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udy on AlN based RF MEMS Tunable Capacitors

        장우진 광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aluminum nitride film based RF MEMS tunable capacitors have been designed,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The proposed MEMS tunable capacitors were designed and fabricated on high resistivity silicon (HRS) substrate of 525um in thickness for reducing the substrate loss of RF signal. Three different structural geometries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the RF MEMS tunable capacitors with low operation voltage, wide tuning range, high capacitance density, and high linearity. The high dielectric aluminum nitride film was also applied to improve the tuning range and capacitance density of the RF MEMS tunable capacitor. Firstly, a RF MEMS tunable capacitor with bottom-up actuation have been designed and fabricated for lowering the DC bias voltage of operation. Unlike conventional two-parallel-plate tunable capacitors, the designed tunable capacitor was comprised of one suspended bottom plate and two fixed top plates. The floating bottom plate suspended below those two fixed plates was pulled up by the electrostatic force to increase the capacitance when the DC bias voltage was applied between the two fixed plates. Among the fabricated devices, a maximum controllable tuning range of 26% at 1.5 GHz has been obtained experimentally at the low actuation voltage ranging from 0 to 5V. The size of the fabricated RF MEMS tunable capacitor was approximately 2 mm × 1.3mm. Secondly, a RF MEMS tunable capacitor with two different air gap structure has been designed and fabricated for improving the tuning range. Unlike conventional two-parallel-plate tunable capacitors, the designed tunable capacitor was comprised of one suspended top plate and two fixed bottom plates. One fixed plate and the top plate form a variable capacitor, while the other one provides necessary electrostatic actuation. Among the fabricated devices, a maximum controllable tuning range of 85% at 5 GHz has been obtained experimentally, exceeding the theoretical limit (50%) of the conventional two-parallel-plate tunable capacitors. A quality factor (Q) of 25 was obtained at 1.5 GHz. The size of the fabricated tunable capacitor was approximately 1.2 mm×1.2 mm. Thirdly, RF MEMS tunable capacitors with ultra-wide tuning range and large capacitance using four different shunt membranes have been designed,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on a HRS. The four shunt membrane bridges were designed to have different spring constants for wide tuning range and high linearity during the operation.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electroplated gold was covered on the edges of all the membranes for increasing their restoring forces. Among the fabricated devices, a maximum controllable tuning range of 1900 % ranging from 0.65 pF to 12 pF at 2GHz has obtained experimentally. Their size and volume were approximately 1.6 mm × 0.6 mm × 0.053 mm. The developed fabrication sequences were highly compatible with the aluminum nitride based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devices resulting in single chip tunable filters and radios with high performances and small size/volumes. In addition, the fabrication process could be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standard IC (integrated circuit) technology, which makes it suitable for single chip integrated wireless and intelligent communication systems.

      • 공공(학교)건축물 태양열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 방법에 대한 연구

        장우진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 물질문명의 발달에 따른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매장량이 한정된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의 자원부족 문제를 심화시켰다.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화석 연료를 대신할 대체에너지 개발과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그린에너지,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태양에너지는 가장 대표적인 청정에너지원으로서 자원의 매장량에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형태로 활용 가능하다. 현재 주로 태양전지, 태양열 집열판으로 상용화가 되어 많이 사용하고 있다. 