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xpression of M-CSF from cryopreserved teeth-deriv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with different freezing protocols

        장유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치아 냉동보관이 치근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발치된 사람 치아를 냉동보관 하지 않은 군(대조군)과 냉동 보관한 군(실험군)으로 나눠 치주 인대 세포와 조직의 M-CSF 발현을 비교하였다. 교정목적으로 발거된 우식이 없는 건전한 상, 하악 소구치를, 실험군은 slow freezing (SF군)과 rapid freezing (RF군) 방법으로 냉동처리 후 1주일간 -196℃의 액화질소에 보관하였고, 대조군은 냉동 보관 없이 발치 즉시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각 다른 방법으로 처리한 군에서 치주인대 조직은 Real Time PCR 시행하고, 3세대까지 계대배양한 치주인대세포는 Real-Time PCR과 ELISA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치주인대 조직의 Real-Time PCR에서 실험군(SF군과RF군)이 대조군보다 M-CSF mRNA의 발현양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p>0.05). 2. 치주인대 세포의 Real-Time PCR에서 실험군(SF군과 RF군)이 대조군에 비해 M-CSF mRNA의 발현양이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p<0.05), 실험군 간의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3. 치주인대 세포의 ELISA 결과 실험군(SF군과 RF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M-CSF가 유의성 있게 높게 발현되었으며(p<0.05), 실험군 간의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치아 냉동은 치주 인대의 조직의M-CSF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치주 인대 세포의 M-CSF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냉동 보관 시 치주 인대 세포가 단핵구의 파골세포로의 분화 초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Autotransplantation, which is the transplantation of teeth from their original sites into extraction sockets or surgically prepared recipient sites in the same individuals, is a promising procedure for replacing the occlusal function of lost teeth1-4, and more than 95% of transplanted teeth are reported to survive and function as normal teeth4.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 of the periodontal ligament are key factors for the success of autotransplantation5,6. Therefore, to achieve a high success rate, the autotransplantation of donor teeth to the recipient site should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extraction. However, immediate autotransplantation may not be always performed because of certain clinical situations - for example, avulsed teeth with damaged sockets that require a period of healing, teeth in alveolar clefts closed by bone grafts, or a recipient site that needs more space which can be treated with orthodontic treatment. Since Bartlett and Reade7 introduced the cryopreservative method of the teeth in the 1960s and 1970s, there have been many clinical reports and animal experiments showing the efficacy of teeth cryopreservation8-13. The cryopreservation and storage of human teeth in a tooth bank provides new possibilities in the autotransplantation of teeth7,8 and it is a clinically useful and reliable method for the prolonged storage of teeth without a loss of vital cell functions. Therefore, an edentulous area can be provided with a cryopreserved extracted sound tooth. Indeed, many biological specimens are cryopreserved for regenerative medicine purposes including cord blood, sperm, fertilized human eggs, ovarian tissue and embryo, and the successful medical applications of these are reported14-18. 'Tooth bank', which is a cryopreservation method for teeth in liquid nitrogen, was mentioned and has actually been performed in some countries but the precise freezing protocol was not revealed. For the cryopreservation of teeth, a specific freezing protocol and special freezing devices are needed to prevent damage to the periodontal ligament of the teeth. There are two general approaches for cryopreservation: slow freezing and rapid freezing. Slow freezing is a common method for cryopreservation, which is used widely in many laboratories19. This procedure involves the stepwise cooling of the samples to reduce the osmotic damage to the cells and ice crystal formation through slow cooling rates. The average cooling rate typically used for the freezing of cell cultures is approximately 1-4℃/min. On the other hand, rapid freezing, also called vitrification, is a potential alternative freezing method, which is simple and inexpensive. The process is achieved by extremely rapid cooling rates. Recent studies20 reported that vitrification is a useful method, providing a rapid cooling rate to induce glass-like solidification inside the cells to protect them from injury from ice crystals. The optimal cryopreservation protocol can vary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tissue. Generally, the smaller the sample and simpler its structure, the better the chances of successful cryopreservation21. Although Schwarts et al.22 showed by histological analysis that an optimal cryoprofile for mature teeth appeared to be slow equilibration at room temperature with 10% DMSO (Dimethyl sulfoxide), slow freezing rates, and fast thawing after storage at -196℃, the current technology of the cryopreservation of teeth is insufficient and the mechanism for the modification after freezing has been not clarified. Hence, there is no a suitable protocol for the cryopreservation of teeth. Osteoclasts, which are multi-nucleated cells responsible for the resorption of bone, are formed by the fusion of cells of the monocyte-macrophage cell line23. Osteoclast formation is controlled by many types of cytokines24,25. M-CSF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stimulates the proliferation of osteoclast precusor cells into monocytes, and RANKL (Receptor Activator for