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후 변화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장준용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 변화와 관련된 환경 프로젝트 수업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태도, 환경적 소양 변화에 중점을 두고 프로젝트 수업 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전담교사가 과학 수업을 하는 울산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74명으로서 환경 프로젝트 수업 전과 수업 후에 각각 같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 태도, 환경 소양의 3가지 영역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를 위해 수업 후 학생들의 생각 및 느낀 점을 같이 서술 받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프로젝트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한 결과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후변화 프로젝트 수업은 환경 소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부적으로는 환경 소양을 구성하고 있는 환경 태도 및 가치, 환경 친화적 행동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환경 감수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라고 판단할 수 없었다. 다만 해당 학생들의 느낀 점을 받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학생들의 응답에서 프로젝트 수업이 환경 감수성과 전혀 연관이 없었다고 할 수 없으며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환경 감수성이 증대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환경 태도, 환경 친화적 태도, 환경 감수성을 종합하여 환경 소양의 영역에서 분석하면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기후변화 프로젝트 수업은 초등학생에게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환경 소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가 실생활과 연관된 기후위기 문제를 직접 탐색하고 해결하는 프로젝트 학습은 학생에게 기후 위기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하게 하고, 해결 및 실천 의지를 고양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환경 소양(환경 태도 및 가치, 환경 친화적 행동, 환경 감수성)의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학교스포츠클럽에 참가한 중학생의 스포츠몰입경험과 학교생활만족도 연구

        장준용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3년부터 새롭게 시행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스포츠몰입경험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스포츠클럽활동 참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국내 선행연구에서 설문지를 신뢰도와 타당도검증을 실시하여 사용했던 도구를 가운데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변인에 따라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특성에 따른 스포츠몰입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3가지인 성별, 학년, 학업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다. 성별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에는 1학년보다 2, 3학년의 스포츠몰입경험 부분에서 높게 나왔으며 학업수준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학생들의 자기목적적 경험, 수업에 대한 몰두가 간접적으로 높게 나왔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학교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4가지 교사만족, 교우만족, 학습만족, 자기만족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활동적이기 때문에 친구들과 어울리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함께 보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학년에서는 1학년보다는 2, 3학년이 학교적응력이 향상되어 학교생활만족도가 더 높게 나왔고 학업수준에서는 정서적요인으로 선생님과 친구와의 관계가 학업수준에 주요한 영향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이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몰입이 학교생활만족도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포츠 몰입한 학생이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 대한 자연스러운 형성을 통해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나타나고 있다.

      • PBL 교수법이 배구학습에 미치는 영향

        장준용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PBL teaching method 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y women's volleyball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validity and effects of PBL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y volleyball courses. Accordingly, 79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compared with their practical scores, learning motivation, comprehensive ability, class satisfaction, and comprehensive performance. As for the experimental design, two group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ll be selected to conduct classes for 12 weeks. The class content, class environment, teacher competency, and class prog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ll all be set to the same content, and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conducted with the PBL teaching method, and the control will be conducted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learning motivation, comprehensive ability, and class satisfa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tudents. All collected data will be organized and inducted using Excel, and data will be analyzed using SPSS 20.0 software. Two-way ANOVA will be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 time achievement of the two teaching methods. If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bonferroni verification will be used for post-verification.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s will be set to α = .05.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BL teaching method and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group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ss technical scores, receiving technical scores, and serve technical scores. Second, interest was 12.21±2.17 in the PBL teaching method group, 10.43±1.77 i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group, and the independent t-verification result was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BL teaching method group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valuation ability, problem analysis ability, and teamwork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urth, class satisfaction of the PBL teaching method was high,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fth, the PBL teaching method was higher in theoretical grades, the PBL teaching method group was higher in the case of comprehensive grades, and both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udies have shown that PBL teaching method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learning interests and students' overall ability, and its teaching effect is superior to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n mastering basic skills and obtaining final grades in volleyball. Therefore, volleyball teachers can choose and teach PBL teaching methods, and teachers of various subjects and types should continue to seek teaching methods that can accelerate the reform of teaching methods, meet the needs of society's talent development, and produce better teaching effect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여자 배구 교육에서 PBL 교수법과 전통 교수법의 효과를 비교하고 대학 배구 과정에서 PBL 교수법의 타당성과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에 중국 여자 대학생 79명을 대상으로 경기기술 실기점수와 학습동기, 종합능력, 수업만족도, 종합성적을 비교하였다. 실험 설계로는 실험군과 대조군 2그룹을 선정해 12주간의 수업을 진행하였고, 수업 내용, 환경, 교사 역량, 수업 진도는 모두 같은 내용으로 선정하여 실험군은 PBL 교수법, 대조군은 전통 교수법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학습 동기, 종합적인 능력, 수업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했다. 수집된 모든 데이터는 엑셀(Excel)을 사용하여 입력 및 데이터 전처리를 하였으며 SPSS 20.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두 교수법의 집간 * 시기간 상호작용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2-way ANOVA)을 실시하였고, 학습 전 두 집단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스 기술과 리시브 기술, 서브 기술 점수에서 PBL 교수법이 효과적이었다. 둘째, 수업 흥미는 PBL교수법이 효과적이었다. 셋째,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평가 능력, 문제분석해결 능력, 팀워크 능력은 PBL 교수법이 효과적이었다. 넷째, PBL 교수법의 수업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이론성적과 종합성적은 PBL 교수법이 효과적이었다. PBL 교수법은 학생들의 학습 흥미 및 학생들의 종합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교수법의 교수 효과는 배구의 기초 기술의 숙달과 최종 성적 획득에 있어 전통의 교수법보다 효과적이었다.

