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고결 퇴적층 NATM 터널 굴착시 막장붕괴 대책에 관한 연구

        장현석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미고결 퇴적층 NATM 터널 굴착시 막장붕괴 대책에 관한 연구 상 지 대 학 교 일 반 대 학 원 지 반 공 학 전 공 장 현 석 지 도 교 수 이 승 호 최근 국내에서는 효율적인 국토의 이용과 도심 교통문제 해결 그리고 지하공간 활용을 위한 대규모 지하공간 개발이 계획 또는 진행중에 있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3기 신도시 개발에 따른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지하공간을 활용하여 철도, 도로 신설을 위한 터널 공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터널굴착 공법에는 숏크리트와 록볼트를 지보재로 활용하는 NATM 공법과 TBM 또는 Shield 등의 기계식 굴착공법으로 구분이 되는데 경제성이 우수한 NATM 공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터널은 자연적으로 생성된 지반 및 암반을 굴착하여 구조물을 완성하기 때문에 불확실성과 불균질성, 불연속성, 구조적 복합성 등 매우 다양한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제한적인 지반조사와 시험의 실시, 터널해석 모델링 및 설계 개념의 단순성 때문에 설계단계에서 예상한 지반거동은 현장과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처럼 터널 공사현장에서 지반의 예상치 못한 거동은 터널 붕괴를 유발할 수 있으며, 터널의 붕괴는 주변 구조물의 침하 또는 대규모 지표함몰을 발생시켜 사회에 큰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터널 공사 중 막장의 예기치 못한 붕괴가 발생하는 경우 피해복구 및 보상 등에 따른 비용증가 문제 이외에도 사고 원인분석, 대책 수립, 복구공사 실시 등 사고처리에 따른 공사 기간 부족을 초래하여 원활한 공정추진과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고결 퇴적층 지반의 특징, 암반분류 기준, 지보패턴 결정 및 적정성 검토 사례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과 미고결 퇴적층 NATM 터널 굴착 중 막장붕괴가 발생한 국내 및 해외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미고결 퇴적층을 통과하는 NATM 터널 공사 중 막장붕괴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을 도출하였고 막장붕괴 예방을 위한 단계별 대책과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 Measure of Tunnel End Collapse in the Excavation of NATM through Soft Sedimentary Layer Jang, Hyeon Seok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Sangji University in Korea Supervised by Prof. Lee, Seung Ho Recently, in South Korea, the Mega-scale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projects are being planned or processed for efficiently use of the land, the solution of the urban traffic problems and underground space use. Especially, in the Metropolitan area, there are lots of construction projects for tunnel of express way or Metro are being precessed due to the third new urban area development as parts of measures to improve wide-area transportation. The widely use of excavation method for tunnel in Korea can distinguish between NATM(New Austrian Tunnel Method) method which use Shotcrete and Rock-bolt for supporting system and TBM(Tunnel Boring Machine). The NATM method is widely use because of highly economic. Because tunnels could complete structures by excavating originally from the natural generated ground and bedrock, we should consider the variety of properties such as uncertainty, heterogeneity, discontinuity and structural complexity. In addition, expected ground behavior during design stage could be a lot of difference in the site due to the limitation number of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laboratory test, simplicity of the modeling and theority. This unexpected displacement difference from the construction site can have a great impact on existing tunnels and other downtown areas, and the surrounding ground structures may also have a large impact on society due to slope or large-scale surface sinking. At the event of an unexpected collapse during tunnel construction, we could meet the very big difficulty for the smooth process promotion and quality control. In this study,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oft sedimentary layers, bedrock classification criteria, support pattern determination and adequacy review cases, and conducted domestic and overseas case studies in which tunnel end collapse occurred during NATM tunnel excavation in soft sedimentary layers. Through this, the main causes of tunnel end collapse during NATM tunnel construction through soft sedimentary layers were derived, and step-by-step countermeasures and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prevent tunnel end collapse were presented.