Nuclear Factor кB Ligand), RANK (Receptor Activator for Nuclear Factor кB), and OPG (Osteoprotegerin) regulate the differentiation of monocytes into muti-nucleated osteoclasts. M-CSF, which is a hematopoietic growth factor, plays an essential role in osteoclastogenesis to promote osteoclast formation, fusion, differentiation, activation and survival, thereby enhancing bone resorption24, 26. M- CSF binds to its receptor, c-Fms, on preosteoclastic cells and becomes the initial key factor of these precursor cells at osteoclast development25. A number of proresorptive cytokines, such as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L-1 (interukin-1) that modulate the osteoclstogenesis system primarily stimulate M-CSF production24. Therefore, M-CSF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osteoclastogenesis. The cellular mechanisms of root resorption are similar to those of osteoclasts27. It was reported that M-CSF affects root resorption by regulating the differentiation and activation of localized preodontoclasts27. In a previous study, the expression of the genes regarding root resorption in the PDL cells cultured from immediately extracted and cryopreserved teeth was compared using a customized microarray, which indicates that M-CSF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all cryopreserved teeth. This study compared the expression of M-CSF from cryopreserved teeth-deriv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tissues with no freezing and freezing (slow or rapid freezing) to determine the effect of cryopreservation of the teeth on root resorption. M-CSF expression was compared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and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 운전 중 의사소통 유무가 운전분노에 미치는 영향 : 상태운전분노, 특성운전분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중심으로

        장유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운전 중 의사소통 유무가 운전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태운전분노,특성 운전분노,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특성운전분노 질문지,상태운전분노 질문지,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질문지(CERQ)로 구성한 설문지를 서울,강원,부산,충북,충남,제주 총 6개 지 역에 배포하였다. 도로교통공단 6개 지부 교육장을 방문한 교통안전교육 수강생 등을 포함한 운전자 4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설문지 회수 결과 응 답이 불성실한 54부를 제외한 41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18.0을 사용하였다. 측정도 구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운전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 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의사소통 유무에 따른 상태운전분노의 변화를 확 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하였다. 상태운전분노의 변화에 특성운전분노,인 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통해 집 단을 분리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운전 중 의사소통 유무에 따라 상태운전분노가 달라지는지 확인한 결과 의사소통(방향지시등,비상등)이 없는 상황의 분노와 있는 경우의 분노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운전 중 의사소통 유무에 따른 상태운전분노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특 성운전분노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이 없는 상황에서 높은 상태운전분노를 보이는 집단 중 의사소통 유무에 따라 분노 의 변화가 큰 집단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방향지시등 사용과 비 상등 사용에 따른 상태운전분노의 변화에는 특성운전분노와 적응적 인지정서조 절전략이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분노를 유발하는 두 가지 운전상황에서 운전 중 상대 운전자의 의사소통 여부에 따라 운전자가 느끼는 상태운전분노에는 차이가 있다 는 것을 검증하였고,이러한 변화에는 개인이 사용하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유형이 영향을 미치며,개인의 특성운전분노도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러 한 결과를 바탕으로,운전자의 운전분노를 감소시키고,난폭•보복운전의 예방을 위해 개인적 요인 뿐만 아니라 상황적 요인을 고려한 보다 다양하고,심층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미술관과 학교미술교육의 연계방안 연구

        장유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문화의 욕구가 점점 커져가는 21세기에 미술관은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이전의 수집, 보전, 전시의 소극적인 기능에서 벗어나 풍부하며 다양한 미적체험과 경험을 가능케 하며 사회교육적 기능을 담당하는 문화의 매카로써 그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은 점차 강조되고 있어 새로운 변화를 맞이 하고 있다. 교육부에서 발표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표현 능력뿐만 아니라 미적 체험과 감상 영역을 강조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미술을 통한 미적 안목을 기르고 창의적이며 심미적인 태도를 함양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 부족했던 감상 영역에 중점을 두고 수업을 하며 한 학기에 한번 이상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들러 현장학습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교육은 학교미술 교육을 보완할 뿐만아니라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과 환경을 통해 학생들에게 풍부한 경험을 제공하여 줌으로써 또 다른 교육의 장으로써 훌륭한 역할을 해 줄 것이다. 국외 미술관의 경우 이미 오래전부터 미술관을 통한 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많은 경제적, 인적 지원을 바탕으로 합리적이며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미술관과 국외 미술관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미술관과 학교미술 교육과의 연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몇가지 문제점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계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미술관과 학교미술 교육의 연계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프로그램적 요소의 문제점으로 다양하지 못한 교육프로그램을 들었으며 둘째, 미술관적 요소의 문제점으로는 미술관의 부족한 예산 지원과, 지역적 특성이나 독창성을 지닌 미술관의 부족을 들었다. 또한 무엇보다도 지방 미술문화의 충심이 되어야 할, 지역미술관의 양적 부족을 들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키 위한 미술관과 학교미술 교육의 연계방안 모색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미술관적 요소의 연계방안으로는 미술관 안에 교육만을 담당하는 교육담당부서를 설립하고 그안에 소속된 교육담당 큐레이터에 의해 학기가 시작되기 전부터 현직교사와의 협조하에 미술교육 과정을 계획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적 요소의 연계방안으로는 학교교육을 담당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며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다양한 자료를 개발하고, ICT 교육을 활용하여 자기주도적이며 효율적인 수업이 이뤄지도록 해야 할것이다. 