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外國銀行의 國內金融電算網 加入이 小賣金融業務에 미치는 影響 : 張仁子

        장인자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63

        The number of Foreign Banks branches in Korea has been permitted to increase in order to meet the domestic capital requirements under Korean Government economic policy. However, in view of the rapid changes in the banking environment due to liberalization of the domestic financial market foreign bank business will switch to retail banking from wholesale banking and utilize the financial network system for effective performance. It is evident that foreign bank financial network will compete with those of domestic Korean banks. This study is based on the impact of the foreign banks' financial networks on the domestic retail banking business. Most countries' domestic banking institutions have a competitive position in retail banking in their home countries and have easy access of information compared to that of foreign banks there. However, the forecast of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foreign banks' financial network in this thesis is as follows : First, Expansion of business areas through small branches and branch automation. Second, Erosion of the domestic banks', retail banking market under product diversification to meet customer needs via professionalism. Third, The domestic retail banking market is under pressure from foreign banks' advanced financial skills and efficient information service to meet customer needs through a worldwide network. The countermeasures of domestic banks to the threat are as follows : First. Enhancement of international competency through expansion of business areas and enlargement of assets. Second, Diversification of management via effective organization and maximum profitability. Third, Improvement of customer services by shortening of decision making time for credit application approval and differentiation of prices. Fourth, Creative a good image through advertisement and assistance to regional social development. To expand business volume and maximize profitability the banks should provide services to customers and a comprehensive control system of existing customers should be established. Investment and other costs in home banking is needed. Korean commercial banks should have active management diversification plans against rapid changes in the banking environment, e.g. moving toward business-without-office facilities from the traditional office-oriented banking management system. Currently, the position of foreign banks is complementary to local banks : however, in view of the foregoing, the role of foreign banks will change in the retail banking market and this will be a good opportunity for the local banks to improve their competency.

      • 姜靜一堂의 文學 硏究

        장인자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Jungildang is a women of classical scholar dedicated in the Confucianism, this Confucianism has completely reflexed into the her poetic literac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literacy showed the spirituality of being content amis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y way, and unlike the other feminity literature, it is valuable that the substitute literacy for her husband are a quite number. The ethical subjects such as improvement of knowledge, instruction, and philosophical ripeness etc. in the poetic literacy were main core , but it was another feature that the themes such as love, sorrow, and attachment could not found. She, unlike general women who were living in the federalism system of Chosun Dynasty, had strong ego consciousness, practiced the Sung confucianism doctrine, and expressed the contents of mind discipline to her poetry. Additionally, the entreaty theme of among the Jungildang's literature introduced some literature, and he recognized a ‘entreaty’ as the psychological domain of self-confidency. The Jungildang read books such as the 13th Chinese classics of Confucianism, history, literacy, and Confucianism, and concentrated on his knowledge for the purpose to be saint. There are mind training of Confucianism, enthusiasms of knowledge, encouragement, awareness through nature entity, a enterprising view of womanhood, marital love as a partner of academic rigorousness, and being content amis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y way through knowledge pursuit in the Jungildang. Despite a woman, it is not differentiated with the nature between man and woman, and she dedicated her whole life to achieve the goal of saint based on this. She encouraged her husband to study knowledge, and lived as a partner of his academic companion for life. The depth of knowledge was showed as a leader who gets ahead of companion. The reason why the knowledge area of Jungildang could consummate her area beyond feminity might come from ego consciousness, which is called the basic needs about the pure pursuit of knowledge and literacy. Jungildang found the basic principle of knowledge and training in the middle of the road, "if you may make an effort to pursue knowledge and genuineness, finally, you can get neutralization," and she practiced at all. As well, for the accomplishment of mind training, she was hard to study Scriptures, and believed to achieve the principle of truth in accordance with the way of mind training. This way of mind training make it to help self-sufficient in the poverty, but she never project her destiny or God into the sorrow under died nine children died and poverty of starving for all three day, though, and she confronted with her destiny. She was a person who had overcome the injustice and limitation of reality with awareness and ego-consciousness, and succeedingly made effort to her life. She who practiced the pursuit of knowledge in Chosun Dynasty is more meaningful as a woman overcame oppression and regulation of the time.