      • (A) Study on Efficient Signal Processing Schemes for Massive MIMO Systems

        장준용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5세대 무선통신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이 높아짐에 따라 대규모 Multiple-Input and Multi-Output (MIMO)가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대규모 MIMO 시스템에서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는 기존 송수신 기법 구현은 실용적이지 못하게 되었으며 복잡도 감소는 실질적인 구현 과제로 제기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구현 복잡도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첫째, 본 논문에서는 하향링크 대규모 MIMO 시스템을 위한 가우스-자이델 (Gauss-Seidel, GS) 알고리즘에 기반 새로운 프리코딩 기법을 제안한다. GS 알고리즘은 행렬 반전을 반복적으로 근사하고 몇 번의 반복으로 Zero-forcing (ZF)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ZF 프리코더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프리코딩 프로세스의 전체 복잡성이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공간적 상관관계가 있는 실제 조건에서 GS 알고리즘이 ZF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반복이 필요하며, 복잡성 문제가 다기 제기된다. 적은 반복으로 효율적인 근사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Weighted GS (WGS)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근사 성능 향상으로 수렴을 가속화하는 가중치는 최소 자승 (Least Square, LS) 방법으로 계산된다. 그 후, GS 알고리즘의 각 반복마다 다른 가중치가 적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LS 방법의 복잡도를 추가 고려하며 효율적인 가중치 계산 방법을 적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공간적으로 상관된 채널에서 다양한 근사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프리코더와 비교하여 더 적은 반복에도 제안된 방식의 비트 오류율 (Bit error rate, BER) 성능이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둘째, 본 논문에서는 6세대 무선통신의 주요 기술인 딥 러닝 (Deep Learning, DL)을 이용한 새로운 반복적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검출기법은 DL 알고리즘과 SOR (Successive Over Relaxation)의 근사화 알고리즘을 결합한 것이다. 기존의 DL 기반 Orthogonal Approximate Message Passing network (OAMPNet) 탐지 기술은 높은 탐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대규모 MIMO 시스템에서 구현하기에는 계산 복잡도가 너무 높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제안하는 검출기법은 복잡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OR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SOR의 이완 매개변수는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다. 높은 신뢰성을 달성하기 위해 DL 알고리즘 기반 비선형 추정기를 SOR 알고리즘과 결합한다. 송수신단 안테나의 수와 관계없이 DL 구조의 크기만이 계산 복잡도를 결정하므로 제안하는 추정기는 대규모 MIMO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된 검출기가 선형 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검출기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공간 상관관계가 있는 다양한 채널 환경에서 OAMPNet 보다 낮은 복잡성으로 높은 신뢰성을 달성함을 보여준다.