마지막으로 셋째, 지역사회적 요소의 연계방안으로는 지역사회의 문화와 행사를 반영하여 여러 행사나 축제를 미술관을 통해 기획,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이 주 5일제 수업으로 늘어난 여가시간을 미술관을 통해 활용하게 하며 미술관의 이러한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독창적이고 적극적인 홍보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미술관이 학교미술 교육과 연계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이 지금보다 훨씬 더 요구 될 것 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미술관과 학교미술 교육과정을 전반적으로 고찰해 보았으며, 문헌 연구 및 관련 연구 논문과 인터넷 자료검색을 통한 조사?분석을 하였다. 또한 실재 미술관과 박물관의 현장답사를 통해 그곳에서 운영되고 있는 학교미술 교육연계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구체적인 연계방안에 대해 모색해 봄으로써 이를 통해 미술의 저변 확대를 가져오고자 하였다. 미술관의 중요성은 앞으로도 점차 강조 될것이며 학교미술 교육과의 연계는 필연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문화 민족으로써 오늘날과 같은 문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미술관은 현대인들에게 교육의 장이자 편안한 휴식의 장으로써 또한 새로운 문화의 장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미술관과 학교미술 교육은 지금보다 훨씬 체계적이며 효율적으로 연계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21세를 주도할 전인적인 인재를 양성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21st century in which people's cultural desire is growing more and more, museum takes many parts in our life and it has a pivotal role as a cultural Mecca having charge of social educational function and making people possible to experience diverse esthetic experiences as it gets out of the passive functions of collecting, preservation and exhibition before. Especially, museum is meeting a new change as its educational function is getting stress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nounced by the government education department, it is the education goal to develope their esthetic judgment and to cultivate student's esthetic attitude as stressing on 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domain as well as student's expression ability. For this, it recommends students to have field learning stepping at the museum or an art gallery at least more than once a semester and to lead the class focussing on appreciation domain which was insufficient until now. The art education utilizing art museum will have a superb role as another place of education as well as supplementing the school art education as it offers students plenty of experiences throughout new and diverse programs and environment. For example, quite a number of foreign art museums have been already running rationally and efficiently since long ago based on many economical, human resources as the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utilizing art museum. In this study, I raised several points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the connection between art museum and school art education throughout th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interior art museums and those abroad, and I tried to find out connection plan to improve these problems. First of all, here are some problems for the connection between art museum and school art education; Firstly, the insufficient education program will be a programatic elements problem. Second matter will be the insufficient financial support and the shortage of art museums in number which have their own local character and originality. And, above all, the insufficient number of local art museum which need to be a center of local art culture will be another matter. Accordingly, to solve those matters, I suggest followings as a solution of the connection plan between art museum and school art education. Firstly, as an element of connection plan in art museum, there need to establish a department in charge of education only in an art museum and, divers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run by the curator in charge of education in the department under the cooperation with incumbent teachers before the start of semester. Secondly, as an element of connection plan in school, there ne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who have the most important role in school education, to develop diverse resources which can be used in a real teaching field, and there need to be accomplished a self leading, efficient teaching using ICT. Finally, as an element of connection plan in local society, to reflect local society's culture and events, as to host and menage many events and festivals through art museum, there need to make students use their leisure times in the art museum which were increased from the 5-day school, also, there need to concentrate on creative, active publicity to inform these importances of art museum. To be connected art museums with school art education, to be familiar with students, there will be required much more efforts than now. For this study, I examined art museums and school art education curriculum across the board, and I conducted investigations and analysis of documents research and related research theses using the Internet data search. Also, I tried to expend the base of art as I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school art education connection program through visiting art museum and field investigations of the museum and trying to grope about practical connection plan. The importance of art museum will be stressed gradually in the future and it will be inevitable to connect art museum with school art education. As our country is a cultural nation reserving eternal history and culture, as we greet this era of culture, art museum should have an important role for the moderns as a field of education, a field of comfortable rest and a field of new culture. Art museum and school art education need to be connected effectively much more than now and with this, we can educate talented students who will lead our country in the 21st century.