      • 직무환경과 보상체계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장인자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and compensation system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 compensation system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ho hav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were 267 caregivers working in 10 elderly nursing facilities in Gyeonggi Area such as Gwangju, Guri, Gimpo, Suwon, Osan, Yongin, Ansan, Yroju, Icheon, Paju. This study us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mean analysis using Amos 23.0 and SPSS WIN 23.0 programs. Also, correlation analysis and relationship were examin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Boost trapping verification is applied to see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major variables whil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also applied to verify the theoretical model.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job environment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In other words, the job environment including the relations, work environment and job descriptions of the caregivers did not increase the sense of achievements or rewarding from job, therefore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compensation syste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however, the better the compensation system,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therefore hypothesis was rejected. Which means that the compensation system, including benefits, promotion opportunities, and social recognition did not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It is considered the job satisfaction is bot improved because of caregiver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ink that their remuneration is not appropriate for the intensity of the work. In order to supplement this, the wage of caregivers required to reflect appropriate amoun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ir work as well as a policy is needed to increase morale through appropriate workload and improvement of treatment at work.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job environment did not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givers. Job environment did not give positive opportunity to members in performing nursery and did not satisfy individual desire, so they did not feel attachment to organization. So, the work environment including the relations, work environment and job descriptions of the caregiver gives neither a sense of belonging to the facilities nor voluntarily perform their work.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ensation system does not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givers. That is, rewards systems, including benefits, promotion opportunities, and social recognition, do not allow caregivers to devote to the facility or to engage in voluntary and creative work. This means that caregivers do not try to care for their facilities as of salary that does not recognize career, low expectations for promotion and denying care work as professionalism. Third, it was confirmed that job environment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 It means job environments that include relationships, work environments, and job descriptions have been shown to influence careful thinking about leaving an organization if caregivers do not trust the organization nor expectations are met.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boss, the colleague or the client, or the better the work environment and job description, Caregiver present the stronger willingness to remain in the organization. Therefore, improving the job environment means the declines of turnover intention. Fourth, empowerment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job environment and compensation system on the caregiver’s job satisfaction. First of all, empowerment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job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This confirms that caregivers are more aware of the value of work when the more autonomous decision-making is reflected, the less the role conflict is in the work, the more the workers are recognized through their work by boss, colleagues and clients, and therefore they believe their ability and tries to exert it to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Next, empowerment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reward system and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empowerment was found to have a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ompensation system including salary and social recognition. This is because as long as caregivers are recognized as socially through their work, or perceive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their salary is given, caregiv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ense of meaning and competence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at job satisfaction is higher. Fifth, empower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ediation effect in the influence of job environment and compensation