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圓佛敎의 敎務論 硏究

        장하열 圓光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원불교의 교무론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의 서두에는 교무의 개념화 과정을 분석하고 교무의 제 이론을 관계 문헌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즉 교무의 개념과 명칭의 정착화 과정, 교무정신과 교무윤리와 교무상을 정리한 후 타종교의 성직자상과의 비교 등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전개하였다. 첫째, 원불교의「전무출신」은 교무의 신앙공동체 의식과 정신성을 현재적 행위 중심으로 나타낸 표현이며,「교역자」는 교역에 임하는 성직자의 일반적인 호칭을 사용한데 비해,「교무」는 소태산의 대각에 의한 救世理念을 계승 신앙하며 원불교 교단의 사업목표인 교화·교육·자선 등 사명완수에 전력하는 원불교의 성직자를 말한다. 둘째, 교무정신은 먼저 개교의 동기에서는 진리적 종교정신과 사실적 도덕 정신이 있다. 다음은 교단창립과정에 흐르고 있는 정신은 영산성지에서 창조·개척의 의지와 영육쌍전 하는 생활종교의 면모를 체현해 낸 방언정신, 법계의 인증과 일체생령을 위해 혈심으로 봉사하겠다는 사명과 역할의 의지를 다진 법인정신, 변산성지에서 제종교의 핵심적 교리를 통합활용하고 소태산의각증 내용을 중심으로 제정한 제법 및 공동체정신, 익산성지에서 교리를 훈련 습득하여 체질화하고 실천으로 확산하는 전법정신 등이다. 또한 교서를 통해서 나타난 교무정신은 성불·제중정신, 보은·봉공정신, 조화·일치정신 등이다. 이러한 정신은 소태산 재세시 법인기도문과 정산의 선서문, 대산의 전무출신의 도 그리고 좌산의 주인의 길에 맥맥히 貫流하여 교단과 교무의 내면적 가치로 면면히 흐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교단과 교무의 관계를 고찰한 후 교무의 윤리, 역할, 교무상 등을 조명하였다. 일원상의 진리에 기반을 두고 있는 사은윤리는 원불교 교무의 공동생활 윤리적 바탕이 되어 실천윤리로 發現되었다. 교무의 사명과 역할의 측면에서 보면 위에 제시한 모든 이론은 교화를 중심으로 하여 그 연속선상에서 교육·자선을 실천하기 위한 교무의 이념임이 명백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제종교의 성직자를 교무와 비교하여 공유하는 점과 차이점을 살핀 다음 그들을 통해서 교무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상에서 고찰한 원불교의 교무론 연구는 교무의 생활을 향상시키며 민족과 인류에게 비젼을 제시하고 그러한 비젼을 이끌고 나아갈 교무의「공동 가치관」을 계속 창출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공헌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제기되는 교단의 미래적 과제는 교무의 교육훈련, 교무의 교화적 역할 확대, 그리고 교무의 복지 등을 체계화하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al view of Wonbuddhist minsters. Therefore, the beginning of this study includes the analysis of gradual conceptionalization on Wonbuddhist ministers and examines the diverse theories through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s. After explaining the concept of Wonbuddhist minister, the settlement processes of the term "Gyomu (敎務: Wonbuddhist minister)", and the ethics and the figure of Wonbuddhist minister,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with those of ministers in other religions.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Junmuchulsin" (專務出身) in Wonbuddhism, based on the modern activity, can be a symbolical expression for consciousness and spirit of Wonbuddhist minister's belief community, "Gyoyerkja" (敎役者) means the general religious worker of Wonbuddhist activities, and "Gyomu" (敎務) represents the Wonbuddhist minister who believes and follows the doctrine of salvation of world based on the Sotaesan (少太山)‘s enlightenment and does his/her best effort to accomplish the goals of Wonbuddhism, evangelism, education, and charity. Secondly, there are the true spirit of religion and the spirit of actual ethics as the spirit of Wonbuddhism minister in the motives of Wonbuddhism foundation. And then, the spirits contained in the processes of Wonbuddhism foundation can be the spirit of 방언 which realized the will of creation and cultivation in " Youngsan" (靈山), a wonbuddhist sacred ground, and fulfilled the features as a life religion, the spirit of " Bubin" (法忍) which represented the will of mission and role to acquire the attestation from the realm of Wonbuddhism and to sincerely serve for all living things, the spirit of "Jaebub" (制法) and community which enabled to establish the religious doctrine through unifying and applying the principles of other religions and Sotaesan's enlightenment, the spirit of " Jernbub" (傳法) which made it possible to train, learn, and spread the principles of Wonbuddhism in Iksan, one of Wonbuddhist sacred places. The spirits of Wonbuddhist minister in Wonbuddhist literatures are "attaining Buddhahood" and "saving the distressed masses", "gratitude and sacrifice", and "accordance and agreement". These spirits exist as internal values in " Bubingidomun" (法忍祈禱文) in the period of Sotaesan, " Sernsermun" (宣誓文) in Jungsan(鼎山), the way of " Junmuchulsin" (專務出身) in Daesan, and the way of masters (主人의 길) in Jawasan(左山). Lastly, after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nbuddhist minister and order, this study reveals the ethics, the role, and the figure of Wonbuddhist ministers. Based on the truth of Ilwonsang, the ethics of four benefits shows the practical ethics on the ethnical community life of Wonbuddhist ministers. From the view of the missions and roles of Wonbuddhist minister, the theories mentioned above focus on the evangelism and then continually include principles of Wonbuddhist ministers to perform education and charity. And through examining the common things and differences between other religions' ministers and Wonbuddhist ministers, religious ministers' characteristics from various religions are shown. In conclusion, the study on the theories of Wonbuddhist ministers i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o suggest the visions for people and human beings, an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basic ground for leading the visions and creating the common values of Wonbuddhist ministers. From this study, continuous concerns for future study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for Wonbuddhist ministers, the enlargement of Wonbuddhist minister's evangelical roles, and the welfare of Wonbuddhist ministers.

