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수업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장하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duct examine the effect of design class using personal branding on the self-ident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it was important to know about oneself and plan careers and futures independently in a society where individual diversity was respected and rapidly changing, and it was especially for learners in late adolescence. Many people, regardless of age or generation, are focusing on knowing about themselves and finding their identity, as individual diversity is respected, acknowledging the difference between me and others, and using various media to reveal their image and values. Adolescents find their own appearance, value of existence, goals of live, and significa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ense of self-identity. Adolescents who have properly established a sense of self-identity are able to prepare to live as an independent member of society with confidence because they have a clear goal of live and are clearly aware of their position and role in their existence and rea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spend the most important time exploring themselves and planning their careers have influenced their self-identity through the purpose of experiencing personal branding design classes using fashion magazin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personal branding design cla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identity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hat educational significance does the personal branding design class have for self-identity?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earcher chose quantitive research and designed the research procedure. First, the high school art curriculum ane textbooks were analyzed to review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n personal branding utilization design and self-identity, and to develop teaching-learning guidance based on related contents. Secon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a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plan, instructional tools, and evaluation tools for design classes using personal branding were developed. Thir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25 first-year girls at Y high school located in Nowon-gu, Seoul,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nd a total of eight research classes were conducted. Fourth, statistical processing of pre- and post-self-identity questionnaire date collected in the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and a percentage (%)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the learner's results, activity sheets, and class satisfaction conducted in the course of th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sign class using personal branding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lf-identity of high school learne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lf-identity test paper,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self-identity increased after the fact than before, and the subjectivity, self-acceptance, future certainty, and initiative increased. Secend,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class using personal branding can cultivate educational significance for self-identity. In the results of class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self-identity could be positively cultivated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uld be enhanced in the production of works through design classes using personal branding.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know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design classes using personal branding. Third, in the design class using personal branding, learne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not only self-identity, but also subjective work planning ability,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formation of a holistic personality. In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students learned a new concept of personal branding, were interested in new art classes, and experienced that they could better know and reflects on themselves through works of ar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design class using personal branding includes educational significance for fostering self-identity, Therefo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impact of cultivating learners' self-identity through design classes using personal branding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This research hope that the design class using personal branding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to the school field on the attitude that late tees should have today, when individual diversity is subdivided and it is essential to look back on what kind of person they are and lead their lives independently. 본 연구의 목적은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다양성이 존중되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자기 자신에 대해 알고 진로와 미래를 주체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으며, 특히 후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학습자들에게 필수적인 교육이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학교 현장에서의 수업을 진행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 목적에 따른 연구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과 자아정체감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관련 내용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기 위해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둘째, 이론적 고찰과 분석을 바탕으로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수업 도구 및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셋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대상으로 서울시 노원구에 위치한 Y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25명을 선정하여 총 8차시의 연구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 박아청(2003)의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를 참고하여 연구 수업의 내용에 맞는 문항들을 활용하였다. 넷째, 수업의 효과 검증을 위해 연구에서 실시한 사전 ㆍ사후 자아정체감 설문지의 통계처리를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하였으며, 수업 만족도 조사 설문을 통해 그에 대한 측정을 백분율(%)의 빈도 분석으로 실시한다. 수업 중에 완성된 학습자의 결과물과 활동지, 수업 만족도 조사를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은 고등학교 학습자의 자아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자아정체감 검사지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자아정체감이 사전보다 사후에 증가하였고,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주도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이 자아정체감에 대한 교육적 의의를 함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업 만족도 결과에서 자아정체감을 긍정적으로 함양하고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을 통해 작품 제작에 있어 표현 역량 및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의 유용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퍼스널 브랜딩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아정체감 뿐 아니라 주체적인 작품 계획 능력,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전인적 인격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만족도 조사에서 퍼스널 브랜딩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알게 되었고 새로운 내용의 미술 수업에 관심을 가졌으며, 미술 작품을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해 더 잘 알고 성찰할 수 있음을 새롭게 경험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업에 필요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주체적으로 자기 자신을 표현하기 위핸 작품을 계획하고 구상하는 과정에서 자기표현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강화하는 기회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은 자아정체감 함양에 대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을 통한 학습자의 자아정체감의 함양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었고, 그 효과성을 통계를 통해 검증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개인의 다양성이 세분화되고 자기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돌아보고 주체적으로 삶을 영위해 나가는 것이 필수적인 오늘날 후기 청소년들이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이 학교 현장에 참고가 되길 바란다.