system on caregiv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job environment and compensation system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givers. First, the job environment shows that empowerment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givers. This confirms that caregivers are more aware of the value of work when the more autonomous decision-making is reflected, the less the role conflict is in the work, the more the workers are recognized through their work by boss, colleagues and clients, and therefore they strive to match their values ​​with the values ​​of our facilities, so increasing resul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presented. Next, the compensation system shows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givers. In other words, the meaning and competence of empowerment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ompensation system including salary and social recognition. This is because empowered caregivers perform their jobs successfully and not frustrated when they are in a difficult situation, so they are voluntarily carrying out their duties by deeply immersing themselves by equating caregivers with long-term care facilities. Sixth, empower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mediation effect in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 In other words, the work environmen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This implies that the higher the empowerment of caregivers,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caregivers strive to match the individual value to the value of facilities and the work by maximizing their own strength through empower themselves. Also empowered caregivers will find stability with stable unity of facility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work even though work environment insufficient, therefore their work satisfaction will increase. In addition, empowerment has positive effects on work environment, compensation system and work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searchers sought to strengthen the empowerment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caregivers and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o improve the empowerment of caregiv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work vironment and compensation system that includes social recognition as well as human relations and working environment, wage and promotion opportunities within the organization. Keyword : Work environment, Compensation system, Empowerment, Work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Caregiver 본 연구는 직무환경과 보상체계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직무환경 및 보상체계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조사대상자는 경기지역 광주, 구리, 김포, 수원, 오산, 용인, 안산, 여주, 이천, 파주시를 중심으로 노인요양시설 10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67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Amos 23.0 및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분석 및 평균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주요변수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주요변수간의 매개효과를 보기 위해 부스트트래핑 검증과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환경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요양보호사의 인간관계, 근무환경 및 직무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직무환경은 일에 대한 성취감이나 일에 대한 보람을 높여주지 못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상체계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지만 보상체계가 좋을수록 직무만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기각이 되었다. 즉 급여, 승진기회, 사회적 인정을 포함하는 보상체계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여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는 노동 강도에 비해 적정하지 않은 보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직무만족을 높여주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대책으로 요양보호사들이 근무노동 강도에 따라 급여가 공정하다고 인식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급여를 반영하고 적당한 업무량과 적정한 처우 개선을 통해 사기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직무환경은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환경은 요양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구성원에게 긍정적인 기회부여와 개인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조직에 대한 애착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의 인간관계, 근무환경 및 직무내용을 포함하는 직무환경은 시설에 소속감이나 자발적으로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상체계는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급여, 승진기회, 사회적 인정을 포함하는 보상체계는 요양보호사들에게 시설에 헌신하거나 자발적이고 창조적인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력을 인정하지 않는 급여와 승진에 대한 낮은 기대감 그리고 요양업무를 전문성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 등으로 요양보호사들은 자기가 속한 시설을 위해 애쓰려고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셋째, 직무환경은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인간관계, 근무환경 및 직무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직무환경은 요양보호사가 조직을 신뢰 및 기대감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조직을 떠나기 위한 신중한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는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클라이언트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근무환경과 직무내용이 좋을수록 조직에 남고자하는 의지가 강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직무환경을 향상시키면 