      •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확대를 위한 동의제도 개선방안 연구

        장준용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ocu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s on regulating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s who provide consent by drafting and presenting consent forms, neglecting the perspective and will of the information subject providing consent. The theoretical and legal basis of the consent system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lies i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Many countries, including our own, adopt consent legislation as a core means of implement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real world. However, despite this, there is a lack of legislative interest in exploring what the will of the information subject providing consent is, as evidenced by the absence of a definition provision for consent in our laws. There is also insufficient legislative attention to encouraging active exercis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subject, such as through negotiation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s regarding the content of consent form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not merely a right existing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the early stages of the formation of this right, it was strongly characterized by a passive nature, emphasizing control over the collection, use, and disclosure of one's personal information against one's will, intertwined with the secrecy of private life, freedom, and personality rights. However, in modern society where personal information exposed or provided online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one's public image as perceived by others, the active natur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as become more prominent. In other words, despite personal information being processed without the consent or against the will of the information subject, if the information subject is unaware of such facts or, even if aware, cannot participate in the processing process, determining the purpose of processing, the scope of recipients, and the elements of personal information being processe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may lead to the creation of a personality that differs from the actual self or unintended by the individual. To address these issu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personal information legislation to incorporate the active aspect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llowing information subjects to decide for themselves what personal information to disclose, to whom, and to what extent, thereby controlling the formation of their own personality through the consent system that permits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Consent is considered a right of formation and a unilateral act with disposit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even though the internal intention behind saying "I agree" is externally expressed in the form of a "consent form," the actual meaning of that consent is often unclear. For instance, in the case of consent for data sharing, it is not always evident whether the internal intention is a "permission for sharing" or an "instruction to share." In practical transactions, individuals providing consent often do so without reading the consent forms, making it challenging to ascertain the true intention behind their consent. Even when examining consent provisions in consent forms used in transactions and those stipulat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t is not always easy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consent. The reason is also because the intentions of the data controller, who creates and presents the consent form, are not clearly defined. Nevertheless, despite these challenges, understanding the intention behind consent and making it more transparent through the consent system is meaningful not only in terms of individual autonomy but also in the dimension of information sovereignty. This process contributes to the substantiation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espite the acknowledgment that the consent system is a key means of implement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 notable deficiency in our legal framework lies in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right, particularly the aspect of active involvement and control by the information subject in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considered foundational material for the formation of social personality—are not adequately reflected in the consent system. Even with recent amendments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information subject remains in a passive and passive position during the consent process. To enhance the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information subject in the consent process,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consent system with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clude: 1) Introducing a definition of consent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by information subjects in the consent process, 2) Ensuring clarity in the expression of intent by data controllers presenting consent forms, thereby making the consent intentions of information subjects clear., 3) Guaranteeing the right to choose for individual consent items within the consent form, 4) Introducing an unfairness review system for consent forms to allow post-consent control by information subjects, 5) Allowing for the addition of other consent items, such as the duration of consent and benefits resulting from consent, beyond legal requirements, 6) Ensuring the right to access consent forms created by individuals and safeguarding intervention rights, such as changing consent items, even after giving consent, 7) Proposing the allowance of one-click consent and exempting sanctions for broad consent based on free will. It is expected that these measures will mak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more concrete and practical, providing a clearer manifestation of this right in reality. 개인정보법은 동의서를 작성하여 제시하는 개인정보처리자를 규제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동의를 하는 정보주체의 입장과 의사는 소외되어 있다. 개인정보에 관한 동의제도의 이론적ㆍ법적 근거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이며,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현실 세계에서 구현하는 핵심 방식으로 우리 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들이 동의 법제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우리 법률에서 보듯이 동의에 관한 정의 규정을 두지도 않는 등 정보주체의 동의 의사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데에는 소홀하거나, 동의서의 내용에 대하여 개인정보처리자와의 협상 등을 통해 정보주체가 동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하여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도록 하는 등에는 입법적 관심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은 단순히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권리만은 아니다. 이 권리 형성의 초창기에는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또는 인격권과 맞물려 자신의 개인정보가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수집ㆍ이용, 제공되는 것을 통제하는 소극적 성격이 강하였지만, 온라인에 노출되거나 제공되는 개인정보에 의하여 타인이 바라보는 자신의 인격상이 형성되는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의 적극적 성격이 부각되고 있다. 즉, 개인정보가 정보주체의 의사와 관계없이 또는 의사에 반하여 처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사실을 정보주체가 모르고 있거나, 알더라도 자신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제공받는 자의 범위, 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등 처리 과정에 정보주체가 참여할 수 없게 된다면 개인정보 처리에 의하여 실제 자신과는 다른 자신 또는 본인이 의도하지 않은 인격상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보주체 스스로 어떠한 개인정보를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제시할 것인지를 스스로 결정하여 자신의 인격상 형성을 통제할 수 있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의 적극적 측면이 개인정보의 처리를 허용하는 동의제도에 구현되도록 개인정보 법제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의는 형성권이며 단독행위이자 처분행위적 성격을 갖는 의사표시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동의한다’는 내심의 의사가 ‘동의서’라는 형태로 외부에 표현되기는 했지만 그 동의 의사가 무엇인지는 뚜렷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제공동의의 경우 이 내심의 의사가 ‘제공해도 좋다라는 처분의 허락’인지 아니면 ‘제공하라는 지시의 성격’인지가 명확하지 않다. 실제 거래계에서 동의를 하는 정보주체들은 동의서를 읽지 않고 동의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동의 의사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거래계에서 사용되는 동의서 및 「개인정보 보호법」에 규정되어 있는 동의 규정들을 살펴보아도 이 동의의 의사가 무엇인지는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이는 동의서를 작성하여 제시하는 개인정보처리자의 의사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기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의 의사를 파악하여 그것이 동의 제도를 통해 잘 드러나게 함으로써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더욱 실질화하는 것은 정보 주권의 차원에서도 의미 있는 일이다. 동의제도가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구현하는 핵심 수단이라고 하면서도 그 권리의 특성 중 사회적 인격상의 형성에 기초자료가 되는 개인정보의 처리 과정에서 정보주체가 적극 개입하고 처리과정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과 일종의 자기표현권적 성격이 동의제도에 투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우리 법제의 미흡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의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동의 과정에서 정보주체는 여전히 소극적ㆍ수동적 위치에 있다. 동의 과정에 정보주체가 적극적ㆍ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의 제도 개선방안으로 「개인정보 보호법」에 동의의 정의 규정을 신설하는 방안, 동의서를 제시하는 개인정보처리자의 의사를 명확히 드러내도록 하여 이에 동의하는 정보주체의 동의 의사 역시 명확히 하는 방안, 동의서 내의 개별 동의 항목에 대한 선택권을 보장하는 방안, 동의서에 대한 불공정성 심사제도를 도입하여 사후통제를 허용하는 방안, 법정사항 외에 동의의 효력기간이나 동의를 함에 따른 혜택 등 다른 동의사항의 추가를 허용하는 방안, 본인이 작성한 동의서의 열람권 보장 및 동의한 이후에도 동의 항목 변경 등 개입권을 보장하는 방안, 일괄동의(One-Click consent)를 허용하는 방안 및 자유로운 의사에 의한 포괄동의(broad consent)에 대하여 제재를 면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이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 권리로서 그 모습을 뚜렷하게 드러낼 것으로 기대한다.