태양열에너지 시스템은 효율성과 경제성이 높아 보급 가능성이 큰 신재생에너지 설비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여름철에 외기온도가 높고 일사량이 많아 생산량은 증가하나 사용량은 감소하여 남는 열에너지에 의하여 과열이 발생하여 유지관리 문제가 중요시 되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은 여름철 태양열에너지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과열된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열전발전시스템을 평가할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하여 발전성능과 효율을 평가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실용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비교․고찰하는 것이다. 열전발전시스템의 성능 시험 결과 과열을 방지하여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친환경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공공(학교)건축물의 신재생에너지 설치의무화의 효율적인 적용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몽타주 전경(全景)을 통한 구조화된 사회갈등 표현에 대한 연구 :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장우진 서울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my work, which expresses my viewpoints on the systematized conflicts of human society through virtual panorama that have been reconstructed based on real scenery, and tries to arouse social opin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social and artistic meaning of my works, focusing on the <Real Fiction> series, which is based on the traces of hierarchical structures that appear in metropolitan landscapes, and the <Broken Landscape> series, which deals with the destroyed cities of troubled regions. I view the world from an ecological viewpoint that all beings are closely interrelated with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mutual conflict and dependence, and also consider the human society as an ecological system. This has two major implications. One is that individual objects or events must be viewed through a larger context to be properly understood, and the second is that the event that takes place on any place or on any level of human society is directly or indirectly correlated with the rest of the world. From this point of view, I have approached the various problems i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is a phenomenon arising from the structure of society itself, and not the problem of specific individuals or groups. While social inequalities are formed through immaterial relationships, this aspect of society may also manifest through the tangible and physical structures around us. Therefore, I have looked back on my own experienc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have searched for signs of structural inequalities and conflicts in society, trying to unravel them through images. Particularly, the signs stratification pervade much deeper in urban spaces where people are densely packed together. Using cities in the metropolitan and conflict areas as my subject, where the profound problems of society are most visible, I try to arouse social opinion by revealing the structure of the society and the traces of life that are held within these spaces through a compact virtual panorama. These works, which contain the self-contradictory process of combining photo fragments of the real world to construct fictional landscapes in order to depict reality through them, are made by manipulating and transforming the original source material. In this process, the <Real Fiction> series is reconstructed into a single extended virtual panorama that mixes real and fiction, and the <Broken Landscape> series is scratched and decolorized in order to give it the feeling of looking into someone else’s traumatic memories. Yet a large part of the surreal feeling that these images radiate come not from my hand, but from the absurdity of the reality itself. The scenery of most large cities where glamorous skyscrapers intersect with shabby slums or the streets that have been abandoned due to social and economic unease, and the cities that have fallen into ruins due to war, are in themselves so absurd or against common sense to seem unbelievable. A reality that feels fictional and fictions that feel real, is one of the cultural and cognitive feature of our time. My work, which attempts to criticize contemporary society by touching on the phenomena that arise from disparity, stratification, oppression and exclusion, approaches the subject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structural problem of society as a reflection of each of the members of society. Violence that seeks destruction without a definite aim like vandalism or terrorism seems to be especially fierce and irrational, but my thought is that underneath it lie the anger and the resentment of the neglected class, who have been repressed and alienated by society in order to maintain the