이직의도가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직무환경과 보상체계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먼트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직무환경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와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들이 자신의 업무를 통해 상사와 동료 그리고 클라이언트에게 인정을 받을수록, 적당한 업무량과 근무여건이 좋을수록, 자율적인 의사결정이 반영될수록, 업무에 대한 역할갈등이 적을수록 일에 대한 가치를 더욱 인식하게 되고 자신의 능력을 믿고 발휘하려고 노력함에 결과적으로 직무만족이 높아짐을 확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상체계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와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급여, 사회적 인정을 포함한 보상체계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의미성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들이 자신의 업무를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을수록, 급여에 대한 적정한 보상이 주어진다고 인식할수록 의미감과 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결과적으로 직무만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직무환경과 보상체계가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먼트는 긍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환경과 보상체계가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직무환경은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들이 자신의 업무를 통해 상사와 동료 그리고 클라이언트에게 인정을 받을수록, 적당한 업무량과 근무여건이 좋을수록, 자율적인 의사결정이 반영될수록, 업무에 대한 역할갈등이 적을수록 일에 대한 가치를 더욱 인식하게 되고 자신의 가치와 시설의 가치를 맞추려고 노력함에 결과적으로 조직몰입이 높아짐을 확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상체계는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급여, 승진기회, 사회적 인정을 포함한 보상체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의미성과 유능함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파워된 요양보호사는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실천현장에서 힘든 상황이 되어도 좌절하지 않고 요양보호사와 장기요양기관을 종일시하여 깊이 몰입함으로써 자발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여섯째, 직무환경은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먼트는 긍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환경은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들은 자신의 역량강화를 통해 스스로 힘을 극대화함으로 개인의 가치관과 시설 및 업무에 대한 가치를 맞추려고 노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임파워먼트가 강화된 요양보호사들은 직무환경이 비록 미흡하더라도 시설에 안정된 일체감과 자발적인 참여로 업무를 수행하면서 안정을 찾게 되어 직무에 대해 만족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임파워먼트는 직무환경 및 보상체계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간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임파워먼트를 강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데 시사점을 둘 수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내 인간관계와 근무환경 그리고 임금과 승진기회 이외에 사회적 인정을 포괄하는 직무환경과 보상체계를 조성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한국 가족정책의 신공공관리와 젠더불평등의 심화 : 정책실행자의 일 경험을 중심으로

        장인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신공공관리(New Public Management)체계로 제도화된 한국 가족정책의 통치성과 그 효과를 실행자의 일 경험을 통해 분석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들이 국가와 가족의 통치성 개념을 일방향적인 지배-피지배 관계로 묘사한 것에 비해, 본 연구는 신공공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행과 서비스 과정 속에서 실행 주체들의 포섭과 저항 가능성을 동시에 조망하고 있다. 즉, 본 논문은 가족정책 실행자의 일 경험을 토대로 국가‧가족‧자본의 결합인 신공공관리 가족정책이 젠더·계급·인종에 따라 선별되어 관리되는 신자유주의 통치성이자 생명관리정치(biopolitics)의 통치 체제라는 것을 규명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제도적 문화기술지’(institutional ethnography)에 기초한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가족정책 전달체계 현장과 프로그램을 참여 관찰하고, 가족정책 실행자들의 일 경험을 심층 면접 하였다. 또한 가족정책의 정치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살펴보기 위해 관련 법 조항과 국회의사록 및 정책자료, 실적 데이터 등을 검토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가족정책은 IMF가 촉발한 경제위기와 이로 인한 가부장적 가족해체의 위기를 배경으로 등장한 것이었다. 가족정책은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이라는 법률의 형태로 처음으로 제도화하면서 “건강한 가정생활의 영위와 가족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국민의 권리·의무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하고, 가정문제의 적절한 해결방안을 강구하며 가족구성원의 복지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강화함으로써 건강가정 구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명시하였다. 이로써 국가는 가족을 국가의 통치 영역 내로 포함시켜 관리하겠다는 의도를 명확히 하였다. 노무현 정부에서 처음으로 제도화 한 가족정책은 이명박 정부의 아이돌보미 확대, 박근혜 정부의 센터 통합, 그리고 문재인 정부의 다양한 가족 지원 강화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다. 각각의 정부에 따라 가족정책의 기조와 목표, 그리고 이념적 지향의 차이는 있었지만, 신공공관리 체계로 실행된 것은 공통점이다. 기업의 경영 원리와 효율성의 관점을 도입하여 대상자를 고객으로 대하고, 그들의 활동을 계량화하여 성과 위주의 경쟁 체제로 센터를 운영하는 신공공관리는 강화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가족 내부의 문제 해결을 가족 외부의 여성들의 돌봄노동으로 떠넘긴 것도 공통점이었다. 특히 여성들을 가족정책의 실행자로 포섭해내는 과정에서 비정규·저임금 노동자화한 것은 모든 정부에 일관되게 관철되어 온 원칙이었다. 둘째, 한국의 가족정책을 서비스로 구체화하고 실행하는 가족정책 실행자는 국가가 민간에게 사무를 위탁하는 신공공관리 시스템의 도입과 강화와 함께 지속적인 경쟁에 노출되면서 활동가에서 관리자로 정체성이 변화하고 있다. 또한 신공공관리 체계 안에서 실행자들은 지자체장이나 지자체 공무원 등 다양한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되어가고 있다. 실행자 주체들은 신자유주의적 주체로서 통치성의 한 단위로 통합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국가와 제도를 구성하는 저항의 주체이자 행위자 주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들은 현장의 실천 경험을 제안하거나 제도 개선을 요구하면서 제도를 바꾸어 가고, 가족정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국가를 대리하기도 하고, 국가와 협상하거나 국가에 저항하기도 하면서 복합적인 행위자성을 발현하였다. 가족정책 실행주체의 이러한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행위자성은 가족정책이 단지 국가의 통치성의 수동적 도구일 뿐 아니라, 실행자를 통해 가족 내 젠더 권력관계를 바꾸고, 가족정책 내부의 젠더 불평등을 해소할 가능성으로까지 확장된다. 셋째, 가족정책 실행자들은 거버넌스 주체로 참여하고, 그리고 실적관리와 평가, 홍보 등을 통한 성과 관리를 위하여 조직을 관리함으로써 센터장은 관리자로, 이용자는 고객으로, 센터는 기업화하고 있다. 