      • 무용공연 조직의 문화마케팅과 아이덴티티, 이미지 및 관계지속의도의 관계

        장유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이 연구는 무용공연 조직의 문화마케팅과 아이덴티티, 이미지 및 관계지속의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국악원 무용공연 유료관중을 대상으로 아이덴티티와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무용공연 조직이 시행하는 문화마케팅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계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현재 MCT에서 기획하고 국립국악원에서 공연된 전통창작무용 작품을 관람한 유료관중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00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수별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공연조직의 문화마케팅과 아이덴티티의 관계에서 경로계수 값은 .731(t=7.566)로 나타나 무용공연 조직의 문화마케팅은 아이덴티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문화예술공연조직의 문화마케팅과 이미지의 관계에서 경로계수 값은 1.116(t=8.260)으로 나타나 무용공연 조직의 문화마케팅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문화예술공연조직의 문화마케팅과 관계지속의도의 관계에서 경로계수 값은 .681(t=5.045)로 나타나 무용공연 조직의 문화마케팅은 관계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문화예술공연조직의 아이덴티티와 이미지의 관계에서 경로계수 값은 .173(t=2.592)으로 나타나 무용공연 조직의 아이덴티티는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문화예술공연조직의 아이덴티티와 관계지속의도의 관계에서 경로계수 값은 .139(t=2.745)로 나타나 무용공연 조직의 아이덴티티는 관계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문화예술공연조직의 이미지와 관계지속의도의 관계에서 경로계수 값은 .254(t=3.130)로 나타나 무용공연 조직의 이미지는 관계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곱째, 무용공연 조직의 문화마케팅은 아이덴티티와 이미지, 관계지속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으며, 문화마케팅은 아이덴티티와 이미지를 매개로 관계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아이덴티티와 이미지는 무용공연 조직의 문화마케팅과 관계지속의도 사이를 매개하는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culture marketing, identity, image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of a dance performance organization, the culture marketing of a dance performance organization affecting identity and image was investigated targeting the audience who had paid to watch a dance performance of National Gugak Center, and based on which, their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were analyzed. As the research subjects, among the audience that had paid and watched a traditional creative dance work planned by MCT and performed in National Gugak Center in 2019, 400 individuals in total were collected using a sampling method. To process the dat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on each variable using the AMOS 21.0 program, and the fitness of the model suggested in the research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verified using the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research results above, it has been conclud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culture marketing of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organization and the identity,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was found to be .731(t=7.566), so it has been proved that the culture marketing of the dance performance organization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identity. Second, in the relation of the culture marketing of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organization and the image,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was proved to be 1.116(t=8.260), which showed that the culture marketing of the dance performance organization affected the image in a meaningful way.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culture marketing of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organization and the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was concluded to be .681(t=5.045),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culture marketing of the dance performance organization had a meaningful impact on the relation continuity intention. Fourth, in the relation between the identity of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organization and the image,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was .173(t=2.592), the identity of the dance performance organization was found to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image. Fifth, in the relation between the identity of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organization and the relation continuity intention,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was .139(t=2.745), and the identity of the dance performance organization was concluded to affect the relation continuity intention in a meaningful way. Sixth, in the relation between the image of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organization and the relation continuity intention,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was .254(t=3.130), so the image of the dance performance organization was proved to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relation continuity intention. Seventh, the culture marketing of the dance performance organization was found to be a very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ed positively the identity, image and relation continuity intention. As the culture marketing had an impact on the relation continuity intention with the identity and the image as the media, the identity and image were verified to be crucial variables mediating the culture marketing of the dance performance organization and the relation continuity intention.