      • 토지이용 및 보행자 특성을 고려한 신호시간 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장준용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의 보행 신호시간 산정방법은 보행자의 행태 및 보행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고정된 보행속도 및 여유시간을 보행신호시간에 적용하고 있다. 그 결과 보행자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으며, 횡단보도내 교통사고건수 또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안전성 확보와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보행신호시간 산정에 영향을 주는 보행속도 및 여유시간을 토지이용별로 세분화 하였다. 그리고 보행속도와 여유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차이를 규명하고 보완함으로써 새로운 국내보행신호시간 산정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3단계로 나뉘어 진행하였다. 첫째, 현장조사를 통하여 토지이용별로 보행속도를 조사하여 군집분석을 통하여 군집화하고 t-test를 통하여 군집간 차이를 검증하여 보행속도를 제시 하였다. 둘째, 여유시간을 세분화하여 인지ㆍ반응시간(t₁)을 조사하여 군집분석을 통하여 군집화하고 t-test를 통하여 군집간 차이를 검증하여 인지ㆍ반응시간(t₁)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횡단보행자수(N)가 많거나 폭(W)이 좁거나, 횡단보도의 길이가 짧을수록 혼잡지체시간(t₂) 증가하는 감안 단순회귀분석 통해 혼잡지체시간(t₂) 산정 모형식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신호시간 산정모형의 경우 토지이용과 가로횡단 특성 고려가 미흡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시도를 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현장에서 적용해 본다면 향후 보행자들의 안전성과 이동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Presently, Pedestrian signal time model is not considering the type and speed of pedestrian, but applying fixed pedestrian speed and spare time. Especially, in case of spare time, only 4-7 seconds are applied without considering crowdedness and confliction. This insufficient pedestrian crossroad crossing term is threatening the safety of pedestrians, and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 during crossing pedestrian crossroad is continually increasing. Thus, this study is suggesting a pedestrian signal time model which is suitably reflecting crossing environment with subdividing and supplement of crossing speed and spare time along property use, transverse crossing characteristics which influences to speculation of crossing signal term for securing the safety and modifying pedestrian environment during the moving of pedestrians.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3 levels. Firstly, sit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pedestrian speed and spare time considering property use and transverse crossing characteristics. Secondly, Spare time were suggested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with clustering the characteristics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t-test on surveyed pedestrian speed, perception-reaction(t₁). Thirdly, speculation model equation of congestion delay time(t₂) was derived and suggested which is able to describe the phenomenon which causes increment of crowdedness delay time(t₂) owing to a large number of crossing pedestrians(N) or narrow width(W) while pedestrians are crossing pedestrian crossroad. Conclusively, Pedestrian signal time model is suggested which is able to consider pedestrian type, property use and transverse crossing characteristics with suitable reflecting of 3 factors organizing the speculation of pedestrian signal term as mentioned above. The application of suggested model in this study to the sit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he safety and mobility during crossing pedestrian crossroad of pedestrians in the future.