이처럼 가족정책 전달체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한 신공공관리의 전략은 오히려 다양한 비효율의 결과를 낳으며 실패하고 있다. 가족정책의 실행 안에서 국가의 비의도적인 감시와 통제는 강화되며, 가족정책은 실행자 내부의 경쟁 안에서 스스로를 통치하게 한다. 또한 가족정책은 가족 내 성 불평등과 같은 장기적인 시간을 필요로 하는 개입을 ‘한 건’으로 계량화함으로써 가족정책이 목표로 삼고 있는 가족 내 젠더 불평등 해소에 기여하지 못했다. 그리고 가족 내부의 문제를 가족 외부의 여성 노동자에게 떠넘기면서 가족정책을 둘러싼 젠더 불평등을 심화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 가족정책의 성격 및 통치성은 생명관리정치의 성격을 가진 신자유주의적 신공공관리 체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의 가족정책의 등장과 그 배경을 생명관리정치, 신자유주의, 신공공관리라는 개념으로 규명하고, 각 정부별·단계별 정책 기조와 목표의 변화 및 구체적인 실행의 동학(動學)를 ‘내부자’의 시각에서 포착하고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국가와 시민의 중간지대에 위치한 가족정책 실행자가 국가의 통치 실천에 대한 대리자이자 신자유주의 주체이기도 하지만, 그 자신이 행위자로서 어떻게 국가의 통치에 맞서고, 어긋나고, 타협하거나 협상하며 길항하는지를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다. 결국 국가가 가족을 국가의 재생산을 위한 ‘인구’의 하위 생산단위로 간주하면서 그 구체적인 통치실천과 실행을 여성 노동자의 돌봄노동으로 환원하는 방식의 가족정책은 바람직하지도, 지속 가능하지도 않다. 여성들을 국가가 짊어져야 할 ‘사회적 돌봄’에 대한 공공적 책무를 대신 떠안는 저임금 노동력으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가족정책의 기획과 실행의 평등한 협력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때 비로소 성평등한 가족정책의 출현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핵심되는 말 : 한국 가족정책, 신자유주의, 생명관리정치, 신공공관리, 젠더 불평등, 실행자, 다문화가족, 건강가정기본법, 다문화가족지원법 This dissertation examines how the governmentality of the state is put to work and made (in)effective in relation to the family policy in South Korea, as it is operationalized through the New Public Management regime. To understand the dynamic process of policy executions, I particularly focus on the work experiences of family policy executors who mediate the state and citizens within the New Public Management regime. While the existing studies on the family policy and the state’s governmentality tend to render the policy process as a unidirectional, domination-subordination rela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citizen,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duality demonstrated by the policy executors who, by the virtue of the intermediary role in the system, are incorporated in the state's governing process but are simultaneously resisting the state and making differences in the way the family policy is practiced on the ground. Based on the work experiences of the family policy executors, the dissertation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family policy, coupled with the New Public Management regime, and the neoliberal govermentality in Korea. It also investigates on how the family policy works as the governmental technology for contemporary biopolitics that seeks to stabilize the state-family-capital alliance. To pursue these inquiries, I carried out an institutional ethnography of the family policy delivery system in Korea. The ethnographic materials a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s in a Healthy Family/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Korea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with the family policy executors on their work experiences. Relevant documents, including family-related laws, the National Assembly meeting transcripts, policy reports, and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and reviewed in order to contextualize the finding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Korean family policy emerged from the 1997 financial crisis that brought about the dissolution of patriarchal family structures. It was legally institutionalized under the "Framework Act on Healthy Homes" of 2004 whose purpose is clearly defined as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a healthy family by specifying the rights and duties of citizens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local governments, etc. with respect to healthy family life and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families, by strengthening those assistance policies which are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the welfare of their members, and by working out appropriate resolution methods of family problems(Article 1)." The document demonstrated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e to incorporate family into its governing system. The Roh administration institutionalized the family policy which was expanded in subsequent administrations to include child care (Lee administration), merg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ark administration) and strengthen a diverse array of family welfare provision (Moon administration). While the ideas, purposes and political spectra of individual administration's family policies were divergent, they were analogous in their policy implementation which employed the New Public Management regime. The state's utility of the New Public Management regime has been intensified. The regime adopts corporate management principles and puts importance on efficiency, thereby recognizing policy subjects as customers,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each support center, and instigating competition among centers by quantifying the activities of policy subjects. In all administrations, the matter of care which hitherto was seen as a domestic issue has been