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극초단파 응고기, 프로브 개발 및 동물실험

        장한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Purpose : Microwave coagulation therapy has been widely used in the destruction of small, irresectable liver tumors of primary and secondary origin as an effective minimal invasive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microwave tissue ablator and probe engineered by domestic company through in vivo experiment in the normal porcine liver.Method : Multiple tissue ablations(20 ablations, two ablation per liver) were performed in vivo normal porcine liver with 2.45-GHz, 60 W microwave tissue ablators with 5 types of 3mm-diameter probe, while treatment duration was 5 and 10 minutes. 5 pigs were assigned to acute group (sacrifice right after ablation) and subacute group (sacrifice 7 days after ablation) respectively. Transverse (perpendicular to the probe axis) and longitudinal (parallel to the device axis) coagulation diameter were measured and volume was calculated. Wilcoxon sign rank test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coagulation necrosis and treatment duration in the two groups.Result : The maximum mean transverse diameter of lesion was 3.04±1.15 cm with 60 W, 10 minutes duration in subacute group. In the acute group,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the size of coagulation necrosis and the treatment duration (p >0.05). But in the subacute group 10 minutes treatment had the longer transverse diameter and volume of coagulation necrosis than 5 minutes (p<0.05).Conclusion : Large zones of ablation can be achieved safely with the microwave tissue ablator and probe engineered by domestic company. For the longer treatment duration, larger zones of coagulation were achieved in subacute group. 간세포암은 조기에 발견하여 수술로 절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약 90%에서 간경변을 동반하며, 다발성으로 진행되어서 발견하여도 수술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비수술적 국소치료법으로 경피적 에탄올 주입술과 열을 이용한 고주파, 레이저, 또는 극초단파 치료법이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극초단파치료법은 특히 크기가 작고 절제 불가능한 간세포암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임상 사용 중인 극초단파 응고기와 프로브는 제조사 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응고괴사 범위가 약 2cm정도이고 이 또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통신산업기술 발달에 따른 극초단파의 발전과 제어기술 그리고 방사용 안테나 제조기술들을 임상에 응용 하고자 국내에서 제작된 극초단파 응고기(SWM2500?, 세운메디칼(주), 서울, 한국)와 프로브(세운메디칼㈜, 서울, 한국)를 이용하여 정상 돼지 간에 응고괴사를 만들어, 이 조직을 육안적,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여 성능을 관찰하고, 임상적용의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새롭게 제작된 극초단파 응고기로 동물실험실에서 전신 마취된 돼지 10마리의 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두 5종류의 안테나를 사용하였으며 각각 60W의 출력에 5분, 10분 총 20회의 조직응고 실험을 시행하였다. 급성기(시술직후)와 아급성기(시술 후 1주 후)에 동물을 희생시켜 응고 조직의 육안적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hematoxylin-eosin 염색)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응고 조직의 범위는 육안적 소견의 직경(R)과 길이(L),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응고 괴사된 부피(4π(R)2L/3 )계산하였다.응고괴사 범위는 출력을 60W로 하였을 때, 시술 직후에는 적용시간과 괴사부위의 육안적 직경 (p=0.197)과 길이(p=0.276), 그리고 부피(p=0.138)에 있어 통계적 의미를 갖는 차이는 없었고, 시술 후 1주일 후 측정된 괴사부위의 육안적 직경과 길이, 부피를 비교해 볼 때, 괴사부위의 직경(p=0.043)과 부피(p=0.043)는 시간에 따른 괴사범위의 확장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나, 괴사부위의 육안적 길이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p=0.078).본 연구를 통해 새로 개발한 극초단파 응고기와 프로브는 돼지 간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조직응고괴사를 만들 수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 임상 적용을 위해서는 응고의 범위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위해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외국인 유학생 '시간제근로제도'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사전허가제도'를 중심으로

