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데알들의 비교가능성에 대한 연구

        장정숙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論文의 목적은 ideal의 comparability에 관한 몇 가지 성질들을 조사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문의 2節에서는 ideal들의 4가지 comparability condition과 chained ring의 정의를 소개하고, 그것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본다. 특히, 정리 2.1, 정리 2.3을 증명하였다. 3節에서는 를 정의하고, 4가지 comparability condition과 연계하여 의 성질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별히, 정리 3.3, 정리3.4, 정리3.8을 증명하였다. 4節에서는 을 갖는 環의 ideal의 comparability에 대해 알아본다. 특히, 정리4.5를 증명하였다.

      • (An) Analysis of English Complementation

        장정숙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work, T have at tempted to investigate the syntactic consequences of certain semantic properties of embedded sentences. It has been shown here that the analysis proposed by Kiparskys(1970), which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of semantics and syntax with respect to factive verbs and their complements presents an important insight into the interrelation between semantics and syntax of complementation.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other such semantic factors in the area of complementation which also have syntactic consequences. The major semantic factors which exhibit syntactic consequences were found to be some of the sentence types recognized by philosophors of language, i.e. propositions, facts, events, actions, and processes. The restrictions between matrix verbs and their embedded sentences were investiga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emantic framework. It was shown that there are restrictions between the class to which a matrix verb belongs and the types of embedded sentences(i.e. whether they are that clauses, gerundives with or without surface structure subject, infintives, or For-To structure) was found to be largely a surface structure reflex of the sentence type matrix verb allows. That is, it was shown that embedded propositions have the surface form of a that clause, while embedded events have the surface form of a gerund, and embedded actions have the surface form of subjectless gerund, or infinitives. These observations led to a proposal concerning the classification of matrix verbs. Matrix verbs are marked with features of the form e.g.[+_PROPN], [+_ACTN], [+_PROCESS]etc. The sentence type of the embedded sentence was correlated to a head noun describing that sentence type. That is, it was found tat embedded propositions take the head noun proposition, embedded events take the head noun event, embedded actions take the head noun action, etc. These head nouns were shown to have a number of syntactic consequences, such as the Complex NP Constraint, an explanation why gerundives cannot be extraposed, etc. There are some matrix verbs which do not allow the head noun proposition, and others which don't allow the head noun action : this fact was found to have certain syntactic consequences, such as the fact that the Complex NP Constraint does not aply, and the fact that these structures may be extraposed, etc. This fact led to a revision of the features on the matrix verbs to differentiate between embedded sentences which have a head noun in deep structure and embedded sentences which do notp : for embedded sentences having a deep structure head noun, the matrix verb is marked e.g. [+-NP[PROPN]], [+-ACTION], etc. and for embedded sentences not having a deep structure head noun, the matrix verb is marked e.g. [+-S[PROPN]], [+-S[ACTION]]. In conclusion, the analysis proposed here shows the need for different deep structures for different types of complements (i.e. propositions vs. events vs. Actions vs. processes etc.) on semantic grounds and shows then that different deep structures have exactly the appropriate syntactic consequences i.e. allow the grammar to prediet the syntactic behavior of the different types of complemeents.

      • 가치탐구 토의식 수업이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장정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치탐구 토의식 수업이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탐구 토의식 수업이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자기표현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둘째, 가치탐구 토의식 수업이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B광역시 소재 D중학교에서 정서·행동장애학생 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주 3회씩 총 20회기의 가치탐구 토의식 수업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가치탐구 토의식 수업은 Kohlberg의 토의식 도덕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단계에 따라 연구자가 정서·행동장애학생에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재구안한 것이며,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은 자기표현 평정척도와 자아존중감 평정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시계열 설계에 의해 연구를 설계하였으며, 학생의 변화된 모습을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탐구 토의식 수업은 자기표현방법 모델링을 통한 반복 연습 과정을 통해 정서·행동장애학생들에게 발표의 자신감을 갖게 해주고, 발표하면서 이뤄지는 반복된 성공 학습 경험을 통해 자기표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치탐구 토의식 수업은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자기표현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가치탐구 토의식 수업은 정서·행동장애학생들에게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계기를 제공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치탐구 토의식 수업은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치탐구 토의식 수업은 정서·행동장애학생들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value inquiry discussion style instruction on th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In order to accomplish such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how much different effects are made by value inquiry discussion style instruction on the self-expression of the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Second, how much different effects are made by value inquiry discussion style instruction on the self-esteem of the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In order to resolve the above questions, 2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were selected out of D middle school located in B city. After, the experiment group of 2 students were treated with value inquiry discussion style instruction during 20 periods, three times a week. Value inquiry discussion style instruction used in study was devised referred to Kolberg's teaching and learning stages for moral discussion instruction and redevised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Self-expression rating scale and self-esteem rating scale were used. The time series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tudents' improvement. The frequency of the students' alternation were coverted into a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group could have confidence in presentation through practicing repeatedly and self-expression remodelling. And repeated success-experience wa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on enhancing the self-expression ability. Second, the experiment group could set a high value on themselves through accomplishing their learning successively by solving the value inquiry questionnaire. As above, value inquiry discussion style instruction is suitable learning strategy to enhance th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현대 단편소설 선정 연구