existing socio-economic hierarchy. This also implies that the responsibility for the numerous problems that arise from the unequal structure of society is shared by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who benefit from such a society. My digital photography work, which is based on photo montage and digital painting technique, has been influenced by commercial arts and pop culture of the digital era such as computer games, background art of movies, and superimposed photography that is actively produced and consumed in the Internet environment. The tendency to freely borrow images and formats and transform them is a key feature and possibility of digital photography that differs from analog photography. However, digital photography is not as actively used or studied in Korea considering its contemporaneity. Therefore, I think that this study on my digital photography will be a reminder on the possibilities of superimposed photography as a medium of expression in dealing with various social problem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is field. In addition, I hope that this research, which analyzes my own medium and techniques, as well as its contents in detail, will also serve as an opportunity for my art to mature. 본 논문은 현실의 풍경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가상의 전경을 통해 인간사회의 구조화된 갈등에 대한 시각을 표현하고 사회적 환기를 시도하는 본인의 작업에 대한 분석을 담고 있다. 이번 연구는 대도시의 풍경 속에 발현되어 나타나는 계층구조의 흔적을 소재로 하는 <Real Fiction> 시리즈와 분쟁지역의 파괴된 도시모습을 다루는 <부서진 풍경> 시리즈를 중심으로 본인 작업을 다각도에서 고찰함으로써 이들 작업이 지니는 사회적, 미술적 의미에 대해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나는 모든 존재는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의 상호적인 갈등과 의존관계 속에서 밀접하게 맺어져 있다는 생태적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며, 인간사회 역시 하나의 생태체계로 해석한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하나는 개별 대상이나 사건은 단편적으로가 아닌 전체적인 맥락을 통해 바라봐야만 올바른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이고, 둘째는 인간사회의 그 어느 장소나 어떤 층위에서 벌어지는 사건이라도 직간접적으로 나머지 세계 전부와 관련을 지닌다는 것이다. 이 같은 시각에서 나는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작업으로 다루는데 있어 이것이 특정 개인들이나 단체가 아닌, 사회의 구조 자체로부터 비롯되는 현상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작업에 접근해 왔다. 사회적으로 만연해 있는 구조적 불평등은 무형의 관계성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러한 사회의 모습은 가시적이며 물리적인 구조를 통해서도 모습을 드러낸다. 때문에 나는 스스로의 경험과 주변을 돌아보고 그로부터 빈부격차나 계층 간의 대립 등 사회의 구조화된 불평등과 갈등의 징후들을 찾아 이미지로 풀어내고자 시도해 왔다. 특히 사람들이 밀집해서 살아가는 도시공간에는 계급화 된 인간사회의 모습이 훨씬 깊게 배어들어 있다. 나는 사회의 뿌리 깊은 문제들이 가장 가시적으로 표면화되어 있는 대도시와 분쟁지역의 도시를 소재로, 이들 공간이 머금고 있는 사회의 구조와 삶의 흔적들을 하나의 압축적인 가상의 전경으로 드러냄으로써 사회적 환기를 시도한다. 실재 세계의 사진조각을 조합하여 허구의 전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현실을 표현한다는 모순적인 과정을 담고 있는 이들 작업은, 재료가 되는 원본 이미지들을 수없이 가공하고 변형하여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Real Fiction> 시리즈는 실상과 허상이 혼합되면서 하나의 확장된 가상전경으로 재구성되며, <부서진 풍경> 시리즈는 온통 마모되고 탈색된 장면을 통해 현실의 폐허가 아닌 타인의 트라우마적 기억을 바라보는 듯한 느낌을 주고자 시도한다. 하지만 이 같은 이미지에서 풍기는 초현실적인 느낌은 나의 손길이 아닌 현실 자체의 부조리함에서 많은 부분 기인한다. 아찔한 마천루와 지저분한 슬럼이 교차하는 대다수 대도시의 풍경, 경제난과 치안불안으로 버려져 텅 비어버린 거리, 전쟁에 의해 폐허로 전락한 도시 등은 그 자체로 이미 믿을 수 없을 만큼 불합리하거나 믿기 싫을 만큼 상식의 선을 벗어나 있다. 현실같은 픽션과 픽션같은 현실의 혼재는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의 문화적, 인식적 특징이기도 하다. 극심한 빈부격차와 계층화, 그리고 억압과 배제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건드림으로써 현대사회에 대한 비판을 시도하는 나의 작업은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를 그 같은 사회의 구성원들 각자의 모습이 반영된 결과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주제에 접근한다. 특히 반달리즘이나 테러와 같이 명확한 목표 없이 파괴 자체를 지향하는 폭력은 굉장히 흉포하고 비이성적으로 느껴지지만, 나는 그 기저에 기존의 사회경제적 위계질서를 유지시키고자 자신들을 통제하고 속박하는 억압적인 사회에 대한 소외계층의 분노와 원한이 깔려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사회의 불평등한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수많은 문제들에 대한 책임이 그 같은 사회로부터 수혜를 입는 공동체 구성원 모두에게 일정부분 공유됨을 의미하기도 한다. 포토몽타주와 디지털 페인팅 기법을 기반으로 구축된 나의 디지털사진 작업은 컴퓨터게임이나 영화의 배경, 인터넷 환경에서 적극적으로 생산되고 소비되는 합성사진 등 디지털 시대의 상업예술이나 대중문화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미지나 형식의 이 같은 자유로운 차용과 변형은 아날로그사진과는 다른 디지털사진의 주요 특징이자 가능성이기도 하다. 그런데 디지털사진은 그 동시대성을 생각했을 때 국내적으로 그렇게까지 활발하게 사용되거나 연구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나의 디지털사진 작업에 대한 이번 연구는 합성사진의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다루는 표현매체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상기시키고 해당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스스로의 작업 매체와 기법, 그리고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는 이 같은 연구가 나의 작업이 예술적으로 보다 성숙하는 계기로도 작용하길 기대한다.