        장한정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시간제근로제도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그 중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사전허가제도를 검토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사전허가제도의 문제점을 제시할 것이다. 사전허가제도란 현행법상 유학 비자(D-2)를 소지한 외국인 유학생이 시간제근로를 위해 미리 관할출입국관리사무소에 신청서와 여권, 재학증명서, 추천서 등 복잡한 서류를 제출한 뒤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설문조사 결과 외국인 유학생의 시간제근로를 위한 사전허가제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사전허가제도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다. 둘째, 사전허가를 위한 신청절차가 복잡하고 증빙서류가 과도하다. 셋째, 사전허가제도에 규정된 취업시간이 제한적이다. 넷째, 사전허가를 신청할 수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자격이 제한적이다. 다섯째, 사전허가를 위한 접수창구가 제한적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시간제근로제도는 해외의 다른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불편하며, 따라서 보다 현실적인 방향으로의 개정이 요청된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of foreign students’ Hourly Labor System in South Korea, especially for the Prior Permission System.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ed at the foreign students, this paper discusses some disadvantages of the Prior Permission System. Under the Prior Permission System, according to current laws, foreign student with study visa can only be engaged in hourly labor after they submit applications to Exit-Entry Administration Bureau in advance, with required materials such as passport, letter of recommendation, proof of school attendance, etc. However, the collected data revealed the disadvantages as follows. Firstly, the promotion of Prior Permission System is not effective enough. Secondly, the procedure of applying Prior Permission System is too complicated and requires too many materials. Thirdly, the regulations of Prior Permission System are very strict with foreign students’ working hours. What's more, the regulations are very strict with foreign students' working qualifications as well. Last but not least, the intake of applications is not accessible enough. Base on the results, Foreign Students Hour Labor System in South Korea is more complicated and more inconvenient than that in other countries. Therefore, this system needs to be reformed according to the reality.

      • 방탄소년단 영상에 나타난 순수욕망 찾기 : ‘Love yourself’ 시리즈를 중심으로

        장한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정신분석학자 라캉에게 욕망은 위반이다. 힙합 아이돌로서 ‘방탄소년단’의 음악도 기본적으로 위반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위반의 속성은 인간 주체가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정신분석학에서 인간은 ‘텅 빈’ 존재이기 때문이다. 라캉에게 욕망은 ‘텅 빈’ 자신의 존재의 자리를 채우려는 과제를 지닌다. 방탄소년단의 음악은 이러한 라캉의 욕망을 추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캉의 욕망이론을 통해 음악을 형상화한 방탄소년단의 영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치 영상 <起 ‘Wonder’>와 앨범 3부작 <承 ‘Her’>, <轉 ‘Tear’>, <結 ‘Answer’>로 구성된 방탄소년단의 ‘LOVE YOURSELF’ 시리즈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한다. <起 ‘Wonder’>에서 순수욕망이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한다. 상상계를 재현한 <承 ‘Her’>와 상징계를 재현한 <轉 ‘Tear’>를 통해 타자의 욕망으로 지배된 것이 자신의 순수욕망이 아닌 것을 다룬다. 마지막 앨범 <結 ‘Answer’>에서는 타인에게 완벽한 자신이 되는 것보다 영원히 완벽할 수 없는 자신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욕망을 포기하지 말라는 내용을 전했다. 이것은 거울상과 환각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타자의 욕망을 거부하면서 자신의 순수욕망으로서 ‘Be yourself’, 즉 인간 자신의 존재와 의미를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인간 자신의 존재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제시해 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라캉의 정신분석학에서 의미하는 타자의 욕망을 기반으로 ‘LOVE YOURSELF’ 시리즈 중 상상계, 상징계, 실재의 장면을 분류하는 과정을 통해 타자의 욕망과 순수욕망의 재현과 의미를 연구하였다. For psychoanalyst Lacan, desire is a violation. As hip-hop idol, BTS’s music basically has a meaning of violation. The nature of these violations is the question that human subjects ask themselves. Because in psychoanalysis, humans are ‘empty’. For Lacan, desire has the task of filling the position of ‘empty’ himself. BTS’s music pursues this desire of Lacan. Therefore, in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s of BTS that represent music through Lacan’s desire theory. For this purpose, BTS’s ‘LOVE YOURSELF’ series, which consists of installation video <起 ‘Wonder’> and album trilogy <承 ‘Her’>, <轉 ‘Tear’>, <結 ‘Answer’> will be studied. Ask what pure desire is in <起 ‘Wonder’>. Through <承 ‘Her’>, a reproduction of the Imaginary Stage, and <轉 ‘Tear’>, a reproduction of the Symbolic Order, it deals with what is controlled by Other’s desire is not pure desire. In the last album, <結 ‘Answer’> them told others to accept yourself that can’t be perfect forever and not give up on your desire rather than being a perfect self. This is to reject the Other’s desire by the interaction of mirror images and hallucinations and seek out ‘BE yourself’ as one’s pure desire, that is, the human being’s own existence and meaning. In addition, it presents new meanings to human beings’ own existenc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Based on Other’s desire in Lacan’s psycho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reproduction and meaning of the Other’s desire and pure desire through the process of categorizing Imaginary Stage, Symbolic Order, and Real Order in the ‘LOVE YOURSELF’ series.