        장정숙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has currently been conducted in local universit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as interest in the language has increased, more people overseas also want to learn it and the Korean cul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mportant to search for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 premise that language and culture are simultaneously imparted when teaching students, this study attempts to discuss Korean modern short stories in literature education as a potent method of teaching language and culture. The first question raised by the premise of the appropriateness of literature education is ‘What literary works should be taught?’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at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is limited to Korean modern short stories. In Chapter 2, literature education is divided into teaching literature for language education and teaching literature for culture education. The significance and meaning of each type of education we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need for using nove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presented,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using novel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es of th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analyses of teaching materials used by the five major universities namely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Kyung Hee University, and Sogang University, the need for using modern novels and the reasons for choosing modern Korean short stories were presented. In Chapter 4, based on the problems pointed out in Chapter 3, the criteria of choosing literary works as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established, and the results of choosing literary works based on the criteria were presented. The choice was made among modern short stories since the 1980s, particularly works that have received the Dongin Literary Award, Isang Literary Award, and Hyundai Literary Award. The selected literary works and the reasons why the works were chosen were presented. In Chapter 5, Park Wan-seo’s “Mother’s Stake”, which is included in the catalogue of chosen literary works was presented as a teaching guidance plan. Thus, a concrete teaching plan was presented so that it can be helpful for conducting literature classes. Literature education means teaching the language art called literatur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local educational system. Accordingly,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re are diverse ways of conducting classes. In this study, teaching materials were limited to modern short stories; in future studies, topic coverage should expand beyond just modern short stories and delve on diverse genres to include classical novels, poetry, and essays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은 현재 국내 대학기관과 사설기관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한국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려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어 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하여 고민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언어를 가르칠 때 언어와 문화를 동시에 가르치는 것을 전제로 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문학 교육’ 중에서도 한국 현대 단편소설 교육에 대한 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문학 교육의 당위성을 전제로 했을 때 가장 먼저 제기되는 문제는 ‘어떤 문학 작품을 가르쳐야 할 것인가’이다. 본 연구는 한국 현대 단편소설에 한정하여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문학교육의 필요성을 언어 교육을 위한 문학 교육과 문화 교육을 위한 문학 교육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각각의 필요성 및 의의를 언급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소설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교재 분석을 통해 소설 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경희대, 서강대 등 다섯 개 주요 대학에서 발간한 교재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현대소설의 필요성과 특별히 현대 단편소설을 선정한 이유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제재로서 문학 작품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작품의 선정 결과를 제시하였다. 1980년대 이후의 현대 단편소설 중에서 동인문학상과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을 받은 소설을 바탕으로 하였다. 선정된 작품 목록과 함께 작품이 선정된 이유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선정 작품 목록 중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 2」로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강의안을 제시하여 실제로 문학 수업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문학 교육은 문학이라는 언어 예술을 교육이라는 틀을 가지고 알리는 일이다. 