      • Inhibiting Leucine-rich Glioma Inactivated 3 (LGI3) as a Novel Therapeutic Strategy in Atherosclerosis

        장하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Atherosclerosis is a chronic disease that occurs when plaque builds up inside the arteries. This buildup can narrow and harden the arteries, which leads to heart attack, stroke, and other cardiovascular diseases. Leucine-rich Glioma Inactivated 3 (LGI3) is known as a pro-inflammatory adipokine secreted from adipose tissue macrophages in obese mouse models. There is emerging evidence that adipokines can affect the pathogenesis of atherosclerosis. However, the role of LGI3 in atherosclerosis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our preliminary study, serum LGI3 level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atherosclerosis in patients with atherosclerosis. Therefore, to further investigate the role of LGI3 in atherosclerosis, I used THP-1 macrophages specifically mimicking atherosclerotic conditions using oxidized LDL (ox-LDL), TNF-α, and IFN-γ (OTN). LGI3 and its receptor, a disintegrin and metallopeptidase domain 22 (ADAM22), and a disintegrin and metallopeptidase domain 23 (ADAM23) are expressed in THP-1 macrophages, which also secreted LGI3. Also, the level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Chemokine C-C motif Ligand 2 (CCL2), Interleukin-1 beta (IL-1β), Interleukin-6 (IL-6)) was increased in OTN-treated THP-1 macrophages. Furthermore, inhibiting LGI3 with its antagonist, P34, diminished the proinflammatory responses in OTN-treated macrophages through NF-κB signaling pathway. Moreover, P34 treatment alleviated atherosclerotic lesion formation in the aortas of Western Diet-fed male ApoE-/- mic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GI3 serves as a proinflammatory molecule secreted from macrophages in atherosclerosis, and targeting LGI3 could be a novel therapeutic approach for atherosclerosis. 죽상동맥경화증은 동맥 내부에 플라크(plaque)가 쌓일 때 발생하는 만성 질환이다. 플라크가 쌓이게 되면 동맥이 좁아지고 단단해져 심장마비,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LGI3는 비만 마우스 모델의 지방 조직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염증성 아디포카인(adkpokine)으로 알려져 있다. 아디포카인이 죽상동맥경화증의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보고들에도 불구하고, 죽상동맥경화증에서 LGI3의 역할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기존에 진행되었던 예비 연구들에서, 혈청 LGI3 수치는 죽상동맥경화증 환자에서 병증 심화도와 정비례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죽상동맥경화증에서 LGI3가 가지는 역할을 연구하였다. 먼저 산화 LDL (oxidized LDL, ox-LDL),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terferon gamma (OTN)를 사용하여 THP-1 대식세포로 하여금 죽상동맥경화증 특이적인 염증 상황을 모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작하였다. 이 모델에서 LGI3와 LGI3의 알려진 수용체인 ADAM22, ADAM23이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CCL2, IL-1Β, IL-6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LGI3를 길항제(antagonist)인 P34를 통해 억제해 보았을 때 OTN만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발현이 증가하였던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P34를 처리하였을 때에는 줄어드는 것을 발견하였다. 뿐만 아니라, P34가 동맥경화 특이적인 염증 상황의 대식세포에서 NF-κB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서 P34를 고지질 식이를 식이한 죽상동맥경화증 마우스 모델인 ApoE-/- 마우스에게 투여 시 동맥경화 병변 형성이 완화되는지 알아보았을 때, 동맥 전체와 복부 동맥 부분에서 유의하게 동맥경화 병증이 완화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때, 몸무게는 대조군과 실험군이 차이가 없었는데, LGI3가 비만 상황에서 많이 발현하는 단백질임에도 불구하고 P34가 오로지 동맥경화에만 효과를 보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해 볼 때, 본 연구는 LGI3가 죽상동맥경화증에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염증성 아디포카인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LGI3의 경쟁적 저해제를 처리하여 LGI3를 죽상동맥경화증의 표적으로 삼는 것이 죽상동맥경화증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접근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생활문화 평판의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장하은 성균관대학교 미디어문화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Based on the law 'Local Culture Promotion Act'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14, the concept of cultural activity began to get harnessed in many different fields lik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issues beyond personal life. Within this trend, the nation accelerated the 'cultural routinization' policies, and 'Living Culture' became the critical constituents of culture promotion policies. As a foundation to expand cultural democracy and raise the quality of life, Living Culture serves as an essential concept to cultural policies of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the nation." For the balanced realization of routine, local, and diverse Living Culture,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positive assessment and appreciation of end-user. Accordingly, this paper conducted a scale development research evaluating Living Culture by adopting the concept of reputation from a marketing communication perspective to culture and arts. Through this research, we collected conventional definitions, properties, and types of Living Culture, transferred them to the concept of reputation, and identified