      • 자율이동 태양광 패널청소 로봇의 보행형 구동부 및 흡착 메커니즘 개발

        장우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사 40도까지의 태양광 패널을 청소하기 위한 태양광 패널청소 로봇 구동부 메커니즘 개발을 다룬다. 로봇은 경사 패널 주행을 위해 진공 모터와 진공 패드,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되며, 캐터필러형이 아닌 보행형 타입의 구동부가 사용된다. 새로운 Linkage Mechanism이 적용된 보행형 타입 구동 메커니즘은 패드의 접힘, 불확실한 흡착 문제를 예방한다. 그리고 보행형 타입 구동 메커니즘은 로봇의 몸체 떨림을 방지한다. 새롭게 Linkage Mechanism이 적용된 구동부는 링크와 스퍼기어로 구성된다. 구동부 당 2개의 Driving Line이 장착된 1차 프로토타입과 구동부 당 3개의 Driving Line이 장착된 2차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주행 실험을 통해 두 모델의 성능을 비교해보았다. 2차 프로토타입을 제작할 때, Driving Line을 추가 장착하여 속도 증진, Delay가 제거된 연속 주행, 직진 보정 문제를 개선한다. 그리고 로봇의 방향 전환을 위해 중심축 역할을 하는 회전부를 활용하여 제자리 회전을 한다. 태양광 패널 청소 로봇은 Linkage Mechanism이 적용된 구동부와 진공 패드, 진공펌프가 함께 사용되어 주행한다. 그래서 패드의 공압 상태를 바꾸어주는 솔레노이드 밸브 ON/OFF 시간 제어가 필요하다. 패드의 빠른 탈착으로 인해 로봇이 추락하거나, 늦은 탈착으로 인해 강한 부하를 받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동해석을 통해 안정적인 주행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시간을 찾는다. This study dealt with the development of a solar panel cleaning robot driving mechanism for cleaning solar panels up to 40 degrees inclination. The robot used a vacuum motor, a vacuum pad, and a solenoid valve to move on the inclined panel, and a walking type driving part was used instead of a caterpillar type. The new linkage mechanism applied to a walking type driving mechanism prevented the folding of pads and uncertain adsorption problems. The driving part with the newly applied linkage mechanism was composed of links and spur gears. The first prototype equipped with two driving lines per driving part and the second prototype equipped with three driving lines per driving part were produc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two models was compared through driving experiments. When producing the 2nd prototype, the driving line was additionally installed to improve speed, continuous driving without delay, and straight line correction. In addition, the robot could rotate in place using a rotating part that acted as a central axi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obot. This solar panel cleaning robot was driven by using a driving part applied with linkage mechanism, a vacuum pad, and a vacuum pump together. So, it is necessary to control ON/OFF time of the solenoid valve that changes the pneumatic state of the pad. The robot may slide down due to the rapid detachment of the pad, or the late detachment.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trol times of the solenoid valves for a stable driving were found through motion analysis.

      • 선박 연료유 잔존량 추정모델을 이용한 침몰선박 위해도 평가개선 연구

        장우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Nairobi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emoval of Wrecks(The Nairobi Convection, 2007) consequently will enter into force on April 2015, 1 year after Denmark became the 10th country to ratify it on April 2014. As wrecks are major risks for safety and pollution, the Nairobi Convection will be greater harmonisation of the laws on wreck removal internationally to remove wrecks quickly and effectively and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such risks. As of September 2014, over 2,000 sunken vessels are found on the territorial sea of Korea. Sunken vessels should be had harmful impacts on marine environment because of oils and chemicals in the sunken vessels. Moreover, temporary or continuous spill of remain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crude oil and chemicals occur a secondary pollution in the ocean and are likely to become factors causing marine accidents in major port or sea route. The government have been promoting sunken vessels management business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sunken vessels. Furthermore, they developed risk assessment which can evaluate potential risk quantitatively for sunken vessels in order to establish national management system for sunken vessels. In this study, analyzed marine accidents in Korea and overlooked sunken vessel management system with database program and sunken vessels distribution chart. In addition, as comparison sunken vessel management database and risk assessment factor, draw the limitation of the present risk assessment. Marks of present risk assessment changed greatly depending on quantity of remaining fuel oils, and the list of remaining fuel oils omitted in status report of sunken vessels. Therefore, the aim of the study is to estimate and develop model for quantity of remaining fuel oils and verify the estimation remaining fuel throughout operating vessels at presen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study, applied this verified estimation model to current risk assessment and recommend guideline for an accurate sunken vessels risk assessment and various improvement method of sunken vessels management system.