      • 갱년기 여성의 우울경향성 감소에 미치는 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장유리 서울사이버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 갱년기 여성의 우울경향성 감소에 미치는 시(詩)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갱년기 증상의 호소는 48세∼52세가 90%를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의 명확성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35세∼55세로 제한하였다. 프로그램을 실행하기에 앞서 우울 시치료 프로그램에 사용될 시들을 선정하기 위해 시인인 연구자가 미리 준비한 100편의 시 중 제1차로 연구에 적합한 갱년기 여성이 겪을 상실과 우울 극복에 도움이 되는 시를 25편 골랐고, 제2차로 이 시들에 대해 문학평론가와 시인 등 전문가들에게 우울극복에 도움이 되는 정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선정된 시들을 토대로 시치료 프로그램은 12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우울극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반부에는 우울과 불안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후반부에는 기쁨과 행복 등의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배치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우울경향을 보이는 대상자만을 국한시키기 위해 상기 연령대의 갱년기 여성 146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CES-D 척도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우울점수가 높은 대상자 20명을 추출하였다. 이 20명 중 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할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을 무선배치 하였고, 실험군에게는 우울 극복 시와 감정처치 활동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일반 시와 감정처치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때 실험군과 대조군에게는 한국판 CES-D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검사(pre-test)와 사후 검사(post-test)를 실시하였다. 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우선 두 집단의 사전 우울경향성을 공변인으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울경향성의 감소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우울경향성 감소폭이 더 많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실시한 우울 극복 시와 감정처치 활동이 우울 감소에 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연구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의 우울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좀 더 시의 세부적인 형식과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 컨설팅의 원리 적용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컨설팅 현장을 중심으로

        장유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컨설팅 현장에서 컨설팅의 원리가 적용되는 사례를 분석하여 컨설팅의 효과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문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컨설팅하거나 받은 경험을 토대로 컨설팅의 원리가 적용되는 실제 사례를 살펴본 후 이를 통해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경상북도 시 지역의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컨설팅을 받거나 컨설턴트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 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답변 내용을 모아 주제별로 범주화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개선을 위해 누군가의 도움을 받고 싶다는 자발성의 원리가 적용되는 사례와 거절을 못해서 컨설팅을 받았다는 자발성의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있었다. 컨설턴트는 관련 연수를 받거나 교육 분야 경험을 쌓는 등 실제적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 노력하는 전문성의 원리가 적용되었다. 의뢰인의 컨설팅에 대한 주인 의식을 알아보는 자문성의 원리는 컨설턴트의 컨설팅 내용을 취사선택하여 적용하여 컨설팅의 효과성이 있었다는 사례와 본인 의지와 관계없이 컨설팅 조언을 현장에 적용하여 컨설팅의 효과성이 없었다는 사례가 있었다. 컨설팅 기간에 대한 제한 여부를 알아보는 한시성의 원리는 과제 해결이 끝나면 마치고 싶다는 한시성의 원리가 적용되는 사례와 지속적으로 컨설팅을 받거나 하고 싶다는 한시성의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있었다. 의뢰인과 컨설턴트는 수평적인 관계로 독립성의 원리가 적용되었으며 의뢰인과 컨설턴트는 상호성장하는 학습성의 원리가 적용되었다. 이러한 답변 내용을 토대로 자발성의 원리 강화, 컨설턴트의 실제적 전문성 원리 강화, 의뢰인의 주체 의식과 주인 의식이 강조된 자문성의 원리 강화, 지속적인 컨설팅을 위해 한시성의 원리 약화, 수평적 관계의 독립성 원리 강화, 교학상장의 학습성의 원리 강화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consulting by analyzing cases in which the principles of consulting are applied in elementary school consulting sites. The research problem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ter looking at practical cases in which the principles of consulting are applied based on their experience of consulting or receiving the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ight teachers who had been consulted or worked as consultants over the past three years (2018-2020), and answer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by topic.