      • Factors associated with enteral nutrition tolerance after trauma laparotomy of the small bowel and mesenteric injuries by blunt trauma

        장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In patients with blunt injury due to abdominal trauma, the common indication for laparotomy is damage to the small bowel and mesentery. Recently, postoperative early enteral nutrition (EEN) has been increasingly recommended for abdominal surgery, as early enteral nutrition has both nutritional and non-nutritive benefits. However, the role of EEN in patients with blunt bowel and/or mesenteric injury (BBMI)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ct as surrogate markers of EEN tolerance and affect early postoperative small bowel obstruction (EPSBO) and the date of tolerance to solid food and defecation (SF + D) after the surgery in patients with BBMI. EPSBO was used as the criterion to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s bowel function recovered and whether adhesions had any effects. Tolerance to SF + D shows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hen used to ascertain the recovery of actual gastrointestinal motility. Patient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BBMI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13 and July 2021. A total of 257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enteral nutrition tolerance in patients with EPSBO and the postoperative day of tolerance to SF + 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EPSBO and non-EPSBO groups using variables with p-values less than 0.05.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EPSBO was performed using variables with a p-value less than 0.05.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test of th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postoperative day of tolerance to SF + D . Results: The incidence of EPSBO in patients with BBMI was affected by the male sex, grade of injury of the small bowel and mesentery as per the abbreviated injury scale (AIS), amount of crystalloid infused 24 hours, blood transfusion, and postoperative duration for the removal of the drain. The higher the grade of injury to the mesentery as per the AIS, the higher the EPSBO incidence, whereas the grade of small bowel injury as per the AIS did not increase the incidence of EPSBO. The amount of crystalloid infused within 24 hours, amount of packed red blood cells, fresh frozen plasma, and platelet concentrate transfused, time of drain removal postoperatively, injury severity score, and extremity AIS score were correlated with the day of tolerance to SF + D. Multivariate analysis between the EPSBO and non-EPSBO groups identified mesentery and small bowel AIS scores as the factors related to EPSBO. Conclusion: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incidence of EPSBO in patients with BBMI were as follows: male sex, small bowel, and mesentery AIS scores. Mesenteric injury had a greater impact on EPSBO than small bowel injury. The higher the mesentery AIS score, the higher the EPSBO incidence, whereas the small bowel AIS score did not increase the incidence of EPSBO. The amount of crystalloid infused within 24 hours, amount of transfusion of packed red blood cells, fresh frozen plasma, and platelet concentrate, time of drain removal, injury severity score, and extremity AIS score were related to the postoperative day when patients tolerated SF + D. 배경: 복부 외상으로 인한 둔상 환자에서 복부 수술의 가장 흔한 원인은 소장과 장간막 손상이다. 근래에는 대부분의 복부 수술 환자들에게 수술 후 조기 경장 영양법이 영양학적 및 비영양학적 이점이 있기 때문에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외상 기전, 그중 둔상으로 인한 소장 및/또는 장간막 손상 환자에서 조기 경장 영양의 영향 및 안정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둔상으로 인한 소장 및/또는 장간막 손상 환자에서 수술 후 조기 소장폐쇄 여부 또는 고형 음식섭취와 배변이 동시에 가능한 경장 영양 내성 시점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분석하여,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기 소장폐쇄는 환자의 장 기능이 회복되었는지, 그리고 유착에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으며, 고형 음식섭취 와 배변이 동시에 가능한 시점은 실제 위장 운동의 회복을 확인하는데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기 때문에 사용되었다. 