shifted to be managed by women workers outside the family who work as frontline family policy executors. The four administrations' recruitment of women family policy executors, in particular, has portrayed a coherent and prevalent inclination to institutionalize low-wage and employment instability for this role. The dissertation draws attention to the work experiences of the family policy executors who play a critical role in turning the abstract policy into concrete and practical services. The introduction of ‘New Public Management’ system that entrusts the nongovernmental actors with the public services and its intensification exerted significant pressure on the policy executors. Pressured by the demand for competitive performance, those women family policy executors increasingly identify themselves as ‘managers’ and ‘specialized’ service providers - rather than as ‘activists’ that many of them had previously considered as their role - for their various clients including the public servants. While the policy executors are incorporated as a neoliberal subject of the state’s governmental technology, they are simultaneously an active agent of institutional changes, in negotiation with and resistance to the state, and of feminist endeavor against gender inequality. As participants in the state governance, these policy executors make practical suggestions and propose institutional changes based on their field experiences. They not only work as a proxy of the state in their daily work activities with ‘clients’, but also confront, negotiate with, and resist the state. This multi-layered and complex agency, linked to their unique position in the policy delivery system, opens up the possibility that the family policy execution process could work to change gendered power relations in the family and to remedy the gender inequality within the family policy itself. As ‘performance’ is seen central in the New Public Management regime, managing evaluations and public relations become the important task of the management of each Centre. Hence, this system renders the Centre’s Director as a kind of ‘managers’, people who use the Centre as ‘clients’, and the Centre as an ‘enterprise’. In this context, the New Public Management approach turns out to be ‘inefficient’ in many ways and has failed in fulfilling its promis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policy delivery system. It intensified the influence of the state’s unintentional surveillance and control on the daily practices of family policy execution, which has led the policy executors to govern ‘themselves’ in the competition among themselves. For instance, the issues that stem from gender inequality within the family require a long-term intervention to be effective, but this form of intervention counts only as ‘one agenda item’ within the evaluative quantification of the system. In turn, the system hardly contributes to the endeavors to eliminate the gender inequality which should be an important objective of the family policy. This dissertation reveals that the disposition and the governmentality of the Korean family policy portray a substantial similarity to the neoliberal New Public Management regime which is biopolitical in na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ound in its attempt to define the social backdrop and the subsequent emergence of the family policy with the concepts of biopolitics, neoliberalism and New Public Management, and identify and analyze the dynamics of the principle, objective and executional changes in each administration's family policy through an executor(insider)'s perspective. It contributes to the debate on the agency of the family policy executors by presenting concrete case studies where the policy executors who, as neoliberal subjects and proxies incorporated into the state's governmental technology, are simultaneously active agents in negotiation with and resistance to the state.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it is neither desirable nor sustainable to promote a family policy that supposes family as a subsidiary unit of a state reproductive strategy and that delegates the governmental practices of such care labor to women workers who execute family policy. It concludes that a gender-equal family policy can be anticipated only when the state's view on women as a low-wage labor force who shoulders the public responsibility of 'social care' becomes obsolete, and when state recognizes family and women workers to be equal partners in designing and executing a family policy. Key words : The family policy in South Korea, Neoliberalism, Biopolitics, New Public Management, Gender ineqality, Executor, Multicultural family, The Healthy Family Act,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 肯定的 自我槪念 形成을 위한 集團相談 프로그램이 進路意識成熟에 미치는 效果