      • Thiophilic polyHEMA 리간드 구조에 따른 human IgG 흡착 특성에 관한 연구

        장우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thiophilic 리간드를 결합시킨 polyHEMA를 제조하고, human immunoglobulin G(HIgG)의 thiophilic 흡착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의 방법으로 활성화 polyHEMA를 제조한 후, 비선형 저분자 물질인 2-mercaptopyridine를 커플링하여 thiophilic 리간드를 도입하였으며, 이때 도입된 리간드의 양은 24 h, Na_(2)CO_(3) 0.5 M, pH 9.0 그리고 반응물 농도 0.5 M에서 1.2 mmol/g-activated polyHEMA였다. IgC의 흡착 수율은 염의 농도에 따라서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반응 pH와 초기 HIgG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최적의 흡착량은 HIgG의 농도가 3.6 mg HIgG/mL에서 45 mg HIgG/g-adsorbent를 나타내었으며, 흡착 등온선은 Langmuir 흡착 등온식보다는 Freundilch 흡착 등온식에 잘 일치하였으며, 이때 얻어진 흡착 등온식은 다음과 같다. q_(e)=30.19* C_(e)^(0.794) 또한 리간드 구조에 따른 흡착특성을 알아보고자 선형 thiophilic polyHEMA와 비교한 결과 비선형 thiophilic polyHEMA는 흡착 세기에 있어서 선형의 경우보다 높았으나 흡착 활성점은 적게 나타내었다. IIn this study, non-linear thiophilic polyHEMA beads were prepared and applied to thiophilic adsorption of human immunoglobulin G. 2-Mercaptopyridine was maximally coupled 1.2 mmol to the activated polyHEMA on the condition of 12 h, Na_(2)CO_(3) 0.5 M, pH 9.0 and 2-mercaptopyridine 0.5 M. The adsorption of thiophilc polyHEMA for HIgG was estimated by batch experiments in various salt solution. As sal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adsorption yield was maintained constant, but with increasing pH and initial concentration of HIgG, the adsorption yield was showed increase. The optimal adsorption amounts were 45 mg HIgG/g-adsorbent at the initial HIgG concentration of 3.6 mg HIgG/mL.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greed with the Freundlich adsorption model than the Langmuir. The experimental equation was q_(e) = 30.19* C_(e)^(0.794)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gand structure, non-linear thiophilc poIyHEMA was compared with linear thiophilic polyHEMA. Non-linear thiophilic polyHEMA had stronger adsorptivity than linear, but fewer adsorption active-site than linear.

      •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의 『금각사(金閣寺)』연구 : 미의식을 중심으로