환자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외상 센터에 내원한 환자들 중 둔상으로 인한 소장 및/또는 장간막 손상 환자들 중 외과적 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했다. 조기 소장폐쇄환자 257명을 대상으로 경장 영양 내성 및 수술 후 고형 음식 섭취와 배변이 동시에 가능한 경장 영양 내성 상태 관련된 요인을 분석했다. p-값이 0.05 미만을 가지는 변수들을 이용하여, 조기소장폐쇄 및 비 조기소장 폐쇄 그룹간에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고형 음식섭취와 배변이 동시에 가능한 시점은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하여 여러 요인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둔상으로 인한 소장 및/또는 장간막 손상 환자들에서 조기 소장폐쇄의 발생률은 남성, 소장 간이손상척도, 장간막 간이손상척도, 결정질 양, 수혈 및 수술 후 배액 제거 시기에 영향을 받았다. 장간막 간이손상척도가 높을수록 조기 소장폐쇄의 발생률이 높은 반면 소장 간이손상척도의 증가는 조기 소장폐쇄의 발생률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24시간 이내의 결정질 수액 주입량, 적혈구, 농축적혈구, 신선동결혈장, 혈소판제제의 수혈량, 배액관 제거 시기, 외상중증도 점수, 사지 간이손상척도 점수는 고형 음식섭취와 배변이 동시에 가능한 경장 영양 내성 상태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조기 소장폐쇄 및 비 조기 소장폐쇄 그룹간의 로지스틱 회귀 분석시행 결과, 조기 소장폐쇄와 관련된 요인으로 장간막의 간이 손상 척도 점수와 소장의 간이손상척도 점수가 연관되어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장간막 손상은 소장 손상보다 조기 소장폐쇄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성, 소장, 장간막 간이손상척도 점수 였다. 장간막 간이손상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조기 소장폐쇄 발생률이 높은 반면 소장 간이손상척도 점수는 조기 소장폐쇄 발생률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24시간 이내 결정질 주입량, 수혈된 적혈구 수혈량, 신선동결혈장, 혈소판 농축액, 배액관 제거 시간, 손상 중증도 점수, 사지 간이손상척도 점수는 환자가 고형 음식섭취와 배변이 동시에 가능한 경장 영양 내성 상태를 견딜 수 있었던 수술 후 날짜와 관련이 있었다. 둔상으로 인한 소장 및/또는 장간막 손상 환자에서 경장영양 가능성을 평가할 때 소장과, 장간막의 간이손상척도 점수를 각각 어떻게 고려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서 더 자세한 대규모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냉각탱크를 사용한 LED 전구의 복합 방열 시스템에 대한 열해석

        장현석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백열등이 지구 온난화의 주범 중 하나로 지목되며, 차세대 광원으로 LED가 주목 받고 있다. LED는 기존 광원에 비해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광효율이 높고 저전력에서 고출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LED의 경우 발생된 에너지 중 대부분이 열로 손실이 되며, 이렇게 발생된 열에 의하여 광량저하, LED 전압 감소 및 전류 상승, LED색도 변화, LED수명 저하 등 다양한 특성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열적 특성변화에 의하여 방열성능은 LED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방열성능은 LED전구의 생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열성능 향상을 위하여 LED전구의 heat sink의 형상에 대한 열해석을 진행하고 냉각탱크의 냉매 충전량비에 따른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냉매 충전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냉각탱크와 heat sink를 사용하는 복합 방열 시스템의 열해석을 통하여 복합 방열 시스템의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 여정실에서 분리한 항암활성 트리테르페노이드 유도체 성분 연구

        장현석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natural compounds have been carried out in Korea. Triterpenoid compounds have been report to have anticancer activity.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tried to isolate triterpenoid derivative compounds from the fruit of Ligustrum japonicum which contain triterpenoid compounds, and to evaluate the anticancer effect. The fruit of Ligustrum japonicum Thunb. (Oleaceae) have been used to protect liver and kidneys in traditional Korea medicine. Secoiridoid and triterpenoid have been reported as major constituents of the fruit of Ligustrum japonicum, and anti-inflammatory, liver protect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have been reported. However, the component study of the fruit of Ligustrum japonicum for anticancer activities not reported. The dried fruit of Ligustrum japonicum was extracted with methanol to make an extract. The extract was suspended in distilled water and fractionated in the order of n-hexane, EtOAc, n-BuOH and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polarity. Nine triterpenoid derivatives were isolated from the EtOAc layer by MPLC and Prep HPLC.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ursolic acid (1), pomolic acid (2), 3-O-acetylpomolic acid (3), oleanolic acid (4), maslinic acid (5), 3-O-cis-p-coumaroylmaslinic acid (6), 3-O-trans-p-coumaroylmaslinic acid (7), acetylursolic acid (8), acetyloleanolic acid (9), respectively. Their structures determined by NMR spectroscopic analysis, including 1H NMR, 13C NMR, HSQC, HMBC spectra data. Compounds 3, 6, and 7 were first isolated from this plant. Nine triterpenoid derivativ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fruit of Ligustrum japonicum were administered to A549, PC-3, and SKOV-3 cells to confirm the cancer cell growth inhibitory activity.