which factors and categories can compose the reputation of Living Culture. For this, we first set candidates for the reputation scales of Living Culture by reviewing and contemplating references and then assessed their appropriacy. Based on the reputation scales with approved significance,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items were verified by the preliminary and main survey. Consequently, the reputation scales of Living Culture consist of 17 measurement factors sorted into four different structuring factors. The 4 structuring factors were named as <accessibility>, <program contents>, <locality>, and <operation method> considering each property of subordinate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correlations between structuring factors of Living Culture and participating loyalty were analyz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By putting the structuring factor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participating loyalty as the dependent variable, we identified that locality, program contents, and operation method are the significant factors to participating loyalty. However, in the case of accessibility, though it works as a critical factor in evaluating the reputation of Living Culture, i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ng loyalty. To conclude, if a Living Culture constructs a favorable reputation on locality, program contents, and operation method, it will be possible to draw out high participating loyalty of Living Culture consumers. By developing the reputation scale syste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urpose and status of the Living Culture program and to reflect assessments and opinions of stakeholders by using the scale as a functional indicator. Furthermore, we expect the reputation scale to construct strategic implications in the long term for managing regional reputations and culture branding from economic and cultural dimensions.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수립한 「지역문화진흥법」을 기반으로, 문화의 영역이 개인의 일상을 넘어 사회·경제·정치적 이슈 등 다방면에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문화적 흐름 속에서 국가 차원의 ‘문화의 일상화’ 정책이 가속화되었고, 이에 따라 ‘생활문화’가 진흥정책의 주요 요소 중 하나로 자리하게 되었다. 생활문화는 문화민주주의 확대 및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초석으로써 “문화를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문화정책의 핵심적 명제로 평가되어 진다. 이처럼 생활문화의 일상성과 지역성, 다양성의 원리가 조화롭게 실현되기 위해 무엇보다 실수요자의 생활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및 판단이 우선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로 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연구되어 온 평판(reputation)의 개념을 문화예술 분야로 확장하여 생활문화 평판의 척도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기존의 생활문화에 대한 정의, 특성, 유형 등을 수집하고 이를 평판의 개념으로 확장하여 생활문화의 평판이 어떠한 요인과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는지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문헌 고찰 및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예비조사를 시작으로 생활문화 평판척도의 예비항목들을 구성하여 그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이후, 유의성이 입증된 평판 항목들을 바탕으로 사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각각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신뢰도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문화의 평판은 최종 4개의 구성요인으로 구분되는 17개의 측정항목이 도출되었다. 4개의 구성요인은 각 항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접근성>, <프로그램 소재>, <지역성>, <운영방식>으로 명명하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생활문화의 평판 구성요인과 참여 충성도 간의 상관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구성요인을 독립변수로, 참여 충성도를 종속변수로 두어 각 구성요인의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지역성’과 ‘프로그램 소재’, ‘운영방식’이 참여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접근성’의 경우, 생활문화의 평판을 결정짓는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참여 충성도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이해관계자로부터 ‘지역성’과 ‘프로그램 소재’, ‘운영방식’ 요인에 대한 호의적인 평판을 구축한다면 생활문화 수요자의 높은 참여 충성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본 연구는 생활문화의 평판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생활문화 프로그램의 목적과 상황을 진단하고, 이해관계자의 평가 및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실용적 지표로써 활용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장기적으로 본 평판척도가 사회·경제·문화적 차원에서 지역평판 관리 및 문화 브랜딩을 위한 전략적 함의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FSSC모델을 근거로 관리회계 정보화에 관한 연구 : 중국 ZTE그룹의 사례

        장하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 글로벌화가 끊임없이 지속되면서 빅데이터 기술과 인터넷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전통적인 비즈니스 관리 모델에 전방위적인 영향을 주었다. 오늘날 갈수록 많은 기업들이 해외로 진출하며 글로벌 전략 경영을 실시하고 있고 재무는 기업 경쟁력 제고에 중요하므로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 속에서 재무관리는 반드시 혁신되어야 한다. 재무 공유 서비스 센터(Financial Shared Service Center, 이하 FSSC라고 칭함)는 최근 몇 년간 기업 관리에서 주목 받고 있는 일종의 재무 관리 방식으로 다수의 기업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회계 정보화가 기업에서 순조롭게 실시될 수 있도록 데이터 지원을 제공한다. 공유 서비스 센터(약칭: SSC)를 통해 기업이나 국가가 회계 업무를 처리하고 관련 보고서를 작성하는 모델은 각 부서별 회계기록의 통일성을 보장하고 회계직무 인력 배치가 불필요하여 인건비 및 시스템 원가를 줄일 수 있다. 정보의 투명성이 높고, 변경사항의 반영 속도가 빠르며, 관리 리스크가 적고, 운영 원가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 ZTE그룹은 중국에서 FSSC를 설립하는 데 앞장섰고 그 과정에서 많은 성공 경험을 쌓았다. 하지만 회계 정보화로 인해 재무 회계가 관리 회계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FSSC와 관리 회계를 결합한 모델이 기업 발전에 더 유리하다는 것을 많은 사례가 증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ZTE를 예로 삼아, 사례 분석법과 문헌 연구법을 활용하고 ZTE 그룹의 사례를 접목해 이론부터 실천까지 해당 회사 FSSC 모델 구축의 발전 경로를 연구했다. 관련 문헌과 이론적 기반에 대한 분석을 통해 FSSC 시스템 하에서의 관리회계 정보화 실현 과정에 대해 디자인 연구하고 설계하였고 해당 모델 하에서 회계 정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에 대해 연구하며 해당 기업이 FSSC 활용 시 현존하는 문제 및 미래 전망을 분석하였다.

