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역금융산업 내에서 블록체인기술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장철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기업들은 경쟁력 강화 및 혁신 도모를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을 도입하고 있다. 그 중에서 블록체인기술은 인터넷 발달 이후 미래 산업의 핵심적 및 파괴적인 기술로 평가되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서 산업 영역의 전반에 걸쳐 미래를 선도할 혁신적인 기술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4차 산업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시대에 맞춰 각 산업분야별로 빠른 대비를 하여야 한다. 특히 블록체인의 기술개념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살펴봄으로 인해 금융시장의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기존의 비즈니스 패러다임에 변혁을 주도하는 중요한 기술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신뢰중개자가 없어도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산업 전반에 상당한 파급력이 있는 기술일 뿐 아니라 우리 삶의 곳곳에 자연스럽게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무역금융산업 내에서 블록체인기술 활성화를 위해 국가별 금융산업 내에서 블록체인기술의 금융시장 적용 및 규제 현황에 대한 자료를 조사 및 비교하여 문제점 파악과 함께 활성화 방안 도출을 하였다. 무역금융산업 내에서 블록체인기술의 금융시장 적용 및 규제 현황을 살펴 본 결과 블록체인 기술 도입의 한계로는 다음과 같은 관리적, 법․제도적, 기술적 측면의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관리적 측면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 인력의 부족이다. 둘째, 비용에 대한 부담이다. 셋째, 이해관계의 충돌이다. 법․제도적 측면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계약의 법적 효력이다. 둘째, 암호화폐의 모호한 법적 분류이다. 셋째, 개인정보보호 문제이다. 넷째, 법규상 근거 및 책임에 대한 사항의 규제이다. 기술적 측면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의 미비이다. 둘째, 시스템의 불안정성이다. 셋째, 결제의 불완전성이다. 넷째, 스마트계약의 문제이다. 다섯째, 시스템 상호간의 호환성 문제이다. 여섯째, 보안 위협문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금융산업내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활성화 방안으로 관리적, 법․제도적, 기술적 측면의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먼저 관리적 측면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계 조성 및 국제협력 지원이다. 둘째, 책임소재 투명화이다. 셋째, 정부 서비스 혁신이다. 넷째, 금융당국 및 기업의 대응이다. 법․제도적 측면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화 문제 검토이다. 둘째, 법·제도적 문제 검토이다. 기술적 측면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개발 지원이다. 둘째, 스타트업 지원 및 기술 제휴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긍정적인 전망과 함께 빠르게 확산되고는 있으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실제의 비즈니스에 적용되기까지는 아직은 많은 한계가 따른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은 향후 기업의 경영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영향력 있는 혁신 기술분야 임에는 틀림이 없다. 본 연구를 통해 국가별 금융산업 내에서 블록체인기술의 적용 및 규제 현황에 대하여 재조명한 뒤 금융산업 내에서 블록체인기술의 적용 및 규제의 문제점 및 혼란을 신속하게 정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nies are introduc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and promote innovation. Among them, blockchain technology has been evaluated as the core and destructive technology of future industries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Blockchain is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as an innovative technology that will lead the future throughout the industrial sector a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odern society facing the 4th industrial age, it is necessary to prepare quickly for each industrial field according to the times. In particular, it must be able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financial market by accurately recognizing and examining the technology concept of blockchain. Blockchain technology is not only a technology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tire industry in that it can be traded without a trust broker, and it is expected to be introduced naturally throughout our lives. In this study, in order to revitalize blockchain technology within the trade finance industry, data on the application and regulation of the financial market of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financial industry by country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identify problems and to derive the revitalization pla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pplication and regul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trade finance industry, the limitations of the introduc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clude the following administrative, legal, institutional and technical aspects. The management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hortage of skilled workers. Second, the burden on costs. Third is a conflict of interes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are as follows. First is the legal effect of smart contracts. Second is the ambiguous legal classification of cryptocurrencies. Third, privacy issues. Fourth, the regulation of matters on grounds and responsibilities under the law. The technical problem is as follows. First is the lack of standards. Second is the instability of the system. Third, incomplete payment. Fourth, smart contracts are a problem. Fifth, there is a compatibility problem between systems. Sixth, security threats. In this paper, I proposed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terms of management, legal, institutional, and technical aspects to activate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financial industry. The management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ecosystem creati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upport. Second, transparency in responsibility. Third, government service innovation. Fourth, response of financial authorities and companie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are as follows. First is the review of standardization issues. Second is the review of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The technical aspects of activation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for technology development. Second is startup support and technology alliances. Blockchain technology is rapidly spreading with a positive outlook, but there are still many limitations until the blockchain network is applied to the actual business. However, blockchain technology is an influential innovation technology that can change the business environment of a company in the future.