        장우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稿では、三島由紀夫の&#38738;春の決算であり、&#25126;後という一時代の記念碑的な作品である『金閣寺』について、主に'美意識'を中心に考えてみた。『金閣寺』は、一人の問題的個人がどのようにして美的認識を得るのか、&#23550;象との具&#20307;的な出&#20250;いを通じて美的認識がどのように&#22793;化していくのか、究極的には、&#30495;の美意識がどのようにして確立されていくのかという過程を探求した作品だと言える。&#24467;って人物と事件の相互作用のなかで主人公の美意識がどのように形成され、また&#22793;化していくのかを探り、『金閣寺』に映し出された三島の芸術思想としての'美意識'を&#35251;察してみた。 本稿は、朴柳椿の&#23398;位論文と共鳴する部分が多くあり、同じ&#35251;点を持っている。しかし、その分類法に疑問を持つようになり、それを再び論者の考えに&#24467;って細分化し、正反合の弁&#35388;法的な展開過程で分析した。例えば朴柳椿は'美意識'の形成過程を4段階に分析しているが、3段階の部分で'美意識の混&#20081;と葛藤'を取扱い、4段階の部分では'美意識の解&#20307;と新しい美的形式の&#30330;見'を取扱っている。しかし、論者は、細かい部分において彼と論議の展開が異なり、より細部的な分類法を選んだ。異なる点を具&#20307;的に&#25369;げてみると、まずは3段階の部分を'美意識の混&#20081;'と'美との&#23550;立'に微分したことである。つまり、&#21336;なる混&#20081;で終わるのではなく、混&#20081;を&#32076;&#39443;しながら溝口が'金閣'に&#23550;して敵&#23550;心を抱いて本格的に'金閣'と&#23550;立していると考えたのである。次に、4段階の'美意識の解&#20307;と新しい美的形式の&#30330;見'部分においても'&#35251;念的な美意識の崩&#22730;'と'&#23455;際的な美意識の構築'に新しく細分化した。言い換えれば、このような分類法は正反合の分類法上に基づき'&#35251;念的な美意識の崩&#22730;'の後に、'美意識の混&#20081;'がきたものとして整理しているという点を明らかにしておきたい。 作品は一つの小宇宙である。つまり、作家の思想が&#32207;&#20307;的に結集した一つの世界である。このような'美意識'の世界を表出している三島の文&#23398;的素養に影響を&#19982;えた主な人物は、三島の祖母と母親であり、&#23398;習院時代の先生であった&#28165;水文雄である。またそれ以外の成長過程における&#27096;&#12293;な&#20307;&#39443;とアメリカ&#28382;在の&#32076;&#39443;およびヘレニズム(ギリシア精神)への傾倒などを&#25369;げることができる。また、古典主義やニヒリズムなどの影響も受けている。これら全てのことが『金閣寺』という作品の要素として思想的に&#32331;がりを持ち一つの世界を造り上げたのである。その中でも、三島自ら明らかにしているように、作品を完成するキ&#12540;ポイントとなったのは、まさに'コンプレックス'である。美意識は'コンプレックス'のまた別の姿である。自身のコンプレックスを受け入れなければ絶&#23550;に解けないもの、開くことができない門、三島はそんな悟りを提示しようとしたのである。 論者は、作家自身が現&#23455;ではできないことを、作品の中の主人公を人形のように操りながら解いたのがこの作品ではないかと考える。三島は幼い頃から祖母の元で育った。周りはみんな女性ばかりで男性性のない環境であったという点に注目すると、彼もやはり、主人公溝口のように社&#20250;性に欠けていて、常識的な現&#23455;と平凡で一般的な暮らしから除外されるしかなかったのだ。かくして自分自身を支配してきた心身の弱さは、どうすることもできないコンプレックスの塊となり、成長過程においてそのようなコンプレックスから解放されたいと絶えず努力したのだ。しかし、世間と通じる門を開けることは容易いなことではなかった。またコンプレックスに閉じこめられ、反&#23550;側にある蜃&#27671;&#27004;のような幻を刺激する悟りの門を開くことも簡&#21336;ではなかった。そのような三島のかなえられない願望を溝口を通してそのまま映し出し、一つの人形劇として作り上げたのが、この『金閣寺』だと考えるのである。 本稿は、テキスト分析を中心に主人公が追求する'美'の本質と主人公がどのような過程を通じて美意識を形成していくのかを調べた。正反合の弁&#35388;法的展開過程を通じて'美意識の形成過程'を分析したものであり、結果的に作品に映し出された三島の思想の核心にはある程度到達したが、三島の他の作品で表出されている'美意識'について調べなかったことは心&#27531;りな部分である。今後も&#32207;&#20307;的な三島文&#23398;を細密に理解し分析して論議の根&#25312;資料とするとき、彼の'美意識'のより深いところにある深層の意味が見えてくるであろう。 본고에서는 미시마 유키오의 청춘의 결산이자 전후(戰後)라는 한 시대의 기념비적(記念碑的)인 작품 『금각사』에 대해서 주로 ‘미의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금각사』는 한 문제적 개인이 어떻게 미적 인식을 획득하고 대상과의 구체적 만남들을 통하여 미적 인식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며, 궁극적으로 진정한 미의식이 어떻게 확립되어 가는가 하는 과정을 탐구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인물과 사건들이 상호 작용하면서 주인공의 미의식이 어떻게 형성해 가며 또 변화되어 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금각사』에 투영된 미시마의 예술사상으로서의 ‘미의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박유춘의 학위논문에 많은 부분에 있어서 동감하며 관점을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분류법에 의문을 가지게 되어, 그것을 다시 논자의 생각대로 세분화하여 정반합(正反合)의 변증법(辨證法)적 전개과정으로 분석하였다. 