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antitumor agent of triterpenoid derivatives by confirming the significant activity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50 uM more.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의 치료는 삶의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과제이다. 암을 치료를 방법 중 항암제를 투여하는 치료법이 일반적이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합성의약품은 세포독성이 강해 정상적인 세포에 세포독성이 나타나 부작용을 야기한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약용식물에서 분리한 천연화합물을 이용한 항암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 천연화합물의 생리활성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중 triterpenoid 화합물이 항암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전 연구를 토대로 triterpenoid 화합물이 많이 함유하고 있는 약용식물 중 광나무의 열매인 여정실에서 triterpenoid 유도체 화합물을 분리하여 항암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광나무(Ligustrum japonicum Thunb.)는 물푸레과(Oleaceae)에 속하며, 광나무의 열매인 여정실은 예로부터 간과 신장을 강화하는 보약으로 사용되어왔다. 여정실의 주요 성분은 secoiridoid, triterpenoid 등이 보고 되었으며, 항염증, 간보호 효과,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항암활성의 대한 여정실의 성분 연구가 되어 있지 않아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건조된 여정실을 메탄올에 추출하여 추출물을 만들었으며, 이를 증류수에 현탁 시킨 후 극성에 따라 n-Hexane, EtOAc, n-BuOH, 수용액 순으로 분획을 하였다. 이 중 EtOAc 층을 MPLC 와 Prep HPLC를 이용하여 총 9개의 triterpenoid 유도체를 분리 하였다. 여정실에서 분리한 화합물은 이화학적 성상 및 분광학적 데이터를 종합하여 ursolic acid (1), pomolic acid (2), 3-O-acetylpomolic acid (3), oleanolic acid (4), maslinic acid (5), 3-O-cis-p-coumaroylmaslinic acid (6), 3-O-trans-p-coumaroylmaslinic acid (7), acetylursolic acid (8), acetyloleanolic acid (9) 로 구조 동정하였다. 화합물 3, 6, 7은 이 식물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항암효과를 확인 하기 위해 여정실에서 분리한 9개의 triterpenoid 유도체 화합물을 A549, PC-3, SKOV-3 cell에 투여하여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 농도 50 uM 이상에서 유의성 있는 활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 직장인의 완벽주의가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동기와 일의 의미의 이중매개효과

        장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직장인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성향이 직무동기(외적 조절, 내사 조절, 동일시 조절, 내적 동기)와 일의 의미를 매개하여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Google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전국에 재직중인 19세 이상의 성인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최종적으로 393명의 자료를 사용했다. 연구의 검증을 위해 SPSS PROCEESS MACRO를 사용하여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했고 Bootstrap 방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동기중 외적 조절과 내사 조절만이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직무 소진과도 관련이 있었다. 동기중에서 내사 조절, 동일시 조절, 내적 동기가 일의 의미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외적 조절과 내사조절은 직무 소진과 정적 상관을 가졌다. 일의 의미는 직무 소진과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오직 외적 조절만이 직무 소진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일의 의미를 매개해서 직무 소진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오직 내사 조절과 일의 의미를 순차적으로 매개했을 때만 직무 소진에 영향을 줄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완벽주의적 성향을 가진 직장인에 대한 연구적 의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에 대해 의논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f office workers on burnout by mediating job motivation and the meaning of work. To verify this, we selected adult office workers over the age of 19 working across the country and finally 393 data were used. To verify the study,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ESS MACRO,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was verified through the Bootstrap metho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external regulation was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burnout. Second, perfectionism had an effect on job burnout by mediating the meaning of work. Lastly, perfectionism only sequentially mediated introjected regulation and the meaning of work. could a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on workers with perfectionist tendencies were discussed.