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principle of voluntarily wanting to get help from someone to improve classes was applied, and cases in which the principle of voluntarily receiving consulting was not applied. Consultants applied the principle of expertise in trying to cultivate practical expertise, such as receiving relevant training or gaining experienc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principle of consulting was that consulting was effective by selecting consultants' contents, and consulting advice was not effective by applying consulting advice to the site regardless of one's will. The principle of Hansi Sung to find out whether to limit the consulting period was applied to the principle of Hansi Sung that he wanted to finish after solving the task, and the principle of Hansi Sung that he wanted to continue consulting or not. The principle of independence was applied to clients and consultants in horizontal relationships, and the principle of mutual growth of learning was applied to clients and consultants. Based on these answers, we propose strengthening the principle of spontaneity, strengthening the actual professionalism of consultants, strengthening the principle of consulting with clients, weakening the principle of temporary poetry, strengthening the independence of horizontal relationships, and strengthening the learning ability of teaching.

      • 일견어휘 학습을 통한 초등영어 읽기 부진아동 지도의 효과

        장유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강조한다. 그에 따라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를 매년 시행하고 있다. 초등학교 영어는 후속학습을 위한 기초이며,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이 목표다. 하지만 학급 당 학생 수가 많고, 영어 수업 시수가 적은 편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학습부진아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EFL 환경에서는 읽기를 통해 다양한 영어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읽기 부진아동을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과 자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견어휘 지도가 영어 읽기 부진아동의 읽기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일견어휘 지도가 영어 읽기 부진아동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학습 불안감 등의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실험 연구를 위하여 6학년 학생 중 영어교과 학습부진아로 선정된 학생 중 단어인지 검사와 비격식적 읽기 검사(Informal Reading Inventory)를 통하여 읽기 부진으로 판정된 33명을 대상으로 보충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일견어휘는 Dolch가 제시한 Basic Sight Words 220이며, 총 11주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에 사용된 학습활동은 학습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게임 활동을 많이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영어동화책 등의 교과서 외의 텍스트를 많이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집단으로 선정된 학생들의 단어인지정도, 텍스트 내용 이해도, 학업성취도를 사전 사후 비교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생의 소감록, 교사의 수업일지, 학생과의 면담 결과를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실험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일견어휘 지도는 학생의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실험기간이 총 11주로 짧은 편이었으며, 학생의 부진 정도가 심했던 데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진단평가를 통하여 학습부진의 정도를 판별하고, 부진의 정도가 심한 학생은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일견어휘 지도가 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 즉 단어인지와 텍스트 내용 이해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학생 지도 시 사용한 Dolch Basic Sight Words 220은 모든 영어텍스트에서 가장 고빈도로 사용되는 단어를 순서대로 정리한 목록이고, 또한 이 목록의 단어는 영어과 교육과정 안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이 결과는 학습부진아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을 비교한 것이기 때문에 실험연구가 학생의 읽기 능력 상승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같은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1학기동안 본 실험연구 이외의 다른 경로의 영어 학습에 대한 효과를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셋째, 학생의 흥미도와 자신감의 상승과 학습 불안감의 하락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는 빈도가 높은 단어를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영어로 된 텍스트에서 해당 단어를 인지할 수 있는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신감과 흥미도 상승을 이끈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학생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공한 점에도 그 이유가 있다. 마찬가지로 학생들이 본교 영어체험실에서 학습을 하며 다양한 영어 동화책 등의 텍스트를 접함으로 여러 경로의 언어 입력이 가능했다는 점도 긍정적 효과에 기여하였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단어인지 정도와 텍스트 내용이해도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단어인지 정도와 학업성취도 및 텍스트 내용이해도와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일견어휘 지도는 단어인지 정도와 텍스트 내용 이해도, 정의적 영역 측면에는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학업성취도에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하지만 이는 실험기간이 짧고 부진의 정도가 다른 학생들로 집단을 구성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조금 더 세밀한 부진 진단과 그에 알맞은 자료와 학습방법을 선정하여 장기적인 지도를 한다면 나아가 학업성취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쳐 학생들이 영어교과 부진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schools evaluate the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by using an annual standardized assessment title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to students in sixth, ninth, and tenth grade. English education at the primary level creates a foundation for further English learning, and aims to improve