다시 말하면 박유춘은 ‘미의식’의 형성과정을 4단계로 분석하고 있는데, 3단계 부분에서 ‘미의식의 혼란과 갈등’을 다뤘고, 4단계 부분에서는 ‘미의식의 해체와 새로운 미적 형식의 발견’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논자는 세부에 있어서 그와는 논의의 전개가 다르고, 또 세부적인 분류법을 취하였다. 구체적인 차이점을 들자면, 먼저 3단계 부분을 ‘미의식의 혼란’과 ‘미와의 대립’으로 미분(微分)한 것이 그것이다. 즉 단순한 혼란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혼란을 겪으면서 미조구치가 ‘금각’에 대해서 적대감을 품으며 본격적으로 ‘금각’과 대립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4단계의 ‘미의식의 해체와 새로운 미적 형식의 발견’ 부분에 있어서도 ‘관념적 미의식의 붕괴’와 ‘실제적 미의식의 구축’으로 새롭게 세분화하였다. 다시 말하면 이런 분류법은 정반합의 분류법상에 의하여, ‘관념적 미의식의 붕괴’ 뒤에 ‘미의식의 혼란’이 온 것으로 정리하고 있는 점을 밝혀두고자 한다. 작품은 하나의 소우주이다. 즉 작가의 사상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하나의 세계이다. 이러한 ‘미의식’의 세계를 표출하고 있는 미시마에게 문학적 소양을 쌓게 해준 주요 인물로는 할머니와 어머니가 있으며, 학습원 시절의 스승 시미즈 후미오(&#28165;水文雄)가 있지만, 그 외에 다양한 성장과정에서의 체험과 미국 체류 경험이나 그리스정신에의 경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고전주의(古典主義)나 니힐리즘 등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든 것들이 『금각사』라는 작품의 요소로 사상적으로 엮여서 하나의 세계로 완성되어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미시마도 밝히고 있듯이, 작품을 완성하는데 키포인트라고 할 수 있는 점은 바로 ‘콤플렉스’라 할 수 있다. 미의식은 ‘콤플렉스’의 또 다른 모습이다. 자신의 콤플렉스를 껴안지 않고는 절대로 풀 수 없는 것, 열리지 않는 문, 미시마는 그런 깨달음을 제시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현실에 있어서는 작자 스스로는 할 수 없는 것을 작품 속의 주인공을 인형처럼 세워서 풀어본 것이 이 작품이라 논자는 이해하였다. 미시마는 어려서부터 조모 슬하에서 컸으며, 그 주변에는 오로지 여자들뿐으로 남성성이 부재했다는 점을 주목해 보면 그 역시 주인공 미조구치와 같이 사회성이 부족하였고, 상식적 현실과 평범한 일반적인 삶에서는 제외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자신을 지배해 오던 심신의 허약함은 그 어쩔 수 없는 콤플렉스의 덩어리가 되었고, 커가면서 그런 콤플렉스들로부터 해방되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세상으로의 문을 여는 것은 쉽지가 않았다. 또 그 콤플렉스에 갇혀 반대편에 신기루처럼 환상을 자극하는 깨달음의 문을 여는 것도 용이하지가 않았다. 미시마의 그런 풀 수 없는 염원이 미조구치에게 그대로 투영되어 하나의 인형극으로 만들어진 것이 이『금각사』라고 생각한다. 본고는 텍스트분석을 중심으로 하여 주인공이 추구한 ‘미’의 본질과 이 주인공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미의식을 형성해 나가는가를 살펴보았다. 정반합(正反合)의 변증법(辨證法)적 전개과정을 통하여 ‘미의식의 형성 과정’을 분석한 것이며, 결과적으로 작품에 투영된 미시마의 사상의 핵심으로서의 주제에는 어느 정도 도달하였으나, 미시마의 다른 작품 속에서 표출되어 있는 ‘미의식’에 대해서는 살펴보지 않은 점이 큰 한계점으로 남아 있다. 앞으로 총체적인 미시마 문학을 세밀하게 이해하고 분석하여 논의의 근거자료로 삼을 때 그의 ‘미의식’은 한층 깊숙한 곳에 자리하고 있는 심층의 의미를 보여 올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