      • 부산 신항만 배후물류단지의 활성화 방안

        장현석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In 2003, Busan Port popped up the third container management port in the world under the situation of increasing the amount of materials caused by Kobe earthquake, economic growth of China, fall in the exchange rate etc. However, Busan Port doesn't cope with changing environment such as overheated port development competition of Northeast Asia, increase in exchange rate and etc. In particular, the change of major export goods decreased the amount of materials directly/indirectly, and industries in Busan area have also moved to China due to increase in wages and worsening of management situation, therefore, creation of the amount of materials around Busan Port has reached the limits. Under this situation, Busan New Port development and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specification promoted since the latter half of 1990 were recognized as an important part of Busan economy and Busan Port's competition. Among them, the major role of distribution support complex has been increasing in the area of Port's competition, it has been arising as an essential part of New Port Development. However, compared with competitive ports, various obstruction factors like infrastructure shortage, political conflicts and etc delayed development.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obstruction factors of distribution support complex of Busan New Port and suggested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Firs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like insufficient infrastructure, this study suggested early construction of railroad to manage goods effectively, because current transportation network of Busan New Port is generally operated by public road transportation system.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conversion of the usage of northern container support complex to industrial/residential area and the expansion of Yongmang Mountain and Yongwon Dong site in order to improve service and cope with the demands of distribution companies at port by using railroad transportation. Second, policy improvement was suggested for integration of policy that is related with the current support complex in order to solve the conflicts between administration ministries and offices.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executive power of Busan New Port and support complex should be entrusted to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to settle conflicts between Busan and Gyeongsangnamdo.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prevent social cost caused by conflicts between both local governments and the loss due to overlapping investment, and to promote unified development policy. Third, organization of economy research center was suggested in order to activate distribution support complex. This research center will provide support strategies for local distribution industries, and support not only New Port distribution support complex but also industrial complex in Free Economic Zone complex. In particular, this is suggested to promote transfer effect of the amount of materials through small and medium local distribution industries, after redevelopment of northern port of Busan port. Fourth, new strategic elements for competitiveness improvement through combined transport activation and industry cluster connection were suggested. In order to activate combined transport, this study suggested that a strategy for connecting Gaduckdo discussed as proposed site for new airport construction and railroad transport site in New Port. Also, competitiveness security was suggested through expansion facilities for Wing-In-Ground Ship, new transport. To maximize the effect of distribution support complex, the connection strategy between industrial complex in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and industry cluster in Gyseongsangnamdo area was also suggested.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identified the obstruction factors of competitiveness improvement strategy in port distribution support complex and suggested solutions - though only part of obstruction factors were mentioned. Busan New Port distribution support complex has still insecure latent factors, however, those latent factors may not appear through inducement of distribution companies or investment of foreign enterprises in the short run. In order to develop New Port and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in the long term, latent factors of distribution support complex should be analyzed continuously.

      •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중학교 함수 영역 교수학습 담화 분석 연구