      • 부가가치세율 조정이 첨단기술기업 혁신에 미치는 영향

        장하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부가가치세율 조정은 첨단기술 기업의 생산 비용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세율이 낮아지면 그에 따라 첨단기술 기업의 생산 비용이 감소하여 기업이 높은 연구개발 및 기술 혁신 비용을 더 쉽게 부담할 수 있으며, 기술 혁신에 대한 기업의 의욕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세금 부담을 줄임으로써 기업들이 세금으로 쓰던 돈을 연구개발과 기술 혁신 쪽으로 돌릴 가능성이 있다. 혁신 프로젝트에 더 많은 자금을 투입하면 연구개발 역량을 높이고 기술 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부가가치세율 조정은 첨단기술 기업의 전반적인 재정 부담을 줄이고 수익 수준을 높이며, 기업을 외부 금융 시장에서 더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첨단기술 기업이 더 많은 자금 지원을 받고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데 더 폭넓은 자금원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세율 조정이 첨단기술 제품에 대한 세금 우대 제공에 중점을 둔다면, 이는 첨단기술 기업이 고부가가치 및 고기술 함량의 분야에 집중하도록 격려하고, 전체 산업을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키며, 기술 혁신을 촉진할 것이다. 세금 부담을 줄임으로써 첨단기술 기업은 보다 유연하게 가격 전략을 수립하여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기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기술 혁신을 수행하도록 자극하여 시장에서 보다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부가가치세율 조정은 기업들이 기술 성과를 더 빨리 상업화하고 산업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세율을 낮추면 과학기술 성과의 전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첨단기술 기업이 더욱 신속하게 연구 성과를 실제 생산에 적용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첨단기술 기업들은 기술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우수한 연구개발 인력을 필요로 한다. 세제 혜택을 통해 기업은 보다 쉽게 고급 연구개발 인재를 유치하고 양성할 수 있으며 기업의 기술 혁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가가치세율 조정이 첨단기술 기업의 기술 혁신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혁신 투자를 자극하고 외부 자금 조달 조건을 개선하며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과학기술 성과의 전환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부가가치세율 조정은 좋은 혁신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의 지속적인 기술 수준 향상을 촉진하며 산업 업그레이드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논문은 국내외 문헌 검토 및 연구를 바탕으로 부가가치세 조정, 첨단기술 기업, 기업 혁신, 세금 부담 전가의 어려움, 내외부 자금 조달의 어려움 등과 관련한 개념 및 문헌을 정리하여 과거 연구의 중점, 연구 방법 및 관련 이론적 근거를 이해하고 부가가치세 조정이 첨단기술 기업의 혁신 능력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을 명확히 하였다. 그 후 첨단기술 기업의 산업 특성을 요약하고, 정성 및 정량 분석의 관점에서 첨단기술 기업의 발전 현황을 소개하며, 첨단기술 기업의 부가가치세율을 정리하고, 관련 데이터를 결합하여 거시적 및 미시적 측면에서 중국 첨단기술 기업의 세금 부담 상황을 분석한 후, 본문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문의 3가지 가설을 제시하여, 부가가치세율 조정이 첨단기술 기업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CSMAR 데이터베이스에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 A주 상장사의 샘플을 선택한 후 첨단기술 기업의 식별 및 스크리닝 절차에 따라 최종적으로 3,831개의 관측치를 선별하였다. 본 논문은 stata 16.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하는 다중 시점 이중 차분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 얻은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가가치세율 조정은 첨단기술 기업의 혁신을 크게 촉진시켰다. 그것은 개혁 이후 기업의 혁신 생산량을 약 43.86% 증가시켰는데, 이는 신청 건수가 51.223건 증가한 것과 맞먹는 경제적 의미도 있다. 둘째, 세부담 전가 난도와 외부금융 난도를 구분하는 추가 분석 결과 부가가치세율 조정 후 제품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큰(세부담 전가 난도가 클수록) 첨단기술기업일수록 혁신이 크게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첨단기술 기업의 혁신을 촉진하는 부가가치세 조정의 효과는 국유 기업이 아닌 곳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첨단기술 기업의 혁신에 대한 부가가치세율 조정의 효과는 담보 능력이 약한 첨단기술 기업들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시장 발전 수준이 낮고 금융 시장이 덜 발달한 곳에서는 기업 외부 자금 조달이 더 어렵다. 이때 부가가치세율 조정은 첨단기술 기업의 내부 축적을 증가시키고 내인성 자금 조달의 제약을 완화하는 효과가 두드러지며 외부 자금 조달의 부족을 효과적으로 보충한다. 작용 메커니즘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1) 기업 내부의 자금 사정이 나빠질수록 부가가치세율 조정은 첨단기술 기업의 혁신을 촉진하는 효과가 커지므로 부가가치세율 조정은 내원적 금융 제약을 완화하여 오히려 첨단기술 기업의 혁신을 촉진한다. 2) 첨단기술 기업의 부채 융자 상황이 나빠질수록 부가가치세율 조정은 첨단기술 기업의 혁신을 촉진하는 효과가 커지며, 부가가치세율 조정은 부채 융자 상황을 개선하여 첨단기술 기업의 혁신을 촉진한다. 3) 부가가치세율 조정은 첨단기술 기업의 부채 융자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나아가 첨단기술 기업의 부채 융자를 증가시키며, 첨단기술 기업의 혁신 활동을 위한 자금 지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연구 결론에 근거하여, 부가가치세 조정과 중국 첨단기술 기업의 발전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제안을 제시한다. 정책 입안자들에게 보다 정확한 조언과 세금 정책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첨단기술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세금 정책을 후속적으로 사용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 초등 미술교육에서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한 환경윤리 수업 방안 연구