      • 마음공부법을 활용한 청소년 도덕교육의 연구

        장하열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음공부란 원래 마음을 찾아 기르고 사용하는 방법이다. 즉, 그것은 청소년 자신이 마음의 주체가 되어 어떤 경계에 따라 일어난 마음을 잡고 보면서 본성마음으로 돌아와 마음의 자유를 누리는 것이다. 이러한 마음공부법을 활용한 청소년의 도덕교육의 연구를 위하여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1 ) 마음공부법이 청소년의 도덕성을 본래 마음대로 유지 할 수 있는가? 2 ) 마음공부법이 청소년의 도덕성을 계발할 수 있는가? 3 ) 마음공부법을 적용하면 청소년의 행동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 이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생활 속에서 접하는 경계에 대하여 그때에 일어난 마음의 고삐를 잡는 능력이 형성 되었다. 습관적으로 지나치던 다양한 생활 속의 경계를 깨닫고 흐트러진 마음이 분별, 주착에 끌리지 않는 본성 마음으로 돌아가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들의 개인 중심의 대자적 마음공부에서 대타적 중심의 마음공부로 확장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대자적인 개인 수행 중심의 마음공부에서 천지와 부모와 동포와 법률과의 관계성 속에서 그 범위를 넓히고 관계적 삶을 전개하여 사람과 사물, 세계관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셋째, 청소년들이 지금까지 고치지 못하고 있던 고질적인 습관을 유무념 대조를 통해서 고쳐 나가면서 도덕성이 계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흡연이나 컴퓨터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순간순간의 마음을 유무념으로 대조하여 자신의 마음을 순화·억제 할 수 있는 힘이 생기는 등 도덕성을 계발 할 수 있었다. 넷째, 마음공부를 통해 청소년들의 도덕성을 내면화 하고 사람다운 행동을 단계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게 되었다. 이는 청소년들에게 마음공부를 통한 도덕성의 발아, 인지, 계발, 완성의 단계를 거쳐 도덕성을 본유할 수 있는 마음의 힘이 축적되어 본성 마음 그대로를 행동화 하여 편안한 마음을 유지하게 된다. 그런 가운데 도덕적 인격이 길들여져서 도덕적 자율실천을 할 수 있는 청소년으로 성장 하는 것이다. The Maum Kung Fu method was to find the original mind and to learn how to use it. This study let oneself become the independent person of one‘s mind in proportion to catch arising mind by one's boundary. The researcher selected three subject of study questions as follows. 1 ) Could Maum Kung Fu method maintain youth's original mind? 2 ) Could Maum Kung Fu method develop youth's moral mind? 3 ) Could a youth's thoughts and actions be changed as a result of the Maum Kung Fu Metho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youths formed the capability which returned the original mind when they encountered a boundary in common life. The researcher observed that the respondents tried to return into their original minds when they met a boundary that normally passed by. Second, the youths could extend their minds to the community minds and to the individual mind. The study observed the extension of a mind regarding world views and human relationships to relate with heaven and earth, parents and children, fellow countrymen and law from individual Maum Kong Fu study. Third, the youths could get over their bad habits by the presence or the absence of thinking that they were not able to overcome despite their attempts to do so. The youths got a power that could purify and control whenever they felt the temptation of a bad habit like smoking or computer poisoning. Fourth, the youths could achieve the ability to make internalizations of morality and moral action step by step according to Maum Kong Fu method. The study could maintain a comfortable mind according to accumulated original mind that could be made by sprouting, cognition, development and completion of moral consciousness. Finally, the youths could grow as morally - upright individuals who practice self moral action and moral individuality that could be made possible trough Maum Kong Fu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