        장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이 반영된 중학생 함수 교수·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을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수학적 모델링이 반영된 교수·학습에서의 문제점을 두 가지로 보았다. 수학적 모델링의 적용 과정에서 수학적 개념이 덜 이해되고, 시간이 부족한 결과 첫째, 학생이 가진 오개념이 잘 드러나지 않고 간과될 수 있다. 둘째, 수학적 모델링의 장점인 의사소통 과정에서 학생 간 상호 협력이 잘 안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수·학습 대안을 제시하고 수학적 모델링이 적용된 교수·학습 중 학생의 담화가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Sfard의 담화 이론을 도입하고, 언어 분석 틀을 구성하였다. 이어 수학적 모델링이 반영된 함수 교수·학습 과정을 설계하여 세 번에 걸친 교수·학습을 실시하였다. 이를 녹화, 전사한 다음 언어 분석 및 에피소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적 모델링을 일차함수와 이차함수 교수·학습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일차함수 교수·학습에서 학생의 담화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이차함수 교수·학습에서 학생의 담화는 어떠한가? 위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 1, 2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학생이 개념을 학습하고 수학적 모델링에 대해 조사하고 토론하는 학습 과제가 주어지는 사전 교수·학습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일차함수에 대하여 2018년 7월에 3주(6차시) 동안, 이차함수에 대하여 2019년 3월에 2주(4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그리고 2019년 6월에 2주(2차시) 동안 일차함수와 이차함수 수학적 모델링 교수·학습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언어 분석 틀을 구성하였다. 이어서 5개월 간 언어 분석 틀에 대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선행 연구에 조사된 일차함수와 이차함수 수학적 모델링을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그에 따른 연구 대상자 선정 및 교수·학습 절차를 설계하였다. 더불어 교수·학습 과정을 녹화한 후 전사 및 코딩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차함수와 이차함수 교수·학습이 완료된 직후에는 개발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지필검사와 면담을 병행하여 실시하였고, 일차함수와 이차함수 수학적 모델링 교수·학습이 완료된 직후에는 면담만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 대한 답 즉, 일차함수 수학적 모델링 활용 교수·학습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S1은 일상적 개념을 문자로 변형한다거나, 관계식을 표현하는데 미숙함을 드러냈다. 둘째, 실생활 상황이 일차함수 관계식으로 변형 또는 일반화되는 과정에서, 학생 S3의 제안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사전에 실시된 일차함수 교수·학습의 영향으로 일차함수 개념의 이해로 인해 참여자의 역할이 많아졌다. 또한 학생의 협동이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불어 사전에 이루어진 일차함수 모델링 과제 교수·학습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은 과제로 주어진 수학적 모델링을 발표 후, 학생 S3은 기울기에 관한 오개념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의사소통 과정에서 학생 S3은 기울기에 대한 잘못된 인식, 즉 루틴의 교정 과정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학생 S3은 일차함수 개념의 미숙으로 인해 오개념이 형성 되었지만, 발표 과정에서 이를 수정하였고, 면담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듬 활동을 통해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문제 2에 대한 답 즉, 이차함수 수학적 모델링 활용 교수·학습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S3를 제외한 모든 학생이 비 관계를 실제 상황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수학적 모델링에 사전 지식의 숙달 여부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더불어 학생 S3은 비록 비 관계는 알고 있었지만, 다른 학생에게 비의 의미를 전달하는 어려움, 다시 말해 의사소통 인지적 갈등을 경험했다. 둘째, 수학적 모델링 과정 중 모든 학생이 다른 접근을 하였고, 이차함수 모델링에 성공한 학생 S3 역시 다른 이차함수 모델링 접근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이 역시, 일차함수의 수학적 모델링 활용 교수·학습과 마찬가지로, 사전에 실시된 이차함수 모델링 과제 교수·학습의 영향으로 학생의 개념에 대한 인식이 다양해진 결과로 볼 수 있다. 사전에 이루어진 이차함수 모델링 과제 교수·학습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은 수학적 모델링 발표 과정에서 학생은 잘못된 모방과 모방의 실패를 경험하였고, 이를 교사와 동료 학생의 개입을 통해 극복하였다. 이는 Vygotsky가 예견한 학생의 언어의 사용을 통한 지식의 사회적 구성 즉, 수학적 언어의 잘못된 의미의 재구성의 실증적 증거로 볼 수 있다. 더불어 학생은 모델링이 과제 활용 또는 수학적 모델링 활용교수·학습에서 시간의 부족에 대한 불평과 부정적 인식은 없었다. 본 연구의 일차함수와 이차함수의 수학적 모델링 활용 교수·학습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먼저, 담화 이론의 구체화를 시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Sfard의 담화 이론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어휘’를 위한 구체적 분석 방법이 없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Rutherford(2011)의 신-피아제 모델과 동화의 네 가지 양상을 반영하여, 교수·학습의 담화와 에피소드를 심층 분석하였다. 이러한 ‘어휘’의 구체화, 즉 언어 분석 틀의 적용을 통해 담화 과정에서 내러티브와 루틴의 변화와 교정 과정이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내러티브의 확장 과정에서 시각적 조정자의 역할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지필검사 결과와 담화 분석 결과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일차함수와 이차함수 모델링 과제 교수·학습 담화에서 학생은 내러티브의 확장과 교정, 잘못 인식된 루틴의 교정 등을 통해 점차적으로 일차함수 개념을 구성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념 이해도 측정을 위한 지필검사에서 드러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지필검사와 담화 분석의 상호 보완적 적용을 통해 학생의 개념 이해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그에 따른 처방도 가능할 것을 시사한다. 셋째, 설명식 교수·학습 일지라도, 일차함수 모델링 과제 교수·학습 1차시에서 학생의 조절 사태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러한 조절 현상은 이차함수 교수·학습 1차시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기존 지식과 새로 배우는 지식 사이의 연결을 위한 조절로 볼 수 있다. 또한 함수 모델링 발표 교수·학습 후에 발견된 학생의 루틴과 내러티브의 교정을 위한 조절 사태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모델링 과제 교수·학습에서 개념과 관련하여 학생의 미숙한 점 두 가지가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먼저, 최고차항의 계수 가 ‘’인 것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두 번째, 학생은 함수 개념 학습 요소를 성취도 평가에서는 잘 하더라도, 그것을 언어적으로 표현해서 설명하는 것에 미숙하였다. 다섯째, 모델링 과제 교수·학습에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관련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은 수학적 모델링이 과제로 주어질 경우 시간 부족에 대한 불평과 부정적 인식은 없었다. 일차함수와 이차함수에 대한 오개념이 생겼지만, 과제 수행 과정에서 오개념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나고, 발표 과정에서 자신의 오개념을 인지, 인정 하고 수정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더불어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다. 