      • 한국, 중국, 이란 태권도 선수의 규정개정적응령 비교

        장철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 태권도 규정개정의 적응에 따른 성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2018년 아시안게임에 출전한 한국, 이란, 중국의 태권도경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태권도 결승과 준결승에 진출한 세 나라 선수들의 기술별 사용 횟수와 사용률, 유효 공격률, 득점 상황 등에 대해 각각 자세한 분석을 진행하였고, 도출한 데이터와 영상을 통해 각 나라의 기술 체계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나라의 데이터에 대해 비교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의 선수들이 회전동작 기술을 사용할때 점수가 뒤처진 측의 선수가 회전동작 기술을 사용하는 전체 수량과 단일 기술 횟수가 가장 많고(69.84%), 점수에서 뒤처진 나라의 선수가 회전동작 기술을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회전동작 점수를 강화한 규정개정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점수가 뒤처진 측은 회전동작 기술을 통해 점수 차이를 줄이거나 심지어 상대방을 초과하려 하였다. 점수가 앞선 선수는 회전동작 기술을 비교적 적게 사용하였는데 앞서고 있는 선수들은 우위를 유지하고 우승하기 위해 회전동작 기술을 무리하게 사용하지 못하고(9.52%), 무승부일 때 선수들의 회전동작 기술 사용량은 보통이며 특징이 그다지 뚜렷하지 않다. 둘째, 한국 선수들은 회전동작 기술의 처리에서 다른 나라에 비해 더욱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선수들은 회전동작을 사용할 때 능동적 공격(42.86%)을 선호하여 우위를 확대하지만 다른 나라 선수들은 점수가 뒤처진 상황에서 점수를 만회하기 위해 많이 사용한다. 영상 자료를 통해 한국 선수들은 득점 상황으로 인해 회전동작 사용에 영향을 주거나 하지 않고, 무리하게 점수를 만회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보다 회전동작 기술을 사용하는 적절한 기회를 더욱 중요시하였다. 셋째, 모든 선수들이 패널티에 의한 득점과 실점 상황이 있는 것을 알수 있고, 그중 전체 실점 경기수 비율이 가장 큰 나라는 이란으로 50.00%에 달한다. 중국은 전반적으로 무득점 무실점 비율이 높고 뚜렷한 특징이 없다. 전체 득점 경기의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는 한국으로 46.67%에 달하였다. 또한 정팔각형의 경기장에서 한국 선수들의 아웃사이드 횟수는 다른 나라에 비해 더욱 적었다. 넷째, 한국 선수들은 소극적 행위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경기 중 소극적 행위의 감소로 인해 한국 선수들의 경기가 다른 나라 선수보다 더욱 치열하게 이루어졌고, 선수들이 경기 과정에서 먼저 공격하는 횟수가 더욱 많아 큰 점수 차이로 끝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한국 선수들의 패널티 득점 비율이 3개국에서 가장 높아 18.11%에 달하였다. 이는 한국 선수들이 규칙에 대한 깊은 이해능력을 반영하였다. 이란과 중국도 패널티를 통한 득점 상황이 있으나 모두 작은 점수로 앞섰고 한국 선수는 패널티를 통해 3점 이상을 앞선 경우만 해도 5회가 넘었다. This paper will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Repertoire improvement of Chinese athletes by making analysis on Korean, Iran and Chinese athletes’ adaptability of Taekwondo Rules in 2018 Asian Gam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 repeated observations of videos and detailed statistics of usage count of technique, frequency, effective hit percentage and points of athletes from three countries in finals and semi-finals of Taekwondo Competition have been conducted, which has involved analysis of Taekwondo Rules in 2018 Jakarta Asian Games. Then, analysis on different Repertoires of three countries have been made by analyzing data and watching videos. At last, suggestions for further training of Chinese athletes have been advanced after comparison of data from these countries and summaries of conclusion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when using rotary kicking technology in all countries except South Korea, the overall and individual number of rotary kicking techniques used by the players in the backward side is the largest (69.84%), and the players in the backward side are more active in using rotary kicking techniques. The role of the rules in increasing the score of rotary kicking technique is embodied. The scoring laggard tries to be close to, equalize or even surpass his opponent by means of rotary kicking techniques. When the score is in the lead, the athletes use the least rotary kicking techniques. The players who are in the dominant position do not dare to use the rotary kicking technique blindly (9.52%) in order to keep the advantage and win. In the draw, the number of players using rotary kick ing techniques is in the middle, and the characteristics are not obvious. Secondly, Korean players are more active in dealing with rotating technical movements than other countries. Korean players tend to take the initiative in attacking and expanding their advantages (42.86%) when using rotating movements, while other countries are more interested in remedying the deficit and catching up with the deficit.Comprehensive image data found that Korean players will not affect the use of rotary kicking techniques because of the score situation. Korean players pay more attention to the reasonable timing of the use of rotary kicking techniques than seeking to make up for the difference blindly. Thirdly, all athletes win or lose points through the penalty mechanism in the competition field.The country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total loss points is Iran, reaching 50.00%. In general, China has the highest percentage of scoring without gains and losses, and has no obvious characteristics. The highest percentage of scoring scores is Korea, which reaches 46.67%. On the octagonal arena, Korean players are less likely to cross the boundaries than other countries. Fourthly, Korean players almost have no evasion of negative behaviors. The decrease of negative behaviors in the competition makes the competition of Korean players more intense than that of other countries.The number of active attacks of athletes in the confrontation is more, which also results in many large scores. The percentage of Korean players'scores from penalties i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countries, reaching 18.11%. This reflects the deep understanding of the rules of Korean players. Although Iran and China also have the scores by penalties, they are leading by a small score.But there are five games with a big score difference of Korean players leading by more than three points through penalties.