        장하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we are facing is recognized to be an important issue that has worsened under existing circumstances and even threatened our lives. For the future generations, we must take a step forward to recognize and solve the ongoing environmental problems. To this end, an educational approach to a new transition should be established.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which provides a practical direction to restore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along with human life, should be carried out. Therefore, continuous and systematic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s required for developing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and it is intended to link them with art education in an effective educational approach. Art education enables to expect a change in their moral responsibility and value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through individuals various visual experiences and the exploration of materials. However, a better design approa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subject content in depth and lead to practical action. So, the backward design model is applied to art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purpose of cultivating the values and ability to cope with environmental problems by recognizing the need for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n art education, and the study designed an art education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As a research procedure for this, after reviewing the theoretical study on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and environmental literacy, we looked a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 backward design model is analyzed to compensate for the traditional curriculum design and its resulting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art curriculum and textbooks,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thics class in art education. This class was developed using a backward design model, a total of 8 sessions classes was administered to 6 students including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of B church elementary located in Suwon.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using the backward design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riousness, awareness and attitude of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the pre-questionnaires and the actual clas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class were analyzed through four types of evaluation criteria,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from a post-questionnaires using an environmental literacy instru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lass results, the course using the backward design in elementary school art class enabled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tivating students and evaluating them as performed tasks. Students who have explored environmental problems themselves and acquired knowledge have widened their ability to practice in everyday life and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Second, environmental ethics classes in art classes have been effective in cultivating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After analyzing the post-survey results, the most of the students in the class had a practical attitude along with a detailed knowledge of environmental issues. This study can be seen a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reaching an in-depth understanding goal and fostering environmental literacy in the existing aimless art activities by providing an opportunity to acquire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environmental ethics classes in elementary art education. It is encouraged to continue to attempt Environmental ethics classes in art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have an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and a correct moral attitude. 우리가 직면한 환경문제는 기존 상황에서 더 악화하여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미래 세대를 위해서라도 우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환경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 한 걸음 다가가야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전환의 교육적 접근방식이 마련되어야 한다. 인간의 삶과 더불어 자연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실천적 방향을 제공하는 환경윤리교육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환경 소양 함양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환경윤리교육이 요구되며, 효과적인 교육적 접근 방법으로 미술교육과 연계하고자 한다. 미술교육은 개개인들의 다양한 시각적 경험과 재료의 탐색 과정으로 환경에 대한 도덕적 책임감과 가치관의 변화까지 기대할 수 있게 한다. 그렇지만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실천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더 나은 설계 방식이 필요하다. 이에 백워드 설계 모형을 미술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에서 환경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환경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가치관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백워드 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한 미술 수업 지도 방안을 고안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절차로 환경윤리교육과 환경소양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 후, 미술교육에서 환경윤리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통적인 교육과정 설계와 이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백워드 설계 모형을 분석하였다. 