여섯째, 교사와 학생의 지식의 공동 구성을 위한 참여자로서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이는 참여를 통해 의사소통 과정에서 개개인의 담화가 상대방에게 영향을 미치고, 교사와 학생은 변화를 감지하며, 개념의 확대와 인식의 교정이 이루어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수학적 모델링 활용 교수·학습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차함수와 이차함수 개념이 학생에게 사전에 이해되어 있기 때문에, 수학적 모델링 활용 과정에서, 학생의 함수 개념 이외에 다른 미숙한 부분이 드러났고, 서로의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의 사전 지식의 중요성이 드러났고, 서로 다른 관점의 문제 해결을 통해 지식을 확장 할 수 있었다. 이는 ‘담화는 지식의 보고(寶庫)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Sfard(2015)의 말과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Sfard(2008)가 강조하듯, 교사는 의사소통 과정에서 담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적극적 참여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더불어 교사는 이러한 교수·학습 방안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환경, 조건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함수 수학적 모델링 담화의 변화를 위한 적극적 참여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교수·학습의 조건을 학생의 함수 개념의 이해로 보았다. (Abstract)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communication that occurs during middle school func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at reflects mathematical modeling. To this end,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Question 1: What is the student's discourse in linear function teaching and learning using mathematical modeling? Question 2: What is the student's discourse in teaching and learning of quadratic function using mathematical modeling? To this end, first, Sfard's discourse theory was introduced and a language analysis framework was constructed. It then designed teaching and learning courses that reflected mathematical modeling and conducted three sess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First, pre-teaching and learning were conducted, with a learning task for students to learn concepts and research and discuss mathematical modeling. The linear function was performed for 3 weeks (6 hours) in July 2018 and the quadratic function for 2 weeks (4 hours) in March 2019. In June 2019, the linear and quadratic function mathematical modeling teaching and learning were conducted for two weeks (2 hours). All processes were recorded, and analysis of episod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nswers to study question 1, i.e., the results of linear function mathematical modeling teaching and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 student S1 showed his immaturity in translating everyday concepts into letters or expressing relational expressions. Second,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or generalizing the real-life situation into a linear function relationship, the proposal of student S3 was playing a crucial role. The effect of pre-existing linear function teaching and learning has increased the role of participants due to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linear function. They were also able to identify an increase in student cooperation. The answers to study question 2, i.e., the results of quadratic function mathematical modeling teaching and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 all but the student S3 had difficulty applying non-relationships to real situations. It describes the importance of mastering prior knowledge in mathematical modeling. In addition, the student S3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onveying the meaning of rain to other students,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and cognitive conflicts, although he was aware of the non-relations. Second, all students took a different approach during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and the student S3 who succeeded in modelling the quadratic function was also given the opportunity to learn a different quadratic function modelling approach. As with teaching and learning using mathematical modeling of the linear function,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varying perceptions of students’ concepts due to the effects of pre-taken quadratic function modeling tasks,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results of teaching and learning using mathematical modelling of the linear and quadratic funct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obtained: First, we proposed a method that attempted to embody discourse theory. There is no specific method of analysis for ‘speech’, which is a component of Sfard’s discourse theory. Thus, in this study, the discourse and episodes of teaching and learning were analyzed in depth, reflecting four aspects of Lutherford(2011)'s neo-Piagetian model and assimilation. The specification of these ‘words’, i.e., the application of the language analysis framework, revealed changes in narratives and routines and the calibration process in the discourse process. In addition, the role of visual coordinators in the expansion course of narratives was also identified.