세손 宗孫인 吳商黙대에 이르러서야 용인으로 내려와 살았다. 이들은 서울에 살면서 廣州, 龍仁 등지의 근기 세거지에서 얻은 수입원으로 서울 생활을 유지하며 아울러 문중 활동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여 왔다. 이들의 在村 支配는 직접 관리의 형태를 띠었다. 즉 서울 종가의 아버지와 용인 촌가의 아들이 혹은 그 반대로 아들이 서울에 있으면서 아버지가 촌가에 있으면서 서로 긴밀하게 연락을 주고 받으며 촌락을 지배하고 문중을 장악하였던 것이다. 종가의 재원 마련은 廣州, 龍仁 등지의 전답에서 얻어지는 수입에 있었다. 현전 고문서를 통해 알 수 있는 해주오씨 추탄공파 종가의 전답분포 지역은 龍仁의 慕賢面 牛鳴洞․古梅谷․山下局內, 蒲谷面 釜谷, 東邊面 御井浦․峨嵯峙, 邑內面 下馬碑, 器谷面 寒宜日과 廣州의 眞海 지역과 廣州 彦州面 土塘里․沙平里․日暮室洞과 五浦面 中洞, 果川 霜草里面 霜草員․杻峴 및 下東面 菊逸里, 上北面, 北面 沙坪里와 楊州 白石面 防築里 上山栗園 등이다. 전답규모는 18세기 말에서부터 19세기 초반까지는 160~230餘斗落에 이르는 규모를 보이다가, 19세기 중엽에는 80~130여두락으로 규모가 줄어들고, 19세기 후반에는 40~50여두락으로 규모가 급속히 줄어든다. 이는 秋收記上에 나타난 전답 규모로, 추수기상에는 나타나지 않는 結卜記에 등재되어 있는 田畓과 정확한 규모가 드러나지 않는 田의 규모를 추산하면 전답의 규모가 추수기상의 규모보다 2~3배 더 컸을 것으로 짐작이 된다. 경제적 기반의 또 다른 한 축인 奴婢는 吳命久가 戶主로 있을 때인 18세기 후반에는 대략 노비수가 80~90명 정도를 유지하였다가 이후 吳泰榮代인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전반에는 50~60여명 정도로 줄어들다가 이후 吳商黙代인 1891년에 가면 奴1, 婢1명만 남는 규모로 줄어든다. 田畓 운영은 畓을 위주로 경영하였으며, 畓 경영은 打作을 위주로, 田 경영은 賭地를 위주로 운영하였다. 地代는 斗落當 打租가 평균 6.7斗, 賭租가 4.3斗로 賭地보다는 打作에서의 地代가 더 높았다. 따라서 畓에서 打作을 위주로 경영하였던 것이다. 田에서의 地代는 斗落當 평균 1.73斗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전답의 규모의 축소에 따라 곡물 수입도 전답규모의 추이와 마찬가지로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까지는 50~80여석의 규모이고, 19세기 중반에 가면 20~50여석으로 줄어들다가 19세기 후반에 가면 20~30석 규모로 줄어든다. 이렇듯 19세기 후반에 가면 해주오씨 추탄공파 종가는 家勢가 급격히 기운다. 이는 개항 이후 한말에 이르기까지 지주제가 확대되어 가는 추세였는데, 이 시기 종손들이 이러한 농업 환경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 것 같다. 이러한 財源을 바탕으로 추탄 종가는 문중 활동을 통해 종중을 장악하고 서울과 용인에서의 해주오씨 결속을 도모하였다. 이 가문은 남달리 가계의식과 종족 의식이 강하여 이미 조선 전기인 1401년(태종 1)에 「族圖」를 편찬하였으며, 이는 이후 발간되는 甲戌譜(1634), 戊戌譜(1718), 辛卯譜(1771)의 저본이 되었으며, 이러한 族譜 편찬을 통해 문중의 족적 결속을 강화하였다. 그 중심에는 추탄공파 종손이 있었다. 문중이 더욱 조직화 되는 것은 1766년(영조 42)에 성립된 宗禊를 통해서이다. 설립 목적은 친족간의 和睦과 相扶相助 및 孝悌之心과 義理의 고양에 있었다. 종손을 중심으로 한 문중의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킨 것은 19세기에 3차에 걸쳐 벌이진 용인 迎日鄭氏와의 山訟이었다. 조선은 초기부터 ‘山林川澤與民共之’를 표방하며 山林의 私占을 금지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산림에 묘지를 허용하는 墓地法制의 변천에 따라 차츰 묘지를 둘러싼 산림의 사유화가 진전되었다. 이로 인한 분쟁이 山訟으로 발전하였으며, 산송은 16세기부터 대두되어 17, 18세기를 거치며 꾸준히 증가하다가 19세기에 가면 급격하게 상승하여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로써 산송의 원인도 다양해졌다. 용인 迎日鄭氏와 海州吳氏 간의 山訟은 1차로 1821년에서 1822년까지, 2차로 1830년에, 3차로 1898년에서 1899년까지 벌어졌다. 