따라서 수업을 진행할 때도 다양한 방법이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현대 단편소설에 한정하였으나 차후의 연구에서는 현대 단편소설을 넘어서 고전 소설, 시, 수필 등의 다양한 장르까지 확대하여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노인인력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장정숙 대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고령 인구의 추세에 비추어 21세기는 고령화의 시대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평균수명의 연장과 지속적인 출산율 감소에 따라 노인인구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이제 우리나라도 고령화사회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하는데 이에 따른 노인문제가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게 되었다.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노인문제가 가족문제의 차원을 지나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지금까지 우리사회에서 노인에 대한 일반적 이미지는 독립적이고 활동적인 존재라기보다는 남에게 의존하거나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부담을 안겨주는 존재로 여겨지고 있으며, 노화에 대한 이미지 역시 대체로 부정적인 고정관념에 깊게 뿌리 박혀 있다. 그러나 요즘은 65세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노인이라고 칭하기에는 어색할 정도로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노인들의 유휴인력활용을 활성화할 수 있을까 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노인인력의 효율적인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한 이론적인 배경으로 현대사회와 노인문제, 노인인력의 특성 및 활용의 필요성, 노인자원봉사 활동의 필요성 및 의의를 살펴보고 그 유휴인력을 자원봉사에의 참여로 이끌어내는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실제적인 연구 방법으로 조사대상자의 설문지를 SPSS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문제가 우리 사회에서 잠정적인 자원으로서 활용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자원봉사활동을 토대로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과제 및 발전방향을 1) 노인의 의식변화를 통한 자원봉사 동기 부여, 2) 노인자원봉사 전담기구의 설치·운영, 3) 노인자원봉사자 관리 체계의 확립, 4) 노인자원봉사의 구체적 프로그램 개발, 5)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재원 확보, 6)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정비의 구성으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그간의 산업화 과정에서, 노인인구층은 생산기술 및 생산체계의 변화에 따 라 요구되는 산업적 지식과 기술습득에서 뒤지게 되고, 사회적 역할을 상실한 노인들의 지위는 하락하게 되었다. 따라서 심지어는 사회 일각에서는 노인들 을 '힘없고, 아무 데도 쓸모 없는 사람' 취급까지 하고 있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최근 노인의 경험과 지식의 유용성에 대하여 새로운 인식을 가지고,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가지게 된 점은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하겠다.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노인들은 보다 풍요로운 노년기를 보낼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노인의 유휴 잠재인력의 활용은 사회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노인 자원봉사의 활성화는, 사회적으로 노인을 '복지서비스의 수혜자' 라는 인식에서부터 이웃을 위한 '복지서비스의 제공자' 라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며, 노인 자신의 자아 존중감을 제고시키게 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현세대 노인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역량을 조직화하고, 이를 사회와 이웃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경험을 쌓지 못하였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잠재적 노인자원봉사자를 발굴하고, 이들을 실질적 자원봉사자로 개발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 산의 조형적 특성과 표현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장정숙 가천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를 사는 우리들은 과학기술의 진보로 그 어느 시대보다 편리하고 윤택한 생활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 어느 시대보다 불확실하고 불안한 시대를 살고 있기도 하다. 경제적 성장과 과학적 발전은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예술의 아우라를 사라지게 하였다. 그리고 그 자리에는 세속적 자기 이해와 목적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계속해서 나는 누구인가라는 존재론적 문제를 제기할 수밖에 없다. 예술가들은 직관과 직접적 자기 체험, 즉 실존적 체험을 통해 그 답을 모색해 왔다. 예술가는 외부 사태를 통해 자신에 대한 이해에 이르려하기 때문이다. 회화의 역사가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한 것은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회화의 중심에는 언제나 자연이 있었다. 서양의 풍경화, 동양의 산수화가 대표적인 회화의 장르로 발전해 온 것은 당연한지도 모른다. 현대의 과학기술이 아무리 발전하였다고 해도 자연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은 없다. 키르히너는 회화란 ‘창조적 충동을 감추지 않고 표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창조적 충동의 순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렇다면 작가 스스로 창조적 순간이 일어나도록 만들어야 한다. 나로 하여금 용이하게 충동과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산이었다. 그래서 산을 주제로 작업을 하게 되었다. 산은 정중동의 공간이다. 기(氣)가 흐르는 통로이며 그 속에는 생명이 있는 것과 없는 것, 눈에 보이는 혹은 보이지 않는 형태로 존재하는 것들이 가득하다. 또한 풍부한 색채와 빛의 공간이자 다양한 형태의 조형들로 가득 차 있다. 산에 가면 우리의 의식과 무의식은 끊임없이 자극을 받게 된다. 산은 끊임없이 예술적 충동을 일어나게 만드는 장소이다. 본인의 작품은 산에서 받은 그러한 자극들을 회화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과학과 기술의 시대, 우리가 잃어버린 예술의 감성과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산이라는 모티브를 통해 찾아보고자 시도했다. 산은 인간과 외떨어져 존재하는 객체가 아니라 직접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일상의 공간이며 동시에 다양한 감각들과 감흥을 일깨우는 실제의 공간이다. 그리고 그 속에는 분명히 하나의 정신으로서의 절대적인 질서가 존재한다. 그러한 산이 가지고 있는 미적 가치를 포착해 우리의 삶을 더욱 아름답고 의미 있게 만들 수 있는 작업을 해보고자 하였다. 산은 무한한 가능성 그 자체이다. 조형적으로는 아주 단단해서 힘이 있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색채는 무한대의 조합을 가능하게 한다. 산을 소재로 다양한 구성과 색체의 조합을 실험했다. 다만 좀 더 새로운 기법과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지 못한 부분은 앞으로의 작업과정에 반영해 모색해 나가고자 한다.