students' basic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at school, each class ha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students, and students have only two or three hours of English class each week. Consequently, some students end up having difficulties learning English, especially in reading, and fall below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ir grade level. Despite this, they still move to next grade. It is essential to develop methods and materials that assist slow learners, and give proper supplementary lessons to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reading English. Because English learners in a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setting can have more opportunities to read various English texts. Therefore, There are many methods that can be used to teach reading, but for this study, sight words were taught through various activities as supplementary lesson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 How will teaching sight words to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reading English affect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urthermore, how will teaching sight words to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reading English change their level of interest, confidence, and anxiety. The supplementary class was made up of thirty-three students who were unable to mee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one grade below their current level. They were identified as having sub-standard English reading abilities by using a word recognition test and the Informal Reading Inventory (IRI) created by Dorothy Rubin (1991). The supplementary lessons were given once a week for eleven weeks. Each lesson consisted of three or four activities with each activity using twenty words from the Dolch Sight Words 220 list. The activities were chosen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help them read an English textbook as well as story books, advertisements, or song lyrics. The word recognition test and IRI were given twice, once as a pre-test in April 2010 and once as a post-test in July 2010. The mean of the scores from both tests were compared using a t-test. The scores from the academic achievement pre-test taken in March were compared with the scores from the post-test in June, and July of 2010.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is study, teacher's journals, student learning diaries,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were inclu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pplementary lessons did not mak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from each academic achievement tests. This is because of the degrees of students' difficulties reading English were severe. Thus, eleven weeks of experiment was not long enough to help the students to improve their English reading ability significant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when measuring using a word recognition test and IRI. The lists of Dolch Sight Words 220 which was used as the content for the supplementary lessons, are made up of high frequency words which appear frequently in English texts. Therefore, students could see these words many times in English texts such as their textbooks, and get relatively high scores on the post-test. However, this doesn't mean the supplementary lessons directly led to students' improvement. The same tests which include a word recognition test and IRI were given as pre-test and post-test. The effects of learning English beyond this experiment as a regular school curriculum or private institutes were not controlled. The supplementary lesson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level of interest, confidence, and anxiety.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from the survey showed that students' level of interest and confidence increased, and their level of anxiety decreased. As students abilities to read English words increased,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creased. Also, it lessened the level of anxiety that they felt because there was less pressure in this homogeneous group of students compared to regular English lesson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level of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e surveys about affective parts and the scores from academic achievement tests. This means that the students who had higher scores on reading comprehension tests and surveys received also higher scor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s.