현행 2015 개정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미술 교과에서 환경윤리 수업의 방향성을 제시해 보았다. 백워드 설계모형을 활용하여 수업 방안을 개발했고 수원시에 소재한 B 교회 초등부 3, 4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총 8차시 수업이 진행되었다. 백워드 설계모형을 활용한 환경 미술교육을 시행하기 전 사전 설문지를 통해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과 인식, 태도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수업 실제가 이루어졌다. 수업 결과물을 평가 준거 네 가지 유형을 통해 분석하고 환경 소양 측정 도구를 이용한 사후 설문지를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결과물의 분석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서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수업 과정은 학생들에게 동기부여가 되고 수행한 과제로 평가한다는 관점에서 능동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했다. 스스로 환경문제를 탐구하고 지식을 습득한 학생은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능력과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미술 수업에서 환경 윤리 수업은 참여 학생들의 환경 소양을 기르는데 효과가 있었다. 사후 설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 대부분이 환경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과 더불어 실천적인 태도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 미술교육에서 환경 윤리 수업을 통해 환경문제에 대한 내용을 습득하고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목표 의식 없는 미술 활동에서 심층적인 이해 목표 도달과 환경 소양이 함양되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도 미술교육에서 환경윤리 수업은 학생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올바른 도덕적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청소년 및 젊은 성인 여성의 비타민 D 수준에 따른 비만 및 빈혈 위험과의 연관성 분석

        장하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high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has been reported among adolescent girls and young women in Korea. Women of this age have a higher risk of vitamin D deficiency than those in other age groups, but few studies have examined for independent determinants of this deficiency in this population. Recently, some studies have reported an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the risk of obesity and anemia among adolescent girls and young women in Korea. However, these studies did not conside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or participants with prevalent chronic disease, which may lead to the biased result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1) identify the independent determinants of serum vitamin D levels; (2)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risk of obesity; and (3) investigate whether vitamin D deficiency is associated with anemia among adolescent girls and young women in Korea. We analyzed data for adolescent girls aged 12-18 years and young women aged 19-2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 2008-2014. Demographic and lifestyle factors were assess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the health interview survey. Serum vitamin D, hemoglobin, ferritin, and other blood biomarkers were obtained from the health examination. Vitamin D deficiency was defined as a serum 25-hydroxyvitamin D (25(OH)D) levels of less than 20 ng/mL. Multivariate generalized linear regression and un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mplex design of the KNHANES. Results 1: The analysis included 1,574 adolescent girls and 2,022 young women. We found that physical activity and alcohol consumption levels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determinants among adolescent girls. Among young women, independent determinants included physical activity levels, current smoking, and use of dietary supplements and oral contraceptive. Results 2: A total of 3,617 adolescent girls and young women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After adjustment for multiple confounding variables, the vitamin D deficient group had 1.58 (body mass index≥25 kg/m2,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2.48) times higher prevalence of obesity, and 1.61 (body fat percentage≥30%, 95% CI: 1.08-2.40) times higher prevalence of excess body fat percentage, compared to the vitamin D sufficient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abdominal obesity (waist circumference≥85cm, odds ratio (OR): 0.97, 95% CI: 0.54-1.73). Results 3: For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the prevalence of anemia, we included 3,560 adolescent girls and young women in the analysis. We found that vitamin D deficiency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prevalence of anemia (OR: 2.07, 95% CI: 1.15-3.70) and iron deficiency anemia (OR: 1.49, 95% CI: 1.02-2.19) than vitamin D sufficiency in multivariable adjusted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independent factors that were correlated with serum 25(OH)D levels among adolescent girls and young women in Korea.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onitor and manage these factors in order to reach an optimal serum vitamin D levels. In addition, individuals with vitamin D deficiency tended to have higher prevalence of obesity and anemia. Future large prospective cohort studies and randomized clinical trials are needed to confirm this association.