      • 개인-직무 적합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철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혁신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의 특정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혁신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직무 적합성이 높을수록 혁신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신입 및 경력사원을 선발하고 배치할 때 사람과 직무의 적합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직무만족 향상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 코스닥 기업의 주식회전율이 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장철 군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turn-over ratio can improve the earning quality in KOSDAQ firms. The study sets the hypotheses that 1) The turn-over ratio increasing firm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s 2) The turn-over ratio increasing firm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discretionary accruals. To test this hypotheses, I estimate discretionary accruals by using Dechow et al.(1995) model and Kothari et al.(2005) model. The test samples consist of 1,894 firm-year from the KOSDAQ listed companies of over 2011~2015.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did not find a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 turn-over ratio and the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s. Second, I found a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 turn-over ratio and the discretionary accruals of Dechow et al.(1995).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portunistic behavior of managers through stock turn-over ratio.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ock turn-over ratio of KOSDAQ listed companies. More rigorous review is required in future studies. keywords : Turn-over Ratio, Earning Quality, Discretionary Accruals 본 연구에서는 코스닥 기업의 주식회전율이 이익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KOSDAQ 기업 중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주식거래량을 분석하여 주식회전율 자료를 Dechow et al.(1995)의 수정존스모형과 Kothari et al.(2005)의 성과통제모형을 사용한 재량발생액의 절대값(|DA|)과 재량발생액(DA)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식회전율이 증가할수록 이익조정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 둘째, 주식회전율이 증가할수록 이익의 질은 수정존스모형에서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과통제모형에서는 유의적인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지분율에 의한 특정시점의 이익조정에 대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주식회전율을 통해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행태를 제한하는 역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KOSDAQ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주식회전율을 분석한 제한적인 연구로 진행하였다. 추후 진행되는 연구에서 더 엄격한 검토가 요구된다. 한글색인어: 주식회전율, 이익의 질, 재량발생액

      • DUR 시스템에 대한 중복예외처방 사유 분석

        장철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DUR 시스템에 대한 중복예외처방 사유분석으로 인한 새로운 사유코드제시