      • 지하 매설 공동구 내부 가스 폭발에 대한 위험성 평가

        장유리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가스 배관을 공동구 내에 수용하는 것은 단순 매설하는 것보다 부식의 위험이 적고, 외부인의 출입이나 굴착공사 등으로부터 오는 물리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용이하다. 또한 각종 시설을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가스 배관을 포함한 여러 시설물을 공동수용을 고려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위험성을 가진 가스들의 수송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공동구 내부의 폭발은 밀폐된 공간이라는 특성상 개방 된 공간에서의 폭발보다 폭발 과압에 의한 피해가 큼에도 불구하고 공동구에 대한 연구는 화재 사고에 국한되어 진행되었고, 폭발로 인한 위험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하 공동구 내부의 가스 배관으로부터 누출 된 메탄가스가 원인모를 점화원에 의해 폭발을 일으켰을 경우를 가정하여, 피해 결과 측면에서 공동구 내부의 폭발이 상부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산정하고, 추가 안전 설계 등의 필요성을 검토하게 되었다. 영향성의 검토는 위험의 분석과 평가를 체계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위험성 평가 기법을 약식으로 따랐다.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ool을 사용한 정량적 평가를 중심으로 중대성 추정 단계를 진행하였고, Historical data의 발생빈도를 고려하여 가능성을 추정하였다. 그 후 이 둘의 곱으로부터 위험도를 평가하고, 도출 된 위험도의 크기에 따른 안전 대책을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사고 시나리오에 따른 중대성 결과는 시나리오 1(안전 설비 정상 작동)의 경우 1.53 barg, 시나리오 2(안전 설비 작동 지연)의 경우 3.01 barg, 시나리오 3(안전 설비 작동 실패)에서 6.45 barg가 나왔다. 누출된 메탄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더 큰 폭발 과압이 산출 되지만, 이 값들은 건축물을 대부분의 전파 시킬 수 있는 70kPa(KOSHA GUIDE P-102-2012 사고피해예측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을 초과하는 값으로 상부의 시설물 뿐 아니라 거주하는 사람들을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중대 재해를 발생 시킬 수 있다. 가능성 결과는 EGIG(European Gas Pipeline Incident Data Group)의 Historical data로부터 배관의 실패 확률 3.31*10-5/yr를 얻었다. 앞에서 추정한 중대성과 가능성의 결과들 곱셈법에 대입하여 위험성을 판단한 결과 허용 불가능한 위험도로 가급적 빠른 개선 조치가 요구 되었다. 이에 따른 개선조치로 가스 단독구의 설계, 이중배관 설계, Seamless배관 또는 Extra Strong schedule 배관의 이용, 이중배관 사이의 압력 검지기, 방화·방폭 설비 사용 등을 권고하였다. 이와 같은 권고 사항을 기존의 설계에 반영한다면 공동구 내부의 메탄가스의 폭발로 인한 피해 가능성을 최대한 절감 및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공동구 상부 5m의 도로와 주택가의 안전성이 확보 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의 경우에는 본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다양한 위험이 추가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에 대해 항상 인지해야 할 것이다.

      • 서울시 도심 녹지에 관한 가치측정과 시민들의 지불의사에 관한 연구

        장유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서울시는 21세기의 시작과 함께 도시의 환경뿐만 아니라 역사, 문화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할 커다란 전환점에 와 있다. 새로운 서울의 미래상을 제시하기 위하여 서울 도시계획의 상위 지침을 수립하는 데 있어 그 개념은 성장과 개발위주의 발상에서 이미 벗어나 있으며 서울의 역사성과 문화성을 되찾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004년 현재 청계천복원사업과 시청 앞 잔디광장이 조성된 것도 이러한 움직임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서울은 산이 많아 녹지가 많은 것처럼 보이지만 생활 주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녹지 공간은 매우 부족하며, 특히 지역별 공원녹지의 분포에 있어서도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심의 녹지․공원의 가치를 분석하여 시민들이 원하는 녹지계획의 정도를 가늠해보고 새로이 혹은 현재 진행 중인 서울시의 녹지계획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At the beginning of 21C, the city of Seoul is confronted with very important time to solve environmental, historical and cultural problems in the city. Lately, we are trying to get our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back when we establish some regulations to propose our new future model of Seoul instead of focusing ourselves to growth and exploitation of the city. In year 2004, Chung-Kye chun conservation work and a public lawn square in front of the city hall would be very good examples of this kind of social movements. Since Seoul has many mountains, it seems the city has a lot of green-zones. However, many citizens don’t have enough enjoyable green-zones around all the time, especially, the distribution of the green area for each region varies in real life.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at we analyze the value of the green-zones around Seoul and figure out how the citizens want the green-belt plan to be modified; additionally, we propose and argue about better solutions or on-going issues about our green-belt plans of Se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