      • 온라인/오프라인 시장 효율성의 비교연구 : 쇼핑 패턴에 따른 제품군(product category)별로

        장정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의 등장으로 소비자의 탐색비용(search cost)은 낮아지게 되고 탐색량은 증가하게 된다. 이는 판매자의 가격 경쟁을 유발해 시장의 균형가격은 한계비용 수준으로 낮아지며 동질의 제품에 대해서는 하나의 균형가격이 형성되게 된다.(Bakos, 1997) 그러나 대부분의 실증연구에서 온라인 시장의 효율성을 입증하지 못하였다. 그렇다면 왜 온라인 시장이 하나의 균형가격으로 가지 못하는 것일까? 탐색비용의 측면에서 한가지 가능한 원인은 탐색비용이 하락하였을 찌라도 소비자들이 모든 제품에 대해 탐색량을 급격히 늘리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제품은 쇼핑 패턴에 따라 쇼핑품과 편의품으로 구분되며 쇼핑품의 경우에는 소비자의 탐색의지가 높고 편의품의 경우에는 소비자가 최소한의 탐색노력으로 구매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이 두 제품군간에 탐색비용의 하락효과로 인한 온라인 시장의 효율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시장이 완전경쟁시장의 효율성에 오프라인 시장과 비교하여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를 조사하고 쇼핑패턴에 따른 제품분류별로 오프라인 시장과 온라인 시장 사이에 효율성의 향상 정도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노트북, 전자제품, 음반, 게임 s/w 를 대상으로 온라인/오프라인 각 8 개 소매점을 선정하여 11 주간 가격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가격수준, 가격편차, 가격조정으로 본 온라인의 효율성이 모두 오프라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쇼핑품과 편의품간의 비교에서는 가격수준과 가격변경 빈도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갈 때 효율성에 향상정도가 쇼핑품이 편의품에 비해 컸으나 가격편차에 대해서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Internet lower the search cost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product and seller` s price information. Consumers can easily compare price among different Internet retailers, which resulted in intensified price competition among sellers. Price will fall to marginal cost and price dispersion will be zero. However, several studies find substantial and persistent dispersion in prices on the Internet. Why do we see high levels of price dispersion online? One possibility is that consumers are not searching broadly all products despite lower search costs. Consumer products are classified in shopping goods &convenience goods according to how consumers shop. Shopping goods are items consumers are willing to spend search time. Convenience goods, in contrast, are items consumers do not want to spend much search time. So, we can expect there are differences of market efficiency due to the search time between shopping goods and convenience goods. This paper examines market efficiency through observing price differences between online and offline retailers. And we attempts to test how different is improvement of market efficiency by product category when market changes from offline to online The analysis of price data of 6~8 titles from 16 retailers per product for 11 weeks supports that online market is more efficient than offline market. However, we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shopping goods and convenience goods in only the two dimensions of price level and frequency of price change

      • 자색고구마가루를 첨가한 아몬드다식의 품질 특성

        장정숙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anthocyanin 색소를 가지고 있는 자색고구마가루 첨가가 아몬드 다식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첨가비율(0%, 5%, 10%, 15%, 20%)을 달리하여 다식을 제조한 다음, 다식의 수분 및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등의 일반성분 분석, 색도 측정, texture 측정, 관능평가, 총 폴리페놀 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20% 첨가군이 유의적(p<0.05)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조단백과 조지방 함량은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L (lightness, 명도) 값은 자색고구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 (redness, 적색도) 값은 증가하여 20%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p<0.05) b (yellowness, 황색도) 값은 대조군이 첨가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다식의 texture 측정 결과, 경도(hardness)는 대조군보다 20%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탄력성(springiness)과 깨짐성(brittleness)은 대조군보다 20%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다식의 관능검사 결과, 표면색(surface color), 고구마냄새(sweet potato smell), 단맛(sweet taste), 단단한 정도(hardness)는 대조군보다 20%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다식의 기호도 조사 결과, 표면색(surface color)은 15%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 되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preference)는 15% 첨가군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고 10%, 5%, 대조군, 20% 첨가군 순으로 좋게 평가 되었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군이 94.9 mg/100 g으로 가장 낮았고, 자색고구마가루첨가군은 246.7~637.1 mg/100 g으로 첨가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아몬드가루에 꿀만 첨가했을 때 보다 자색고구마가루를 첨가했을 때 다식의 표면색, 고구마냄새, 단맛, 고소한 맛, 전체적인 기호도가 증진되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 전통과자인 다식에 자색고구마가루를 첨가하여 품질 및 항산화기능을 개선한다면 다식의 고부가가치를 기대할 수 있고 아울러 자색고구마의 소비확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mond Dasik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Five different levels (0%, 5%, 10%, 15%, and 20%)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were added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The proximate 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 decreased as purple sweet potato powder increased (p<0.05). Hunter L value decreased, while a value increased as purple sweet potato powder level increased. Textur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addition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increased hardness, cohesiveness and brittleness. Results of consumer acceptance test revealed that Dasik with 15% added group preferred most and 20% group the leas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urple sweet potato powder can be incorporated into Dasik up to 15% without depressing the Dasik quality.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assessed in view of estimating the functionality of Dasik. Results showed that substitution of almond with purple sweet potato powder yielded 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