      • '여행 가방 속 상자’ 프로젝트를 통한 미술 감상 수업 연구

        장하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등학교 미술 교육은 미술사, 미학, 비평을 포함한 미술 감상 수업과 미술 표현 수업을 모두 다루기에는 학교의 수업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현재 진행되는 미술사 수업은 대개 특정한 시대사조에 의한 지식, 유명한 주류 작가에 대한 정보, 연대기적 양식과 같은 단편적 지식을 인지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학습자는 미술사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잃기 마련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교 현장 및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과 미술관 교육과 연계한 미술사 감상 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보기로 한다. 21세기 이후, 세계와 문화를 새로운 시각으로 받아들이듯이 미술교육에서도 새로운 관점의 미술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다양한 국적과 인종, 문화와 여러 가치가 공존하는 동시대의 다원주의 사회에서 여전히 특정 계층이나 소수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미술 교육이 일반인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이 아닌가하는 문제의식을 느낀다. 18세기 근대 유럽에서 탄생된 미술관은 주요한 기능으로 컬렉션 활동과 큐레이팅 방식을 갖추고 대중 교육의 장으로서 활용되었다. 이에 오랜 시간동안 서구 중심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데이터 축적과 그들의 분류방식을 비판적 시각으로 고찰하고, 새로운 경향의 전시를 소개하고 앞으로의 미술사 교육의 하나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오늘날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이 증대되는 추세이지만 학교와 미술관이 연계하는 직접적인 프로그램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5개정 중등교육 교육과정에는 ‘지속적으로 박물관·미술관·전시장 등을 한 학기 1회 이상 관람한다.’ 라고 명시되어 있지만 꾸준히 실행되기에는 여러 제한점들이 따른다. 본 연구자는 현대 미술의 선구자로 알려진 뒤샹(Marcel Duchamp, 1887~1968)의 ‘여행 가방 속 상자’ <Box in a Valise, 1941> 작품을 차용하여 미술사 감상 교육을 위한 도구로 제작하였다. 여행 가방 안에 미술 작품 이미지와 작품 사진을 담고 어디든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은 마치 축소된 미술관의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연구자는 ‘여행 가방 속 상자’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중학교 미술교육 현장의 새로운 미술사 감상 지도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여행 가방 속 상자’ 프로젝트를 통해 학습자는 새로운 주제를 고안해보거나 표현 재료 및 방법 등 분류 기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어 전시를 계획한다. 그리고 정해진 전시 주제에 따라 준비된 작품 이미지를 아카이브하고 ‘여행 가방 속 상자’에 배치하여 발표하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여행 가방 속 상자’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아레나스 대화 중심 감상 지도 방법을 적용하여 작품 속 규정된 의미와 미술사적 가치를 찾는 것이 아니라 작품과 감상자의 관계에서 해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작품을 보는 방법을 터득해나가며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가치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여행 가방 속 상자’ 프로젝트를 통한 활동은 오늘날 전시 기획자 및 큐레이터가 가져야 하는 태도와도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학습자들은 다양한 작품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연구를 통한 뒤, 이를 바탕으로 자유로운 관점으로 작품을 재분류하고 배치하는 전시 과정을 경험한다. 마지막으로 미술관의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볼 수 있는 아카이브를 강조한다.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팸플릿과 잡지 등에서 학습자들의 미적 취향과 감각에 따라 꾸준하게 작품을 발췌하고 아카이브 함으로써 미술 작품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미술과 삶의 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형성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단기간에 제한된 인원과 환경으로 수업이 진행되어 미술사 경험이 전혀 없는 학습자들의 발달 단계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던 한계가 있었다. 그렇지만 미술사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교수법 개발과 함께 ‘여행 가방 속 상자’ 프로젝트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앞으로 미술사에 대한 학습자들의 새로운 인식과 지식을 재구성 하는 폭넓은 시야를 갖게 될 것을 희망한다. 학교와 연계한 미술관 현장 교육이 강조되고 있지만 지역 사회와 계층의 불평등 상황, 공공 문화 및 예술 기관의 접근성, 교육 프로그램 부족, 학교와 미술관 관계의 소극적인 태도 등으로 인한 어려움이 많다. 이에 미술관과 같은 공공 기관과 미술 교육계의 협력과 논의를 통한 개선이 매우 필요하다. Secondary school art education lacks an adequate amount of classes to deal with both art appreciation and artistic expression including art history, aesthetics, and criticism. Most of the art education classes currently being taught follow a curriculum based on particular trends from certain time periods, information about famous mainstream artists, and piecemeal knowledge, such as chronological style. Therefore, people studying art are beginning to lose their interest in art history. As a way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e researcher strived to find new ways to teach the art history appreciation classes in the art education programs in relation to the school field and art museum. The researcher also wanted to focus on actual art museum education. Since the 21st century, art education has emphasized the need for a new perspective on art history as more and more people have come to accept a new perspective on the world and culture. However, in the contemporary pluralistic society where various nationalities, races, and cultures coexist, there is a question as to whether art education