      • 플라스마 방전 및 필터를 이용한 악취제거

        장철 인천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odor generated from landfill and household garbage, and to reduce it. Living with odors that cause disgust often causes undesirable effects such as lowering the quality of life, and deepening the NIMBY phenomenon of the community including various stresses. Odors are compounds such as hydrogen sulfide, ammonia, mercaptans, trimethylamine, and amines, which are the byproducts that accompany the decay of food waste in protein or carbohydrate deodorants. These compounds are odors that cause discomfort and disgust. The odor is complex phenomenon that usually appears as a mixture of various components. Odors from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leachate from waste treatment facilities are not only affecting workers in the workplace, it generates disgusted feelings to the residents, which has an impact of life and becoming the main object of the civil complaint. Despite this reality, it is reported that the number odor removal facilities are lacking and the deodorization effect of existing odor removal facilities are also very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odor removal technolog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dor removal effect using surface discharge plasma technology and accessary filters. In this study, the active radical R* generated by the plasma discharged from the tungsten discharge electrode 1.0mm and 10 times rounding coil was reacted with odor gas such as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in the SPCP (Surface Induced Plasma Chemical Process) reactor. Then the degree of decomposition of the odor was measured by using an OMX-ADM meter, and sample odor gas was introduced with base gas (N2:Air = 50:50) to the reactor. The experimental parameters were power frequency, gas flow rate (concentration), reactor service time (order), and filter type. As a result of the study from measuring the generation of odor by the activated radical in SPCP reactor concerning the odorless air (N2:Air = 50:50), the highest ozone odor generation was identified in the 0.6 LPM low flow rate condition and the frequency of 20 kHz band. Experimental results for standard gas with various frequency of SPCP reactor showed that the best decomposition effect was appeared when SPCP plasma was applied at 20 kHz frequency band.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specific frequency with a high decomposition ra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odor gas. The ozone generation is selectively increased in a frequency of 50 kHz more and the improvement effect is reversed in the high voltage region. As a result of decomposition by the concentration of complex odor of food waste with gas flow rate (concentration), the odor removal rate was higher when the input flow rate (concentration) of odor gas was low in the frequency. Whe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of SPCP reactor system are 20 kHz frequency, complex odor gas flow of 1LPM, silica filter in the front side of reactor and pre-service of reactor rectifier before feeding gas; the best odor removal performance was found in result of all experimental conditions. This is an important result that enables the surface plasma discharge reactor to be operated with good efficiency under optimal conditions in the actual operation of the facility. The decomposition of odor is started at 3000V for decomposing odorous gas, when the pre-treatment silica filter is used.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cess variable for SPCP reactor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to efficiently reduce utility cost (energy) of odor gas which is generated by actual food waste, and improve odor decomposition treatment technique. 본 연구는 쓰레기매립지와 생활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고 이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혐오감을 유발하는 생활악취는 삶의 질을 저하하고, 지역사회의 NIMBY(Not in my back yard)현상을 심화시키며 여러 가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작용을 유발한다. 악취는 보통 단백질이나 탄수화물 등 의 음식물류 폐기물의 부패에 수반되어 발생한 부산물인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르캅탄류, 트리메틸아민 및 아민류 등의 화합물로 이들 화합물이 후각에 작용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이다. 악취는 보통 한가지 성분의 작용이라기보다는 여러 가지 성분이 섞여 나타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폐하수처리장, 축사 및 분뇨처리장, 쓰레기처리시설의 생활폐기물과 침출수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작업장 내 근로자 뿐만 아니라 시설인근지역의 주민들에게 불쾌감을 주며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대기관련 민원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다[1]. 이러한 현실에 불구하고 악취관련 제거시설은 매우 부족하고 기존 악취제거시설의 탈취효과도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효과적인 악취 탈취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악취가스의 악취제거를 위한 방식으로 연면방전플라스마를 이용한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실험에서 3가지 종류의 시료물질이 분석되었는데 무취공기, 표준가스(3종류), 음식물류 폐기물 악취가스 에 대하여 단계별로 SPCP 반응기의 운전조건을 변경하면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실험을 위해 제작된 텅스텐방전전극 Ø1.0 ㎜ 에 전극 감은수 10회의 연면플라스마 방전반응기 (SPCP : Surface induced Plasma chemical process)에서 방전시킨 플라스마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라디칼 R*을 음식물류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복합악취물질인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등의 악취물질에 작용시킨 후 악취의 분해도(악취강도)를 OMX-ADM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음식물류 폐기물 복합악취 가스분석에서 N2와 Air를 5:5로 혼합한 기저가스(Base Gas)와 악취시료가스를 SPCP 반응기에 의한 플라스마(Plasma)법으로 분해처리하는 실험으로 주파수, 농도, 필터와 SPCP반응기의 가동시기 등을 변화시켜 악취가스의 분해제거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무취공기에 대해 SPCP 반응기에서의 활성라디칼에 의한 오존성 악취생성을 측정한 결과 0.6 LPM 저유량조건과 주파수 20 ㎑ 대역에서 가장 높은 악취생성도를 확인하였다. SPCP 반응기 공급전원의 주파수별 악취가스 분해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3종의 표준가스와 실제악취가스 모두 OMX-ADM으로 측정한 결과 주파수 20 ㎑ 대역에서 SPCP 플라스마를 작용시켰을 때 분해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는 악취가스의 특성에 기인한 분해율이 높은 특정주파수가 존재하며 50 ㎑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오존의 발생이 선택적으로 증가하여 개선효과가 고전압 영역에서 역전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악취물질의 농도에 따른 분해반응결과 악취가스의 투입유량이 낮을수록 악취제거율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SPCP반응기의 운전조건을 주파수 20 ㎑, 복합악취의 유량을 1 LPM으로 하고 연면플라스마 방전반응기 전단에 실리카(Silica) 필터를 추가한 후 정류기(RF)를 가동시켜 고전압을 연면플라스마 방전반응기에 투입 플라스마를 발생시킨 상태에서 악취가스를 SPCP반응기에 공급하는 운전방법이 전체 실험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악취제거성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설비의 실제 운전시 악취가스 분해를 위한 연면플라스마 방전반응기의 효율을 최적의 조건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결과이며 전처리 실리카 필터를 사용하였을 때 악취의 분해가 3000V에서 개시되는 것으로 가장 우수한 에너지효율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공정변수는 SPCP 를 사용한 실제 음식물 악취가스 분해처리 시 효율을 제고하며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며 이를 위한 실규모 연구와 검증을 통해 악취저감기술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