용인 迎日鄭氏와 海州吳氏간의 1차 산송과 2차 산송은 墓地를 둘러싸고 일어났으며, 3차 산송은 묘지와 직접 관련이 없이 ‘斫楸埋炭火田’으로 인해 일어났다. 3차에 걸친 산송의 원인은 표면상 禁葬을 들어 산송을 제기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산림의 점유를 위한 경제적 요인이 자리잡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산송의 배경에는 양 가문의 흥망성쇠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주요어 : 고문서, 생활사, 존재양태, 조선후기, 양반, 가문, 문중, 종손, 경기, 용인, 해주오씨, 영일정씨, 추탄공파, 사족, 경제기반, 전답경영, 경제생활, 사회생활, 친족생활, 족도, 족보, 종계, 산송, 소론가문, 노비, 추수기, 소지, 노비안, 토지명문, 호적, 종첩

      • Mobile Edge Computing 환경에서 스케일 인-아웃을 통한 다중 자원 할당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장현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등장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클라우드가 활용되고 있다. 클라우드 기술이 자율주행, IoT, 유연의료, 스마트 시티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게 되며 지연시간 감소와 빠른 처리 시간 필요 등 클라우드의 단점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되었다. 이에 Edge Computing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사용자 단말기와 가까운 곳에 배치되어 전송 지연 시간, 대역폭의 제한을 감소시키며 클라우드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하지만 Edge Computing 기술 또한 5G, 6G 네트워크의 등장과 인공지능의 복잡한 연산 처리가 필요 해지며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Edge Computing은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 단말을 설치하기 위해 Cloud Computing의 데이터 센터에 비해 설치된 물리 장비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원이 한정적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Kubernetes는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하고 스케일링하는 관리시스템을 제공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 Kubernetes 기반 KubeEdge가 개발되어 Edge Computing 환경에서도 Kubernetes의 관리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 Kubernetes 오토 스케일링 기능은 노드에 자원이 부족한 경우를 고려 하지 않는다. 노드에 자원이 부족한 경우 Pod 는 Pending 상태가 되며 더이상 스케일링하지 못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노드 스케일링 기능이 있지만 이 또한 자원이 부족한 경우 스케일링 수행이 불가능하다. 두 번째, 스케일링 수행 시 메트릭 상태를 체크하는 시간이 존재한다. 스케일링 등록 후 상태 값을 일정 주기로 가져와 체크하지만 체크 주기에 따라 스케일링 수행에 시간이 소요된다. 이는 빠른 처리 시간과 지연시간 감소가 필요한 Edge Computing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Mobile Edge Computing 환경에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스케일 인-아웃을 통한 다중 자원 할당 시스템을 제안한다. 트래픽 기반의 스케일 인-아웃 기능으로 EMA 수식을 사용한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하고 제안한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구현 후 트래픽 부하 테스트를 통해 여유 자원이 있는 노드에 자원이 생성되고 트래픽 수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