used for cultivating a certain class or a small number of experts still applies to the general public. Created in Europe during the 18th century, art museums were used as a place of public education due to the collection and curating methods that were being utilized at the museums. This is a critical review of the vast accumulation of data centered on the West over the years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data. The researcher would also like to introduce the exhibition of a new tendency and present a methodology of future art history education. Today,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museums are on the rise, but direct programs linking schools and museums have not progressed at a smooth enough rate. The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states that students will continue to visit museums, art museums, and exhibition halls more than once a semester. However, there are various limitations that will need to be overcome before these additions can be properly incorporated into the curriculum. The researcher sampled the work Box in a Valise, 1941 by Marcel Duchamp (1887-1968). Duchamp is known as a pioneer of contemporary art, and he produced the aforementioned piece as a tool to be used for art history appreciation education. The ability to move freely anywhere using the travel valise with images of works of art and photographs of artworks can be interpreted as a symbolic miniaturized museum. The researcher planned the project based on the Box in a Valise by searching for guidance on the appreciation of the new art history classes included in the middle school art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he Box in a Valise, project, students will plan an exhibition by devising new topics or finding ways to classify the ex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image of the prepared artwork will then be archive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exhibition theme and placed in the Box in a Valise. Students will then present their exhibitions. In addition, Amelia Arenas' dialogue-centered appreciation instructional method was applied to the Box in a Valise project. This instructional method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nd the viewer instead of searching for the defined meaning and artistic value in the work. In other words, the viewers will learn how to view the work and develop an attitude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 value of cultural diversity. Activities through the Box in a Valise project can be seen as being linked to the attitudes of exhibition planners and curators today. People studying this subject will experience the exhibition process of reclassifying and arranging the works from a free viewpoint formed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various works after the research has been completed. Finally, the researcher emphasizes the need for archives as they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museums. In pamphlets and magazine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in everyday life, works of art are extracted and archived steadily according to the aesthetic taste and sense of those who want to learn. This will lead to an increase in the interest in works of art and help form a closer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life.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people who have never studied art history because the lessons were limited for a short time due to a small amount of people interested in the subject and the environment. However,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appropriate use of the Box in a Valise projec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teaching methods for art history, will create a broader perspective toward reconstructing new knowledge for the future students of art history. Although emphasis has been placed on on-the-job training in art museums linked to schools, there is also a strong emphasis on the following difficulties that still need to be addressed: the inequality in the community and the class, accessibility of public cultural organizations and art organizations, lack of educational programs, and a passive attitude of relations between schools and museums.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to improve these conditions through cooperation and discussi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such as museums and art educational instit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