      • 주형 합성법을 이용한 펜톤반응용 철 촉매 나노 구조체의 제조에 관한 연구

        장준용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Fe-catalyst for Advanced Oxidation Processes(AOPs) were prepared using FeSO_(4)·7H_(2)O and Fe_(2)(SO_(4))_(3)·xH_(2)O as a starting material. Fe-catalyst increased a surface area was made. Fe-catalyst will use the Fenton reaction. The template method for preparing nanostructures entails synthesis of the starting material within the pores of a nanoporous membrane. Template membranes used porous alumina and track-etched polycarbonate membrane. Two membranes have diameters of about 200 nm. A nanostructure of the desired material is obtained within each pore. Finally, the tubular or fibrillar nanostuctures synthesized within the pores can be freed the template membrane. The analysis was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EDAX), X-ray diffraction(XRD)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meter(XPS).

      • 한의과대학생의 사상체질별 학업스트레스 반응 연구

        장준용 大田大學校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Modern people are afflicted with many stressful events, which may put their health at risk. Individuals may respond differently to the same stress because each person has different genetic background and characters that may affect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stres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asang Constitution ( Taeyangin, Taeumin, Soyangin and Soumin) affect stress responses in highly stressed oriental medicine college students and how Sasang constitution is related with the stress responses. Questionaries were given to 76 students who majored in oriental medicine. I processed 'University students Stress Scale', 'Medical Stress Scale' and selected 30 students who got more stressed than the median of all the participants. And I processed 'QSCC II (Questionna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and 'Scale for the Stress Response'. The result showed that Sasang Constitution appears to affect stress responses of the oriental medicine college students although the stress level (2.77) was similar to that of other medical college students (2.82) reported in a previous study. The Taeumin's group showed a strong intensity on anger but a low intensity on muscle tension and central neurological syndrome. The Soumin's group showed a strong intensity on depression and anxiety but a low intensity on anger.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ther Sasang Co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