        장인자 又石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1.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최근 가정이나 학교 또는 사회 각계에서는 직업선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진로교육의 내용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가에 비해 그 내용은 크게 미흡한 상태에 있다. 즉 전통적인 숭문사상의 영향으로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기 보다는 무조건 상급학교에 진학하고 보자는 식으로 진로를 결정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진로지도를 위해서는 학생의 적성이나 발달수준, 그리고 교육적 상황이나 사회인들의 의식 등에 관한 기초연구가 매우 중요한데 실제로는 이러한 연구가 많이 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그 결과 기초자료의 부족으로 학생들의 진로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야 할 학교에서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기도 하다. 특히 중학교 과정은 진로에 대한 탐색단계로서 개인의 소질과 능력을 최대한 신장시키고 흥미와 적성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진로를 올바르게 선택할수 있도록 지도를 하여야 할 시기이다. 그리고 이러한 지도가 계획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저는 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 수준에 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 한편 최근의 사회 현실은 매우 복잡 다양해지고 있는데 이에 따라 직업의 세계 역시 급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한 진로의계획, 선택, 준비 등 진로지도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요청되고 있다.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중학교 학생들에게 있어 진로문제는 학업이나 성적 다음으로 중요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시 위주의 교육에 따른 시간 부족이나 교사들의 관심부족,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미비, 진로지도를 담당할 전문교사의 부족 등 많은 문제점들로 말미암아 학교에서의 진로지도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할 때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진로지도가 올바르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진로지도에 관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많이 연구 ·개발되어 보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최근 진로지도를 위한 집단상담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일부 연구자들에 의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도가 있었지만 그 역시 대부분 대학생이나 고등학생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고 있고 중학생을 대상으로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자아개념 형성에 관한 관심도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는 개인의 행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자아개념은 개인이 자신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가 또는 부정적으로 지각하는가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며 대인관계의 적응이나 자신의 내적 생활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이 진로의식 형성에 매우 큰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어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를 규명하려 노력하고 있기도 하다. 강종구는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진 사람은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진 사람보다 자신의 진로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진로 계획도 보다 명확하다고 하여 집단상담시 긍정적 자아개념의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김원중도 교육을 통하여 진로의식성숙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진로선택에 필요한 정보제공이나 자기이해를 돕기 위한 검사 실시 등의 진로지도활동 이 외에 학생들의 자아개념이나 내외통제 신념 등의 심리적측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진로의식성숙과 자아개념 확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본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이 가능하도록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해 보고 그 결과가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생애 계획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하여 바람직한 진로의식을 성숙시킬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2. 硏究의 問題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생들에 대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서 부정적인 자아개념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으로 변하는가를 밝히고, 나아가서는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이 진로의식성숙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밝히고자 한다. 첫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자아개념이 높아질 것인가? 둘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실시는 진로의식성숙에도 효과가 있을 것인가? 3, 硏究의 假說 본 연구의 목적과 문제점을 배경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자아개념이 높아질 것이다. 지금까지 집단상담과 자아개념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상당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임성문의 연구에 의하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집단 집단상담 결과 자아개념과 자아실현에서 변화가 나타났음을 보고하였고4) 홍영자의 연구결과 역시 대학생을 대상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한 결과 자아개념 과 자기표현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자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고 또 잘못된 결과로 자기 자신을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조직적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하면 자아개념변화에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전제하에 <가설 1>의 검증을 시도한다. <가설 2> 자아개념과 진로의식성숙은 상관이 있을 것이다. 노경희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아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고 또자기 자신을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조직적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자아개념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 시키고 이들을 대상으로 진로의식성숙도를 측정한 결과 매우 효과적이었음을 밝히면서 인문계 중 ·고등학생들에게 적절한 변형을 통해서 활용할 것을제안한 바 있다. 따라서 자아개념이 형성되면 진로의식성숙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하에 <가설 2>의 검증을 시도한다. 4. 硏究의 制限點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일정지역의 여자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연구에 적용한 집단의 성별이나 연령, 그리고 지역실정에 따라 그연구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제한점이 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는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자아개념과 진로의식성숙도 검사만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검증의 범위에 따라 연구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제한점이 있다.