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per test results and the discourse analysis results was confirmed. In the linear and quadratic function modeling task teaching and learning discourse, it was shown that students gradually form the concept of linear function through the expansion and correction of narratives, and the correction of mis-recognized routines. This suggests that, since it may not be shown in the paper-based testing for conceptual comprehens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iagnose problems in a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process and prescribe them through complementary application of the written test and discourse analysis. Third, we identified our role as a participant in the joint composition of the knowledg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is suggests that individual discourse in the course of communication affects each other, that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 changes, and that concepts are expanded and perceptions corrected. Fourth, even descriptive teaching and learning, a number of student accommodations occurred in the first period of the linear function modeling task teaching and learning. This accommodation did not occur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quadratic function. This can be seen as an accommodation for the connection between existing and new knowledge. We also noticed that adjustments to calibrate student routines and narratives found after the teaching and learning function modelling announcements occurred. Fifth, two things were common to the student’s inexperience with regard to concepts in modeling task teaching and learning. First, it was not recognized that the coefficient of the highest order was ‘’. Second, the students were unfamiliar with describing the function concept learning element in linguistic expressions, even though it was good at the performance assessment. Sixth, the results related to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in modeling task teaching and learning are as follows: Students had no complaints or negative perceptions of a lack of time when mathematical modeling was given a task. Although there was a misunderstanding of function, the mis-concepts were revealed more clearly in the course of the task execution, and the opportunity was provided to recognize and modify the mis-concepts of oneself in the process of presentation. In addition, a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al modeling was formed. Finally, the results of teaching and learning using mathematical modeling are discussed below. Because the concepts of the linear and quadratic functions were understood in advance by the students, in the course of mathematical modeling utilization, other immature parts other than the students' function concepts were revealed, and they were able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mutual cooperation. Also, the importance of prior knowledge of students was revealed, and knowledge could be expanded through problem solving of different perspectives. This can be seen as in line with Sfard(2015)’s statement that ‘discourse serves as a treasure house of knowledge.’ In addition, as Sfard(2008) emphasizes that the teachers should come up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asures to generate active participants who can promote discourse in the course of communication. In this study, the condi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generation of active participants for the change in function mathematical modelling discourse was viewed as a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unction.

      • Fe-Al2O3 精密金型加工用 硏磨粉末 製造 및 特性에 관한 硏究

        장현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Most of mold manufacturing procedures have been automated by the introduction of NC machine tool and CAD/CAM system. But the three dimesional surface curvature of the mold must be done by hand work of well-skilled workers. Magnetic abrasive polishing method was investigated for surface polishing for 3D curvature. Recently, the technology for internal polishing is needed to ultra-clean machine method for the purpose of corrosion, pollution prevention of parts in the area of high technology industry such as semiconductor,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 In this study, Magnetic Abrasive composed of A(Fe3O4+Al = 3:1wt.%):B(Fe +65vol.%Al2O3) and A:B(5:5, 6:4, 7:3, 8:2, 9:1 wt.%) powder was developed. Ball milling was operated in the ratio of ten to one for ball and powder by 100rpm for one hour in the atmosphere. Fe-Al2O3 composite powders was prepared by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surfac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OM, XRD, SEM, EDS and Vickers hardness tester. As the amount of Fe3O4+Al increase, the grain size of Al2O3 becomes fine and the distribution in the matrix(Fe) gets uniform. Because of Al2O3 grain refining and the decrease in the grain size of Fe, the matrix in the composition ratio of nine to one, hardness was shown to highest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