      • 영상에 나타난 라캉의 순수욕망 연구 : 중국 고전 <봉신방(封神榜)> 영상물의 스토리 구조를 중심으로

        장한정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라캉이 의미하는 순수욕망의 이론을 통해 순수욕망을 현재화하는 영상의 스토리 구조와 캐릭터의 의미를 밝히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라캉은 『세미나 7: 정신분석의 윤리학』에서 순수욕망을 중심에 두는 욕망의 윤리를 통해 인간의 개별화를 위협하는 선의 윤리를 비판한다. 이런 정신사적 흐름 속에서 인간을 욕망을 지닌 주체로 주목하는 현대의 영상 스토리 구조에서는 선의 윤리가 악이라고 규정한 욕망의 윤리를 재해석하고 있다. 라캉의 순수욕망은 ‘우리’보다는 ‘나’라는 주체를 주목하는 현대의 변화된 주체 인식 속에서 새롭게 주목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현대의 영상 스토리 구조에서는 악행을 저지르는 빌런(villain)들이 오히려 주인공으로 등장하면서 선의 윤리를 위반하며 욕망의 윤리를 추구하는 내용으로 새로운 영상 스토리 포맷을 형성하고 있다. 라캉은 욕망의 윤리를 설명하기 위해 고대 그리스 비극시인 소포클레스의 작품 『안티고네』를 중요한 텍스트로 삼으며, 순수욕망의 표상을 ‘안티고네’라고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안티고네』에 대한 라캉의 해석과 영상화된 <안티고네>를 바탕으로 순수욕망을 담는 스토리 구조와 캐릭터를 연구하였다. 욕망의 윤리를 주목하는 경향은 중국 고전 『봉신방』을 영상화하는 과정에서도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고전 『봉신방』을 각색한 영상물 세 편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그것에 담긴 순수욕망의 영상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순수욕망의 핵심요소로 도출된 개념들을 기반으로 연구모델과 연구사례로서의 <안티고네>와 <봉신방> 영상물의 순수욕망 스토리 구조를 비교하였다. 나아가 순수욕망을 상징하는 <봉신방>의 주인공 ‘달기(妲己)’와 ‘선의 윤리’의 수호자로 알려진 캐릭터 ‘강자아(姜子牙)’와 ‘나타(哪吒)’가 새로운 순수욕망의 형태로 각색된 내용도 고찰하였다. 또한 라캉은 비극만이 욕망의 윤리학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하기 때문에 순수욕망의 스토리는 비극적 차원을 포함한다는 사실을 주목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모델과 연구사례가 지닌 비극적 차원을 통해 개별자로의 주체 인식의 변화와 욕망의 발달 사이의 연관성을 논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달기’처럼 원작에서는 선을 위협하는 악으로 묘사된 캐릭터가 후속 작품에서는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타자의 욕망에 종속되기를 거부하는 위반 심리를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나’라는 주체를 주목하는 현대의 영상스토리 구조는 순수욕망을 향한 갈망을 주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character meaning in visual storytelling through the lens of Lacan’s theory of pure desire. Lacan criticizes the ethics of good that threatens the individualization of human beings through the ethics of desire, with pure desire at its core, in his Seminar VII: The Ethics of Psychoanalysis. Within this psychological current, contemporary visual storytelling places attention on humans as subjects with desires and reinterprets the evil defined by the ethics of good. Lacan’s notion of pure desire is gaining renewed attention in the context of a transformed subjectivity in contemporary consciousness that focuses on the individual subject “I” rather than the collective “we”. Furthermore, in contemporary visual storytelling, villains who commit evil deeds often emerge as protagonists, challenging ethical norms and pursuing the ethics of desire, thus creating new formats for visual storytelling. Lacan uses Sophocles’ play Antigone as a crucial text to explain the ethics of desire, the symbol of pure desire is explained as Antigone. In this study, Lacan’s interpretation of Antigone and the visual adaptation of <Antigone> served as the basis for examin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characters that embody pure desire. The tendency to focus on the ethics of desire is also evident in the process of adapting the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Fengshenbang into visual works. In this study, three visual adaptations of Fengshenbang were selected as the main research subjects to analyze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pure desire depicted in the three of them. Specifically, based on the concepts derived as core elements of pure desire, the research model and case studies compared the narrative structures of pure desire in the <Antigone> and <Fengshenbang> videos. Furthermore, the study also examined the adaptation of the characters ‘Daji’ from Fengshenbang known as a symbol of pure desire, and ‘Jiangziya’ and ‘Nezha’ known as the defenders of the ethics of good, into new forms of pure desire. Furthermore, Lacan emphasized that only tragedy can serve as the foundation of the ethics of desire, highlighting the fact that stories of pure desire encompass a tragic dimension. The study took note of this and analyzed the presence of the tragic dimension in the narratives of pure desire. Through the tragic dimension inherent in the research model and case studies, it was possible to discu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nsformation of individual subjec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des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