      • 통전적 관점에서 본 재중 탈북자 선교 방안 : 두리하나, 통일소망, 서빙 라이프 선교회를 중심으로

        장인자 장로회신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 록 북한의 경제난 이후 대량아사자가 발생하면서 지속적으로 생겨난 탈북자는 중국에서 강제북송의 위험과 북한당국의 강력한 처벌, 인신매매, 노동착취, 고아, 건강악화 등으로 심각한 인권유린을 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한국정부는 재중탈북자의 강제북송의 문제를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고, 연약한 이웃을 돌아봐야하는 책임이 있는 한국교회마저 재중 탈북자들의 아픔과 고통에 무관심한 상황이다. 그리고 한국교회의 극소수의 관심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중 탈북자선교는 양극화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통전적인 선교방법 연구를 통해 한국 선교단체가 양극화를 벗어나고, 재중 탈북자들에게는 생명과 빛이 되고, 한국교회와 한국사회의 소금이 되기 위하여, 재중 탈북자를 위하여 나아갈 통전적인 선교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재중 탈북자 선교가 이루어지는 3개 선교단체를 통하여 각 선교회의 재중탈북자 선교의 방향과 형태를 살펴보니 첫째, 두리하나 선교회는 여러 단체와 연합하여, 구제에 주력하면서 복음전도와 사회정착, 북한주민의 인권신장을 위한 선교뿐만 아니라 사회공동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선교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통일소망선교회는 개인영혼 구원을 위하여 복음전도를 선교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두면서 구제와 사회정착의 선교가 부차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선교가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서빙 라이프는 구제와 복음전도가 함께 이루어지면서 모든 결과를 하나님께 맡기는 선교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개인 영혼구원의 관점과 사회구원의 관점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재중 탈북자선교를 통전적 관점에서 본 재중 탈북자 선교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하나님이 주체가 되시는 선교 둘째, 복음전도 셋째, 구제를 통한 선교, 넷째, 북한주민을 위한 인권신장을 위한 선교, 다섯째, 탈북민과 조선족, 한국교회, 디아스포라교회, 언론과 방송 한국사회와 국제사회가 연합하는 선교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재중 탈북자와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을 복음전도 차원을 뛰어 넘어 탈북민의 인권과 한국사회정착과 북한주민의 인권신장을 위하여 한국교회가 앞장서야하며, 그들이 사회공동체 안으로 들어와 민족공동체로 나아가게 하는 선교까지 나아가야 한다. 그리하여 탈북민이 미래 복음통일과 통일한국의 주역과 협력자가 될 수 있도록 선교가 이루어 져야 하다. 재중 탈북자 선교단체는 통전적인 선교를 통하여 재중 탈북자에게는 빛이 되고, 한국교회와 한국사회에는 소금이 되어 복음통일, 통일한국을 위하여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한국교회와 연합할 때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될 수 있다. 주제어: 통전적 선교, 에큐메니칼 선교의 방향, 재중 탈북자, 두리하나 선교회, 통일소망 선교회, 서빙 라이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